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471A -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471A
KR20150111471A KR1020140034443A KR20140034443A KR20150111471A KR 20150111471 A KR20150111471 A KR 20150111471A KR 1020140034443 A KR1020140034443 A KR 1020140034443A KR 20140034443 A KR20140034443 A KR 20140034443A KR 20150111471 A KR20150111471 A KR 20150111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ximity
image frame
area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4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2534B1 (en
Inventor
윤창원
황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4003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34B1/en
Publication of KR2015011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4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record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ent image recording device which stores a specific area of an image frame recorded by a camera, adjusts the specific area of the image frame to include an object upon sensing the approach of the object which can be a vehicle, person, item, or stone, and stores the adjusted area of the image fram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record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recording an image with a camera and monitoring the approach of an object; buffering the image frame recorded with the camera; determining an image are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approaching object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being buffered when it is confirmed by an object approach monitoring result that the approach is sensed; and storing the determined image area of the image frame.

Description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 event image [

본 발명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역을 저장하다가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 시 이 물체가 포함되게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역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d record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d recording an image, in which a specific area of an image frame photographed by a camera is sto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cording an event image, in which a specific area of an image frame is changed and stored.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1가구 1자동차 시대라고 할 정도로 자동차의 보급은 상용화되었으며, 주행 중 다른 차량과의 접촉 사고, 주차 시 도난범의 차량 절도, 타인에 의한 흠집과 같은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the spread of automobiles has been commercialized to the extent that it is one household and one automobile era. There are various kinds of vehicles related to automobiles such as accidental contact with other vehicles while driving, theft of theft theft, Accidents are occurring frequently.

이러한 차량 사고 대두에 따라 최근에는 블랙박스(Blackbox)라 불리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 대중화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보관된 카메라 촬영 영상을 통해, 차량 사고 정황을 파악해, 접촉 사고의 시시비비를 가리거나, 차량 절도를 시도한 도난범의 인상 착의를 확보하거나, 차량에 어떠한 손괴가 가해졌는지를 알 수 있다.Recently, a video recording apparatus called a black box is mounted on a vehicle in accordance with such a car accidents. That is, the user can identify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ccident through the camera shot image stored in the image shooting recording device, thereby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ehicle strikes, .

그리고, 소비자의 요구 증대 및 기술 발달로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4 채널(전/후/좌/우)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Full-HD급 등의 고화질 카메라가 탑재되고 있으며, 수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을 위한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가 탑재되고 있다. 아울러, 카메라 촬영 영상을 녹화하면서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스마트폰에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기능 등 각종 편의 기능도 추가되고 있다.In addition, 4-channel (front / rear / left / right) cameras are mounted on the video recording device due to the increase of the demand of the consumers and the technology development, or a high-definition camera such as Full- A large-capacity flash memory is mounted. In addition, a variety of convenient functions such as a display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view the video while recording the camera video, and a function to transmit the camera video to the smartphone are also added.

한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상시 녹화 모드와 이벤트 녹화 모드를 구비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has a normal recording mode and an event recording mode.

상시 녹화 모드는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전원 공급이 시작될 때 부터 전원 공급이 종료될 때 까지 카메라에서 촬영한 모든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에 모두 저장하는 방식이다.The continuous recording mode is a method of storing all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 in the flash memory from the time when the power supply is started to the video recording apparatus until the power supply is terminated.

이벤트 녹화 모드는 모든 영상을 항상 저장하지 않는 대신에, 카메라를 구동시켜 영상을 촬영하며, G 센서와 같은 충격 센서로 차량에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센싱한 경우에 카메라 촬영 영상을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이다.In the event recording mode, instead of storing all the images at all times, the camera is driven to shoot an image, and when a shock sensor such as a G sensor is used to sense a shock to the vehicle, the camera shot image is stored in the flash memory Method.

그러나, 종래기술의 상시 녹화 모드는 많은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것에 따른 저장용량 부족 문제, 특히 무수히 많은 영상 데이터 저장 시 데이터 쓰기 제한 횟수가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 단축 문제가 있다. 이는 소비자가 차량 사고 영상 확보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를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년6개월 마다 새로 구매해 교체해야 되는 비용 지출, 번거로움을 주고 있다.However, the normal recording mode of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of a shortage of storage capacity due to the storage of a large amount of image data, in particular, a shortening of the life of the flash memory having a limited number of data writing operations in storing a large number of image data. This is a costly and cumbersome way for consumers to purchase flash memory for a short period of time, from six months to a year or six months, in order to secure a vehicle accident image.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만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저장함으로써, 상시 녹화 모드에 비해 플래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event recording mode of the related art has an advantage that the flash memory can be efficiently used compared to the normal recording mode by storing the camera photographed image only when an impact occurs.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 역시 저장용량 부족 문제, 플래시 메모리 수명 단축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다.However, the event recording mode of the related art still has a problem of insufficient storage capacity and shortening the life of the flash memory.

