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040A -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 Google Patents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040A
KR20150110040A KR1020140033816A KR20140033816A KR20150110040A KR 20150110040 A KR20150110040 A KR 20150110040A KR 1020140033816 A KR1020140033816 A KR 1020140033816A KR 20140033816 A KR20140033816 A KR 20140033816A KR 20150110040 A KR20150110040 A KR 20150110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ir cell
air
cover
cov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4003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040A/ko
Publication of KR20150110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완성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에어셀이 형성된 시트에 절곡점을 형성하여 형상이 다양한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포장재 내부도 제습할 수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 시트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고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여 제품을 쉽게 수납 밀봉할 수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a vent hole packaging device filled with air in cell}
본 고안은 통기 홀 에어셀 포장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완성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통기홀을 구성하여 특히 습기에 취약한 제품 등을 제습도 할 수 있는 통기 홀 에어셀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은 박스에 포장되어 출고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박스에 포장된 제품은 구매자에게 인도되기 위해 택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일반적으로 구매자에게 보내지는 제품은 출고된 박스 그대로 택배로 배송되거나,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등으로 재포장되어 배송된다.
하지만, 스티로폼, 골판지 및 에어캡 형태의 재포장 용기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제품에 맞춰 가공하기 힘들고, 외부에서 인가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완성된 제품 중 전자기기 등은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하지만, 현재까지 전자기기 등을 포장하는 박스는 주로, 골판지, 나무 등과 같은 케이스 내에 천 등과 같은 쿠션을 이용하며, 이러한 박스를 전술된 재포장 용기에 수납하여 배송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재포장 용기 내의 전자기기 등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도 없고 기존의 에어백 포장재는 습기에 취약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완성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제습할 수도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충진재가 주입된 시트를 이용한 에어셀 포장재로서, 제 1 측면 시트와, 상기 제 1 측면 시트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바닥면 시트와, 상기 바닥면 시트에서 일측으로 연장 절곡되며, 상기 바닥면 시트와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기 제 1 측면 시트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대향하는 제 2 측면 시트와, 상기 제 2 측면 시트에서 연장되며,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 1 덮개 시트와, 충진재가 주입되지 않는 제 2 덮개 시트를 가지는 덮개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셀 포장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측면 시트와 상기 바닥면 시트의 절곡 부위와, 상기 바닥면 시트와 상기 제 2 측면 시트의 절곡 부위 각각에 형성된 제 1 절곡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면 시트와 상기 제 1 덮개 시트의 절곡 부위와, 상기 제 1 덮개 시트와 상기 제 2 덮개 시트의 절곡 부위 각각에 형성된 제 2 절곡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점과 상기 제 2 절곡점은 다수개의 절곡점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덮개 시트에 마련된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진재가 주입된 시트는, 전면 시트와, 상기 전면
시트와 대향하는 후면 시트와,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 사이에 에어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 2 열접합선과, 제 2 열접합선 내부에 통기홀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덮개 시트와 상기 제 2 덮개 시트 사이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열접합선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열접합선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에어셀이 형성된 시트에 절곡점을 형성하여 형상이 다양한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통기홀을 열접합선 내부에 구성하여 보관하는 제품을 제습할 수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덮개 시트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고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여 제품을 쉽게 수납 밀봉할 수 있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제품 수납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제품 수납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면 시트(S1)와, 제 1 측면 시트(S1)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바닥면 시트(B)와, 바닥면 시트(B)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제 2 측면 시트
(S2)와, 제 2 측면 시트(S2)에서 연장된 덮개 시트(C)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는 상세하게는 전면 시트(100)와, 전면 시트(100)에 대향하도록 구비된 후면 시트(200)와, 전면 시트(100)와 후면 시트
(200) 사이에 에어셀이 형성되도록 전면 시트(100)와 후면 시트(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열접합선(310)과, 전면 시트(100)와 후면 시트(200)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에어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 2열접합선(320)과, 제 2열접합선(320) 내부에 통기홀(500)을 구성하고, 전면 시트(100)와 후면 시트(200)의 상단부, 즉, 제 1 측면 시트(S1) 또는 제 2 측면 시트(S2)의 상단부, 즉, 제 1 덮개 시트(C1)와 제 2 덮개 시트(C2) 사이를 따라 공기주입관로(400)가 형성되도록 제1 열접합선(310)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열접합선(330)과,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4 절곡점(410, 420, 430, 440) 및 다수개의 에어셀과 공기주입관로를 연결하는 주입구를 포함한다.
