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992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992A
KR20150109992A KR1020140033703A KR20140033703A KR20150109992A KR 20150109992 A KR20150109992 A KR 20150109992A KR 1020140033703 A KR1020140033703 A KR 1020140033703A KR 20140033703 A KR20140033703 A KR 20140033703A KR 20150109992 A KR20150109992 A KR 2015010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device
unit
flexible display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667B1 (ko
Inventor
김윤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단부와 대응하는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대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METHOD OF CONTROLL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른바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예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마치 종이처럼 형상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벤딩시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전자 액자, PDA,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유연하다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터치 이외에 형상 변형을 이용한 입력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좀 더 다양하고 효과적인 형상 변형을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단부와 대응하는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대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정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객체는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객체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부 상에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객체는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객체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객체 또는 제2 객체는 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형상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및 그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 방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의 일 예로 일반 벤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및 도10 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의 일 예로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진 경우, 그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을 구분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3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진 경우, 그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제1 객체(10), 제2 객체(20), 감지부(120), 저장부(14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진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의 크기 및 작용 방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도 1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MP3 플레이어,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 재생 화면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배경 화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방송 수신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제1 객체(10) 또는 제2 객체(20)는 디스플레이부(100) 상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객체(10) 또는 제2 객체(20)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렌즈, 필터, 스피커, 발광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객체(10) 또는 제2 객체(20)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10) 또는 제2 객체(20)는 모두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10)는 디스플레이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되고, 제2 객체(20)는 제1 단부와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제2 단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대향될 수 있다.
이 경우, 대향된 제1 객체(10)와 제2 객체(20)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이 변형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형상 변형이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진 힘에 의해 휘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형상 변형은 다르게는 벤딩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곡률 반경이 일정 값 이상이라면 일반 벤딩으로 하고, 일정 값 미만인 경우에는 폴딩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 벤딩 및 폴딩을 모두 포함하여 벤딩이라고 명명한다.
그 밖에,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 방향, 각도, 세기, 속도, 유지 시간, 횟수 등과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형상 변형의 종류가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저장부(14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컨텐츠, 사용자 설정 정보, 인증 정보, 기타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 는 제1 객체(10)와 제2 객체(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동작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형상 변형의 특성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형상 변형이 감지되면 그 형상 변형 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체크한다. 여기서 형상 변형 상태가 유지된다는 것은 더 이상 휘어지거나 또는 휨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휘어진 상태를 지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는 형상 변형이 수행된 후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을 벤딩 앤 홀드 제스쳐(bending & holdgesture)라고 명명한다. 또한, 형상 변형이 수행되었으나 유지되지 않고 바로 원래 상태로 펴지는 것을 벤딩 앤플랫 제스쳐(bending & flat gesture) 라고 명명한다. 원래 상태로 펴지는 동작은 플랫 이외에 언폴딩(unfolding), 언벤딩(unbending)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감지부(120)는 펼쳐진 각도, 위치, 방향, 세기, 속도등을 센싱하여 플랫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형상 변형 상태가 유지된 경우, 즉,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진 경우로 판단되면, 그 형상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수행되는 동작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감지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비디오 처리부(155), 통신부(160), GPS 수신부(165), DMB 수신부(166), 그래픽 처리부(170), 전원부(180), 스피커(185),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감지부(1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형 뿐만 아니라 터치, 회전, 움직임, 기울어짐, 압력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있다.
도 2에 따르면, 감지부(120)는 지자기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터치 센서(124), 벤드 센서(125), 압력 센서(126), 근접 센서(127), 그립 센서(128)를 포함한다.
지자기 센서(12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상태 및 이동 방향 등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12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21) 및 자이로 센서(122)는 둘 다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중 하나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회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지자기 센서(121), 자이로 센서(122), 가속도 센서(123)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방향이나 벤딩 영역 등과 같은 벤딩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24)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터치 센서(12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벤드 센서(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 및 개수로 구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벤딩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벤드 센서(12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다양한 예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압력 센서(126)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벤딩 조작을 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압력 센서(126)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되어 압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압전 필름(piezo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터치 센서(124) 및 압력 센서(126)가 별개의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센서(124)가 감압식 터치 센서로 구현된 경우, 그 감압식 터치센서가 압력 센서(126)의 역할도 함께 할 수도 있다.
