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243A -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243A
KR20150109243A KR1020140118554A KR20140118554A KR20150109243A KR 20150109243 A KR20150109243 A KR 20150109243A KR 1020140118554 A KR1020140118554 A KR 1020140118554A KR 20140118554 A KR20140118554 A KR 20140118554A KR 20150109243 A KR20150109243 A KR 20150109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olarizing plate
laminate
peeled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468B1 (ko
Inventor
히로유키 아베
다카시 가와이
데루아키 오사와
도모카즈 유라
마도카 아사쿠라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63/0013Removing ol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65H2301/5112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peeling layer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2Composite material
    • B65H2701/1726Composite material including detachabl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61Display device manufacture, e.g.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65H29/56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for stripping from elements 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적층체가 적재되는 스테이지 부재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가 유지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편광판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박리 장치이다.

Description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PEELING APPARATUS AND PEELING METHOD}
본 발명은,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부에 적용되는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패널은, 경질 유리판 등에 의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한쪽 면 또는 표리 양면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접착된 편광판(편광 필름)을 갖는 적층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액정 표시 패널 등은, 기판에 편광판을 접착함으로써 제조되고, 제조 후에 검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검사에서는, 접착된 편광판의 오염이나 파손, 상기 편광판과 기판 사이에의 공기나 이물의 혼입 등의 문제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함으로써, 얻어진 기판을 다른 액정 표시 패널 등의 제조에 재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광판을 박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리워크라 불리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박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광학 패널인 적층체를 연직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협지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진동 가능한 상태로 스테이지 상에 적재하고, 적층체의 기판으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의 일단부를 예를 들면 권취 롤러에 걸치고, 상기 스테이지를 박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박리된 편광판을 권취 롤러로 권취하여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박리 장치에 의하면,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의 편광판측의 면이 누름 롤러에 의해 눌려지면서,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이 상기 누름 롤러의 둘레면을 따라서 만곡되고, 만곡된 편광판이, 회전하는 권취 롤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이 권취에 의해, 누름 롤러를 통하여 편광판이 다시 박리되고, 박리된 편광판이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이와 같이, 상기 누름 롤러를 구비한 박리 장치에서는, 권취 부재의 권취력이, 누름 롤러를 통하여, 편광판을 박리하는 힘으로 변환된다. 또한, 진동을 가하면서 편광판을 박리하기 때문에, 박리가 용이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561호 공보
그러나,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에 있어서 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은, 원래 박리될 것이 예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즉, 원래 박리될 것을 전제로 하여 하나의 필름이 다른 부재에 접착되는 경우보다, 훨씬 강한 접착력으로 편광판이 기판에 접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박리 장치를 사용하여 편광판을 박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강한 접착력에 저항하여 편광판을 박리하기 때문에, 그 강한 접착력에 의해, 편광판이 박리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단부에 있어서, 편광판이 찢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편광판이 찢어지면, 남은 편광판을 별도로 박리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만큼, 편광판 전체를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편광판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을 기판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용 문헌 1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 편광판이 찢어지는 이유에 대하여 예의 연구한바, 당해 박리 장치에 의해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을 박리할 때,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박리 기점)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이 상이하고, 장력이 비교적 큰 단부에 있어서 편광판이 찢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예의 연구하여, 적층체 및 박리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편광판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을 갖는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적층체가 적재되는 스테이지 부재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유지하면서,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적층체와 평행한 가상 평면 상에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가 상기 스테이지 부재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와 함께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이 걸쳐지면서 상기 편광판을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판상의 박리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박리 보조 부재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편광판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와,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선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보조 부재가,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가 걸쳐져 회전함으로써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하는 권취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박리 방법은,
스테이지 부재 상에,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을 갖는 적층체를 적재하는 적재 공정과,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박리하여 상기 일단부를 박리 부재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적층체와 평행한 가상 평면 상에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적재 공정에서는 상기 스테이지 부재 상에 상기 적층체를 고정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편광판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와,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기 위한 곡면을 갖는 선단부를 포함하는 박리 보조 부재를 사용하여,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상기 선단부에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보조 부재가,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를 따라서 안내시킨 편광판을, 다시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로서 권취 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유지 공정에서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박리하여 상기 권취 부재에 걸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권취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에 구비된 스테이지 부재가 회전 가능한 것을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4는 편광판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5는 편광판에 가해진 장력이 해소되는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6은 편광판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7은 편광판에 가해진 장력이 해소되는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8은 박리된 편광판의 일단부가 권취 부재에 걸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9는 권취 부재의 회전에 의해 편광판이 다시 박리되면서, 박리된 편광판이 순차적으로 권취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0은 권취 부재의 회전에 의해 편광판이 모두 박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이 적용되는 적층체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적층체 중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에 구비된 박리 보조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5는 박리 보조 부재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 있어서,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이 박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6은 박리 보조 부재의 선단부의 곡률 반경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 있어서, 적층체로부터 편광판이 박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상면도.
