KR20150112444A -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 Google Patents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444A
KR20150112444A KR1020140036634A KR20140036634A KR20150112444A KR 20150112444 A KR20150112444 A KR 20150112444A KR 1020140036634 A KR1020140036634 A KR 1020140036634A KR 20140036634 A KR20140036634 A KR 20140036634A KR 20150112444 A KR20150112444 A KR 20150112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tail
bu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김윤수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주)보광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광코리아 filed Critical (주)보광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3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444A/ko
Publication of KR2015011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46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lactic acid bacteria (Streptococcus; Lactococcus; Lactobacillus; Pediococcus; Enterococcus; Leuconostoc; Propionibacterium; Bifidobacterium; Sporolactobacill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18Testing for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Toxi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의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거부감과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우수하며,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시켜 여드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SKIN DETERGENTS, AND COSMETICS}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드름에 대한 항균 및 항염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트러블 및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시켜 여드름 피부를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모낭-피지선 단위 조직에서 발생하는 피부 질환의 하나로서, 인체의 안면, 특히 볼과 이마에 주로 발생하는 모낭염(folliculitis)을 말하고, 모닝(follicles)의 협착 또는 폐색에 의해 피지선(sebaceous gland)에서 만들어지는 피지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모낭-피지선 단위 조직 내에 갇히기 때문에 생겨나게 된다.
이러한 여드름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호르몬 이상에 의한 피지의 과다 생성, 모낭의 막힘 및 균의 감염에 의한 경우로 대별될 수 있다. 따라서 여드름은 피지선이 많이 모여 있는 얼굴, 두피, 목, 가슴, 등, 상지, 어깨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통계적으로 한국인의 경우 15세부터 20세까지의 거의 모든 사람에게서 얼굴에 한 개 이상의 여드름 병변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서양인의 경우에는 10세에서 13세, 한국인의 경우 15세에서 17세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5년 내지 10년간 지속 되다가 20대 초반에 이르러서 서서히 사라지는 과정을 밟게 된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20대 후반이나 30대, 때로는 그 이후까지 여드름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으며 성인이 되어서 처음으로 여드름이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여드름은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거의 같은 비율로 발생하나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좀 더 심하면서 오래 지속되는 여드름이 많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나 잘못된 화장품의 사용에 따라 여드름이 심해졌다 좋아졌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화장품 사용에 따른 여드름인 경우 성인이 되어서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사춘기에 분비되기 시작하는 안드로겐(androgen)이라는 남성호르몬은 피지선에 작용하여 피지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그 외에도 피부의 각질층 비후화를 초래하여 원활한 피부 신진 대사를 저해함으로써 피부에 다량의 때가 생성되게 하여 모낭이 막히게 되어 여드름이 유발된다. 이러한 안드로겐은 남성호르몬이지만 부신에서도 분비가 되므로 여자에게서도 여드름이 생성되고, 또한, 인체가 스트레스를 받으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분비하는 호르몬인 코티솔(cortisol)은 안드로겐과 함께 분비되어 피지선을 자극함으로써 피지가 과다 분비되어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등과 같은 미생물의 감염, 증식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미생물은 막힌 모낭 내의 혐기적 환경 하에서 모낭 내의 피지를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으로 분해하고, 이에 따라 유리지방산이 피부에 심한 지극을 주어 염증을 일으키게 되며, 그 결과로 발적(redness)과 농(pus)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진드기와 같은 모낭충(Demodex follicularum)도 피지를 먹이로 하여 살고, 주로 코나 T존 부위의 모낭 둘레에 기생하여 여드름을 유발하며, 이러한 모낭충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여드름은 주위 피부에까지 염증을 확산시키므로 피부가 붉게 변할 수도 있다. 정상적인 경우, 모낭 내의 죽은 세포들은 차례대로 피부 밖으로 빠져 나오게 되나 사춘기의 여드름 환자에서는 이러한 세포들의 탈락이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어 모두 빠져 나오지 못하고 서로 엉키게 되어 모낭 내의 피지와 뭉쳐져 모낭을 막게 되며, 막힌 모낭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된다.