근접 센서(127)는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근접 센서 (127)는 고주파 자계를 형성하여, 물체 접근 시에 변화되는 자계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고주파발진 형, 자석을 이용하는 자기 형, 대상체의 접근으로 인해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립 센서(128)는 압력 센서(126)와 별개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테두리나 손잡이 부분에서 배치되어, 사용자의 그립(grip)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그립 센서(128)는 압력 센서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각종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도에 부합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벤딩 앤 플랫 제스쳐나 벤딩 앤 홀드 제스쳐를 구분하여 인식함으로써, 각 제스쳐에 할당된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130)는 벤딩 제스쳐 이외의 터치 조작, 모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방식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터치 조작에는 단순 터치, 탭, 터치앤홀드, 무브, 플릭, 드래그 앤드랍, 핀치 인, 핀치 아웃 등과 같은 다양한 조작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그 실행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재생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60)를 통해서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 (160)는 와이파이칩(161), 블루투스 칩(162), NFC칩(163), 무선 통신 칩(164)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 칩(161), 블루투스 칩(162), NFC 칩(163)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 행한다. 이 중 NFC 칩(163)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111)이나 블루투스 칩(112)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164)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GPS 수신부(165)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DMB 수신부(166)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래픽 처리부(170)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부(180) 는 양극 집전체, 양극 전극, 전해질부, 음극 전극, 음극 집전체 및 이를 감싸는 피복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현된다. 전원부(18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함께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전체, 전극, 전해질, 피복 등은 유연한 특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부(180)의 구체적인 형상 및 재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5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55)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55)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 및 비디오 처리부(155)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나 DMB 방송 신호 등을 처리하여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비디오 처리부(155)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그래픽 처리부(170)에서 생성한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185)는 오디오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스피커(18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에 의하여 대향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조합을 소정의 스피커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과 제2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스테레오음원의 좌우음원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제1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과 제2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간의 댐핑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에 의하여 대향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조합을 소정의 헤드셋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휘어져서 헤드셋의 형태가 되는 경우,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헤드셋의 이어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버튼(191)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카메라(19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객체와 제2 객체는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객체에서 획득한 영상과 제2 객체에서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3D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3D 영상이 촬영될 수 있다.
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제2 객체는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제2 객체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에 의하여 대향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조합을 소정의 카메라 유닛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마이크(194)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형상 변형이나 터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 이외에도,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 음성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음성 인식 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각종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벤딩 제스쳐,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40)에는 센싱 모듈(미도시), 통신 모듈(143), 프리젠테이션 모듈(미도시) 또는 서비스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모듈(미도시)은 감지부(120)에 포함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값, 터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등과 같은 조작 속성을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 밖에, 경우에 따라서는, 센싱 모듈(미도시)은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미도시)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4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4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4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렌더링 모듈(14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미도시)이란 형상 변형 상태나 기타 다양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조작 내용에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미도시)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 프로그램 모듈들은 벤딩 앤 플랙 제스쳐나 벤딩 앤 홀드 제스쳐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 변형 상태에 매칭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RAM(131), ROM(132), 타이머(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버스(136)를 포함한다.
