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968B1 -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 Google Patents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968B1
KR101402968B1 KR1020120115812A KR20120115812A KR101402968B1 KR 101402968 B1 KR101402968 B1 KR 101402968B1 KR 1020120115812 A KR1020120115812 A KR 1020120115812A KR 20120115812 A KR20120115812 A KR 20120115812A KR 101402968 B1 KR101402968 B1 KR 10140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needle
guide member
upper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276A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진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진기계
Publication of KR2014003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53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by 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3L13/72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additives, e.g. by injection of solu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 청소가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경사진 주입홀로 인해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니들블럭의 가압블럭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와, 상기 상부안내부재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로 구성된 안내부재의 상부안내부재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에 형성된 수용홀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일단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니들블럭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needle for dressing materials implantation system}
본 발명은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주입을 위해 니들블럭에 다수 설치되는 니들을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함으로써,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양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어 니들의 사용 수명을 연장신킬 수 있도록 한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과에 속하는 각종 육류와 조류과에 속하는 각종 육류의 육가공 식품은 직접 가열방식으로 굽거나 또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익혀서 먹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때, 굽거나 익혀서 먹는 육가공 식품은 그 맛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양념을 상기 육가공 식품의 표면에 바르거나 일정 시간동안 담금시킨 후, 상기 양념이 육가공 식품의 살내부로 스며들게 되면 그를 굽거나 익혀서 먹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양념을 육가공 식품의 표면에 바르거나 담금시킨 후 직접 가열방식 또는 간접 가열방식으로 굽거나 익히는 경우에는, 상기 양념이 육가공 식품의 내부로 골고루 스며들지 못하여 육가공 식품의 맛이 부위별로 다르게 되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육가공 식품의 내부로 양념을 직접 주입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양념 주입장치에는 양념주입용 니들이 다수개 구비되는바, 종래의 양념주입용 니들은, 상기 니들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니들블럭이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육가공 식품내측으로 주입되어 양념 공급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양념을 주입하게 된다.
따라서,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양념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니들블럭에 구비되는 다수의 니들을 육가공 식품측으로 삽입시킨 후, 양념 공급펌프로부터 양념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육가공 식품 측으로 양념이 주입되므로, 양념 주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능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을 특허출원번호 10-2009-0038622호로 출원한바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은 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이동부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하향 이동에 대응되게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되는 육가공 식품 속으로 양념을 주입가능하도록 양념주입장치에 구비되는 니들블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되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일정 간격 다수개 구비되는 가압수단과, 상기 가압수단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탄성부재가 내설된 동일 위치에 상부 및 하부용 안내홀이 다수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일측면으로 양념저장부로부터 공급된 양념을 유입시켜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용 안내홀과 연통된 수용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 및 하부용 안내홀에 일단이 각각 관통 걸림되고 외주면에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니들블럭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단은 가압수단 내측으로 각각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양념을 육가공 식품측으로 주입시키기 위한 유입홀과 주입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니들(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니들(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통된 안내부재의 상부용 안내홀과 하부용 안내홀을 일단이 관통가능하도록 대응되는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부안내부재의 상면에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에 형성된 수용홀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삽입부(11)와 걸림부(13)가 형성되어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11)의 외주면에는 니들(10)이 장착되어 장치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향이동됨에 따른 양념을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11a)과, 상기 유입홀(11a)로부터 유입된 양념을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주입시킬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주입홀(11b)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의 끝단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니들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원추형상의 침(15)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의 니들은 단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장시간 사용함에 따른 양념이 삽입부의 내부에 달라 붙게되므로 인해 사용할 수 없어 결국 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의 니들에 형성된 주입홀은, 니들의 내부면에 대하여 수직되게 천공되어 있어 니들이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삽입된 후 주입홀을 통하여 양념 주입시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주입이 어려울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09-0038622호, 출원일자; 2009년05월01일 발명의 명칭;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 도 2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주입을 위해 니들블럭에 다수 설치되는 니들을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주입을 위해 니들블럭에 다수 설치되는 니들의 주입홀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있어서, 니들블럭의 가압블럭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와, 상기 상부안내부재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로 구성된 안내부재의 상부안내부재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에 형성된 수용홀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일단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니들블럭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걸림부는, 상부용 안내홀이 형성된 안내부재의 상부안내부재 상면에 일면이 안착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일면에 연장 돌출되어 상부용 안내홀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되, 타면에는 내주면에 삽입부의 일단과 나사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요홈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있어서, 니들블럭의 가압블럭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와, 상기 상부안내부재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로 구성된 안내부재의 상부안내부재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에 형성된 수용홀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되어 구비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관통된 일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니들블럭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걸림부재의 관통된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양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막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따르면, 니들을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양념을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주입가능하도록 형성된 주입홀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니들을 구성함으로써, 니들의 내부 청소가 가능하여 재사용에 따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경사진 주입홀로 