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746A -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746A
KR20150111746A KR1020140035492A KR20140035492A KR20150111746A KR 20150111746 A KR20150111746 A KR 20150111746A KR 1020140035492 A KR1020140035492 A KR 1020140035492A KR 20140035492 A KR20140035492 A KR 20140035492A KR 20150111746 A KR20150111746 A KR 2015011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xchange membrane
proton exchange
organic skeleton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052B1 (ko
Inventor
홍창섭
방원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5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0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51Non-ion-conducting additives, e.g. stabilisers, SiO2 or Zr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6Mixtures of at least one polymer and at least one additive
    • H01M8/1048Ion-conducting additives, e.g. ion-conducting particles, heteropolyacids, metal phosphate or polybenzimidazole with phosphoric ac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습도 또는 산성 조건에서도 구조가 붕괴되지 않고, 수소이온 전도성도 대폭 향상된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빠르고 간편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proton exchange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양성자 교환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지고,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이 강화된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cell)는 출력 밀도 및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고 상온에서 작동이 가능하며 소형화 및 밀폐화가 가능하므로 무공해 자동차, 가정용 발전시스템, 이동통신 장비의 휴대용 전원, 군사용 장비 등의 분야에 폭넓게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이 산화극에서 환원극으로 넘어가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연료극과 공기극이 접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퍼플루오로설폰산 수지(Nafion)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퍼플루오로설폰산 수지는 두께가 두꺼우면 막저항이 증가하고, 반대로 두께가 감소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전지 작동 중에 반응하지 않는 연료 기체 및 액체가 전해질막을 통과하여 연료의 손실을 유도하므로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의 성능을 저해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신된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과 같은 다공성 고분자 필름에 액체 상태의 이온전도 고분자를 함침하여 기계적 물성 및 수치 안정성이 강화된 복합막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얇은 두께의 막을 제조할 수 있고, 도전율이 나피온에 비해 우수하나, 수소이온 전도도가 현저히 낮다는 단점이 있다.(특허 문헌 1.)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계적 및 형태 안정성이 강화된 다공성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금속 부분과 유기 리간드로 이루어진 나노세공체인 금속-유기 골격체(MOF, metal-organic framework)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금속-유기 골격체는 결정공학의 산물로 일종의 배위고분자 화합물로, 표면적과 세공부피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분자크기 또는 나노크기의 세공을 갖고 있어 흡착제, 기체 저장, 센서, 멤브레인, 기능성 박막, 목채 및 촉매 담체 등에 사용되고 세공크기보다 작은 게스트 분자를 포접하거나 세공을 이용하여 분자들의 크기에 따라 분자들을 분리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들 중 고분자 전해질막으로써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로는 비휘발성의 황산과 인산을 포함하는 MIL-101이라 불리는 크롬-테레프탈레이트가 있다. 이는 탈수 후 배위 불포화자리 혹은 열린 금속 자리를 가지며 이들을 이용하여 기능화할 수 있으나, 산의 Ka에 수소이온 전도성이 의존적이고, 고분자 전해질막에 이용하기에는 낮은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지며, 용매열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비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미국특허 제 5,547,551호
비특허 문헌 1. Ponomarevam V. G.; Kovalenko, K. A.; Chupakhin, A. P.; Dybtsev, D. N.; Shutova, E. S.; Fedin, V. P. J. Am. Chem. Soc. 2012, 134, 15640-1564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이 강화되어 환경 변화에 따라 셀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수소이온 전도성도 뛰어난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포함하는 고출력의 연료전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터널을 포함하는 금속-유기 골격체 및 상기 내부 터널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물 분자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으로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H+@Ni2(dobdc)(H2O)2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제공한다.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수소이온 전도성이 1.9 X 10-3 내지 2.5 X 10-2 Sㆍcm-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활성 에너지(Ea)가 0.12 내지 0.22 e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적용한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니켈 또는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반응물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반응물 혼합액에 50~150 W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20 분간 반응을 수행하여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에 황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니켈 전구체는 니켈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10개의 모노 또는 폴리알코올, DMF(디메틸포름아마이드), DEF(디에틸포름아마이드), DMAc(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클로로벤젠, 피리딘, NMP(N-메틸피롤리돈), 설포란,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감마-부티로락톤, 치환족 알콜, 탄소수 2~10 개의 케톤 및 탄소수 4~20개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유기 리간드의 혼합 중량비는 1-10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 단계에서 1-200 psi의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단계에서 황산 용액의 pH 값은 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 단계는 1~4 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고습도 또는 산성 조건에서도 구조가 붕괴되지 않고, 수소이온 전도성도 대폭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마이크로파 및 산처리 과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비용 및 공정시간을 절감시켰다.