RAM(131), ROM(132), 타이머(133), 메인 CPU(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 13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35-1 내지 13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34)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3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34)는 ROM(13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RAM(13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34)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31)에 복사하고, RAM(13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메인 CPU(134)는 감지부(120)에 의해 형상 변형 상태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이전까지 수행 중이던 어플리케이션이나 기능, 또는, 그 시점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화면 레이아웃 등과 같이 그 시점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감지 신호의 변화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메인 CPU(134)는감지 신호의 변화가 정지되면 타이머(133)를 제어하여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신호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메인 CPU(134)는 현재 이루어진 제스쳐가 벤딩 앤 홀드 제스쳐라고 판단한다. 반면, 메인 CPU(134)는 감지 신호가 정해진 시간 미만으로 유지되거나 계속 변화하는 경우에는 그형상 변형 상태의 특징이 기 설정된 정보와 매칭하는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벤딩 앤 플랫 제스쳐나 기타 일반 벤딩, 폴딩, 롤링 등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CPU(134)는 판단이 완료되면, 그 제스쳐에 매칭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확인하고,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RAM(131)에 로딩한 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통신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110) 는 기판(111), 구동부(112), 디스플레이 패널(113) 및 보호층(114)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려지거나, 접혀지거나, 또는 말릴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기판(111)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가령, 고분자 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은 기초 소재(base film)에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이 양면으로 처리된 구조를 갖는다. 기초 소재의 경우, PI(Polyimide), PC(Polycarbonite),PET(Polyethyleneterephtalate),PES(Polyethersulfone),PEN(Polythylenenaphthalate), FRP(Fiber Reinforced Plastic) 등의 다양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배리어 코팅은 기초 소재에서 서로 대향되는 면에 수행되며,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기막 또는 무기막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기판(111)은 플라스틱 기판 외에도 유리 박막(thin glass) 또는 금속 박막(metal foil) 등과 같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 (113)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며,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OTFT(organic TF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복수의 화소 셀로 이루어진 유기 발광체 및 그 유기 발광체의 양면을 덮는 전극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112)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의 각 화소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셀을 발광시킨다. 이에 따라,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유기발광다이오드 외에도 EL, EPD(electrophoretic display), ECD(electrochromic display), LCD(liquid crystal disply), AMLCD, PDP(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LCD의 경우,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별도의 백라이트가 요구된다. 백라이트가 사용되지 않는 LCD의 경우에는 주변 광을 이용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없이 LCD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많은 야외 환경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보호층(114)은 디스플레이 패널(113)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보호층(114)에는 ZrO, CeO2, Th O2 등의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114)은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3) 표면 전체를덮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디스플레이부(110)는 전자 종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 종이는 종이에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일반 평판 디스플레이와는 다른 점이다.
한편,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를 변경할 수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가 투명한 재질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경우, 벤딩이 가능하면서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판(111)은 투명한 성질을 가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구현되고, 구동부(112)가 투명 트랜지스터로 구현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13)이 투명 유기 발광층 및 투명전극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투명성을 가질 수 있다.
투명 트랜지스터란 기존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투명한 실리콘을 투명한 아연산화물, 산화 티타늄 등과 같은 투명 물질로 대체하여 제작한 트랜지스터를 의미한다. 또한, 투명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나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래핀이란 탄소원자가 서로 연결돼 벌집 모양의 평면 구조를 이루며 투명한 성질을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그 밖에, 투명 유기 발광 층도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overall area) 또는 일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 내부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 변형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형상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성 및 그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벤드 센서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앞면에 내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벤드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뒷면에 내장될 수도 있고, 양면 모두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벤드 센서의 형태, 개수 및 배치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하나의 벤드 센서 또는 복수 개의 벤드 센서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벤드 센서는 하나의 벤딩 데이터를 감지하는 것일수도 있으나, 하나의 벤드 센서가 복수의 형상 변형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싱 채널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a 에서는 복수 개의 바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 예를 도시하였다.
도 4a 에 따르면, 벤드 센서는 제1 방향으로 나열된 벤드 센서(21-1 내지 21-5)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 로 나열된 벤드 센서(22-1 내지 22-5)를 포함한다. 각 벤드 센서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4a 에서는 가로 및 세로 방향 각각으로 5 개씩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크기 등에 따라 벤드 센서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벤드 센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형상 변형을 감지하기 위해서이므로, 일부분만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거나, 일부분에 대해서만 형상 변형을 감지할 필요가 있는 장치인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만 벤드 센서가 배치될 수도있다.