특히,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라는 세균이 피지를 먹고 자라면서 여드름의 주원인이 되는데, 여드름이 없는 정상인에서 이 균은 피부에 존재하면서 문제를 전혀 일으키지 않으나 모낭이 막혀 피지가 모낭 안에 쌓이게 되면서 피지를 먹고 빠르게 자라며 대사과정에서 생성, 배출된 여러 가지 화학 성분은 모낭과 주위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게 한다.
여드름을 그 모양에 따라 분류하면, 심상성 여드름(acne vulgaris), 응괴성 여드름(acne conglobata), 전격성 여드름(acne fulminans) 등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여드름은 심상성 여드름으로서 희거나 검은 알갱이화한 여드름이고, 응괴성 여드름은 치료 후에도 깊은 흉터가 남게 되는 가장 심한 형태의 여드름으로서 10대 후반의 젊은 남성에게 잘 생기는 여드름이며, 전격성 여드름은 커다란 고름 주머니가 특징으로 주로 10대 남성의 가슴과 등에 잘 생기며 안면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여드름이다.
여드름 피부의 개선은, 먼저 피지 분비를 줄여 준 다음, 모낭과 각질이 단단해 지지 않게 연화시키며, 모낭 내의 세균을 줄여주고, 여드름이 염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항염 목적으로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통으로는 프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acine)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며, 알란토인, 아즈렌, 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손, 감초산 및 그 유도체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여드름 피부 개선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피지 형성 억제를 위한 항남성 호르몬,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여드름 균의 증식 억제를 위한 항생물질인 테트라사이클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 미합중국 특허 제4,469,684호의 아연 에리스로마이신 및 저 유전용매를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과 미합중국 특허 제5,045,533호의 레티닌 에스터 항생물질 및 이를 포함한 약학조성물이 있다.
그리고, 비타민 A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연고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트레티노인(tretinoin: retinoic acid)은 면포의 형성을 억제하며 이미 나와 있는 면포의 수를 줄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주로 각질을 박리시켜 모낭이 파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염증으로 발전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막혀있는 모공을 열어줌으로써 모낭 내에서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므며, 보통 크림이나 젤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여드름 피부 개선에 사용되는 상기 종래의 물질들은 여드름 균의 증식 억제와 피부 개선 효과 외에 심각한 부작용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항남성 호르몬의 경우에는 여드름 발생에 영향을 주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감소에는 효과가 있으나 그 대상은 여성에만 국한될 수밖에 없으며, 스테로이드계의 경우에는 그 부작용이 전신으로 나타나게 되는 경우가 있고, 항생제의 사용은 피부에 상재하는 유용 미생물도 동시에 제거할 뿐 아니라 소화 장애, 광독성 피부염, 2차 감염, 질염, 항문 주위 소양증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으며, 비타민 A 또는 그 유도체와 같은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효과는 좋으나 입술이나 구강점막 등이 건조해지고 손바닥의 각질이 벗겨지거나 전신 가려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임신했을 때 과다 사용하면 기형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임신 전 및 임신 중에는 복용해서는 안 되고, 대사에 의한 체외 배출 시간이 장기간이어서 복용이 끝난 후에도 1개월 정도 주의를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드름 피부에 있어서 인체에 보다 안전하면서도 개선 효과가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연의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거부감과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우수하며,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시켜 여드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0.00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꽃범의 꼬리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건조된 꽃범의 꼬리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화 단계; 분말화된 꽃범의 꼬리를 추출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용매추출 단계;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여액을 얻는 여과 단계; 추출여액을 증발농축기에서 감압하여 증발 농축시키는 증발 농축 단계; 및 증발 농축된 농축액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하고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된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매추출 단계는 10~30℃의 온도에서 복수 회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소르비톨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증발 농축 단계는 70~76cmHg 및 50~70℃의 감압 및 승온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추출액을 20℃ 이하의 실온에서 1 내지 5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15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0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폼클렌징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스테아릭애씨드 10 내지 2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에탄올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 내지 15 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슈크로스 2 내지 12 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비누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을 제공한다.