인해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을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에 설치되는 니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이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100)은,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주입홀을 통하여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양념이 넓게 주입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100)은 니들블럭(20)의 가압블럭(21)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21a)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22a)이 다수개 형성되고, 양단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도록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 고정편(22b)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22)와, 상기 상부안내부재(22)의 고정편(22b)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나사홈(도면부호 생략)을 각각 갖는 결합편(23a)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3b)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22a)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23c)이 다수개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23)로 구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부(110)에 일단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니들블럭(20)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13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100)의 걸림부(1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삽입부(130)의 청소를 위해 상기 삽입부(130)와 일단이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걸림부(110)는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 상면에 일면이 안착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머리부(111)와, 상기 머리부(111)의 일면에 연장 돌출되어 상부용 안내홀(22a)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되, 타면에는 내주면에 삽입부(130)의 일단과 나사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113a)가 형성된 결합요홈(113b)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연결부(11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결합요홈(113b)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110)가 삽입부(130)와 연결시 삽입부(130)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삽입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가능하도록 보강용돌기(115)가 더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결합요홈(113b)의 바닥면에는 보강용돌기(115)를 관통하여 삽입부(130)와 연결되어 양념주입시 양념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링을 더 개재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삽입부(130)는 상기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나사부(113a)와 일단이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 청소를 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양념을 수용공간부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삽입부(13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나사부(113a)와 일단이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결합나사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원추형상의 침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부(131)의 하단 외주면에는 양념을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홀(135)이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유입홀(135)을 통하여 유입된 양념을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주입홀(137)이 내부와 연통되게 천공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삽입부(130)의 주입홀(13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념을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이 분사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15°~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주입홀(137)을 15°미만의 경사각도로 형성할 경우,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이 분사될 수 없고, 30°이상의 각도로 형성될 경우 주입되는 양념에 의해 육가공 식품을 천공시킬 수 있어 상기 주입홀(137)의 각도는 상기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200)은, 도 2에 도시된 니들블럭(20)의 가압블럭(21)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21a)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22a)이 다수개 형성되고, 양단에는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도록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된 고정편(22b)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22)와, 상기 상부안내부재(22)의 고정편(22b)에 형성된 고정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나사홈(도면부호 생략)을 각각 갖는 결합편(23a)이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3b)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22a)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23c)이 다수개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미도시함)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23)로 구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되어 구비되는 걸림부재(210)와, 상기 걸림부재(210)의 관통된 일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니들블럭(20)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재(230)와, 상기 삽입부재(2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걸림부재(210)의 관통된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양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2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막음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200)의 걸림부재(210)는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부는 관통되어 상기 삽입부재(230)의 일단을 일단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단 내측으로는 막음부재(250)를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걸림부재(210)는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 상면에 일면이 안착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머리편(211)과, 상기 머리편(211)의 일면에 연장 돌출되어 상부용 안내홀(22a)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213)으로 구성되되, 중앙부에는 막음부재(250)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2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내주면 일부에 결합용나사부(215a)가 형성된 관통홀(215)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삽입부재(23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중공의 원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걸림부재(210)의 관통홀(215) 내측으로 일부 삽입된 후 연결편(213)과 용접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원추형상의 침부(231)가 형성되며, 외주면 중간 상부에는 양념을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용홀(233)이 형성되고, 타단 즉, 침부(231) 상부 외주면에는 유입용홀(233)을 통하여 유입된 양념을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주입용홀(235)이 내부와 연통되게 천공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삽입부재(230)의 주입용홀(23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념을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이 분사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15°~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주입용홀(235)을 15°미만의 경사각도로 형성할 경우,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양념이 분사될 수 없고, 30°이상의 각도로 형성될 경우 주입되는 양념에 의해 육가공 식품을 천공시킬 수 있어 상기 주입용홀(235)의 각도는 상기한 각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막음부재(2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210)의 삽입부재(230)를 청소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215) 타단에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한 막음부재는, 걸림부재(2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215)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결합용나사부(215a)와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나사부(250a)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공구(십자 또는 일자형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막음부재(250)를 결합용나사부(215a)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십자형 또는 일자형 홈(250b)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를 양념주입장치용 니들블럭에 장착하여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양념을 주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블럭(20)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니들(100)의 삽입부(130) 타단에 형성된 침부(133)가 육가공 식품의 표면을 찌르게 된다.
