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376A -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376A
KR20150112376A KR1020140036399A KR20140036399A KR20150112376A KR 20150112376 A KR20150112376 A KR 20150112376A KR 1020140036399 A KR1020140036399 A KR 1020140036399A KR 20140036399 A KR20140036399 A KR 20140036399A KR 20150112376 A KR20150112376 A KR 2015011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roller
upper roller
lower rolle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
Priority to KR102014003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376A/ko
Publication of KR2015011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3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일 실시형태는, 상면 및 하면과 네 측면을 가지며, 0.2mm 이상의 두께(t) 및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로 구비되는 리드;로서, 상기 상면과 하면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경사면에 의해 측면의 두께를 0.2t~0.5t로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를 가지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맞대어져 접합 되는 두 장의 필름;으로서, 상기 리드의 상면, 하면, 경사면 측면에 열융착되며, 0.5t~t의 두께를 가지는 두 장의 필름;을 포함하며,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일 실시형태는,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리드의 폭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평행한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에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리드의 폭 보다 작은 제1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의 직경 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둘레 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리드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리드의 가장자리를 변형시키는 두 개의 프레스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LEAD TAB FOR SECONDARY BATTERY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EAD FOR THE SAM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리드 탭에 있어서 리드를 구성하는 띠 형상의 전도성 부재(예: 메탈)의 가장자리가 설정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에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량화 및 고기능화가 진행됨에 따라, 그러한 장치들의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전지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다.
리드 탭은 이와 같은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구동을 위하여 외부회로의 접속단자로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리드 탭은 이차전지의 전극에 연결되며, 이차전지의 케이스 외부로의 밀봉과 절연을 위해 리드로 사용되는 전도성 부재(예: Al, Ni, Cu)에는 수지로 구성된 필름이 열융착된다.
최근 들어, 대용량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리드 탭의 규격의 대형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결과 리드의 폭과 두께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완전한 밀봉을 요구하는 필름 융착 공정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7041호는 리드의 단면형상을 변경하여 필름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시한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7041호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차전지는 두께(d)가 약 200 ㎛ 이상으로 구비되는 전도성 부재인 리드(32)를 평행사변형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리드(32)와 필름(40)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결과적으로 밀봉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다. 즉, 리드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하면에서 엇갈리는 방향에서 각각 상하면과 상하면에 인접한 측면이 이루는 내각(θ)이 둔각을 형성한 것이며, 이는 동시에 리드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대칭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리드(32)의 단면형상에 대한 예시로, 육각형, 사다리꼴, 측면이 반원형으로 구비되는 형상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도성 부재의 단면 형상에 의하면, 리드의 가장자리에 대부분 예리한 날이 형성되고, 그 두께는 매우 얇게 형성된다.
이러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은 필름(40)의 접합 공정 이전에 별도의 공정으로 선행되고, 그 결과물을 작업자가 접합 공정에 이송 및 투입하여야 하는데, 단면이 꼭지점을 가지도록 가공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은 물론, 예리한 가장자리는 이송과정에서 작업자에게 큰 위험으로 작용하거나, 얇은 두께로 인해 가장자리가 변형되는 경우 밀봉 성능은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과정에서 변형으로 인해 리드의 폭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무제가 있다.
한편, 측면이 반원형으로 구비되는 단면형상의 경우, 반원형의 가공은 극히 어렵거나 가능하다더라도 가공에 소요되는 공수의 증가로 인한 손실은 밀봉 성능의 향상으로 얻어지는 이점을 넘는다 할 것이다.