다음에,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3 내지 13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5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1 내지 5 중량%,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7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39 0.5 내지 3.0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클렌져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1 내지 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5 내지 3.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3.0 중량%, 비즈왁스 0.5 내지 3.0 중량%, 스쿠알렌 0.5 내지 3.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스테이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세라마이드 0.05 내지 0.5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로션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에탄올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글리세레스-26 1 내지 5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스킨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스쿠알렌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0.5 내지 3.0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스쿠알렌 3 내지 13 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 내지 5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크림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이클로메치콘 3 내지 13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1 내지 1.5 중량%,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1 내지 0.5 중량%, 수산화칼륨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에센스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의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거부감과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고,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우수하며,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시켜 여드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의 플로우차트.
이하에서,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여드름 악화의 주원인균으로 작용하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작용이 있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을 꽃범의 꼬리로부터 찾아내었으며, 이러한 꽃범의 꼬리로부터 항균 작용 등이 우수한 유효성분인 추출물을 추출해내는 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꽃범의 꼬리는 피소스테기아 버지이아나(Physostegia virginiana)라는 학명을 갖는 다년초 식물로서, 꿀풀과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는 60~120cm 안팎으로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들여와 관상초로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로서 7~9월에 홍색, 보라색, 흰색 꽃이 핀다.
이러한 꽃범의 꼬리는 유럽 북부에서 오래 전부터 식용해 왔고, 우리나라에서는 봄에 어린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기도 하고, 잎을 말려 차로 마시기도 하는데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용으로는 지혈(止血), 해열(解熱), 진경(鎭痙) 등의 효능이 있어 한방에서는 경간(驚癎), 파상풍, 장염, 이질 등에 치료제로 사용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꽃범의 꼬리는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 사용해 온 약재일 뿐만 아니라, 체내 섭취의 경우에도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었고,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도 거의 없는 안전성이 우수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하기 실시예에 의해 확인한 결과 여드름의 주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여드름의 주원인균에 의한 피부질환, 바람직하게는 여드름 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를 갖는다.
이때,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전체 대비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력과 염증에 대한 억제력이 부족하여 여드름 피부 개선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효과적인 효능을 위해서는 그만큼 다량을 투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전체 대비 3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원하는 제형을 얻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미용 제품화가 곤란할 수 있고, 유효성분의 초과된 함유량에 비하여 효능이 비례하지 않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0.00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유효성분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내에 유효성분으로 단독 포함될 수도 있고, 그 외에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 등을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으며,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형상 등 어떠한 형상에도 적용 가능하여 크림, 로션, 스킨로션, 에멀젼, 팩, 비누, 페이셜폼, 폼클렌져 등과 같은 세안, 세정료는 물론이고, 샴푸, 린스와 같은 모발용 제품에도 적용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피부 외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예컨대 수성 성분,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과 함께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에서 함유될 수도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후 별도로 적량 혼합하여 함유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존의 여드름 피부 개선을 위해 사용되어 온 벤조일퍼록사이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트리클로산 등이나 안드로겐제, 스테로이드제 등의 호르몬류, 레티노이드 등의 비타민A 유도체와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이 유효성분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즉, 도 1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범의 꼬리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S10), 건조된 꽃범의 꼬리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화 단계(S20), 분말화된 꽃범의 꼬리를 추출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용매추출 단계(S30),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여액을 얻는 여과 단계(S40), 추출여액을 증발농축기에서 감압하여 증발 농축시키는 증발 농축 단계(S50) 및 증발 농축된 농축액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하고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된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S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 단계(S10)는 자연에서 채집한 그대로를 잘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분말화 단계(S20)는 원활한 용매추출이 이루어지도록 건조된 꽃범의 꼬리를 잘게 분쇄하는 공정이다.
