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876A -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876A
KR20150109876A KR1020140033354A KR20140033354A KR20150109876A KR 20150109876 A KR20150109876 A KR 20150109876A KR 1020140033354 A KR1020140033354 A KR 1020140033354A KR 20140033354 A KR20140033354 A KR 20140033354A KR 20150109876 A KR20150109876 A KR 20150109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rmwork
fixing
engag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근
오한성
Original Assignee
오경근
오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근, 오한성 filed Critical 오경근
Priority to KR102014003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876A/ko
Publication of KR2015010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876A/ko

Links

Image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에서, 거푸집은 다수 개의 결합홈이 구비되며, 거푸집의 측면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판형 부재로,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삽입되며, 일정 간격마다 거푸집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삽입부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고, 삽입부가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삽입될 때 외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삽입부와 걸림부의 결합된 형태가 T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거푸집의 결합홈과 삽입부의 체결홈에 웨지핀을 포함하는 체결구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이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Conneting member for fixing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폼(Euro-form) 또는 알루미늄폼(aluminum-form)과 같은 거푸집을 조립할 때 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견고하게 연결시켜 수직ㆍ수평버팀대(일명 일본식 명칭'요꼬다대')의 설치를 줄이거나 생략가능하며, 콘크리트면이 평탄하도록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벽체 및 기둥 등의 두께를 기준으로 거푸집을 먼저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종래에는 합판과 각목을 이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하였으나, 최근에는 공기단축 및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철근 콘크리트 작업시 표준화된 규격으로 미리 제작된 유로폼(Euro-form)을 사용하며, 여기서 유로폼이란 목재 거푸집과 금속 거푸집의 장점을 혼합하여 만든 거푸집을 말한다.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측면은 합판 등의 목재를 사용하여 구성하고, 외측면은 금속을 사용하여 만든 거푸집을 유로폼이라 하며, 이러한 유로폼은 일반적인 목재 거푸집에 비하여 설치가 간편하므로 거푸집의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몇 번이고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에 있어서 활용도가 높은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로폼을 사용하여 완성된 전체 거푸집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체 거푸집(1)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유로폼(11)을 각각 웨지핀(12, Wedge Pin) 등으로 고정하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유로폼(11)을 각각 플랫타이(13, FlatTie) 등으로 고정하여 완성된다. 유로폼(11)에는 유로폼(11) 상호 간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재, 예컨대 웨지핀(12)이나 플랫타이(13)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1a) 들이 사전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설계에 따라 적합한 위치에 유로폼(11)을 배치한 뒤 체결부재(12,13)를 통해 배치된 유로폼(11)을 상호 결합하는 것만으로 전체 거푸집(1)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플랫타이(13)는 대향되게 배치된 유로폼(11) 상호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유로폼(11)이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겸한다. 전체 거푸집(1)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대향되게 배치된 유로폼(11)의 상면에 타이로드(미도시)를 배치하고, 타이로드(미도시)의 양단부를 클램프(미도시)로 유로폼(11)에 각각 결합시키고, 배면에 수직ㆍ수평버팀대(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에 따라 대향되게 배치된 유로폼(11)의 상면이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전체 거푸집(1)은 대향되게 배치된 유로폼(11)의 상면에 각각 타이로드(미도시)를 배치하고 클램프(미도시)를 체결해야 하고 수직ㆍ수평버팀대(미도시)를 설치해야 하기에 작업이 번거로우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라 완성된 전체 거푸집(1)은 설치되는 타이로드(미도시)의 개수를 줄이거나 클램프(미도시)를 느슨하게 조이거나,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아 수직ㆍ수평버팀대(미도시)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대향되게 배치된 유로폼(11) 상호 간이 벌어짐에 따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면이 평탄하게 구성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제작된 연결부재를 타이부재와 결속시켜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하여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거푸집을 고정 및 연결시킴으로써 수직ㆍ수평버팀대의 작업을 줄이거나 생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측압에 안정적으로 저항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움직임이 최소화됨으로써 양생된 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에서, 거푸집은 다수 개의 결합홈이 구비되며, 거푸집의 측면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판형 부재로,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삽입되며, 일정 간격마다 거푸집의 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이 형성된 삽입부;와 삽입부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고, 삽입부가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 사이에 삽입될 때 외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삽입부와 걸림부의 결합된 형태가 T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거푸집의 결합홈과 삽입부의 체결홈에 웨지핀을 포함하는 체결구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이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부재를 통하여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 등의 거푸집과 인접한 거푸집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 설치하기에 추가적인 버팀대 작업을 줄이거나 생략가능함에 따라 시공시간이 단축되어 인건비를 포함한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는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변형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하도록 거푸집의 측면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콘크리트 양생면이 평탄하게 구성되어 미려한 외관을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면처리 등의 후속작업이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에 거푸집이 조립ㆍ설치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가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가 거푸집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의 