도 20은 박리 부재에 의해 편광판이 다시 박리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는, 기판(31)과 상기 기판(31)의 한쪽 면(31a)(도 11 참조) 상에 접착된 편광판(33)을 갖는 적층체(30)가 적재되는 스테이지 부재(3)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유지하고,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박리 장치(1)는,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된 편광판(33)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33)의 경계 부분(박리 기점으로 되는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F1, F2)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내지 도 7 참조).
구체적으로는, 박리 장치(1)는,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에 고정되어 있고,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장치(1)는, 박리 부재(5)로서,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되고 또한 박리 보조 부재(7)에 의해 만곡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가 걸쳐져, 회전함으로써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권취하는 권취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박리 장치(1)는,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40)와, 박리 보조 부재(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박리 장치(1)는, 권취 부재(5)와 박리 보조 부재(7) 사이에 배치되며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를 향하여 가압하여,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9)를 더 구비하고 있다. 박리 장치(1)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이에 두고 권취 부재(5)의 반대측(도 1에 있어서 박리 보조 부재(7)보다 좌측)에 배치되며, 편광판(33)이 박리되어 노출된 기판(31)을 스테이지 부재(3)에 대하여 가압하여,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11)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박리 장치(1)는, 상기 권취 부재(5), 박리 보조 부재(7), 제1 지지 부재(9) 및 제2 지지 부재(11)가, 스테이지 부재(3)와는 별도로 독립하여, 도시하지 않은 고정용 부재에 의해, 박리 장치(1) 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지 부재(3)는, 적층체(30)로부터 모든 편광판(33)이 박리될 때까지의 동안, 적층체(30)가 적재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스테이지 부재(3)로서, 그 위에 적층체(30)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채용한다. 상기 스테이지 부재(3)로서는, 예를 들면 공기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판상 부재이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에 부착시킴(에어 흡착)으로써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에 고정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테이지 부재(3)는, 본 실시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층체(30)를 적재 가능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적층체(30)와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회전축 R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30)가 고정되는 스테이지 부재(3)가, 상기 회전축 R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하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는, 상기 스테이지 부재(3)를 지지하는 지지용 부재(40)에 대하여, 회전축 R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용 부재(40)는,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용 부재(40)는, 그 주체를 이루는 본체부(41)와, 상기 본체부(41)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 부재(4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43)의 상면에 스테이지 부재(3)가 고정됨으로써, 스테이지 부재(3)가, 지지용 부재(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용 부재(40)는, 박리 방향 X에 있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지지용 부재(40)의 이동에 수반하여, 스테이지 부재(3) 및 적층체(30)가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박리 부재(5)로서의 권취 부재(5)는,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가 걸쳐지고, 이 상태에서, 상기 권취 부재(5)의 길이 방향을 따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권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권취 부재(5)로서는, 예를 들면 모터 등의 구동 장치(17)에 의한 구동을 받아 회전하는 롤러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부재(5)가, 상기 고정용 부재에 의해, 박리 장치(1)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다(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회전을 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권취 부재(5)에는, 상기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가 접착 테이프(도시 생략) 등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편광판(33)이, 점착제층(35)(도 11 참조)과 함께 박리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지지 부재(9)는, 권취 부재(5)와 박리 보조 부재(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를 향하여 가압하여,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지지 부재(9)에 의해, 권취 부재(5)의 권취에 의해 편광판(33)이 박리될 때, 적층체(30)(및 노출된 기판(31))가 스테이지 부재(3)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편광판(33)이 보다 박리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제1 지지 부재(9)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 롤러를 들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11)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이에 두고 권취 부재(5)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편광판(33)이 박리되어 노출된 기판(31)을 스테이지 부재(3)에 대하여 가압하여,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지지 부재(11)에 의해, 권취 부재(5)의 권취에 의해 편광판(33)이 박리될 때, 노출된 기판(31)(나아가, 이것과 함께 적층체(30))이 스테이지 부재(3)로부터 부상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보다 박리되기 쉬워진다.
이러한 제2 지지 부재(11)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 롤러를 들 수 있다.
