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60A -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 Google Patents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60A
KR20150110160A KR1020140034178A KR20140034178A KR20150110160A KR 20150110160 A KR20150110160 A KR 20150110160A KR 1020140034178 A KR1020140034178 A KR 1020140034178A KR 20140034178 A KR20140034178 A KR 20140034178A KR 20150110160 A KR20150110160 A KR 2015011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air
heat
fire box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061B1 (ko
Inventor
이일용
정회관
Original Assignee
정회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회관 filed Critical 정회관
Priority to KR102014003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0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1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in serpentin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5/00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 F24B5/02Combustion-air or flue-gas circulation in or around stoves or ranges in or aroun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using Joule-Thompson effect; using vortex effect
    • F25B9/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using Joule-Thompson effect; using vortex effect using vortex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화목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화실과, 상기 화실 하부에는 상기 화실 내부에서 화목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연소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빠져나가는 연소열에 의해 물을 데우도록 마련되는 열교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데워지는 물을 온수관이나 난방수관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화실과 상기 도어 간에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져, 전면의 외측벽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관과 연결되고, 상기 화실과 맞닿는 후면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노즐이 상부, 중간부 및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화실의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실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다수의 노즐이 화실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화목 연소시 화실 하부로 떨어지는 목초액이나 타고 남은 찌꺼기가 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화목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Firewood boiler composing multi-port structure for air support}
본 발명은 화목 보일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 연소시 화실의 앞쪽에서 외부 공기가 다단의 높이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을 통하여 화실 전체에 걸쳐 골고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화목보일러는 통 형상의 화실 외측을 온수저장실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화실에서 화목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열에 의해 온수저장실의 물이 가온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화실의 내부에서 화목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초기발화과정에서 발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거나 화력이 약해 연소열이 매우 낮게 나타나므로 송풍기로부터의 에어공급관이 화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공보 제10-0426046호에 따르면, 화목적재 공간부와, 버너부, 이 버너부를 보유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버너부의 화염이 분사되는 연소실, 이 연소실에 연하여 물을 덮히는 열 교환기 등을 갖춘 화목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버너부에는 2차공기송풍기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내화재 양쪽 측면부에 형성된 상부공기노즐들과 하부 양쪽에 형성된 하부공기노즐들로 각각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 보일러의 버너부 연소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화목 보일러의 버너부 연소 구조에서 상,하부공기노즐들은 화목적재 공간부 하측에 마련되어, 버너부에 하부에서 산소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적재된 화목의 맨 아래부터 하부 노즐에서 공급된 산소에 의해 연소가 이루어지고, 하부의 화목이 연소되어 재로 변하면서 그 상부의 화목들이 하부로 내려와 연소되게 된다. 이때,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 온도 이상으로 현재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 의해 보일러가 구동을 멈추어 저절로 소화(消火)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소화시, 이후 재점화를 시도하게 되면 연소 도중에 화목에서 나온 목초액, 타고 남은 찌꺼기 등이 하부에 설치된 노즐 입구를 막아, 노즐을 통한 공기 공급을 어렵게 하여 재점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부에 설치된 노즐은 적재된 화목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상부나 중간부에 위치한 화목에 점화하게 되면, 하부의 공기가 적재된 화목으로 인해 상부나 중간부로 이동이 쉽지 않아 원활히 공기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재점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화실에서 하층에 적재되어 있던 화목들이 연소되는 동안에는 하향연소로 인해 화실의 중간부나 상층부에 있던 화목들은 가열되어 연소는 이루어지지 않고 목초액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목초액이 냉각되어 화목들을 엉겨붙게 함으로써 중간부나 상층부에 적재되어 있던 화목들이 엉겨붙어 집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집을 형성한 화목들이 덩어리져서, 제때 각각의 화목들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점화가 이루어지는 하부에서는 화목 공급 부족으로 인해 점화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점화가 되더라도 금방 소화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타고 남은 화목들이 목초액 등에 의해 집을 형성하게 되면, 종래의 하부공기공급 구조에서는 집을 형성한 화목들이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하부공기가 상부나 중간부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서 재점화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재점화되더라도 불씨가 약해 금방 소화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0426046(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2004.03.2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실 측면의 상, 중, 하 위치에서 다수의 노즐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소화 후 목초액에 의해 엉겨붙어 있던 중간부나 상층부에 적재되어 있던 