일실시예를 모델(model)로 만들어 조립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가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에서, 거푸집(F)은 다수 개의 결합홈(FH)이 구비되며, 거푸집(F)의 측면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판형 부재로,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삽입되며, 일정 간격마다 거푸집(F)의 결합홈(FH)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122)이 형성된 삽입부(120);와 삽입부(120)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고, 삽입부(120)가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삽입될 때 외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삽입부(120)와 걸림부(140)의 결합된 형태가 T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거푸집(F)의 결합홈(FH)과 삽입부(120)의 체결홈(122)에 체결구(200)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이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단 하나의 부재(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삽입 설치하고 고정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거푸집(F)은 후에 형성되는 구조물의 형상을 만들기 위한 틀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의 거푸집(F)은 일반적인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과 같이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결합홈(F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거푸집(F)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프레임으로 구획된 형태의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측면에 및 프레임 내부에 체결부재를 결속시키기 위한 결합홈(FH)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는 T형상의 부재로써, 삽입부(120)와 걸림부(140)로 구성된다.
삽입부(120)는 긴 사각막대의 형상으로 거푸집(F)의 일측이 거푸집(F)의 가장자리에 접합되고, 타측이 인접한 거푸집(F)의 가장자리에 접합된다. 즉 거푸집(F), 삽입부(120), 인접한 거푸집(F) 순서대로 설치된다. 이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이 되도록 삽입부(120)의 폭과 거푸집(F) 측면의 폭이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삽입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양측면을 관통하는 형태의 체결홈(1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홈(122)은 상술한 거푸집(F)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FH)과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왜냐하면 삽입부(120)가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된 후, 체결홈(122)과 결합홈(FH)을 관통하는 체결구(200)(웨지핀, 볼트형태 등)를 통하여 고정 연결되기 때문이다.
걸림부(140)는 삽입부(120)와 일체로 제작되며, 삽입부(120)의 일단에서 양쪽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삽입부(120)가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삽입될 때 걸림부(140)는 거푸집(F)들의 외면에 걸리게 되며, 양쪽의 거푸집(F)과 삽입부(120)의 결속력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그리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저항하여 거푸집(F)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며 콘크리트 양생면이 평탄토록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가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와 타이부재(300, Tie)를 일체화된 것을 나타낸다. 이를테면 본 발명의 걸림부(140)는 삽입부(120)의 체결홈(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부분이 내측으로 소정의 폭 만큼 경사지어 삽입부(120)와 연결되고, 삽입부(120)는 체결홈(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걸림부(140)와 접하는 반대 방향의 단부부분이 소정의 폭만큼 절개되며, 삽입부(120)와 양측으로 접하는 거푸집(F)은 삽입부(120)가 절개된 부분과 동일선상에 해당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어, 삽입부(120)와 거푸집(F)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타이부재(300)가 삽입되고 체결구(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자세히 말하면,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로 타이부재(300)를 설치할 때 타이부재(300)의 양단이 거푸집(F)과 삽입부(120)의 절개된 부분을 관통하고, 그 관통된 부분은 삽입부(120)와 거푸집(F)에 형성된 체결홈(122) 및 결합홈(FH)과 동일선상에 위치한 상태로 체결구(200)가 결속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로써 종래의 유로폼이나 알루미늄폼을 설치할 때 많이 필요하던 웨지핀 등의 작업과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F)과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기에 구조물의 스팬 및 규모에 따라 수평ㆍ수직버팀대의 작업도 줄이거나 생략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4(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는, 삽입부(120)가 양측 단부의 폭이 소정 돌출된 I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삽입부(120)의 상부와 하부가 소정 돌출되기에 거푸집(F)의 측면에 결합될 때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진동이 저감됨으로써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보다 효율적으로 저항토록 해준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는, 걸림부(140)에서 상기 삽입부(120)와 반대편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1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60)는 걸림부(140)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삽입부(120) 및 걸림부(140)와 함께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돌출부(160)가 추가로 구성됨으로써 2차모멘트의 저항력이 증가하여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보다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의 일시시예를 모델(model)로 만들어 조립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계획된 위치에 다수 개의 거푸집(F)을 세우는 단계; (b)다수 개의 거푸집(F) 사이에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삽입하고 체결구(200)를 결합하는 단계; 및, (c)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로 연결된 거푸집(F)과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a´)계획된 위치에 다수 개의 거푸집(F)을 세우는 단계; (b´)다수 개의 거푸집(F) 사이에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삽입하고 거푸집(F)과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의 걸림부(140)의 절개된 부분에 타이부재(300)를 삽입한 후, 결합홈(FH)과 체결홈(122)에 체결구(200)를 결합하고 타이부재(300)를 고정하는 단계; (c´)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로 연결된 거푸집(F)과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b´)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부재(300)를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와 일체화시키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거푸집(F)의 측면과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의 걸림부(140)의 일부가 절개되어 타이부재(300)의 삽입을 용이토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F: 거푸집 FH: 결합홈
100: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120: 삽입부
122: 체결홈 140: 걸림부
160: 돌출부 200: 체결구
300: 타이부재