또한,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는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도를 가지는 금속-유기 골격체를 양성자 교환 분리막으로 이용함으로써, 내부저항이 낮아 전지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 골격체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PXRD 패턴이다.
도 4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를 7일, 2일 동안 100 물에 담근 후 측정한 PXRD 패턴이다.
도 5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시간에 따른 구조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를 pH 2.4 황산 용액에 5일부터 15일까지 담근 후의 PXRD 패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순서대로 실시예 8, 7, 6, 4,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 4, 6, 7, 8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활성화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 터널을 포함하는 금속-유기 골격체 및 상기 내부 터널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물 분자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H+@Ni2(dobdc)(H2O)2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의 구조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 내의 터널에 존재하는 물 분자 클러스터를 매개체로 하여 수소이온의 도약, H3O+ 이온의 재배열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소이온이 전달되는 Grotthuss mechanism에 의한 전도 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전도 기구를 형성한 금속-유기 골격체는 100 ℃ 내외의 고온 및 산성 조건에서 작동하는 수소이온 전도체로 응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수소이온 전도성이 1.9 X 10-3 내지 2.5 X 10-2 S/cm일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Ea)가 0.12 내지 0.22 e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적용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1) 니켈 또는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반응물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반응물 혼합액에 50~150 W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20 분간 반응을 수행하여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에 황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소이온이 산화극에서 환원극으로 넘어가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양성자 교환 분리막으로 사용되기 위한 것으로써, 우수한 수소이온 전도성뿐만 아니라 뛰어난 기계적 물성 및 형태안정성이 요구된다.
상기 니켈 전구체는 바람직하게 니켈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 골격체를 구성하는 성분 중 유기 리간드로, 링커(linker)라고도 한다.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0개의 모노 또는 폴리알코올, DMF(디메틸포름아마이드), DEF(디에틸포름아마이드), DMAc(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클로로벤젠, 피리딘, NMP(N-메틸피롤리돈), 설포란,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감마-부티로락톤, 치환족 알콜, 탄소수 2~10 개의 케톤 및 탄소수 4~20개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물일 수 있다.
상기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의 혼합 중량비는 1-10 : 1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반응물 혼합액을 제조하는데, 이때, 혼합 시간은 1 내지 20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 ℃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과정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단계이전에 수행하여 반응을 보다 빠르게 일어나게 함과 동시에, 반응물의 균일성과 용해도를 높이고 결정핵을 일부 생성하여 불순물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건너뛰고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단계를 바로 수행하게 되면 상기 반응물들이 충분히 혼합되지 못하여 반응속도가 느려지고, 불순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의 온도가 20~40 ℃보다 낮거나 높으면 불순물이 생성되어 수율이 낮아진다.
이후, 상기 반응물 혼합액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반응을 수행하여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한다.
이때, 마이크로파는 50~150 W출력으로 1~20 분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상기 조건 내에서 이루어질 경우, 종래 용매열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비해 합성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우수한 수율을 갖는다. 만약 마이크로파 출력이 50 W 미만일 경우, 반응 속도가 느려 효과적이지 못하고, 150 W를 초과할 경우 반응 속도가 너무 빨라 불순물이 혼입되기 쉽다.
또한, 상기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기 내의 압력은 실제적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psi의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에서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에 수소이온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황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준다.