화목들이 잘 연소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화실 측면에 공기 공급 구조가 마련됨에 따라, 측면 공기 공급에 의해 연소 중에 발생되는 연소열을 포함한 연소가스가 하부의 배출구로 강제 유입되도록 된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는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화목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화실과, 상기 화실 하부에는 상기 화실 내부에서 화목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연소열의 일부를 포함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열매체를 가온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온되는 열매체에 의해 온수나 난방수를 열교환시켜 온수관이나 난방수관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화실과 상기 도어 간에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외측벽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관과 연결되며, 상기 화실과 맞닿는 후면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노즐이 화실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 위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화실의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는, 화목 연소시,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화실 내부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화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유입구로 강제 유입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은 연소열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설치되되, 개폐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한편 힌지가 결합된 반대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잠금과 해정이 가능한 고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보일러에 따르면, 화실로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다수의 노즐이 화실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화목 연소시 화실 하부로 떨어지는 목초액이나 타고 남은 찌꺼기가 노즐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원활한 공기 공급에 의해 화목 연소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으로 필요에 의해 소화시키거나 보일러의 난방수 설정 온도 이상으로 현재 온도 상승에 의하여 보일러 작동 중단되어 저절로 소화되는 경우에는, 이후에 화목 재점화시 초기 적재된 화목에서 타고 남은 화목의 상부나 중간 부분부터 연소가 가능하도록 노즐이 화실 측면부에 마련되되, 상부, 중간부, 하부로 나눠 노즐이 다수 개 형성됨에 따라 화실 전면의 상, 중, 하 위치에서 공기가 화실 내부로 공급되므로 화목의 재연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목보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공기공급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도어 개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의 구조 및 기능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화목 보일러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하우징(1)이 마련되고, 하우징(1)의 전면부에는 화목(W)을 넣을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도어(10)가 마련되고, 도어(10)의 하부에는 연소가스(연소열)이 배출되도록 내부에 배출관(40)이 설치되는 하부도어(42)가 마련된다.
도어(10)의 안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목(W)이 적재될 공간이 마련된 화실(20)이 구비된다. 상기 화실(20)의 전면에는 화실(20) 내부에 화목(W)을 넣기 위해 외부에서 여닫을 수 있는 내측도어(11)가 마련된다. 즉, 도어(10)의 안쪽에 도어(10)보다 작은 크기의 내측도어(11)가 마련되어 2중 밀폐에 의해 열손실을 방지하고 연소용 공기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문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외측에 배치되는 도어(10)에는 단열재가 내장되어 열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어(10)의 안쪽으로 내측도어(11)의 하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공기공급부재(30)가 구비된다. 공기공급부재(30)는 화실(20) 전면에 고정되도록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재(30)의 외측 전면에는 송풍구(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송풍구(33)에는 도어(10)측에 설치되는 송풍관(32)의 출구가 끼움결합된다. 상기 송풍관(32)은 송풍기(31)와 일체로 설치되어 도어(10)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10)가 개방되는 경우 송풍관(32)의 출구는 송풍구(33)로부터 이탈되지만, 도어(10)가 닫혀지면 다시 송풍구(33)에 끼움결합되어 송풍기(31)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화실(2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기공급부재(30)의 후면에는 노즐(35)이 구멍 형태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노즐(35)은 화실(20)에 적재되는 화목(W)의 높이를 고려하여 공기공급부재(30)의 상부, 중간부, 하부로 나눠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또한 노즐(35)은 형성위치에 따른 각 부마다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공기공급부재(30)의 하부 중 일부에는 공기공급부재(30) 내부를 관통하는 통공(34)이 형성된다. 통공(34)에는 점화구(12)가 끼워져 설치되며, 이 점화구(12)는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외부에서 도어(10)를 열어 화목(W) 점화시 불씨를 화목(W)에 공급하기 위한 문으로써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실(20) 내부에는 화목(W)이 적재되는 곳의 하부에 화격자(21)가 구비될 수 있다. 화격자(21)는 화실(20)의 바닥과 화목(W)의 간격을 유지시켜 화목(W) 연소시 화목(W)의 원활한 공급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화목(W) 연소시에 타고 나오는 재나 찌꺼기 등을 걸러내는 역할도 하게 된다. 화격자(21)는 예컨데, 사각 망을 사용하거나 여러 개의 환봉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로스톨 형식으로 제작하여 화실(20)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화실(20) 내부의 바닥 가운데에는 화목(W)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이 빠져나가는 통로로 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41)의 하단에는 배출관(4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배출관(40)은 보일러의 측면에서 볼 때, 'ㄷ' 자 형상으로 꺾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소가스(연소열)가 외부로 빠르게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화목 보일러 내부에 오래 머물러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화목보일러 내부에는 온수와 난방수를 외부에 공급하기 위해 보일러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가온하여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부재가 마련된다.
열교환부재는 온수용코일(50)과, 워터재킷(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워터재킷(60)은 하우징(1)의 내부 전반에 걸쳐 화실 둘레에 마련될 수 있는데, 특히, 배출관(40) 및 온수용코일(5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워터재킷(60) 내부의 물은 화실에서 발생되어 배출관을 거쳐 외부로 이동하는 연소가스(연소열)와 열교환에 의해 가온되고, 가온된 물은 온수 또는 난방수로써 외부에 공급될 수 있다.