Claims (6)

  1.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에서,
    상기 거푸집(F)은 다수 개의 결합홈(FH)이 구비되며,
    상기 거푸집(F)의 측면과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는 판형 부재로, 상기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삽입되며, 일정 간격마다 상기 거푸집(F)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FH)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홈(122)이 형성된 삽입부(120);와
    상기 삽입부(120)의 일단에서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120)가 상기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 사이에 삽입될 때 외면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부(120)와 걸림부(140)의 결합된 형태가 T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F)의 결합홈(FH)과 상기 삽입부(120)의 체결홈(122)에 체결구(200)가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거푸집(F)과 인접한 거푸집(F)이 연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는,
    상기 걸림부(140)에서 상기 삽입부(120)와 반대편에 수직으로 돌출 연장되는 돌출부(1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3. 제1항에서,
    상기 삽입부(120)는 양측 단부의 폭이 소정 돌출된 I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걸림부(140)는 상기 삽입부(120)의 체결홈(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된 부분이 소정의 폭 만큼 내측으로 경사지어 삽입부(120)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부(120)는 체결홈(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걸림부(140)와 접하는 반대 방향의 단부부분이 소정의 폭만큼 절개되며,
    상기 삽입부(120)와 양측으로 접하는 거푸집(F)은 상기 삽입부(120)가 절개된 부분과 동일선상에 해당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어, 상기 삽입부(120)와 거푸집(F)의 절개된 부분을 통하여 타이부재(300)가 삽입되고 체결구(20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a)계획된 위치에 다수 개의 거푸집(F)을 세우는 단계;
    (b)상기 다수 개의 거푸집(F) 사이에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삽입하고 체결구(200)를 결합하는 단계; 및,
    (c)상기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로 연결된 상기 거푸집(F)과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6. 제4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
    (a´)계획된 위치에 다수 개의 거푸집(F)을 세우는 단계;
    (b´)상기 다수 개의 거푸집(F) 사이에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를 삽입하고 상기 거푸집(F)과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의 삽입부(120)의 절개된 부분에 타이부재(300)를 삽입한 후, 결합홈(FH)과 체결홈(122)에 체결구(200)를 결합하고 타이부재(300)를 고정하는 단계;
    (c´)상기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100)로 연결된 상기 거푸집(F)과 마주보이는 거푸집(F)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140033354A 2014-03-21 2014-03-21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109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54A KR20150109876A (ko) 2014-03-21 2014-03-21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54A KR20150109876A (ko) 2014-03-21 2014-03-21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76A true KR20150109876A (ko) 2015-10-02

Family

ID=5434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54A KR20150109876A (ko) 2014-03-21 2014-03-21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98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64U (ko) * 2020-12-16 2022-06-23 박래윤 U형 측구의 시공을 위한 유로폼 가설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464U (ko) * 2020-12-16 2022-06-23 박래윤 U형 측구의 시공을 위한 유로폼 가설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93355A1 (en) Insulated concrete panel form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0359701B (zh) 一种外墙模板
JP2016501330A (ja) 鋳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鋳型設置方法
US20100269433A1 (en) Buck system
KR101702958B1 (ko) 기둥용 거푸집 장치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101702459B1 (ko)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102259453B1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20150109876A (ko) 거푸집 고정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48560B1 (ko) 거푸집 고정구조
KR102471710B1 (ko) 거푸집 확장장치
KR20170085789A (ko) 거푸집 패널
JP3392132B1 (ja) 型枠用セパレータ、型枠パネル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システム並びに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KR20190051210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탈부착 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0516848B1 (ko) 앵커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 거푸집 체결 구조
RU190658U1 (ru) Стяжка строительная
KR20150110132A (ko)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3707017B2 (ja) 壁体の構築方法とその表装型枠
KR101310843B1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JP6788241B2 (ja) 開口部用埋設部材、それを用いた開口部構造の施工方法、及び開口部構造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100951014B1 (ko) 거푸집의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