각 벤드 센서(21-1 내지 21-5, 22-1 내지 22-5)는 전기 저항을 이용하는 전기 저항식 센서 또는, 광섬유의 변형률을 이용하는 마이크로 광섬유 센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벤드 센서가 전기 저항식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 는 하나의 벤드 센서를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면에 배치하여 벤딩을 감지하는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b 에 따르면, 벤드 센서 (71)는 원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을 이루는 폐곡선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1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폐곡선 상에서 출력값 변화가 감지되는 지점을 벤딩 영역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벤드 센서는 S자나 Z자, 기타 지그재그(zigzag)와 같은 개곡선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10)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라인 형태의 벤드 센서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단편적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복수 개 사용하여 벤딩을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10)의 전체 영역은 벤딩이 감지되는 벤딩 영역(B)과 벤딩이 감지되지 않는 플랫 영역(F) 및 그 경계 라인(L)으로 구분된다.
벤딩 영역(B)과 플랫 영역(F) 사이의 경계 라인(L)은 다르게는 벤딩 라인이라고 칭할 수도 있다.
벤딩은 다양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벤딩이 이루어지는 위치는 사용자가 명확하게 입력을 구분할 수 있도록 모서리 영역, 가장자리 영역, 중심 영역, 대각선 영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는 상하좌우 모서리 영역, 상하좌우 가장자리 영역, 세로 중심 영역, 가로 중심 영역, 좌측 대각선 영역, 우측 대각선 영역과 같이 총 12개의 위치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라인의 기울기나 그 위치를 세밀하게 구분하지 않고, 벤딩 라인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12개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벤딩이 정확한 라인을 따라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 면적을 가지는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기만 하면,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먼저, 도 5의 (a)는 상하좌우 4개의 모서리 영역(41, 42, 43, 44)을 벤딩 감지 영역으로 지정한 경우, 도 5의 (b)는 중심 부분을 제외한 가장 자리 영역(45)을 벤딩 감지 영역으로 지정한 경우, 도 5의 (c)는 중심을 가로지르는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벤딩 감지 영역(46)을 지정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의 (d)는 대각선 방향으로의 벤딩을 감지하기 위한 벤딩 감지 영역(47)을 지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의 (c), (d)에 따르면,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중심을 가로질러 벤딩이 이루어지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중심을 가로질러 벤딩이 이루어지면 그 제스쳐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한다.
도6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 방향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을 Z+ 방향으로 정의하고, 도 6의 (b)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Z-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Z+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이 안쪽으로 폴딩되는 방향이고, Z- 방향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이 바깥 쪽으로 폴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7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 정도를 구분하기 위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벤딩 각도의 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7의 (a)는 벤딩이 완만하게 이루어 진 상태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입력을 구분할 수 있는 경우, 그 벤딩 각도를 예각, 둔각, 90도, 10도 미만 등으로 구분하여 각 각도 별로 기능을 매칭시킬 수 있다. 즉, 도 7의 (a)와 같이 벤딩 각도 θ가 90도를 초과하는 둔각인 경우, 도 7의 (b)와 같이벤딩 각도 θ가 90도 미만인 예각(즉, 10~90도 사이)인 경우, 도 7의 (c)와 같이 벤딩 각도 θ가 90도인 경우, 도 7의 (d)와 같이 완전히 구부려져 벤딩 각도 θ가 10도 미만인 경우 등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기능을 매칭시켜 둘 수 있다. 도 7의 (d)에서는 10도 미만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그 각도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7의 (b) 또는 (d)와 같은 수준으로 벤딩이 이루어진 경우를 폴딩(Folding)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상에 각각 배치된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되는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거리가 달라질수록, 제1 객체에서 획?되는 데이터와 제2 객체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의 조합은 다양해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객체와 제2 객체의 유닛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8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의 일 예로 일반 벤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그 중심에 위치한 중심 영역이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형상 변형된 경우, 형상 변형에 의한 장력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벤드 센서들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각 벤드 센서의 저항값이 달라지게 된다. 감지부(120)는 각 벤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 표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형상 변형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져서 구부러진 영역을 의미한다. 