상기 권취 부재(5), 박리 보조 부재(7), 제1 지지 부재(9) 및 제2 지지 부재(11)는, 박리 방향 X(스테이지 부재(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 및 스테이지 부재(3)(의 상면)와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높이)에서, 상기 고정용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 부재(5), 박리 보조 부재(7), 제1 지지 부재(9) 및 제2 지지 부재(11)가 박리 장치(1) 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이들에 대하여, 스테이지 부재(3)가, 박리 방향 X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박리 보조 부재(7)는,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이 걸쳐지면서 상기 편광판(33)을 권취 부재(5)로 안내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편광판(33)을 안내함으로써, 박리 부재(5)에 의한 편광판(33)의 박리를 보조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보조 부재(7)는 롤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박리 보조 부재(7)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재, 탄소공구강재, 고속도공구강재, 크롬강재, 크롬몰리브덴강재, 망간강재, 그 밖에, 합금류재 및 세라믹 소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보조 부재(7)는 중공이어도 중실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에 의하면, 기판(31)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할 때,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에, 스테이지 부재(3) 또는 권취 부재(5)를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는, 스테이지 부재(3) 및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스테이지 부재(3) 및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 스테이지 부재(3) 또는 권취 부재(5)를 상기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그 차를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장력 F1이 타단부의 장력 F2보다 높아진 경우, 경계 부분 S에서는, 장력이 큰 상기 일단부에, 상기 일단부로부터 장력이 작은 상기 타단부로 적층체(30)를 압출하는 힘(도 4의 상방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상기 일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 힘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도 5의 시계 방향의 회전력)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일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타단부를 향하는 힘을 완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와는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단부의 장력 F2가 상기 일단부의 장력 F1보다 높아진 경우, 경계 부분 S에서는, 장력이 큰 상기 타단부로부터 장력이 작은 상기 일단부로 적층체(30)를 압출하는 힘(도 6의 하방을 향하는 힘)이 가해져 상기 타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진다. 그러나, 이 힘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도 7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를 향하는 힘을 완화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층체(30)를 수반한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 F의 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상기 장력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지 부재(3)가 자유 회전하기 때문에,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가 발생하면, 이 장력의 차가 바로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으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되어 있고,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되고, 적층체(30)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적층체(30)와 스테이지 부재(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박리 부재(5)가,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가 걸쳐져, 회전함으로써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하는 권취 부재(5)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박리 부재(5)가 상기 권취 부재(5)임으로써, 박리된 편광판(33)을 순차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예를 들면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일단 파지한 부분에, 박리가 종료될 때까지 장력이 가해지지만,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편광판(33)에 있어서의 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권취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박리 부재(5)가 권취 부재(5)임으로써,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박리 부재(5)의 근방에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를 사용한 박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기판(31)과, 상기 기판(31)에 접착된 편광판(33)을 갖는 적층체(30)를 적재하는 적재 공정과,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여 상기 일단부(33b)를 박리 부재(5)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33)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33)의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박리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리 부재(5)로서, 상기 권취 부재(5)를 사용한다.
상기 적재 공정에서는, 스테이지 부재(3) 상에 적층체(30)를 고정한다.
상기 유지 공정에서는,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여 권취 부재(5)에 걸쳐 유지한다.
이러한 유지 공정에서는,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는 것을,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즉, 선단에 날부를 갖는 박리용 나이프(도시 생략) 등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적층체(30)의 기판(31)과 편광판(33) 사이에 상기 박리용 나이프를 삽입함으로써 편광판(33)의 일부를 박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30)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5)과 기판(31) 사이에 상기 박리용 나이프를 삽입하여, 점착제층(35)과 함께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한다(도 1, 도 8, 도 11 참조).
또한,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권취 부재(5)에 걸치는 것을,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한다. 즉,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권취 부재(5)의 둘레면에 걸치도록 하여 상기 둘레면에 접착 테이프(도시 생략)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행한다.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을 만곡시키면서 권취 부재(5)로 안내하면서,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박리된 편광판(33)을 권취한다.
또한, 이 권취 시, 적층체(30) 및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3) 및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가상 평면 A(도 1 참조) 상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스테이지 부재(3)를,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편광판(33)의 권취를 행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9)에 의해,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를 향하여 가압하여,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한다. 또한, 제2 지지 부재(11)에 의해, 편광판(33)이 박리되어 노출된 기판(31)을 스테이지 부재(3)를 향하여 가압하여,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협지하여 지지한다.