따라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가공에 유리한 리드의 단면형상 개발에 대한 요구는 여전하며, 효율적인 리드의 가공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개시는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가공에 유리한 단면형상의 리드를 가지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이차전지 리드 탭의 리드 가장자리를 설정된 형상으로 효율적으로 가공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일 실시형태는, 상면 및 하면과 네 측면을 가지며, 0.2mm 이상의 두께(t) 및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로 구비되는 리드;로서, 상기 상면과 하면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경사면에 의해 측면의 두께를 0.2t~0.5t로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를 가지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맞대어져 접합 되는 두 장의 필름;으로서, 상기 리드의 상면, 하면, 경사면 측면에 열융착되며, 0.5t~t의 두께를 가지는 두 장의 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의 폭은 0.5t~1.5t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경사면에 의해 리드의 두께가 측면을 향하여 감소하므로, 리드의 두께 증가로 인해 측면에서 밀봉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측면이 두께가 감소 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종전과 같은 예리한 날의 형성을 위한 공수의 증가 및 그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일 실시형태는,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리드의 폭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평행한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에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리드의 폭 보다 작은 제1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의 직경 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둘레 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리드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리드의 가장자리를 변형시키는 두 개의 프레스 롤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리드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그 가장자리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에 의해 압착되어 두께가 감소 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공수를 요하는 절삭공정에 비해 간단한 프레스 공정에 의해 목적하는 리드의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두 개의 프레스 롤러는 그 둘레 면에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압면을 가지는 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리드의 가장자리 형상을 더욱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프레스 롤러는 상기 제1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롤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리드 가공장치로 리드의 폭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교체 없이 두 개의 프레스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리드의 폭 변화에 대응하게 되므로, 금형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롤러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프레스 롤러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리드를 매개로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에 연동 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부롤러는 하부롤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 되는 리드의 가장자리와 프레스 롤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프레스 롤러에 의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의 공급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리드를 평평하게 눌러 펴주도록 상기 리드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두 개의 평행한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되는 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발생 되는 리드의 폭 방향 말림을 평평하게 펴주어 리드의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의 공급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구비되는 풀림 유닛 및 감김 유닛;으로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리드를 원통형으로 되감도록 제2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김 유닛;과 상기 감김 유닛의 회전에 연동 되어 원통형으로 감겨 진 상태로 장착된 리드를 풀어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공급하는 풀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풀림 유닛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공급되는 리드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감김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가 풀리는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풀림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김 유닛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리드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감김 유닛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감김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풀림 유닛 및 감김 유닛에 의해 연속적인 리드의 공급이 가능해지므로, 리드 가장자리의 가공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풀림 속도 조절부와 감김 속도 조절부에 의해 리드 가장자리의 가공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개시의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경사면에 의해 리드의 두께가 측면을 향하여 감소하므로, 리드의 두께 증가로 인해 측면에서 밀봉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리드의 측면이 두께가 감소 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종전과 같은 예리한 날의 형성을 위한 공수의 증가 및 그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드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와 하부롤러 사이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그 가장자리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에 의해 압착되어 두께가 감소 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공수를 요하는 절삭공정에 비해 간단한 프레스 공정에 의해 목적하는 리드의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7041호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리드의 가공 전후 단면을 보인 사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 및
도 7은 도 5에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리드의 가공 전후 단면을 보인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10)은, 리드(11)와 두 장의 필름(12)이 접합 되어 형성된다.
리드(11)는 상면(11a) 및 하면(11b)과 네 측면(11c)을 가지며, 0.2mm 이상의 두께(t) 및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로 구비된다.
리드(11)는 상면(11a)과 하면(11b)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경사면(13)에 의해 측면(11c)의 두께가 0.2t~0.5t로 감소되는 두께 감소부(15)를 가진다.
두 장의 필름(12)은 0.5t~t의 두께를 가지며, 리드(11)의 상면(11a)과 하면(11b)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맞대어져 접합 되는데, 리드(11)의 상면(11a), 하면(11b), 경사면(13) 및 측면(11c)에 열융착 된다.
경사면(13)은 그 폭이 0.5t~1.5t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경사면(13)에 의해 리드(11)의 두께가 측면을 향하여 감소하므로, 리드(11)의 두께 증가로 인해 측면(11c)에서 밀봉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측면(11c)이 두께가 감소 된 상태로 존재하므로 종전과 같은 예리한 날의 형성을 위한 공수의 증가 및 그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를 정면에서 본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100)는 하부롤러(111), 상부롤러(113),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를 포함한다.
하부롤러(111)는 리드(11)의 하부에 위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리드(11)의 폭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된다.
상부롤러(113)는 하부롤러(111)와 평행한 축으로 구비되며, 리드(11)의 상부에 위치된다.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는 상부롤러(113)의 길이방향으로 리드(11)의 폭 보다 작은 제1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며, 상부롤러(113)의 직경 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구비된다.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는 상부롤러(113)에 선택적으로 결합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드(11)의 폭이나 그 공급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로,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는 그 둘레 면이 선택적으로 리드(11)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리드의 가장자리/를 변형시키게 된다.