형상 변형에 의해 벤드 센서가 함께 구부러지게 되므로, 형상 변형 영역은,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가 배치된 모든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저항값 변화가 감지된 지점들간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벤딩 라인의 크기, 벤딩 라인의 방향, 벤딩 라인의 위치, 벤딩 라인의 개수, 벤딩의 횟수, 형태가 변화되는 벤딩 속도, 벤딩 영역의 크기, 벤딩 영역의위치, 벤딩 영역의 개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9 및 도10 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의 일 예로 폴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폴딩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구부러진 영역으로, 벤딩의 경우와 같이 벤드 센서가 구부러짐에 따라 원 상태에서와는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벤드 센서의 모든 지점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폴딩 영역을 정의 및 구분하는 방식은 벤딩 영역에서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일정 벤딩 각도 이상으로 벤딩되는 폴딩이 이루어지면, 벤딩 라인에 해당하는 지점에서는 저항 값이 일정 크기 이상의 크기로 센싱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폴딩인지 일반 벤딩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표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을 정도로 벤딩이 가능하다면, 제어부(130)는 터치가 이루어지는지 까지 고려하여 폴딩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9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앞면으로 폴딩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앞면에서 서로 이격된 영역이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의 일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며, 저항 값의 변화 정도도 일반 벤딩의 경우보다 더 크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벤딩이 이루어진 가장자리 경계로부터 벤딩 라인(X-X)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산출된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폴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의 가장자리가 Z+ 방향으로 벤딩되어 앞면으로 폴딩되면, 제1 객체(10a) 와 제2 객체(20a)는 아주 근접한 거리를 두고 대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객체(10a) 와 제2 객체(20a)의 조합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객체(10a)가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제2 객체(20a)가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유닛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객체(20a)의 렌즈의 종류(망원 렌즈, 접사 렌즈, 어안 렌즈 등)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접사 촬영 및 망원 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객체(20a)의 렌즈는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객체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렌즈가 교체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만으로도 카메라 유닛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객체(20a)인 렌즈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렌즈의 초점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10a)가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제2 객체(20a)가 필터를 포함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필터 효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객체(20a)가 편광 필터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부 표면의 반사를 줄이거나, 파란 하늘색을 어둡게 하는 등의 필터 효과를 즉시 주면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객체가 디스플레이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필터는 교체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만으로도 다양한 필터 효과가 즉각 도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제1 객체(10a) 와 제2 객체(20a)가 전면 카메라 또는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되는 경우, 제1 객체에서 획득한 영상과 제2 객체에서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10a) 와 제2 객체(20a)가 복수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경우, 제1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과 제2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사운드의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과 제2 객체에서 출력되는 음원이 좌우음원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테레오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객체(10a) 와 제2 객체(20a)가 복수개의 발광부로 구현되는 경우, 제1 객체에서 발광되는 빛과 제2 객체에서 발광되는 빛을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세기를 가진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객체에서 발광되는 빛과 제2 객체에서 발광되는 빛을 합하여 더 밟은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도11 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진 경우, 그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을 구분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부는 X-X'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고, 그 벤딩 상태가 유지되면, 디스플레이부는 일 영역(200a) 과 타 영역(200b)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분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1 화면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타 영역에 제2 화면이 출력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이 구분되면, 두 명의 사용자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에서 다양한 프리젠테이션이나 교육, 상담이 가능해 질 수 있다.
그 밖에, 도 11와 같이 화면이 구분된 상태에서 한 쪽에서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게 되면, 다른 쪽 화면에서도 동일한 그림이나 글씨가 그대로 표시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들을 순서대로 상술한다.
도12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 200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를 감지한다.
단계 210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210 에서 감지된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단부 상에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한다.
단계 220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단계 210 에서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결정한다.
단계 230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 220 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한다.