제 1 측면 시트(S1)와 제 2 측면 시트(S2)는 바닥면 시트(B)와 함께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개구된 박스 형상을 형성한다. 이는, 제 1 측면 시트(S1)와 제 2 측면 시트(S2)를 일측에서 서로 연결하도록 연장된 바닥
면 시트(B)에 의해 'U'형상을 형성하고, 바닥면 시트(B)와 대향하는 영역을 제외한 제 1 측면 시트(S1)와 제 2측면 시트(S2)의 가장자리를 서로 접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측면 시트(S1)와 바닥면 시트(B)의 절곡부위에는 제 1 절곡점(410)이 형성되며, 바닥면 시트(B)와 제 2 측면 시트(S2)의 절곡 부위에는 제 2 절곡점(420)이 형성된다.
제 1 절곡점(410)은 제 1 측면 시트(S1)와 바닥면 시트(B)를 일측으로 절곡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절곡점이 서로 이격되어 제 1 측면 시트(S1)와 바닥면 시트(B)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절곡점(410)은 제 1 측면
시트(S1)와 바닥면 시트(B)의 절곡 부위에 점 형태로 열을 가하여 시트를 경화시켜 형성하며, 이에 따라 시트에 충진재, 예를 들어 공기를 주입시키면 제 1 절곡점(410)에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 1 절곡점(410)은 다수개의 절곡점 각각이 에어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절곡점(420)은 바닥면 시트(B)와 제 2 측면 시트(S2)를 일측으로 절곡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절곡점이 서로 이격되어 제 2 측면 시트(S2)와 바닥면 시트(B)의 절곡 부위에 형성된다.
덮개 시트(C)는 제 2 측면 시트(S2)에서 연장되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포장 내에 제품을 수납한 후 제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측면 시트(S2)에서 직접 연장된 제 1 덮개 시트(C1)와, 제 1 덮개 시트(C1)에서 연장된 제 2 덮개 시트(C2)를 포함한다.
제 1 덮개 시트(C1)는 에어셀이 형성되어 에어백 포장에 수납된 제품의 일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덮개 시트(C1)가 제품의 일측면을 덮기 위해 제 1 덮개 시트(C1)와 제 2 측면 시트(S2) 사이에 제 3 절곡점(430)이 형성된다.
제 2 덮개 시트(C2)는 제 1 덮개 시트(C1)를 제 1 측면 시트(S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덮개 시트(C2)와 제 1 덮개 시트(C1) 사이는 제 4 절곡점(440)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덮개 시트(C2)에는 에어셀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제 2 덮개 시트(C2)는 제 1 측면 시트(S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제 1 덮개 시트(C1)와 제 2 덮개 시트(C2) 사이를 따라 공기주입관로는 제 1 덮개 시트(C1)에 충진재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된다.