또한, 여기서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적층체(30) 내의 편광판(33)의 흡수축 방향 Y(도 2의 파선 화살표 참조)에 대하여, 각도 θ1 경사시켜 배치한다. 박리 보조 부재(7)가 흡수축 방향 Y에 대하여 평행(각도 θ1=0°)에 가까워질수록, 또한, 수직(각도 θ1=90°)에 가까워질수록, 박리 시에 편광판(33)이 찢어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면, 상기 각도 θ1은 4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는, 편광판(33)의 흡수축 방향 Y가 적층체(3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고, 각도 θ1=45°로 박리 보조 부재(7)가 배치된 형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권취 부재(5)에 의해,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권취하면, 편광판(33)의 박리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 및 지지용 부재(40)와 함께, 적층체(30)가 박리 방향 X와는 반대측(흰색 화살표 참조)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즉, 권취 부재(5), 제1 지지 부재(9), 제2 지지 부재(11)에 대하여, 스테이지 부재(3), 지지용 부재(40) 및 적층체(30)가 박리 방향 X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서의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도록, 스테이지 부재(3)가 회전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모든 편광판(33)이 박리되어 기판(31)이 완전히 노출되면, 스테이지 부재(3), 지지용 부재(40) 및 적층체(30)는 이동을 정지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 의하면, 기판(31)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할 때,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에,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로서의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여기서는, 적층체(30))을,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서는,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스테이지 부재(3) 및 권취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가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졌을 때,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어느 한쪽을, 상기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의 차 F를 해소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장력 F1이 타단부의 장력 F2보다 높아진 경우, 경계 부분 S에서는, 장력이 큰 상기 일단부에, 상기 일단부로부터 장력이 작은 상기 타단부로 적층체(30)를 압출하는 상기 힘이 가해져 상기 일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지지만, 이 힘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4와는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타단부의 장력 F2가 상기 일단부의 장력 F1보다 높아진 경우, 경계 부분 S에서는, 장력이 큰 상기 타단부에, 상기 타단부로부터 장력이 작은 상기 일단부로 적층체(30)를 압출하는 상기 힘이 가해져 상기 일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지지만, 이 힘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력으로의 전환에 의해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 F의 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0)와 함께 스테이지 부재(3)가 자유 회전하기 때문에,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가 발생하면, 이 장력의 차를 바로 회전력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적재 공정에서는, 스테이지 부재(3) 상에 적층체(30)를 고정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층체(30)를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층체(30)와 스테이지 부재(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3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5)로서, 권취 부재(5)를 사용하고,
상기 유지 공정에서는,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여 권취 부재(5)에 걸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권취 부재(5)에 의해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함으로써,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권취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함으로써,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을 순차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예를 들면 편광판(33)을 파지하고, 이것을 권취하지 않고 박리하는 경우에는, 일단 파지한 부분에, 박리가 종료될 때까지 장력이 가해지지만,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편광판(33)에 있어서의 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권취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게 되기 때문에, 권취 부재(5)로 권취하면서 박리함으로써, 상기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박리 부재(5)의 근방에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편광판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이 적용되는 적층체(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31)과, 상기 기판(31)의 한쪽 면(31a)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35)과, 상기 점착제층(35) 상에 적층된 편광판(33)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31)으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EL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광판(33)은, 구체적으로는, 편광자(41)와, 편광자(41)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접착제층(43)과, 이들 접착제층(43)에 각각 적층된 보호 필름(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광판(33)이, 편광자(41)의 양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45)을 갖는 형태를 나타내지만, 그 밖에, 본 발명에서는, 편광판(33)이, 편광자(41)의 한쪽 면에 적층된 보호 필름(45)을 갖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광판(3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예를 들면 편광판(33)의 두께가 작을수록, 강도가 저하되어 찢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고, 한편, 두께가 클수록, 강도가 증가되어 찢어지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편광판(33)의 두께가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이와 같이, 두께가 200㎛ 이하인 경우에,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비교적 작은 경우라도, 편광판(33)에 가해지는 장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을 억제하여, 박리 시에 편광판(33)이 찢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편광판(33)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판(33), 특히, 그 중 보호 필름(45)의 재질이 찢어지기 쉬운 것인 경우에,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편광자(41)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염색, 연신됨으로써 형성된 것을 들 수 있다.
편광자(41)의 두께는 2 내지 30㎛ 정도이다.
접착제층(43)의 형성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보호 필름(45)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메트)아크릴 수지,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노르보르넨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등으로 형성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메트)아크릴 수지로 형성된 보호 필름은, 강도가 비교적 낮아, 찢어지기 쉽기 때문에, 이러한 보호 필름에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은 메타아크릴 및 아크릴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메트)아크릴 수지로서는, Tg(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가 115℃ 이상임으로써, 편광판(33)이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 수지의 Tg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할 수 없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부터는, 면내 위상차(Re), 두께 방향 위상차(Rth)가 거의 제로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 알킬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면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아크리페트 VH나 아크리페트 VRL20A,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0296호 공보에 기재된 분자 내에 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환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Tg (메트)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 수지로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2축 연신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3001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5181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2032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545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6084호 공보 등에 기재된,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환 유사 구조를 갖는다.