즉, Full-HD급 동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적게는 초당 30 프레임에서 많게는 초당 60 프레임의 카메라 촬영 영상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 역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의 전체 신(scene)[즉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용량 부족 문제, 플래시 메모리 수명 단축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영상을 찾아서 재생하는 것 역시 어렵고 불편함을 주고 있다.That is, in order to obtain full-HD video, camera image data of 30 frames per second and 60 frames per second is required. However, since the event recording mode of the related art also stores the entire scene of the image frame captured by the camera (i.e.,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the storage capacity shortage problem and shortening of the life time of the flash memory can not be solved. Of course, it is also difficult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ind and play back the image to be viewed.

또한, 종래기술의 이벤트 녹화 모드는 접촉 사고, 차량 절도,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사고[이하 '차량 사고'라 통칭함]와 무관한 불필요한 영상 영역 까지도 저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주행 중에 마주오는 타차와 접촉 사고가 난 경우에 사용자는 사고 정황 확보에 접촉 영상 영역만이 필요하지, 주변의 산 모습이 담긴 영상 영역은 불필요하다.Also, the event recording mode of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unneeded image areas irrelevant to an accident related to a vehicle such as a contact accident, a vehicle theft, and a vehicle crash are also stored. For example, in case of a contact accident with another vehicle during driving, the user needs only the contact image area in order to secure the accident situation, and the image area surrounding the mountain image is unnecessary.

한편, 최근에 어라운드 뷰(Around View) 구현을 위해 4 채널(전/후/좌/우) 카메라가 장착되는데, 이처럼 다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신호처리해 저장하는데 있어 리소스와 시간이 많이 걸려 이로 인해 중요한 차량 사고 영상이 신호처리 및 저장되지 못해 증거자료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Recently, a 4-channel (front / rear / left / right) camera is installed to implement an Around View. In order to process and record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idence data can not be obtained because important vehicle accident images can not be processed and stored.

한편, 최근의 차량에는 초음파 방식의 근접 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일반적으로 근접 센서는 차량 주차 시 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센싱하며, 차량 시스템에서는 장애물 센싱 시 운전자에게 경고음(예; 삑~)을 줘서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는데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common that an ultrasonic type proximity sensor is mounted on a vehicle. In general, the proximity sensor senses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behind the vehicle when parking the vehicle. In the vehicle system, the proximity sensor is used to give a warning to the driver by giving a warning sound to the driver (e.g.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충격 센서를 이용한 영상 촬영 녹화 기술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근접 센서를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아울러 근접 센서와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연동하는 기술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only a video recording recording technique using an impact sensor is presented, and a proximity sensor is not provided in a video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a technique of linking a proximity sensor and a video recording apparatus is not provided.

따라서, 근접 센서를 연동하는 기술을 기반으로, 저장용량 부족 문제, 플래시 메모리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실시간 신호 처리를 보장하면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프레임 중 필요한 영상 영역만을 저장하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based on the technique of linking the proximity sensors, there is a desperate need to develop a technique of storing only the necessary image area among the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which can solve the storage shortage problem and shorten the life time of the flash memory,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역을 저장하다가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 시 이 물체가 포함되게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역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 specific area of an image frame captured by a camera, And a method of recording an event imag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은,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고, 물체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로 근접 센싱이 있으면 상기 버퍼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해당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영상 프레임의 영상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ecording and recording an image, the method comprising: capturing an image with a camera and monitoring an object proximity; Buffering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Determining an image region in which the near object is included among all the regions of the buffered image frame if proximity sensing i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object proximity monitoring; And storing an image region of the determined image fram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 특정 방향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프레임이 버퍼링되는 버퍼링부;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물체 근접 센싱 여부에 따라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상 영역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cording an image, comprising: at least one proximity sensor for monitoring proximity of an object; At least one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rection; A buffer for buffering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storing an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in accordance with whether the proximity sensor performs object proximity sensing on the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and storing the determined image region of the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저장용량 부족 문제, 데이터 쓰기로 인한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카메라 촬영 영상의 실시간 신호 처리를 보장할 수 있으며, 차량 사고 증거자료로서 차량 사고 직전 영상, 차량 사고 당시 영상 등 필요한 영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storage capacity shortage problem of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and shorten the life time due to the writing of data, can guarantee the real time signal processing of the camera image,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necessary images such as images immediately before a vehicle accident and images at the time of a vehicle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와 근접 센서의 차량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에 따른 근접 센싱과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영상 프레임의 저장 영상 영역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n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vehicle mounting position of a camera and a proximity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image sensing target image frame and proximity sensing according to an ev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to 4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changing a storage image area of a video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 chart of an embodiment of an event video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와 근접 센서의 차량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vehicle mounting position of a camera and a proximity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는, 카메라(10), 근접 센서(20), 버퍼링부(30), 비휘발성 저장매체(40), 제어부(50) 등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디스플레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10, a proximity sensor 20, a buffering unit 30,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a control unit 50, and the like do.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60.