상기 용매추출 단계(S30)는, 10~30℃에서 복수 회 이루어지고, 이는 용매추출하는 온도가 10℃ 미만이면 낮은 온도로 인하여 꽃범의 꼬리로부터 유효성분이 제대로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용매추출하는 온도가 30℃를 초과하면 꽃범의 꼬리로부터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변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 내지 3회의 복수 회 용매추출이 이루어져 꽃범의 꼬리에 내재되어 있는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도록 하고, 다만 3회를 초과하여 용매추출하는 경우 꽃범의 꼬리의 유효성분의 추출량이 감소하여 비경제적이다.
그리고, 꽃범의 꼬리 대비 5 내지 10 배 중량의 추출용매가 첨가되어 유효성분의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소르비톨에서 선택된 1종의 용매가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된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여과 단계(S40)는 용매추출에 의해 추출된 추출액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여액을 얻는 공정이다.
상기 증발 농축 단계(S50)는 여과된 추출여액을 증발농축기에서 감압하여 증발 농축시켜 추출용매인 알콜 등의 비활성 부분을 제거하되, 일례로 70~76cmHg 및 50~70℃의 감압 및 승온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추출여액의 변질을 방지하고, 효율을 높이며, 추출여액 내에 알콜 성분 등이 필요 이상으로 잔존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상기 동결 건조 단계(S60)는 증발 농축된 농축액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하고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된 최종적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얻는 공정이다.
아울러, 상기 용매추출 단계(S30)에서 수득된 추출액을 20℃ 이하의 실온에서 1 내지 5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는 추출액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고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피부에 대한 친화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숙성온도가 실온 미만으로 너무 낮거나 24시간 미만으로 숙성시키면 추출액이 제대로 숙성되지 않을 수 있고, 숙성온도가 20℃를 초과하거나 5일 초과하여 숙성시키면 숙성 과정에서 유효성분의 변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숙성 효과가 더 이상 향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거부감과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며,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탁월하고, 각 여드름 단계에서 나타나는 구진, 농포, 결절 등의 염증을 억제 또는 진정시켜 여드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 및 건조된 꽃범의 꼬리를 파쇄하여 분말화한 100g에 메탄올(80%) 1,000ml를 가하여 20℃에서 5일 동안 침적한 후 3회 반복하여 용매추출하고, 추출액을 와트만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추출여액을 얻은 다음, 증발농축기에서 76cmHg 및 60℃의 감압 및 승온 조건에서 감압하여 증발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꽃범의 꼬리 추출물 20g을 수득하였다.
<항균 활성의 측정>
96-웰마이크로플레이트를 이용한 액체배지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에 의하여 항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96-웰마이크로플레이트의 웰을 가열하여 멸균한 브레인하트 인퓨전 브로스 배지(BHI broth)를 주입한 후, 각 웰에 나누어서 하기 표 1의 시료를 일정한 양으로 넣어 2배씩 단계 희석하고, 모든 웰에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ATCC 6919 시험균의 현탁액을 주입한 다음, 37℃에서 혐기성 상태로 배양을 하였다.
이렇게 3일 동안 배양 후 알라머 블루(alamar blue) 용액을 각 웰에 분주하여 1시간 정도 더 배양한 후, 발색 상태를 관찰하였고, 파란색에서 핑크색으로의 변색이 일어나지 않은 농도를 MIC 값으로 결정하여 항균력을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꽃범의 꼬리 추출물 시료의 경우 종래에 여드름 피부 개선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어 오던 살리실산(salicylic acid)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광범위하고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물질로 알려진 트리클로산(triclosan)과 비교해도 대등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여 여드름 피부 개선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매우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력 평가>
하기의 표 2와 같은 조성으로 발명예 1, 2 및 비교예 1, 2의 폼클렌징 시료를 제조하여 페이퍼디스크법(paper disk method)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각 실험예의 조성물을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시켜 10% 용액으로 희석한 후 이 용액에 지름 8mm의 페이퍼디스크를 동일한 시간 동안 담구었다가 꺼내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의 ATCC 6919 시험균이 접종된 한천배지 위에 얹어 놓고 배양을 하였다.