이후, 상기 니들블럭(20)의 지속적인 하강으로 인해 니들(100)은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과 하부안내부재(23)에 형성된 하부용 안내홀(23c)을 통하여 안내받으면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니들블럭(20)이 더 하강하는 것에 의해 니들(100)의 침부(133)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부안내부재(22)와 하부안내부재(23)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안내부재(24)에 형성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은 니들(100)의 삽입부(130)의 일단 외주면 형성된 유입홀(135)을 통하여 유입되고, 상기 유입홀(135)로 유입된 양념은 이의 유입홀(135)과 연통된 주입홀(137)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육가공 식품측으로 일전한 간격과 동일한 양의 양념이 주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주입홀(137)은 삽입부(130)의 외주면에 대하여 30°의 각도로 하향 경자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양념은 육가공 식품 내측 깊은 곳까지 주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100)을 통하여 양념을 주입 및 주입정지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니들(100)의 삽입부(130) 내부측에 양념이 굳어 있을 경우 걸림부(110)와 나사결합된 삽입부(130)를 분리시킨 후, 물과 공구를 통하여 세척하면서 제거하는 것에 의해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100)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0 ; 니들블럭 21 ; 가압블럭
100, 200 ;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110 ; 걸림부
130 ; 삽입부 210 ; 걸림부재
230 ; 삽입부재 250 ; 막음부재

Claims (8)

  1.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있어서,
    니들블럭(20)의 가압블럭(21)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21a)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22)와, 상기 상부안내부재(22)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3b)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22a)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23c)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23)로 구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부(110)에 일단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니들블럭(20)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110)는,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 상면에 일면이 안착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머리부(111)와, 상기 머리부(111)의 일면에 연장 돌출되어 상부용 안내홀(22a)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되, 타면에는 내주면에 삽입부(130)의 일단과 나사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113a)가 형성된 결합요홈(113b)이 요설되어 구비되는 연결부(1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0)는, 중공의 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일단 외주면에는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나사부(113a)와 일단이 분리 및 조립가능하게 결합나사부(131)가 형성되고, 타단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원추형상의 침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나사부(131)의 하단 외주면에는 양념을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홀(135)이 형성되고, 타단 외주면에는 유입홀(135)을 통하여 유입된 양념을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주입홀(137)이 내부와 연통되게 천공되되, 상기 주입홀(137)은 양념이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분사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15°~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4.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있어서,
    니들블럭(20)의 가압블럭(21)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21a)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22)와, 상기 상부안내부재(22)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3b)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22a)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23c)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23)로 구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림부(110)와;
    상기 걸림부(110)에 일단이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연결되어 니들블럭(20)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110)의 연결부(113)에 형성된 결합요홈(113b)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110)가 삽입부(130)와 연결시 상기 삽입부(130)의 일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삽입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보강가능하도록 보강용돌기(115)가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5.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에 있어서,
    니들블럭(20)의 가압블럭(21) 저면에 상면이 면접촉되는 것에 의해 수용홀(21a)과 각각 연통가능하도록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되 구비되는 상부안내부재(22)와, 상기 상부안내부재(22)와 나사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안내부재(22)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양념을 저장가능하도록 수용공간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부(23b)의 바닥면에는 상부용 안내홀(22a)과 연통가능하도록 하부용 안내홀(23c)이 형성됨과 아울러 전면에는 양념공급부로부터 도관된 공급관과 연결되어 양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부안내부재(23)로 구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에 형성된 상부용 안내홀(22a)에 일단이 삽입되면서 상면에 타단이 걸림되어 상향 이동시 가압블럭(21)에 형성된 수용홀(21a)내측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중앙부는 관통되어 구비되는 걸림부재(210)와;
