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52A - 양념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양념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52A
KR20150111252A KR1020140057660A KR20140057660A KR20150111252A KR 20150111252 A KR20150111252 A KR 20150111252A KR 1020140057660 A KR1020140057660 A KR 1020140057660A KR 20140057660 A KR20140057660 A KR 20140057660A KR 20150111252 A KR20150111252 A KR 2015011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ce
meat
compressed gas
spray gun
marin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만
Original Assignee
강대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만 filed Critical 강대만
Publication of KR2015011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를 양념 조리할 때에 육류의 내부에까지 양념이 골고루 배어들도록 육류 내부에 양념을 강제로 주입킬 수 있는 양념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를 외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감싸는 가이드부(112)로 이루어진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의 바닥부 일측에 상기 바닥부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며 바닥에는 세척공(121)과 양념배출공(122)이 형성된 양념통(120)과, 상기 양념배출공에 연결되어 양념통에 담겨진 양념을 전방으로 분사시키는 스프레이건(130)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레이 건의 단부가 육류에 찔러 넣기 용이하도록 첨예하게 형성된 양념 주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념 주입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sauce into meat}
본 발명은 육류를 양념 조리할 때에 육류의 내부에까지 양념이 골고루 배어들도록 육류 내부에 양념을 강제로 주입킬 수 있는 양념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쇠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를 양념 조리할 때에는 양념이 육류의 내부까지 골고루 배어들도록 양념액에 일정시간 담가 숙성을 시키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고 육류의 겉에만 양념을 묻힌 채로 조리를 하게 되면 육류의 겉에만 양념이 육류의 속까지 충분히 배지 않았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엔 조리가 잘 된 듯 보이지만 전체적인 음식의 맛은 크게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숙성과정을 거치게 되면 장시간의 조리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대량으로 양념 조리된 육류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는 업소의 경우에는 제때 양념 조리된 육류를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영업에 큰 지장을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더욱이, 매출이 일정하지 않은 업소의 경우에는 숙성과정을 거쳐 미리 양념 조리된 육류를 준비하였다가 자칫 대량의 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숙성과정을 거쳐 미리 육류를 양념 조리하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의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 육류의 내부까지 골고루 양념이 배어들 수 있도록 하는 양념 주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념 주입장치는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외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감싸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바닥부 일측에 상기 바닥부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며 바닥에는 세척공과 양념배출공이 형성된 양념통과, 상기 양념배출공에 연결되어 양념통에 담겨진 양념을 전방으로 분사시키는 스프레이건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레이 건의 단부가 육류에 찔러 넣기 용이하도록 첨예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 건은 상기 양념배출공과 연결된 양념 유입구와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양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과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념통에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프레이 건은 상기 양념배출공과 연결되는 양념 유입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양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을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조립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첨예한 단부를 가진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육류의 내부에 스프레이 건을 찔러넣은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을 통해 육류의 내부로 양념을 강하게 토출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장시간의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육류 내부 전체에 골고루 양념이 배어들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 주입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념 주입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념 주입장치는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에 설치된 양념통(120)과 상기 양념통(120)과 연결된 스프레이건(13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작업대(110)는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편한 바닥부(111)와 함께 상기 바닥부(111)를 외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감싸는 가이드부(112)와, 작업자가 서서 작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111)를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지지해 주는 다리(113)로 구성된다.