이때, 상기 황산 용액의 pH 수치는 1.0~6.0의 범위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 pH 수치는 1.8~5.0일 수 있다. 상기 pH 수치를 갖는 황산 용액을 이용하여 금속-유기 골격체를 처리하면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 내에 황산 작용기는 존재하지 않으면서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가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는 기공 내에 물 분자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이를 매개체로 하여 수소이온의 도약, H3O+ 이온의 재배열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소이온이 전달되는 Grotthuss mechanism에 의한 전도 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전도 기구를 형성한 금속-유기 골격체는 100 ℃ 내외의 고온 및 산성 조건에서 작동하는 수소 전도체로 응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8. H+@Ni2(dobdc)(H2O)2합성
70-mL 바이알 용기에 니켈 전구체인 Ni(OAc)2ㆍ4H2O 0.53g(2.13mmol)과 유기 리간드인 H4dobdc 0.21g(1.06mmo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과 물을 포함하는 혼합용매(1/1, v/v, 30 mL)를 첨가하여 10 분간 혼합하여 반응물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초록색을 띄는 반응물 혼합액을 마이크로파 반응용기 셀에 3 mL씩 나누어 담은 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였다. 이때, 마이크로파의 출력은 100 W였고, 압력이 80 psi였다. 이러한 반응을 15분 동안 유지시켜 노란색을 띄는 금속-유기 골격체(이하, (Ni2(dobdc)(H2O)2)ㆍ6H2O라고도 한다.)를 수득하였다. 이때 수득률은 62%였다. 상기 과정은 [Chem. Commun., 2006, 959-961]을 참고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0.5 M, 0.01 M, 0.005 M, 0.003 M의 농도를 갖는 황산(H2SO4)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적절히 희석하여 각각 pH 수치가 1.8, 2.1, 2.3, 2.4, 2.6, 3.3, 4.1, 5.7인 황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용액의 pH는 pH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2 g의 금속-유기 골격체(Ni2(dobdc)(H2O)2)ㆍ6H2O에 상기 준비된 pH 수치를 갖는 각각의 황산 용액 20 mL를 첨가하여 3일 동안 실온에서 혼합하였다. 이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용액과 침전물을 분리하고, 증류수로 세 번정도 세척한 이후, 공기 중에서 건조시켜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H+@Ni2(dobdc)(H2O)2)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
pH 수치가 0.8인 황산 용액을 사용하여 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모두 동일하게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유기-금속 골격체의 PXRD 패턴으로, 이에 따르면, 상기 pH 수치가 1.8인 황산 용액으로 제조한 유기-금속 골격체(H+@Ni2(dobdc)(H2O)2)부터 새로운 피크가 발견되기 시작했으며, pH 수치가 0.8인 황산 용액으로 제조한 비교예의 유기-금속 골격체(H+@Ni2(dobdc)(H2O)2)는 구조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금속 골격체는 pH 수치가 1.0 이상인 산성 조건에서 구조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를 7일, 2일 동안 100 ℃ 물에 담근 후 측정한 PXRD 패턴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 골격체는 100 ℃의 온도 조건 장기간 노출되어도 구조적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시간에 따른 구조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를 pH 2.4 황산 용액에 5일부터 15일까지 담근 후의 PXRD 패턴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유기 골격체는 산성조건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구조적 변화가 없이 안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a 내지 도 6e는 순서대로 실시예 8, 7, 6, 4,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로 8, 7, 6, 4, 1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들은 상대습도 95%일 때, 25 ℃ 조건 하에서는 1.9 x 10-4 S/cm에서 1.1 x 10-2 S/cm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지고 80 ℃ 조건하에서는 5.3 x 10-4 S/cm에서 2.2 x 10-2 S/cm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pH 1.8의 황산용액으로 처리한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는 2.2 x 10-2 S/cm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지는데, 이는 종래 공지된 금속-유기 골격체(MOF) 중에서 매우 높은 수치이다. 예컨대, PCMOF21 /2 는 상대습도 90%, 85 ℃조건하에서 2.1 x 10-2 S/cm의 수소이온전도성을 가지고, H2SO4@MIL-101는 상대습도 0.13%, 150 ℃ 조건하에서 1 x 10-2 S/cm의 수소이온 전도성을 가진다.
도 7은 실시예 1, 4, 6, 7, 8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의 활성화에너지를 나타낸 그래프로, 각각의 금속-유기 골격체는 활성화에너지가 0.12부터 0.19 eV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pH 2.4 황산용액으로 처리한 금속-유기 골격체의 경우, 가장 낮은 0.12 eV 활성화 에너지를 나타내었다.
이는 종래 0.14 eV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In-5TIA과 0.16 eV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PCMOF-5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도 8은 실시예 4, 6, 7, 8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와 300 ℃에서 2 시간동안 가열한 금속-유기 골격체의 IR 스펙트럼이다.
이에 따르면, 황산 처리되지 않은 금속-유기 골격체에서 물 분자의 O-H 스트레칭 진동 피크인 3660~3572 cm-1가 관찰되었고, 실시예 4, 6, 7, 8로부터 제조된 금속-유기 골격체에서는 3644~3558 cm-1로 O-H 피크가 적색편이하게 관찰되었으며, 결국, 300 ℃에서 가열된 금속-유기 골격체에서는 3400 cm-1 아래로 이동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H2O---HOH의 수소 결합 시스템에서, O---H 상호작용이 강해짐에 따라 O-H 공유결합이 약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의 기공을 통한 양성자 전달에서 양성화된 물 클러스터는 중요한 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11)

  1. 내부 터널을 포함하는 금속-유기 골격체 및 상기 내부 터널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물 분자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으로서,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는 H+@Ni2(dobdc)(H2O)2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수소이온 전도성이 1.9 X 10-3 내지 2.5 X 10-2 Sㆍcm-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성자 교환 분리막은 활성 에너지(Ea)가 0.12 내지 0.22 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분리막.