이에 의하면, 리드(11)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와 하부롤러(111) 사이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그 가장자리가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에 의해 압착되어 두께가 감소 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공수를 요하는 절삭공정에 비해 간단한 프레스 공정에 의해 목적하는 리드의 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는 그 둘레 면에 경사면(13)에 대응하는 가압면(115a)을 가지는 단차(11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롤러(111)도 경사면(13)에 대응하는 가압면(111a)을 가지는 단차(116)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리드(11)의 가장자리 형상을 더욱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두 개의 프레스 롤러(115)는 제1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롤러(11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하나의 리드 가공장치로 리드의 폭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부롤러와 하부롤러의 교체 없이 두 개의 프레스 롤러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만으로 리드의 폭 변화에 대응하게 되므로, 금형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롤러(111)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117)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부롤러(113)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롤러(111)와 프레스 롤러(115)의 사이에 개재된 리드(11)를 매개로 하부롤러(111)의 회전에 연동 되어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롤러(113)의 상하방향 이동은, 상부롤러(113)가 하부에 결합 되고,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되는 네 개의 가이드 기둥(118)이 관통 결합 되어 네 개의 가이드 기둥(118)을 따라 상하이동되는 승강 플레이트(114)와, 승강 플레이트(114)의 상부에 결합 되어 승강 구동력을 인가하는 승강모터(119)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부롤러(113)는 하부롤러(111)의 회전에 의해 발생 되는 리드(11)의 가장자리와 프레스 롤러(115)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프레스 롤러(115)에 의한 리드의 가장자리 가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장자리의 가공으로 발생 되는 리드의 폭 방향 말림을 평평하게 펴주어 리드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리드(11)의 공급방향으로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의 하류에 구비되는 평롤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평롤러(140)는 리드(11)를 평평하게 눌러 펴주도록 리드(11)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두 개의 평행한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100)는,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에 연속적으로 리드(11)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풀림 유닛(130)과 감김 유닛(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리드(11)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리드 가장자리의 가공 생산성이 향상된다.
풀림 유닛(130)과 감김 유닛(150)은 리드(11)의 공급방향으로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구비된다.
감김 유닛(150)은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를 통과한 가공된 리드(11)를 원통형으로 되감는 기능을 하며, 감김 동작은 제2 구동모터(151)에 의해 구동된다.
풀림 유닛(130)은 원통형으로 감겨 진 상태로 장착된 리드(11)가 감김 유닛(150)의 회전에 연동 되어 풀려져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제2 구동모터(151)에 의한 감김 유닛(150)의 감김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감김 유닛(150)에 감기는 리드(11)에 작용하는 장력과 풀림 유닛(130)에서 풀려져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에 공급되는 리드(11)에 작용하는 장력이 변경되어 리드(11)가 느슨해지거나 리드(11)에 과도한 장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풀림 유닛(130)은,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에 공급되는 리드(11)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감김 유닛(150)의 회전에 의해 리드(11)가 풀리는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풀림 속도 조절부(13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풀림 속도 조절부(135)는 풀림을 억제하는 브레이크 형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김 유닛(150)은, 상부롤러(113)와 하부롤러(111) 사이를 통과한 리드(11)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제2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이 감김 유닛(150)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감김 속도 조절부(15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감김 속도 조절부(155)는 동력을 전달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 형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상면 및 하면과 네 측면을 가지며, 0.2mm 이상의 두께(t) 및 설정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전도성 부재로 구비되는 리드;로서, 상기 상면과 하면의 폭 방향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는 경사면에 의해 측면의 두께를 0.2t~0.5t로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를 가지는 리드; 및
    상기 리드의 상면과 하면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맞대어져 접합 되는 두 장의 필름;으로서, 상기 리드의 상면, 하면, 경사면 및 측면에 열융착되며, 0.5t~t의 두께를 가지는 두 장의 필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폭은 0.5t~1.5t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
  3. 청구항 1의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상기 리드의 폭 방향으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롤러;
    상기 하부롤러와 평행한 축으로 구비되며 상기 리드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롤러; 및
    상기 상부롤러에 그것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리드의 폭 보다 작은 제1 간격만큼 떨어져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의 직경 보다 큰 제1 직경을 가지는 원반형상으로 구비되고, 그 둘레 면이 선택적으로 상기 리드의 폭 방향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리드의 가장자리를 변형시키는 두 개의 프레스 롤러;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레스 롤러는 그 둘레 면에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가압면을 가지는 단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레스 롤러는 상기 제1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롤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롤러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프레스 롤러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리드를 매개로 상기 하부롤러의 회전에 연동 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공급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리드를 평평하게 눌러 펴주도록 상기 리드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두 개의 평행한 원통형의 축으로 구비되는 평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공급방향으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의 상류와 하류에 각각 구비되는 풀림 유닛 및 감김 유닛;으로서,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리드를 원통형으로 되감도록 제2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김 유닛;과 상기 감김 유닛의 회전에 연동 되어 원통형으로 감겨 진 상태로 장착된 리드를 풀어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공급하는 풀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풀림 유닛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에 공급되는 리드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감김 유닛의 회전에 의해 상기 리드가 풀리는 속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키는 풀림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감김 유닛은,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통과한 리드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감김 유닛에 전달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감김 속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리드 탭의 리드 가공장치.