2일간 배양한 후, 페이퍼디스크 주위에 발육 저지대의 형성 유무와 그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각 실험예의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정성적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하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함유한 시료에 관한 발명예 1, 2는 비교예 1, 2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함유량이 더 높은 발명예 1이 발명예 2에 비하여 더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0.001중량% 미만으로 소량 포함된 비교예 1은 저지대 형성이 안되었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의 수치한정 범위를 갖는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제품의 여드름 피부에 대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꽃범의 꼬리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표 4와 같은 조성으로 발명예 3, 4 및 비교예 3, 4의 외용 액제를 제조하여, 성인 여드름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즉, 여드름 증상을 갖고 있는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표 4의 조성을 갖는 스킨을 매일 2회, 3주간 사용하도록 하여, 여드름의 진행 상태를 표 5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육안 및 사진 촬영에 의한 비교를 통해 피부 상태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서, 임상 실험 대상자들의 여드름에 대한 피부 상태가 실험 개시 시점과 비교하여 표 5의 3등급 이상의 감소를 보이면 "우수", 1~2 등급의 감소를 보이면 "양호", 등급의 차이가 없으면 "효과 없음", 오히려 등급이 증가하면 "악화"로 판정하였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된 발명예 3, 4의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가 비교예 3, 4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판정되었고, 특히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더 많이 함유된 발명예3이 발명예4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0.001중량% 미만의 소량으로 포함된 비교예3의 경우 유의할만한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꽃범의 꼬리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은 폼클렌징, 비누, 바디클렌져 등의 피부 세정 제품은 물론이고,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등의 화장품에도 적용되어, 여드름 피부 개선의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들을 각각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피부 세정 제품으로서,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15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0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폼클렌징과,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스테아릭애씨드 10 내지 2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에탄올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 내지 15 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슈크로스 2 내지 12 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비누와,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3 내지 13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5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1 내지 5 중량%,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7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39 0.5 내지 3.0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클렌져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으로서,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1 내지 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5 내지 3.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3.0 중량%, 비즈왁스 0.5 내지 3.0 중량%, 스쿠알렌 0.5 내지 3.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스테이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세라마이드 0.05 내지 0.5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로션과,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에탄올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글리세레스-26 1 내지 5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스킨과,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스쿠알렌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0.5 내지 3.0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과,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스쿠알렌 3 내지 13 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 내지 5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크림과,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이클로메치콘 3 내지 13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1 내지 1.5 중량%,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1 내지 0.5 중량%, 수산화칼륨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에센스가 제조될 수 있다.
그렇다면,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고, 천연의 꽃범의 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거부감과 부작용이 없고 안전하며,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주원인균으로 알려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 작용이 우수하고,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시켜 여드름 피부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0.005 내지 20 중량%가 포함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꽃범의 꼬리 추출물은, 꽃범의 꼬리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건조된 꽃범의 꼬리를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분말화 단계; 분말화된 꽃범의 꼬리를 추출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는 용매추출 단계;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추출여액을 얻는 여과 단계; 추출여액을 증발농축기에서 감압하여 증발 농축시키는 증발 농축 단계; 및 증발 농축된 농축액을 동결건조기에서 동결하고 감압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된 추출물을 얻는 동결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방법에 의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 단계는 10~30℃의 온도에서 복수 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소르비톨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농축 단계는 70~76cmHg 및 50~70℃의 감압 및 승온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3항에 있어서,
    추출액을 20℃ 이하의 실온에서 1 내지 5일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방산 20 내지 40 중량%, 글리세린 5 내지 15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3.0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폼클렌징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
  9.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스테아릭애씨드 10 내지 20 중량%, 글리세린 10 내지 20 중량%, 에탄올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5 내지 15 중량%,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슈크로스 2 내지 12 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10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비누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
  10.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 내지 15 중량%, 미리스틱애씨드 3 내지 13 중량%, 라우릭애씨드 2 내지 12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1 내지 5 중량%, PEG-8 1 내지 5 중량%, 스테아릭애씨드 1 내지 5 중량%,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7 1 내지 5 중량%, 폴리쿼터늄-39 0.5 내지 3.0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5 내지 3.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클렌져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 세정 제품.