카메라(10)는 차량의 외부 또는/및 차량의 내부를 촬영해 컬러, 흑백, 적외선 등의 영상을 획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 또는 다수 개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1 채널의 전방 카메라만이 장착되거나, 차량 전방 및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2 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차량 전방, 후방, 좌측, 우측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4 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되거나, 차량 주변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4 채널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The camera 10 photographs the outside of the vehicle and / or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acquire images such as color, monochrome, and infrared ray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camera or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mounted. For example, only one channel front camera for acquir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may be mounted, a two-channel camera for acquiring images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may be mounted, or a video image of front, rear, left, Or a four-channel camera for acquiring an ambient view image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장착 예시와 같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 앞쪽 방향을 향한 화각을 갖는 전방 카메라(11),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 뒷쪽 방향을 향한 화각을 갖는 후방 카메라(12), 차량의 좌측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 왼쪽 방향을 향한 화각을 갖는 좌측 카메라(13), 차량의 우측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 오른쪽 방향을 향한 화각을 갖는 우측 카메라(14)가 각각 차량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 카메라(11), 후방 카메라(12), 좌측 카메라(13) 및 우측 카메라(14)의 화각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2, a front camera 11 having an angle of view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for photograp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a rear camera 11 having an angle of view toward the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for photographing the rear of the vehicle A left camera 13 having an angle of view toward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for photographing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nd a right side camera 14 having an angle of view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for photographing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re mounted on the vehicle have. Here, the angles of view of the front camera 11, the rear camera 12, the left camera 13, and the right camera 14 may overlap each other.

이하, 도 2의 4 채널 카메라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4 채널 카메라가 차량이 아닌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4 채널 카메라는 전후좌우 방향을 촬영하게 광학계 등이 배치되어 구성되면 족하다.Hereinafter, the four-channel camera of FIG. 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the 4-channel camera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ev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not the vehicle. In such a case, the 4-channel camera suffices if the optical system is arranged so as to photograph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근접 센서(20)는 물체(예; 차량, 사람, 물건, 돌멩이 등)의 근접 센싱, 즉 차량에 다가오는 또는 다가가는 물체와의 근접 거리 변화 또는/및 근접 여부를 센싱하거나,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값 또는/및 충격 여부, 차량의 흔들림 등을 센싱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The proximity sensor 20 may be used to sense proximity of an object (e.g., a vehicle, a person, an object, a stone, etc.), i.e. a proximity change to an approaching or approaching object of the vehicle, and / or sensing proximity, A value and / or a shock, and a shak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 차량 흔들림도 근접의 일부로 보는데, 이는 충돌, 흔들림도 차량으로의 근접이 있어야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근접 센서(20)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ollision and a vehicle collision are also seen as a part of the proximity because collision and shaking must be close to the vehicle. The proximity sensor 2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sensor using a system of ultrasonic wave, radio wave, infrared ray, heat, light, magnetic, three-axis motion, six-axis motion, acceleration, gyro, inertia, geomagnetism, Can also be implemented.

도 2에 도시된 근접 센서 장착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근접 센서(20)는 차량의 범퍼, 그릴, 휀다, 사이드 미러, 도어, 트렁크, 룸 미러 앞측의 전방 윈도우, 브레이크 실내등 부근의 후방 윈도우 등 임의의 차량 위치에 다수 개로 장착될 수 있다.2, the proximity sensor 20 includes a bumper, a grille, a fender, a side mirror, a door, a trunk, a front window at the front of the room mirror, a rear window at the vicinity of the brake lamp, etc. And can be mount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at any vehicle position.

이하, 도 2의 근접 센서 장착 위치와 같이 차량 앞쪽 방향의 근접 센싱을 하는 전방 근접 센서(21), 차량 뒷쪽 방향의 근접 센싱을 하는 후방 근접 센서(22), 차량 왼쪽 방향의 근접 센싱을 하는 좌측 근접 센서(23), 차량 오른쪽 방향의 근접 센싱을 하는 우측 근접 센서(24)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근접 센서가 차량이 아닌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근접 센서는 전후좌우 방향의 근접 센싱을 할 수 있게 배치되어 구성되면 족하다.Hereinafter, a front proximity sensor 21 for performing proximity sensing in the vehicle front direction as in the proximity sensor mounting position in FIG. 2, a rear proximity sensor 22 for proximity sensing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proximity sensor 23 and the right proximity sensor 24 for sensing the proximity of the vehicle in the right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ev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not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proximity sensor may be arranged and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perform proximity sensing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기 장착된 카메라의 모두 또는 일부, 차량에 기 장착된 근접 센서의 모두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최근의 차량은 주차 안내를 위한 후방 카메라와 후방 근접 센서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출시되거나, 일부 고급사양 차량에 운전 보조(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를 위한 근접 센서가 장착되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카메라와 근접 센서를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연동해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r some of the cameras installed in the vehicle, or all or some of the proximity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can be used. That is, recent vehicles are basically equipped with a rear camera and a rear proximity sensor for parking guidance, or some advanced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proximity sensor for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of the vehicle and the proximity sensor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즉,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차량 통신부를 구비해, 차량 시스템의 카메라와 근접 센서와 데이터 송수신을 구현한다. 이러한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바람직하게는 제어부(50)]는 차량 통신부를 통해, 카메라 제어,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 수신을 하고, 근접 센서 제어, 근접 센서로부터 근접 센싱 데이터(물체 근접 거리 변화값 또는/및 물체 근접 여부 등) 수신을 한다. 이러한 다른 예시적인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를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라 정의하기로 한다.That is, the event video recording apparatus includes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to implemen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camera of the vehicle system and the proximity sensor. In this case, the event image capture recording apparatus (preferably,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captured image from the camera control and the camera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and performs proximity sensor control, proximity sensing data And / or proximity of objects). Such another exemplary event video recor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 vehicle-linked event video recording apparatus ".