이중, 상기 가이드부(112)는 바닥부(111)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양념이나 육류가 바닥부(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1)의 일측에는 작업대(110)의 물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물빠짐공(111a)이 형성된다. 상기 물빠짐공(111a)에는 물청소한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용 호스(14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작업대(110)의 바닥부(111) 중앙에는 양념통 결합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양념통(120)은 양념이 담기는 본체(120a)와 양념주입 작업시 상기 본체(120a)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20a)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12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20a)는 양념통 결합공(114)을 통해 작업대(110)의 바닥부(111)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본체(120a)의 하부는 바닥부(111) 하부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20a)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닥부(111)에 끼움결합되거나 본체(120a)의 외주면과 양념통 결합공(114)에 각각 대응되는 나사산을 가공하여 나선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110)의 바닥부(11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기 양념통(120)의 본체(120a) 하부에는 세척공(121)과 양념배출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양념배출공(122)은 필요에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공(121)에는 양념통(120)의 본체(120a) 내부를 물청소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용 호스(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양념배출공(122)에는 양념배출 호스(150)가 연결된다. 상기 배수용 호스(140)와 양념배출 호스(150)에는 각각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작업내용에 따른 선별적인 개폐가 가능하다. 즉, 양념통(120)의 본체(120a) 내부를 청소를 할 경우에는 배수용 호스(140)의 개폐밸브를 개방함과 동시에 양념배출 호스(150)측 개폐밸브를 잠그고, 육류에 양념을 주입할 경우에는 양념배출 호스(150)의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동시에 배수용 호스(140)의 개폐밸브를 잠그는 것이다.
상기 양념배출 호스(150)에는 스프레이 건(130)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레이 건(130)은 양념통(120)에 담겨진 양념을 전방으로 분사시킨다.
상기 스프레이 건(130)은 상기 양념배출 호스(150)와 연결된 양념 유입구(131a)와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131b)가 구비된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단부에 체결되어 양념 유입구(131a)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과 압축가스 유입구(131b)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132a)가 형성된 노즐조립체(132)로 구성된다. 상기 노즐조립체(132)는 스프레이 건(130)의 단부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조립체(132)는 육류에 찔러 넣기 용이하도록 바늘과 같은 형상으로 첨예하게 형성된다. 상기 양념토출구(132a)는 첨예한 노즐조립체(132)의 단부에 단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방향에 대하여 골고루 양념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조립체(132)의 단부로부터 인접한 지점에 노즐조립체의 둘레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131b)에는 압축가스탱크(160)가 연결되는데, 상기 압축가스탱크(160)에 저장된 가스로는 인체에 무해한 질소가스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양념주입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작업대(110)의 바닥에 양념 조리할 육류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130)의 단부(노즐조립체(132)의 단부)를 육류 내부에 찔러 넣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프레이 건(130)을 작동시킨다.
이렇게 하면, 스프레이 건(130) 내부에서의 압축된 질소가스의 빠른 흐름에 의해서 양념이 부압으로 빨아 올려져 결국 스프레이 건(130)의 양념토출구(132a)를 통해 양념이 토출되게 되는데, 토출되기 직전에 노즐조립체(13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토출되는 양념은 노즐단에서 흐름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면서 미립화되어 분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육류 내부로 토출된 양념은 강한 토출압에 의하여 육질의 내부로 깊이 베어들게 되며, 육류의 여러 부위에 골고루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면, 장시간의 숙성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육류 내부 전체에 골고루 양념이 배어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념통(120)에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120c)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 건(130)은 상기 양념배출공(121)과 연결되는 양념 유입구(131a)가 구비된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양념 유입구(131a)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을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132a)가 형성된 노즐조립체(13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120c)는 양념통(120)의 본체(121a)에 형성되어도 좋고 도시된 바와 같이 양념통(120)의 뚜껑(120b)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분무방식으로 양념과 압축가스가 동시에 토출되도록 하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압축가스 유입구(120c)를 통해 양념통(120)의 내부로 고압의 압축가스가 주입되면서 스프레이 건(130)의 양념토출구(132a)를 통해서 고압으로 양념이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분무방식보다 