    상기 걸림부재(210)의 관통된 일단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니들블럭(20)이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블럭(21)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수용공간부(23b)에 저장된 양념을 유입시켜 이송중인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간격으로 양념을 주입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삽입부재(230)와;
    상기 삽입부재(2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걸림부재(210)의 관통된 타단 내측으로 일단이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양념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리되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2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막음부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10)는 상부용 안내홀(22a)이 형성된 안내부재(24)의 상부안내부재(22) 상면에 일면이 안착 걸림가능하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머리편(211)과, 상기 머리편(211)의 일면에 연장 돌출되어 상부용 안내홀(22a)측으로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연결편(213)으로 구성되되, 중앙부에는 막음부재(250)를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삽입부재(23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내주면 일부에 결합용나사부(215a)가 형성된 관통홀(215)이 천공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230)는, 내부 청소가 가능하도록 중공의 원기둥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걸림부재(210)의 관통홀(215) 내측으로 일부 삽입된 후 연결편(213)과 용접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삽입가능하도록 원추형상의 침부(231)가 형성되며, 외주면 중간 상부에는 양념을 내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용홀(233)이 형성되고, 침부(231) 상부 외주면에는 유입용홀(233)을 통하여 유입된 양념을 육가공 식품 내측으로 동일하고 균일하게 주입시킬 수 있도록 주입용홀(235)이 내부와 연통되게 천공되어 구비되되, 상기 주입용홀(235)은 양념이 육가공 식품의 내부 깊은 곳까지 분사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대하여 15°~ 3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재는, 걸림부재(2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215)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결합용나사부(215a)와 나사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나사부(250a)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공구를 이용하여 막음부재(250)를 결합용나사부(215a)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홈(250b)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KR1020120115812A 2012-09-20 2012-10-18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KR101402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4639 2012-09-20
KR1020120104639 201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76A KR20140038276A (ko) 2014-03-28
KR101402968B1 true KR101402968B1 (ko) 2014-06-03

Family

ID=5064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812A KR101402968B1 (ko) 2012-09-20 2012-10-18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6133A (zh) * 2016-08-23 2018-02-23 安徽天达谱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反应器用清洗针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456A (en) 1986-11-20 1990-09-04 Otto Prosenbauder Tool holder for a pickling machine and tool combination for use in such a holder
US5012728A (en) * 1989-05-01 1991-05-07 H. J. Langen & Sons Limited Injection needles for injecting brine and the like into meat
JPH078162A (ja) * 1993-06-24 1995-01-13 Higashimoto Kikai:Kk 食品加工機械の処理液注入ニードル
JPH07132066A (ja) * 1993-11-12 1995-05-23 Futaba Denki Kogyo Kk ピックル液自動注射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3456A (en) 1986-11-20 1990-09-04 Otto Prosenbauder Tool holder for a pickling machine and tool combination for use in such a holder
US5012728A (en) * 1989-05-01 1991-05-07 H. J. Langen & Sons Limited Injection needles for injecting brine and the like into meat
JPH078162A (ja) * 1993-06-24 1995-01-13 Higashimoto Kikai:Kk 食品加工機械の処理液注入ニードル
JPH07132066A (ja) * 1993-11-12 1995-05-23 Futaba Denki Kogyo Kk ピックル液自動注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276A (ko)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278B1 (ko) 수간주사 장치 및 방법
US9986871B1 (en) Technologies for sanitizing beverage makers
JP5927136B2 (ja) 定量分注装置
KR101402968B1 (ko) 양념주입 장치용 니들
KR20170043512A (ko) 블렌더 린스 조립체
KR101637531B1 (ko) 무인방제장치
EP1402783A1 (en) Head having multiple retractable needles intended for the injection of pieces of meat and the injecting needle for same
KR20160111386A (ko) 나무 주입 시스템 및 방법
US7523698B2 (en) Brine device
RU169781U1 (ru) Скважинный контейнер
KR101028167B1 (ko) 양념 주입장치용 니들블럭
EP2981171B1 (en) Knock-out unit
JP6401481B2 (ja) ノズル管ユニットとこれを用いた洗浄装置
KR101103148B1 (ko) 주입 노즐 고정틀부와 공급 노즐 걸름망부로 이루어진 호두과자 제빵기용 내용물 주입장치
JP6010568B2 (ja) 食品加工機械
JP5400002B2 (ja) ピックル液インジェクタ
KR20150111252A (ko) 양념 주입장치
KR20120008940U (ko) 빗각형의 물분출구가 형성된 솔빗
CN208446562U (zh) 一种用于气泡清洗机的喷淋头
CN209882981U (zh) 一种新型注射机
KR101402966B1 (ko) 양념 주입장치의 양념 공급시스템
KR20170092212A (ko) 매직푸드
KR200427790Y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배출구 마개
JP2012135266A (ja) ピックル液インジェクタ
JP2016086780A (ja) ピックル液脱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