상기 차량 통신부는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와 차량 시스템 간의 신호, 데이터, 정보를 송수신하는 연동모듈로서, 예시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 규격에 따른 트랜시버, 드라이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로 데이터(raw data) 또는 CAN 메시지 형식 등으로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어부(50)가 차량 시스템의 데이터를 해석해 처리한다. 다른 예로, 차량 시스템이 센싱 데이터 등을 차량 연동형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가공된 데이터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is an interlock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data, and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interlocking type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the vehicle system, and may be implemented as a transceiver, driver, or the like according to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standard. Here, when the vehicle system provides sensing data or the like to the vehicle interlocked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in the form of raw data or CAN message format, the control unit 50 analyzes and processes the data of the vehicle system. As another example, the vehicle system may provide sensing data and the like in a processed data format so that the vehicle-linked event imaging recording apparatus recognizes the data.

버퍼링부(30)는 카메라(11, 12, 13, 14)에서 촬영한 영상이 임시 저장되는 버퍼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휘발성 저장매체로서 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카메라(11, 12, 13, 14) 각각의 촬영 영상 임시 저장을 위해 다수의 버퍼가 구비되거나 하나의 버퍼로 모든 촬영 영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The buffering unit 30 has a buffer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mages photographed by the cameras 11, 12, 13, and 14, and may be implemented as a RAM or the like as a volatile storage medium. In addition, a plurality of buffers may be provided for temporary storage of the captured images of the cameras 11, 12, 13, and 14, or all the captured images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one buffer.

비휘발성 저장매체(40)는 제어부(50)의 데이터 쓰기(write)로 카메라(10)에서 획득한 영상이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로서,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플래시 메모리, EEPROM,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is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s acquired by the camera 10 by data writing of the control unit 50.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may be a flash memory such as an SD card or a USB memory, Lt; / RTI >

제어부(50)는 MCU, 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 구동 드라이버 제어, 근접 센싱 판별, 영상 프레임의 저장 대상 영상 영역 변경 등 신호 처리, 영상 데이터 저장 등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로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50)의 주요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50 may be implemented by an MCU or a CPU. The control unit 50 may control the overall control logic of an ev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driving driver control, a proximity sensing discrimination, a signal processing, . The main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50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디스플레이부(60)는 카메라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영상이 재생되어 디스플레이되거나, 메뉴(모드) 설정 등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60)는 터치 스크린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터치 기능이 없는 액정부로 디스플레이부(60)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메뉴(모드) 설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60)의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60 may display an image shot by the camera, reproduce and display the stored image, or function as an interface such as a menu (mode) setting. The display unit 6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or the like. Of course, the display unit 60 may be implemented with a liquid crystal unit having no touch function, and in this case, a menu (mode) setting button may be provided in the event video recording apparatus. 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60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3은 본 발명의 이벤트에 따른 근접 센싱과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영상 프레임의 저장 영상 영역을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일실시예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roximity sensing according to an event and an image frame to be subjected to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C illustrate a process of changing a storage image region of an imag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은 차량들(자차와 타차) 간에 접촉 사고가 나는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주행 중인 자차로 타차가 중앙선에 인접하게 다가오다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이 타차와 자차가 접촉 사고가 발생되는 시나리오이다.FIG. 3 shows a situation in which a contact accident occurs between the vehicles (the vehicle and the other vehicle). This is a scenarios in which a car comes into close proximity to the center line and then touches the center line to cause a contact accident between the other car and the car.

즉, 도 3과 같이 시간 t1에서 자차가 1차선을 주행하고 있는 모습이며, 시간 t2에서 타차가 중앙선에 인접하게 다가오는 것으로 자차와 근접되는 모습이며, 시간 t3에서 타차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자차와 접촉되는 모습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is traveling in the first lane at time t1, and the other vehicle approaches the vehicle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line at time t2. At time t3, It is.

시간 t1에서 타차의 근접이 없으므로 전방 근접 센서(21), 후방 근접 센서(22), 좌측 근접 센서(23) 및 우측 근접 센서(24)는 근접 센싱이 없다.The proximity sensor 21, the rear proximity sensor 22, the left proximity sensor 23, and the right proximity sensor 24 do not have proximity sensing because there is no proximity of the other vehicle at time t1.