강한 압력으로 육류의 내부에 양념을 보다 효과적으로 베어들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념통(120)의 내부가 고압상태이므로 양념통(120)의 본체(120a)과 뚜껑(120b)은 별도의 결속구(170)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양념통(120)의 본체(120a) 상단과 뚜껑(120b)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하는 외향플랜지부(120d)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구(170)는 힌지연결된 상태로 상기 외향플랜지부(120d)를 감싸는 한 쌍의 환형체결구(171,171)와, 각 환형체결구(171,171)의 단부에 형성된 너트부(172,173)와 상기 너트부들(172,17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볼트(174)로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환형체결구(171)의 내측에는 실링부재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작업대 111...바닥부
112...가이드부 114...양념통 결합공
120...양념통 120a,131...본체
120b...뚜껑 120c,131b...압축가스 유입구
120d...외향플랜지부 121...세척공
122...양념배출공 130...스프레이건
131a...양념 유입구 132...노즐조립체
132a...양념토출구 140...배수용 호스
150...양념배출 호스 160...압축가스탱크
170...결속구 171...환형체결구
172,173...너트부 174...체결볼트

Claims (3)

  1.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외향으로 상향경사지게 감싸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바닥부 일측에 상기 바닥부를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며 바닥에는 세척공과 양념배출공이 형성된 양념통과, 상기 양념배출공에 연결되어 양념통에 담겨진 양념을 전방으로 분사시키는 스프레이건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레이 건의 단부가 육류에 찔러 넣기 용이하도록 첨예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주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 건은
    상기 양념배출공과 연결된 양념 유입구와,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양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과 상기 압축가스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동시에 외부로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주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념통에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압축가스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레이 건은 상기 양념배출공과 연결되는 양념 유입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양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양념을 토출시키는 양념토출구가 형성된 노즐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주입장치.
KR1020140057660A 2014-03-25 2014-05-14 양념 주입장치 KR201501112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4351 2014-03-25
KR1020140034351 2014-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52A true KR20150111252A (ko) 2015-10-05

Family

ID=5434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660A KR20150111252A (ko) 2014-03-25 2014-05-14 양념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2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7962A (zh) * 2015-12-18 2016-05-11 柯妙恬 一种穿刺机及腌制牛肉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7962A (zh) * 2015-12-18 2016-05-11 柯妙恬 一种穿刺机及腌制牛肉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09855A (es) Metodo y aparato para una boquilla mezcladora de bebidas de varios sabores.
US20110094393A1 (en) Flexible spray head
ATE371585T1 (de) Verfahren zum befüllen eines behälters mit zumindest zwei flüssigen oder pastösen produkten und füll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20150111252A (ko) 양념 주입장치
US20100105307A1 (en) Hand-operable meat tenderizer and marinator
KR100676380B1 (ko) 육류의 소스 주입장치
CA2846588C (en) Injection closure system
US10779549B1 (en) Tenderizing apparatus with fluid reservoir
KR20130141758A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ATE307614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kleineren gegenständen
KR102419937B1 (ko) 김칫소 넣기 장치
US20110083567A1 (en) Food Preparation Device
US20160095423A1 (en) Sprayer brush
NL2007431C2 (nl) Sproeikop, sproei-inrichting, productielijn en werkwijze voor het ten minste gedeeltelijk met een vloeibaar consumabel medium bedekken van voedseldelen.
JP2006044705A (ja) ガス抜き用ストッパ部材付きトリガー式エアゾール噴射装置、およびトリガー式エアゾール噴射器
KR101767945B1 (ko) 농약교반기 일체형 농약통
CN211091755U (zh) 用于家用腌制机中的液体调料供料组件
US20150342206A1 (en) Flavor accelerator system
KR20210033376A (ko) 워터젯 분사를 이용한 염지액 주입 장치 및 방법
US20170295832A1 (en) Meat flavor injector
KR101415618B1 (ko) 캔스프레이용 분사기
KR101402968B1 (ko)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CN219538128U (zh) 一种食品风味调料添加装置及其锅具
KR102475252B1 (ko) 개선된 식감의 튀김용 닭고기 염지 방법
CN209153308U (zh) 一种改进蒸汽喷射结构的食物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