단계 240 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13a 내지 도13b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진 경우, 그 위치에 기초하여 화면을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일 예를 도면이다.
도13a 내지 도13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객체가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제2 객체가 상기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 유닛으로써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도13a 은 촬영자의 관점에서 피촬영자들을 바라보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3b 은 피촬영자의 관점에서 촬영자를 바라보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13a 내지 도13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심 부분에서 벤딩 앤 홀드 제스쳐가 이루어졌을 때 디스플레이부(110)는 X-X'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이 이루어지고, 그 벤딩 상태가 유지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일 영역(200a) 과 타 영역(200b)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이러한 상태에서 구분된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1 화면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타 영역에 제2 화면이 출력된다.
예를 들면, 도13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영역(200a)에 출력되는 제1 화면은 피촬영자들의 라이브 뷰 영상일 수 있고, 도13b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 영역(200b)에 출력되는 제2 화면은 피촬영자들이 현재 촬영 중임을 알 수 있는 텍스트 콘텐츠일 수 있다. 또는 제2 화면은 촬영자의 라이브 뷰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3a 및 도1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폴딩과 같이 곡률 반경이 작은 벤딩이 아니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곡률 반경이 일정 값 이상인 일반 벤딩의 경우에는 화면 간의 경계 라인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휘는 영역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겹치도록 표시하면서 투명한 그라데이션 효과를 부여하여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할 수도 있고, 모자이크 효과를 부여하여 두 영역이 서로 겹치는 것처럼 표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메모리(permanent storage),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은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감지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0: 제1 객체
20: 제2 객체

Claims (17)

  1.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단부에 배치된 제1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제1 단부와 대응하는 제2 단부에 배치된 제2 객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상기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대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단부 상에서 형상 변형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타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1 화면을 출력하고, 타 영역에 동작 정보에 따른 제2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동작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배치된 제1 객체와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대향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형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형상 변화인 벤딩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촬상부에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객체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영상을 촬상하는 복수의 촬상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객체 또는 상기 제2 객체는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33703A 2014-03-21 2014-03-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47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703A KR102247667B1 (ko) 2014-03-21 2014-03-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703A KR102247667B1 (ko) 2014-03-21 2014-03-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992A true KR20150109992A (ko) 2015-10-02
KR102247667B1 KR102247667B1 (ko) 2021-05-03

Family

ID=5434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703A KR102247667B1 (ko) 2014-03-21 2014-03-2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5137B2 (en) 2016-09-12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10777115B2 (en) 2017-05-26 2020-09-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904418B2 (en) 2018-09-11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view using at least two image sensors based on operating mode corresponding to folding angle
US11222602B2 (en) 2019-03-27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752A (ko) 2020-11-06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4852A1 (en) * 2005-06-15 2006-12-21 Microsoft Corporation Peel back user interface to show hidden functions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40724B1 (ko) * 2012-02-29 2013-03-1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4852A1 (en) * 2005-06-15 2006-12-21 Microsoft Corporation Peel back user interface to show hidden functions
KR20120023458A (ko) * 2010-09-03 2012-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40724B1 (ko) * 2012-02-29 2013-03-11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연속된 화면 제공 방법
KR20140017420A (ko) * 2012-08-01 201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5137B2 (en) 2016-09-12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US10777115B2 (en) 2017-05-26 2020-09-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904418B2 (en) 2018-09-11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view using at least two image sensors based on operating mode corresponding to folding angle
US11222602B2 (en) 2019-03-27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667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2391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0440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9856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1045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91641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015215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63952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US9632576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69959B1 (ko) 플렉서블 및 그 제어 방법
JP6250675B2 (ja) 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装置の制御方法
KR10216374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281654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eyesight
KR20160002662A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JP2015529915A (ja) フレキシブ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4766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327139B1 (ko) 밝기를 조절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밝기 조절 방법
KR102036366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3502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388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2233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5533A (ko) 전자 장치 및 색인 표시 방법
KR10211630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12173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