시간 t2에서 타차의 근접으로 전방 근접 센서(21)는 근접 센싱이 있다.At a time t2, the proximity sensor 21 is proximate to the proximity of the other vehicle.

시간 t3에서 자차의 전방과 좌측 부분에 타차의 접촉으로 전방 근접 센서(21)와 좌측 근접 센서(23)는 근접 센싱이 있다.At time t3, the forward proximity sensor 21 and the left proximity sensor 23 are in proximity sensing due to the contact of the other vehicle on the front and left portions of the vehicle.

버퍼링부(30)에는 전방 카메라(11), 후방 카메라(12), 좌측 카메라(13) 및 우측 카메라(14)에서 촬영한 하나의 신(scene)으로서 영상 프레임, 즉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이 임시 저장되고 있다.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that is, the image frame, as one scen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11, the rear camera 12, the left camera 13 and the right camera 14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ing unit 30. [ Are being stored.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11, 12, 13, 14)에서 촬영되어 버퍼링부(30)에 임시 저장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해, 근접 센서(21, 22, 23, 24)에 의한 근접 센싱 여부에 따라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을 선정(결정)하고, 이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의 저장 영상 영역을 변경하여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response to whether the proximity sensors 21, 22, 23, and 24 are used for proximity sensing,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on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s 11, 12, 13 and 14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ing unit 30 (Determines) a target image frame, changes the stored image region of the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and stores it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

즉, 도 3의 t1 시간의 전후좌우 카메라(11, 12, 13, 14)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전후좌우 근접 센서(21, 22, 23, 24)의 근접 센싱이 모두 없는 평상 시 영상이므로, 도 4a와 같이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도면부호 410]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 물론, 도 4a의 영상 프레임 또는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하지 않고서 폐기할 수도 있다.That is, since the image frames of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cameras 11, 12, 13, and 14 of the time t1 in FIG. 3 are normal images without proximity sensing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roximity sensors 21, 22, 23, and 24, 4a, a specific area (reference numeral 410) set in advanc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Of course, the image frame of FIG. 4A or a predetermined area set in advance may be discarded without being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FIG.

그리고, 도 3의 t2 시간의 전후좌우 카메라(11, 12, 13, 14)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전후좌우 근접 센서(21, 22, 23, 24) 중 전방 근접 센서(21)의 근접 센싱이 있는 차량 사고 직전 영상이므로, 도 4b와 같이 전방 카메라(11)의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타차가 포함되게 영상 영역을 변경하여 이 변경한 영상 영역[도면부호 420]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 이때, 근접 센싱이 없는 후방 근접 센서(22), 좌측 근접 센서(23) 및 우측 근접 센서(24)에 대응하는 후방 카메라(12), 좌측 카메라(13) 및 우측 카메라(14)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도 4a와 마찬가지로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도면부호 410]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The image frames of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cameras 11, 12, 13 and 14 of the time t2 in FIG. 3 are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ing of the front proximity sensor 21 among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roximity sensors 21, 22, As shown in FIG. 4B, the image area of the entire image frame of the front camera 11 is changed to include the difference, and the changed image area 420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 At this time, in the image frames of the rear camera 12, the left camera 13 and the right camera 14 corresponding to the rear proximity sensor 22, the left proximity sensor 23 and the right proximity sensor 24 without proximity sensing 4A, a specific area (reference numeral 410) set in advanc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그리고, 도 3의 t3 시간의 전후좌우 카메라(11, 12, 13, 14)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전후좌우 근접 센서(21, 22, 23, 24) 중 전방 근접 센서(21)와 좌측 근접 센서(23)의 근접 센싱이 있는 차량 사고 당시 영상이므로, 도 4c와 같이 전방 카메라(11)의 영상 프레임과 좌측 카메라(13)의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타차가 포함되게 영상 영역을 변경하여 이 변경한 영상 영역[도면부호 430]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 이때, 근접 센싱이 없는 후방 근접 센서(22)와 우측 근접 센서(24)에 대응하는 후방 카메라(12)와 우측 카메라(14)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도 4a와 같이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도면부호 410]을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The image frames of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cameras 11, 12, 13 and 14 of the time t3 in FIG. 3 are transmitted to the front and rear proximity sensors 21, 22, 23, 23, the image area is changed to inclu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frame of the front camera 11 and the image frame of the left camera 13 as shown in FIG. 4C, And stores the image area (reference numeral 430)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4A, for the image frames of the rear camera 12 and the right camera 14 corresponding to the rear proximity sensor 22 and the right proximity sensor 24 without proximity sensing, (410)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한편, 위와 같이 근접 센싱을 한 근접 센서에 대응하는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영상 영역을 변경하여 저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시로 어느 하나의 근접 센서에서 근접 센싱을 한 경우에 모든 카메라의 영상 프레임의 영상 영역을 모두 변경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근접 센서와 하나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 수준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image area of the image frame photographed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sensor that has been subjected to the proximity sensing is changed and stored. However, in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change and store all the image areas of the image frames of all the cameras.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ev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one proximity sensor and one camera.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영상 프레임과, 이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과, 이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타차가 포함된 변경 영상 영역은, 디스플레이부(60)에 화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 등으로 영상 영역 셋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60)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4A to 4C, a predetermined area preset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and a modified image area including the difference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And the user can set the image area by a touch or the like. The display unit 60 is a kind of user interface.