접착부재(700)는 제 2 덮개 시트(C2)를 제 1 측면 시트(S1)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덮개 시트(C2)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덮개 시트(C2)에 마련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부재(700)는 제 2 덮개 시트(C2)와 접하는 제 1 측면 시트(S1)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접착부재(700)로 양면테이프를 예시하며, 에어백 포장에 제품을 수납한 후 양면테이프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제 2 덮개 시트(C1)와 제 1 측면 시트(S1)를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은 제품,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수납하고 양면테이프의 보호필름을 제거하여 제 2 덮개 시트(C1)와 제 1 측면 시트(S1)를 견고하게 부착한 후, 에어셀에 충진재, 예를 들어 공기를 주입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에어셀 중 하나 이상의 에어셀에는 공기 대신 발포제가 주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발포제는 제품 포장 시 날카로운 모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에 의해 에어셀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에 수납된 제품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즉, 발포제가 주입되어 경화된 에어셀은 제품의 날카로운 모
서리 또는 뾰족한 돌출부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손되더라도 발포제가 누출될 우려가 없으므로 에어백 포장에 수납된 제품이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의 모든 에어셀에는 공기 또는 발포
제만이 주입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은 에어셀이 형성된 시트에 절곡점을 형성하여 형상이 다양한 제품을 쉽게 수납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통기홀을 구성하여 내. 외부로 통기 기능을 부여하여 보관하는 제품을 제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은 덮개 시트에 에어가 충진되지 않는 영역을 형성하고 양면 테이프를 접착하여 제품을 쉽게 수납 밀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면시트 200: 후면시트
310: 제 1 열접합선 320: 제 2 열접합선
330: 제 3 열접합선 410: 제 1 절곡점
420: 제 2 절곡점 430: 제 3 절곡점
440: 제 4 절곡점 500: 통기홀
700: 접착부재

Claims (7)

  1. 충진재가 주입된 시트를 이용한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로서,
    제 1 측면 시트와,
    상기 제 1 측면 시트에서 연장되어 일측으로 절곡된 바닥면 시트와,
    상기 바닥면 시트에서 일측으로 연장 절곡되며, 상기 바닥면 시트와 대향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상기 제 1 측면 시트와 가장자리가 접합되어 대향하는 제 2 측면 시트와, 상기 제 2 측면 시트에서 연장되며, 충진재가 주입되는 제 1 덮개 시트와, 충진재가 주입되지 않는 제 2 덮개 시트를 가지는 덮개 시트와,
    제 2 열접합선 내부에 다수의 통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 시트와 상기 바닥면 시트의 절곡 부위와,
    상기 바닥면 시트와 상기 제 2 측면 시트의 절곡 부위 각각에 형성된 제 1 절곡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 시트와 상기 제 1 덮개 시트의 절곡 부위와,
    상기 제 1 덮개 시트와 상기 제 2 덮개 시트의 절곡 부위 각각에 형성된 제 2 절곡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점과 상기 제 2 절곡점은 다수개의 절곡점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덮개 시트에 마련된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가 주입된 시트는, 전면 시트와,
    상기 전면 시트와 대향하는 후면 시트와,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 사이에 에어셀이 형성되도록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 1 열접합선과,
    상기 전면 시트와 상기 후면 시트의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셀을 다수개로 구획하는 제 2 열접합선과, 제 2 열접합선을 제작할 때 동시에 형성되는 제 2 열접합선 내부에 다수의 통기홀이 구성되고,
    상기 제 1 덮개 시트와 상기 제 2 덮개 시트 사이를 따라 공기주입관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열접합선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열접합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KR1020140033816A 2014-03-24 2014-03-24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KR20150110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16A KR20150110040A (ko) 2014-03-24 2014-03-24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816A KR20150110040A (ko) 2014-03-24 2014-03-24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040A true KR20150110040A (ko) 2015-10-02

Family

ID=5434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816A KR20150110040A (ko) 2014-03-24 2014-03-24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0267B2 (ja) ボックス型輸送容器
KR101482311B1 (ko) 완충기능이 있는 포장백
US8783459B1 (en) Product suspension packaging
KR101461013B1 (ko) 곤포재 및 곤포체
JP5724288B2 (ja) 梱包体
US10442597B1 (en) Retention package with article-loading aper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10010315U (ko) 에어백 포장
KR20130123695A (ko) 내용물 파손방지용 우편물 배송 상자
JP6357218B2 (ja) 梱包材および梱包体
KR101753084B1 (ko) 이중 구조의 완충 포장백
KR102116990B1 (ko) 수용공간 형성 및 분리가 용이한 봉투형 포장지를 갖는 포장용 박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KR102113146B1 (ko) 보온 보냉 기능이 개선된 포장 박스
JP2012046217A (ja) 封筒
CN109178645B (zh) 一种m型吊床气柱装置
KR20150110040A (ko) 통기홀 에어셀 포장재
CN103204311B (zh) 防潮纸箱
KR20110138817A (ko) 충격완화를 위한 물품 포장용기 및 포장방법
US20220324631A1 (en) Mailing envelope with padding
JP6859738B2 (ja) 台紙付シュリンク包装体
KR200401579Y1 (ko) 포장팩
US20180002094A1 (en) Padded storage container
US20160016724A1 (en) Packing box for electric home appliance
KR101558300B1 (ko) 포장용 박스
JP7378722B2 (ja) 内設ボード及び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