  4. 제1항에 따른 양성자 교환 분리막을 적용한 연료전지.
  5. 1) 니켈 또는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및 용매를 혼합하여 반응물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반응물 혼합액에 50~150 W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20 분간 반응을 수행하여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금속-유기 골격체에 황산 용액으로 처리하여 수소이온 전도성을 갖는 금속-유기 골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전구체는 니켈 아세테이트 테트라하이드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10개의 모노 또는 폴리알코올, DMF(디메틸포름아마이드), DEF(디에틸포름아마이드), DMAc(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디옥산, 클로로벤젠, 피리딘, NMP(N-메틸피롤리돈), 설포란, THF(테트라하이드로퓨란), 감마-부티로락톤, 치환족 알콜, 탄소수 2~10 개의 케톤 및 탄소수 4~20개의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전구체와 2,5-다이하이드록시테레프탈산 유기 리간드의 혼합 중량비는 1-10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1-200 psi의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에서 황산 용액의 pH 값은 1.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1~4 일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성자 교환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20140035492A 2014-03-26 2014-03-26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492A KR101619052B1 (ko) 2014-03-26 2014-03-26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492A KR101619052B1 (ko) 2014-03-26 2014-03-26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746A true KR20150111746A (ko) 2015-10-06
KR101619052B1 KR101619052B1 (ko) 2016-05-10

Family

ID=5434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492A KR101619052B1 (ko) 2014-03-26 2014-03-26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0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243A (ko) 2016-10-18 2019-06-11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내연 기관의 윤활 방법
KR20200121125A (ko) * 2019-04-15 2020-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243A (ko) 2016-10-18 2019-06-11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내연 기관의 윤활 방법
KR20200121125A (ko) * 2019-04-15 2020-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 이온 전도성이 향상된 다공성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052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g et al. Proton conduction in 2D aza-fused covalent organic frameworks
Wang et al. A rational design of functional porous frameworks for electrocatalytic CO 2 reduction reaction
Yuan et al. Mechanism of polysulfo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s degradation in vanadium flow battery
CN109638295B (zh) 基于金属有机骨架化合物的氧还原催化剂的制备方法
Wan et al. H2SO4-doped polybenzimidazole membranes for hydrogen production with acid-alkaline amphoteric water electrolysis
CN108841008B (zh) 一种具有宽工作温度范围的固态质子导电材料的制备
Kang et al. Emerging porous solid electrolytes for hydroxide ion transport
CN109593201B (zh) 一种类聚苯并咪唑结构二维共价有机框架的制备方法
CN114361469B (zh) 一种燃料电池催化层及燃料电池
CN113912845B (zh) 一种卟啉基咪唑多孔有机聚合物、其制备方法及在质子传导材料中的应用
Wang et al. Pyrazine‐Functionalized Donor–Acceptor Covalent Organic Framework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H2 Evolution with High Proton Transport
Wang et al. High Proton Conductivity of a Cadmium Metal–Organic Framework Constructed from Pyrazolecarboxylate and Its Hybrid Membrane
EP2863458B1 (en) Method for producing carbon paper for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by addition of conducting polymer and carbon paper for fuel cell gas diffusion layer produced by the method
US10490825B2 (en) Non-platinum group oxygen reduction reaction catalysts
Ju et al. Construction of effective transmission channels by anchoring metal‐organic framework on side‐chain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ketone sulfone) for fuel cells
JP6698148B2 (ja) プロトン供与体とプロトン受容体を有する多面体オリゴマー型シルセスキオキサンを含むフッ素系ナノ複合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9052B1 (ko) 양성자 교환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Feng et al. Strategically improving the intrinsic proton conductivity of UiO-66-NH 2 by post-synthesis modification
Dong et al. Epoxidation of olefins enabled by an electro-organic system
Ampelli et al. An electrochemical reactor for the CO2 reduction in gas phase by using conductive polymer based electrocatalysts
KR102006055B1 (ko) 다공성 유기 고분자 기반 수소 이온 전도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4819B1 (ko) 고온용 양성자 전도성 고분자막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막-전극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N111048813B (zh) 一种铁铬液流电池用有机-无机复合膜及其制备方法
CN102898777B (zh) 一种磺化聚醚醚酮基复合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Xu et al. Deep eutectic solvents based on N, N, N-trimethyl propylsulphonate ammonium hydrosulfate-urea as potential electrolytes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