즉, 현재 촬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이 무엇이고,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이 무엇이고, 타차가 포함된 변경 영상 영역이 무엇인지를 디스플레이부(60)를 통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고,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되는 영상 영역이 무엇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화면 표시되는 영상 영역에 대해 사용자가 터치로 드래그하여 영상 영역을 넓히거나 축소시키거나 영상 프레임 내에서 위치 변경할 수 있는 등 셋팅을 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unit 60 enables the user to see what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currently being photographed, the specific area set in advance, and the changed image area including the difference is,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what the image area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is. The user can drag the image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to enlarge or reduce the image area or change the position within the image frame.

그럼, 도 5와 상술한 도 1 내지 도 4c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event image recording an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S. 1 to 4C.

제어부(50)는 카메라(10)를 구동시켜 영상이 계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 근접 센서(20)를 구동시켜 물체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한다(501). 여기서, 차량 주행 상태에서는 차량 배터리로부터 시동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배터리 방전 문제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을 계속적으로 촬영해도 무방하다. 근접 센싱 동작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거나, 특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주차 상태에서는 차량 배터리 방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원 소모 최소화를 위해 카메라 촬영, 근접 센싱 동작이 특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 drives the camera 10 to continuously photograph the image, and drives the proximity sensor 20 to monitor the proximity of the object (501). Here, since the start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vehicle battery in the vehicle running state, the problem of battery discharge does not occur, so that the image can be continuously photographed. The proximity sens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or may be performed at a specific time period. On the other hand, in the vehicle parking state, there is a problem of battery discharge of the vehicle, so that camera shooting and proximity sens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a specific time period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그리고, 제어부(50)는 카메라(10)에서 촬영한 하나의 신(scene)으로서 영상 프레임, 즉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버퍼링부(30)에 임시 저장한다(502).The control unit 50 temporarily stores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i.e., the image frame, as a scene captured by the camera 10, in the buffering unit 30 (502).

그런후, 근접 센서(20)에 의한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503), 제어부(50)는 근접 센싱이 없으면 버퍼링부(30)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도면부호 410]을 버퍼링부(30)로부터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504). 다른 예시로, 도 4a의 영상 프레임 또는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버퍼링부(30)로부터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하지 않고서 폐기할 수도 있다.Then, based on the object proximity monitoring result by the proximity sensor 20 (503), if there is no proximity sensing, the control unit 50 sets in advance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ing unit 30 A specific area (410)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by writing data from the buffering unit (30) (504).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frame of FIG. 4A or a predetermined area set in advance may be discarded without being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by writing data from the buffering unit 30. FIG.

한편, 근접 센서(20)에 의한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503), 제어부(50)는 근접 센싱이 있으면 버퍼링부(30)에 임시 저장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근접 물체가 포함되게 영상 영역을 변경하여 이 변경한 영상 영역[도면부호 420, 430]을 버퍼링부(30)로부터 데이터 쓰기(write)로 비휘발성 저장매체(40)에 저장한다(505).On the other hand, if the proximity sensor 20 detects proximity of the object 503, the controller 50 may detect proximity of the entire region of the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ing unit 30 And the modified image areas (420 and 430) are stored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40) by writing data from the buffering unit (30) (505).

이때, 근접 물체가 포함되게 영상 영역을 변경하는 과정은 공지의 오브젝트 인식을 통해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물체가 위치한 영역을 파악하고서,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이 물체의 위치 영역까지 넓혀서 저장 대상 영상 영역을 결정한다. 이때,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물체 위치 영역까지 넓히는 방식이 아닌, 물체가 위치한 영역을 중심으로 주변 영역으로 넓혀서 저장 대상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물론, 물체 위치 영역까지 넓히는 방식이 아닌 물체와 이 물체 위치 주변 영역만을 저장하는 등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의 크기 보다도 더 작게 저장 대상 영상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image area to include the proximity object, the area where the object is loca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is recognized through the known object recognition, the specific area set in advance is expanded to the location area of the object, And determines an image area. At this time, rather than widening the specific area set in advance to the object position area, the object image area may be determined by widening the area to which the object is located to the peripheral area. Of course, the storage target image area may be determined to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pecific area set in advance, such as storing only the object and the area surrounding the object location, rather than expanding the area to the object location area.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확장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various extend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싱 조건으로 물체가 차량 또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에 다가오는 거리 변화로 설정할 수 있는데, 근접 센싱 거리를 더 멀리 설정하면 이벤트 발생 전의 오래된 영상 데이터들도 확보할 수 있다[이벤트 발생 영상 시점을 앞으로 당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n object as a distance change approaching to a vehicle or an event image shooting recording apparatus under a proximity sensing condition. If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is set farther, old image data before an event can be secured Pull forwar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속도 변화와 연계해 근접 센싱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행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타 차량과의 접촉 사고가 순식간에 발생되므로 근접 센싱 거리를 더 멀리 조정해 충분한 이벤트 발생 전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주행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근접 센싱 거리를 더 가까이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ariably adjust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in conjunction with the change of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the traveling speed is high, the contact accident with the other vehicle occurs instantaneously.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image data before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nd to adjust the proximity sensing distance more closely when the traveling speed is slow.