온수용코일(50)은 예컨대 화실(20)의 상부의 워터재킷(60)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워터재킷(60)으로부터 데워진 물로 간접 열교환에 의해 온수용 코일(5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재차 데워질 수 있으며, 이렇게 데워진 물을 온수로써 외부에 공급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구조에 따른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실(20)에 적재된 화목(W)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불씨와 공기를 공급받아야 하는데, 불씨는 외부로부터 직접 수동으로 성냥개비 혹은 가스 토치 등의 점화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화실(20) 내부에 적재된 화목(W)의 하부에 신문지 등을 넣고 점화구(12)를 통하여 불씨를 붙여 적재된 화목(W)의 하부를 점화시킬 수 있다.
화목(W)을 점화시키기 위해 화실(20) 내부로의 공기 공급 방식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송풍기(31)를 작동시켜, 외부 공기가 송풍관(32)으로 급속히 유입되고, 유입된 외부 공기는 송풍관(32)을 따라 공기공급부재(30) 내부로 이동된다. 이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속도는 송풍기(31)의 팬회전수(RPM)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재(30) 내부로 이동된 공기는 공기공급부재(30) 내의 상부, 중간부, 하부로 고루 퍼져 각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노즐(35)을 통해 화실(20) 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화실 내에서 상부, 중간부, 하부에 걸쳐 적재되어 있는 화목 전체에 연소용 공기가 골고루 공급되게 된다. 특히, 노즐(35)은 급속히 유입된 공기들이 노즐(35)을 통과하면서, 압력차로 인해 더욱 빨라지도록 적절한 크기의 구멍 형태 또는 화실 내측으로 돌출된 모양의 토출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공기가 화실(20) 내부에 골고루 노즐(35)을 통해 공급되고, 외부로부터 불씨를 제공받아 화목(W)이 아랫부분부터 점화되면, 연소 과정에서 연기와 연소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연기와 연소열은 상부로 이동하려는데, 화실의 상부와 측부는 폐쇄되어 있고, 연도(43)와 연통된 통로는 하측의 유입구(41)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즐(35)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연기와 연소열을 하부 방향으로 강제 유도하게 된다. 또한, 이때 하부로 이동하는 연기들은 화목(W) 연소시에 발생하는 900 ℃ 이상의 화염에 의해 대부분 타버려 소거되기 때문에, 배출관(40)을 따라 이동하는 대부분은 연소열이 된다.
이와 같이, 화실(20) 바닥에는 유입구(4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유도된 연소열이 유입구(41)로 강제 유입된다. 또한, 연소열은 유입구(41)에 연결된 'ㄷ'자 형상의 배출관(4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배출관(40)의 일단에 연결된 연도(43)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고, 연도(43)의 상단에 마련된 배출구(4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관(40)에 의해 이동하는 연소열은 이동속도가 늦춰지게 되고, 배출관(40) 내부에서 약간의 지체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지체 과정에서 배출관(40)의 외측부를 감싸고 있는 워터재킷(60)으로 연소열이 전달되고, 전달된 연소열에 의해 워터재킷(60) 내부의 물이 데워진다. 즉, 'ㄷ' 자 형상의 배출관(40)은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워터재킷(60)은 데워진 물을 온수나 난방수로 공급하기 위한 열전달수단으로써 기능하는 것이다.
한편, 화목(W) 연소시 발생되는 목초액, 찌꺼기, 재 등은 배출관(40)으로 일부 떨어져 오랫동안 미청소시 배출관(40)을 따라 이동하는 연소열의 흐름을 방해하고, 이는 보일러의 작동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하부도어(42)를 열어 하부도어(42) 내측에 위치하는 배출관(40)의 내부 일부가 드러나도록 제작하여, 하부도어(42) 개방시 노출된 배출관(40)의 내부를 정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목보일러의 도어(10) 내측 구성을 보이기 위하여 도어(10) 개방 상태에서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화목보일러의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실(20) 전면 하측에 설치되는 공기공급부재(30)가 개방가능하도록 공기공급부재(30)의 일측은 하우징(1)에 힌지로 고정되는 한편 힌지로 고정된 부위의 반대쪽 측부에는 도어 클램프 등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부재(30)가 잠금 상태에서 화목(W) 연소시 공급되는 공기나 연소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며, 또한 공기공급부재(30)의 일측에는 손잡이가 설치되어 공기공급부재(30)를 용이하게 잠금 또는 해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공급부재(30)는 화목(W)의 연소 후 화실(20) 하부에 남은 재나 찌꺼기 등을 청소하고자 할 때 화실(20)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즉, 화목(W)이 타고 남은 재나 찌꺼기 등은 일부가 유입구(41)를 통해 배출관(40)으로 떨어지지만, 일부는 화실(20) 하부에 그대로 남아 있어 이후 청소되지 않으면 화목(W) 재연소시에 연소 효율을 낮추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공기공급부재(30)를 개방하여 화실(20) 바닥에 쌓인 재나 찌꺼기 등을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공기공급부재(30)의 하부 측면과 화실(20) 바닥면의 경계가 서로 일치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실(20) 바닥 청소시에 작업자가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화실(20) 바닥에 남은 재나 찌꺼기 등을 끌어냄으로써 쉽게 처리할 수 있다.