  11.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마카다미아씨 오일 1 내지 5 중량%, 사이클로펜타실록산 0.5 내지 3.0 중량%, 디메치콘 0.5 내지 3.0 중량%, 비즈왁스 0.5 내지 3.0 중량%, 스쿠알렌 0.5 내지 3.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60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스테이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트로메타민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세라마이드 0.05 내지 0.5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바디로션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12.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에탄올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5 중량%, 글리세레스-26 1 내지 5 중량%,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0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스킨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13.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1 내지 10 중량%, 스쿠알렌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0.5 내지 3.0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0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로션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14.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스쿠알렌 3 내지 13 중량%, 사이클로메치콘 1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1 내지 5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60 스테아레이트 0.5 내지 3.0 중량%, PEG-100 스테아레이트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크림으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15. 꽃범의 꼬리 추출물 0.001 내지 3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사이클로메치콘 3 내지 13 중량%, 글리세린 3 내지 1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1 내지 7 중량%, 베타인 1 내지 5 중량%, 세테아릴알코올 0.1 내지 1.5 중량%,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 오일 0.1 내지 1.5 중량%, 디메치콘 0.1 내지 1.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1 내지 0.5 중량%, 수산화칼륨 0.1 내지 0.5 중량%, 카보머 0.05 내지 0.5 중량%, 잔탄검 0.01 내지 0.1 중량%, EDTA-2Na 0.01 내지 0.1 중량% 및 나머지 정제수를 포함하는 에센스로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갖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품.

KR1020140036634A 2014-03-28 2014-03-28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KR20150112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34A KR20150112444A (ko) 2014-03-28 2014-03-28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634A KR20150112444A (ko) 2014-03-28 2014-03-28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444A true KR20150112444A (ko) 2015-10-07

Family

ID=5434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634A KR20150112444A (ko) 2014-03-28 2014-03-28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4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89B1 (ko) * 2017-02-14 2018-08-17 코스맥스 주식회사 EDTA 4Na를 이용한 지방산 함유 클렌저의 저온에서의 결정 억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589B1 (ko) * 2017-02-14 2018-08-17 코스맥스 주식회사 EDTA 4Na를 이용한 지방산 함유 클렌저의 저온에서의 결정 억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9483B2 (ja) ニキビ予防治療剤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KR20100072865A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8019180A (ja) リパーゼ阻害剤、角栓形成抑制剤、毛穴目立ち抑制剤およびニキビ抑制剤
KR20170040002A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36817B1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꽃범의 꼬리 추출물의 추출 방법
JP4414495B2 (ja) 抗菌剤、並びに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FR2829928A1 (fr)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 la peau et des cheveux de l&#39;homme
JP2013155158A (ja) 抗菌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74811B1 (ko) 소엽추출물 및/또는 해금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CN103494737A (zh) 一种以姜花作为抗衰老护肤因子的化妆品制剂及制备方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542143B2 (ja) A.indicaおよびm.charantiaまたはs.indicumの抽出物を含む外用組成物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KR101418366B1 (ko) 봉독 및 프로폴리스를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48141A (ko) 저근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성 피부 개선용 또는 피지 분비 억제용 조성물
KR20150112444A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세정 제품 및 화장품
KR101363028B1 (ko) 레몬밤, 베르가못, 박하잎, 한련초 및 지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용 조성물
JP4222973B2 (ja) エラスターゼの活性阻害剤および化粧品
JPH04164013A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9729B1 (ko) 남실 추출물을 함유한 여드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8418B1 (ko) 피부 수렴효과를 갖는 아선약, 계피, 지유, 연꽃, 제라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135769A (ja) クローディン産生促進剤、オクルディン産生促進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機能強化剤
KR101978716B1 (ko) 천연 식물 추출물과 pha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