한편,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를 초음파 방식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카메라 또는 별도로 차량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물체와의 거리를 계산해 근접 센싱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로, 어두운 환경에서는 적외선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ximity sensor is implemented by an ultrasonic method or the lik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object is measured using 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As another example, an infrared type proximity sensor may be used in a dark environment.

한편, 초음파 방식의 근접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 주행 중 주변 소음, 다른 차량의 초음파 센서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근접 센싱 동작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의 초음파에 자기 식별코드를 삽입해 송신하거나, 별도의 적외선 센서를 더 장착해 초음파 센서의 센싱 결과와 적외선 센서의 센싱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의 데이터만을 올바른 근접 센싱 데이터로 사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n ultrasonic proximity sensor, an error in proximity sensing operation may occur due to ambient noise during driving and signal interference of an ultrasonic sensor of another vehicl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ic identification code is inserted in the ultrasonic wave of the proximity sensor and transmitted, or a separate infrared sensor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only the data when the sensing result of the ultrasonic sensor matches the sensing result of the infrared sensor is used as the correct proximity sensing data It is possible.

한편, 근접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에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의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서는 근접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전술한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 일반적인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로 전환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근접 센서의 고장을 판별하면 사용자에게 근접 센서 교체/수리 등을 받을 것을 알리고, 근접 센서가 정상 동작되기 전까지는 상시 영상 촬영 녹화 모드가 수행됨을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ximity sensor fails, the operation of the event image recording apparatus may not be performed properly. In this case, if the failure of the proximity sensor is determ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witch to the normal continuous image recording mode without storing the event image recording process and stor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Of course, when the failure of the proximity sensor is determined, the user is informed of proximity sensor replacement / repair, and the user can be informed that the normal image capture recording mode is performed until the proximity sensor is operated normally.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이 아닌 특정 영역을 저장하기 때문에 비휘발성 저장매체의 저장용량 부족 문제, 데이터 쓰기로 인한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촬영 영상의 실시간 신호 처리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평상 시 영상, 차량 사고 직전 영상, 차량 사고 당시 영상 등 차량 사고 증거자료로서 필요한 영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specific area other tha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storage capacity shortage problem of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and the life shortening due to the data writing. Also, real-time signal processing of the camera image can be guaranteed. In addition, sufficient images can be secured as evidence of vehicle accidents, such as normal images, images immediately before a vehicle accident, and images at the time of a car accident.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 구동 상태에 무관하게, 즉 차량 주행 상태, 차량 정차 상태, 차량 주차 상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화 모드에 무관하게, 즉 종래의 상시 녹화 모드, 이벤트 녹화 모드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촉 사고, 차량 절도, 차량 손괴 등 차량과 관련된 모든 사고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ehicle driving state, the vehicle stop state, and the vehicle parking state regardless of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the conventional continuous recording mode and the event recording mode regardless of the recording mod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accident involving a vehicle, such as a contact accident, a car theft, a vehicle crash, and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11, 12, 13, 14: 카메라 20, 21, 22, 23, 24: 근접 센서
30: 버퍼링부 40: 비휘발성 저장매체
50: 제어부 60: 디스플레이부
10, 11, 12, 13, 14: camera 20, 21, 22, 23, 24: proximity sensor
30: buffering unit 40: nonvolatile storage medium
50: control unit 60:

Claims (13)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고, 물체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을 버퍼링하는 단계;
상기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로 근접 센싱이 있으면 상기 버퍼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해당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영상 프레임의 영상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A method for recording an image and recording the image,
Capturing an image with a camera and monitoring an object proximity;
Buffering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Determining an image region in which the near object is included among all the regions of the buffered image frame if proximity sensing i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object proximity monitoring; And
And storing an image region of the determined imag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근접 물체가 위치한 영역을 파악하고,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이 근접 물체의 위치 영역으로 변경하여 저장 대상 영상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mage region including the proximity object may include determining an area where the near object is loca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and changing a preset specific area to a position area of the proximity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cord the event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에서 근접 물체가 위치한 영역을 파악하고, 상기 근접 물체가 위치한 영역을 중심으로 주변 영역을 저장 대상 영상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an image area including the proximity object may include determining an area in which the near object is loca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and determining a surrounding area as a storage target image area around the area in which the near object is located Features video recording event record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로 근접 센싱이 없으면 상기 버퍼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ring a preset specific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buffered image frame if proximity sensing is not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object proximity monito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근접 여부 모니터링 결과로 근접 센싱이 없으면 상기 버퍼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을 폐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carding the buffered image frame if there is no proximity sensing as a result of the object proximity monitoring.
영상을 촬영해 녹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물체의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
특정 방향을 대상으로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프레임이 버퍼링되는 버퍼링부;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 및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에 대해,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물체 근접 센싱 여부에 따라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상 영역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A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d recording an image, th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proximity sensor for monitoring proximity of an object;
At least one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with respect to a specific direction;
A buffer for buffering image frames photographed by the camera;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storing an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according to whether the proximity sensor senses an object proximity to the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and storing a specific image region of the determined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Included event video record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물체 근접 센싱이 있는 경우에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해당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the image are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near object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in the nonvolatile storage medium when there is object proximity sensing by the proximity sensor,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한 물체 근접 센싱이 없는 경우에 상기 버퍼링부의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a preset specific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of the buffering unit when the object proximity sensing by the proximity sensor is not performed.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체 근접 센싱이 있는 제1 근접 센서에 대응하는 제1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해당 근접 물체가 포함되는 영상 영역을 저장하고, 물체 근접 센싱이 없는 제2 근접 센서에 대응하는 제2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 사전에 설정한 특정 영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control unit stores an image area including the corresponding near object in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photographed by the first camera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ximity sensor having the object proximity sensing, And stores the predetermined area set in advance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frame photographed by the corresponding second camer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고 있는 영상 프레임이 화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영상 프레임의 저장 대상 특정 영상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frame photographed by the camera,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specific image area to be stored in the image frame on the display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대상 영상 프레임의 특정 영상 영역은, 사용자측에 의해 그 크기 또는 그 영상 프레임 내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pecific image region of the signal processing target image frame is varied in size or position within the image frame by the us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는, 초음파, 전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3축 모션, 6축 모션, 가속도, 자이로, 관성, 지자기, 압력, 진동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물체의 근접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proximity of an object in at least one of an ultrasonic wave, a radio wave, an infrared ray, a heat, a light, a magnetic, a three-axis motion, a six-axis motion, an acceleration, a gyro, an inertia, a geomagnetism, Wherein the monitoring unit monitors the recording of the event ima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 또는/및 상기 카메라는 차량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차량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차량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 시스템과 연동하여 근접 센싱 여부 또는/및 카메라 촬영 영상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 영상 촬영 녹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ximity sensor and / or the camera are mounted on a vehicle system,
Further comprising: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system via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to detect proximity sensing and / or receive a camera image.
KR1020140034443A 2014-03-25 2014-03-25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1582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443A KR101582534B1 (en) 2014-03-25 2014-03-25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443A KR101582534B1 (en) 2014-03-25 2014-03-25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471A true KR20150111471A (en) 2015-10-06
KR101582534B1 KR101582534B1 (en) 2016-01-06

Family

ID=5434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443A KR101582534B1 (en) 2014-03-25 2014-03-25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51283A1 (en) * 2018-08-08 2020-0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im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vehicle im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454A (en) * 2007-02-27 2008-09-01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a car and wireless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notifying of car security having this image recording apparatus
KR20110087736A (en) * 2010-01-27 2011-08-03 고만석 Equipment method for recording close up picture of a body in motion in car black box system thereof
KR20140006305A (en) * 2012-07-03 201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ead zon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454A (en) * 2007-02-27 2008-09-01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Image recording apparatus for a car and wireless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notifying of car security having this image recording apparatus
KR20110087736A (en) * 2010-01-27 2011-08-03 고만석 Equipment method for recording close up picture of a body in motion in car black box system thereof
KR20140006305A (en) * 2012-07-03 2014-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ead zone of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51283A1 (en) * 2018-08-08 2020-02-1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im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vehicle image
US10740928B2 (en) * 2018-08-08 2020-08-11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roviding vehicle imag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vehicl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534B1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216B2 (en) Imag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936558B1 (en) Perimeter monitor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for vehicle
EP2804152A1 (en) Event detection and recording methods and systems
US11172170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KR102211496B1 (en) Event detection system of blackbox for vehicle and method for event detection
JP2010067262A (en) Intelligent driving assistant system
JP6669240B1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JP2010268343A (en) Photographing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KR101580567B1 (en) Apparatus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TW201344648A (en) Driving monitoring system and driving monitoring method
KR10153381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1582534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JP7259661B2 (en) VEHICLE RECORDING CONTROL DEVICE, VEHICLE RECORDING DEVICE, VEHICL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50098039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WO2023284748A1 (en) Auxiliary driving system and vehicle
KR102010407B1 (en) Smart Rear-view System
KR201300536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round view of vehicle
KR20140000486A (en) Device of video recording for vehicle using obstacle detect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155728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event based image data
KR1016362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aking and recording image data
TWI728644B (en) Driving warning device
JP4799236B2 (en) In-vehicle display system
JP7084253B2 (en) In-vehicle camera setting method and in-vehicle system
KR101633667B1 (en) Black Box for Large-sized Vehicle
KR20100054295A (en) System for preventing clash accident of cars using photographing image of blind s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