1 : 하우징 10 : 도어
11 : 내측도어 12 : 점화구
20 : 화실 21 : 화격자
30 : 공기공급부재 31 : 송풍기
32 : 송풍관 33 : 송풍구
34 : 통공 35 : 노즐
40 : 배출관 41 : 유입구
42 : 하부도어 43 : 연도
44 : 배출구 50 : 온수용코일
60 : 워터재킷 W : 화목

Claims (4)

  1. 전면부에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화목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화실과, 상기 화실 하부에는 상기 화실 내부에서 화목 연소시 발생하는 연소열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과한 연소열의 일부를 포함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이동하는 연소가스에 의해 열매체를 가온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온되는 열매체에 의해 온수나 난방수를 열교환시켜 온수관이나 난방수관을 통해 외부로 공급하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화실과 상기 도어 간에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외측벽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관과 연결되며, 상기 화실과 맞닿는 후면의 내측벽에는 다수의 노즐이 화실의 상부, 중간부 및 하부 위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송풍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화실의 상부와 중간부 및 하부에서 공급하는 공기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2. 제1 항에 있어서,
    화목 연소시, 상기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화실 내부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상기 화실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유입구로 강제 유입되도록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연소열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재는
    상기 하우징에서 분리설치되되, 개폐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한편 힌지가 결합된 반대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잠금과 해정이 가능한 고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KR1020140034178A 2014-03-24 2014-03-24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KR101595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78A KR101595061B1 (ko) 2014-03-24 2014-03-24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78A KR101595061B1 (ko) 2014-03-24 2014-03-24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60A true KR20150110160A (ko) 2015-10-02
KR101595061B1 KR101595061B1 (ko) 2016-02-17

Family

ID=54341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78A KR101595061B1 (ko) 2014-03-24 2014-03-24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5229A (zh) * 2016-07-27 2016-12-14 芜湖鸣人热能设备有限公司 卧式侧加热锅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46B1 (ko) 2002-04-17 2004-04-06 최진민 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KR101077600B1 (ko) * 2011-05-03 2011-10-27 김종배 보일러
KR101079694B1 (ko) * 2011-01-07 2011-11-03 김연중 화목보일러
KR20120127777A (ko) * 2011-05-16 2012-11-26 염동섭 연료 및 공기 공급용 도어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보일러
KR20140029688A (ko) * 2012-08-29 2014-03-11 장정훈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046B1 (ko) 2002-04-17 2004-04-06 최진민 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KR101079694B1 (ko) * 2011-01-07 2011-11-03 김연중 화목보일러
KR101077600B1 (ko) * 2011-05-03 2011-10-27 김종배 보일러
KR20120127777A (ko) * 2011-05-16 2012-11-26 염동섭 연료 및 공기 공급용 도어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연료 보일러
KR20140029688A (ko) * 2012-08-29 2014-03-11 장정훈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5229A (zh) * 2016-07-27 2016-12-14 芜湖鸣人热能设备有限公司 卧式侧加热锅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5061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787B1 (ko) 고체연료용 열풍기
US8186286B2 (en) Wood fired boiler
KR101524436B1 (ko) 화목겸용 펠렛난로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20110035002A (ko) 펠렛 난로 온풍기
KR101391400B1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CN106175480B (zh) 一种无烟烧烤架
KR101595061B1 (ko) 다중 공기 공급 구조를 갖는 화목 보일러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KR101431139B1 (ko) 무동력 펠릿 난로
KR20170070425A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892127B1 (ko) 보일러용 연소로
KR20180080055A (ko) 화목보일러
KR101312963B1 (ko) 화목연소장치
KR200481740Y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난로
KR20140029688A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KR101831619B1 (ko) 보일러용 에어순환공급식 연소로
CN106016248B (zh) 燃煤锅炉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20160093308A (ko) 화목 난로
KR101344606B1 (ko) 펠릿 연료의 연소기
EP2886953B1 (en) Wood stove with a supply duct for logs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KR20140129646A (ko) 펠릿 연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