KR1020140036399A 2014-03-28 2014-03-28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KR201501123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99A KR20150112376A (ko) 2014-03-28 2014-03-28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399A KR20150112376A (ko) 2014-03-28 2014-03-28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376A true KR20150112376A (ko) 2015-10-07

Family

ID=5434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399A KR20150112376A (ko) 2014-03-28 2014-03-28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37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056A (ko) * 2015-12-25 2017-07-05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리드 부재 및 그 리드 부재를 이용한 전지
KR101876492B1 (ko) * 2017-06-28 2018-07-09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 제조방법
CN108539242A (zh) * 2017-03-03 2018-09-14 株式会社Pole 用于形成二次电池的引线的边缘的设备
KR20210127596A (ko) 2020-04-14 2021-10-22 강택규 이차전지 전극탭 제조장치
KR20220106629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즈메카 이차전지의 리드탭 필름 접합장치
KR20220156381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폴 이차전지용 리드탭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056A (ko) * 2015-12-25 2017-07-05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리드 부재 및 그 리드 부재를 이용한 전지
CN108539242A (zh) * 2017-03-03 2018-09-14 株式会社Pole 用于形成二次电池的引线的边缘的设备
KR101876492B1 (ko) * 2017-06-28 2018-07-09 주식회사 신화아이티 이차전지 리드탭 제조방법
KR20210127596A (ko) 2020-04-14 2021-10-22 강택규 이차전지 전극탭 제조장치
KR20220106629A (ko) * 2021-01-22 2022-07-29 주식회사 디즈메카 이차전지의 리드탭 필름 접합장치
KR20220156381A (ko) * 2021-05-18 2022-11-25 주식회사 폴 이차전지용 리드탭 모서리 라운딩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2376A (ko) 이차전지용 리드 탭 및 그것의 리드 가공장치
KR101811201B1 (ko) 이차전지용 리드의 엣지 가공장치
KR101761973B1 (ko) 레이저 노칭장치
CN116783744A (zh) 用于制造二次电池的电极组合件的方法及装置
CN212287917U (zh) 一种锂电池极片模切分条一体机
WO2020057502A1 (zh) 极片成型装置及极片成型方法
CN207896186U (zh) 箔材焊接装置及极片模切设备
TWI626102B (zh) 原料卷之分割方法與其分割機構以及分割裝置
JP2007165364A (ja) テープ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KR20130105221A (ko) 권회 장치
WO2013122091A1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EP13576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iled electrode group
JP6525936B2 (ja) 巻回装置
JP6350077B2 (ja) シート材の切断装置
KR20210126842A (ko) 불량 전극 자동 제거 장치 및 불량 전극 자동 제거 방법
KR20130088476A (ko) 전극판 제조 시스템 및 전극판 제조 방법
KR102092261B1 (ko) 알루미늄 및 동박용 슬리팅 장치 및 방법
KR102285230B1 (ko) 전극 시트용 프레스 장치
JP2013111657A (ja) 電極シートのスリッタ装置及び電極シートのスリッタ方法
JP2019036458A (ja) 電極用切断装置
JP2017103014A (ja) 電極板の製造方法
CN108698100B (zh) 扎带处理装置以及扎带处理方法
JP2018014220A (ja) 電極製造設備及び電極製造方法
CN110311088B (zh) 电极板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CA290186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hin, board-like bas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