식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0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의 화학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락톤환 구조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이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의 화학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락톤환 구조의 함유 비율이 5중량%보다 적으면, 내열성, 내용제성, 표면 경도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구조 중의 화학식(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락톤환 구조의 함유 비율이 90중량%보다 많으면, 성형 가공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음)이,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500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성형 가공성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Tg가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이다. Tg가 115℃ 이상이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하는 편광판(33)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상기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의 Tg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70℃ 이하이다.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는,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성형품의, ASTM-D-1003에 준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전체 광선 투과율은 투명성의 기준이며, 전체 광선 투과율이 85% 미만이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호 필름(45)의 두께는, 통상, 20 내지 60㎛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31)에 대한 편광판(33)의 접착력은, 통상, 5 내지 15N이다. 이러한 접착력이면, 기판(31)에 대하여 편광판(33)이 비교적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견고하게 접착된 편광판(33)을 박리할 때라도, 상기한 박리 보조 부재(7)의 변형(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은, 상기 범위의 접착력을 갖는 적층체(30)에 적합하다.
이러한 접착력은, 오토그래프(정밀 만능 시험기, 시마즈 세이사꾸쇼제)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장치(1)는,
기판(31)과, 상기 기판(31)에 접착된 편광판(33)을 갖는 적층체(30)로부터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1)이며,
상기 적층체(30)가 적재되는 스테이지 부재(3)와,
상기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유지하면서,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5)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33)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33)의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판(31)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할 때,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에,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력 F의 차를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 F의 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적층체(30)와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적층체(30)와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박리 부재(5)를 상기 회전시키는 경우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적층체(30)가, 상기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33)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층체(30)와 스테이지 부재(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5)가, 상기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가 걸쳐져, 회전함으로써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하는 권취 부재(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박리 부재(5)가 상기 권취 부재(5)임으로써, 박리된 편광판(33)을 순차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예를 들면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일단 파지한 부분에, 박리가 종료될 때까지 장력이 가해지지만,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편광판(33)에 있어서의 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권취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박리 부재(5)가 권취 부재(5)임으로써,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박리 부재(5)의 근방에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방법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기판(31)과, 상기 기판(31)에 접착된 편광판(33)을 갖는 적층체(30)를 적재하는 적재 공정과,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여 상기 일단부(33b)를 박리 부재(5)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30)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33)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33)의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박리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30)로부터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판(31)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할 때,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에,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 장력 F의 밸런스가 무너진 경우, 즉, 일단부의 장력 F1(또는 F2)이 타단부의 장력 F2(또는 F1)보다 높아진 경우, 적층체(30) 및 박리 부재(5)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 F의 차를 회전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양단부간에서의 장력 F의 차가 해소되기 때문에, 상기 장력 F의 차에 기인하여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적층체(30)와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적층체(30)와 평행한 가상 평면 A 상에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박리 부재(5)가 상기 회전하는 경우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적재 공정에서는, 상기 스테이지 부재(3) 상에 상기 적층체(30)를 고정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30) 및 상기 박리 부재(5) 중,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30)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적층체(30)를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지 부재(3)와 함께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적층체(30)와 스테이지 부재(3)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체(3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부재(5)로서, 권취 부재(5)를 사용하고,
상기 유지 공정에서는,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박리하여 상기 권취 부재(5)에 걸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권취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함으로써, 상기 적층체(30)로부터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권취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함으로써, 박리된 편광판(33)을 순차적으로 권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예를 들면 편광판(33)을 파지하고, 이것을 권취하지 않고 박리하는 경우에는, 일단 파지한 부분에, 박리가 종료될 때까지 장력이 가해지지만,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박리하는 경우에는, 편광판(33)에 있어서의 장력이 가해지는 부분이, 권취에 의해 순차적으로 변경되게 되기 때문에, 권취 부재(5)로 권취하면서 박리함으로써, 상기 편광판(33)을 파지하여 박리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박리 부재(5)의 근방에서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이 제공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는, 박리 보조 부재(7)로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의 것(도 13 내지 도 16 참조)을 구비하고 있는 것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4,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에 구비된 박리 보조 부재(7)는, 긴 판상이며, 또한, 저면부(7a)와 선단부(7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보조 부재(7)는, 선단부(7b)로부터 기단부측(박리 방향 X의 하류측, 도 14의 우측)을 향하여 또한 저면부(7a)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7c)를 더 갖고 있다.
이러한 박리 보조 부재(7)는, 그 저면(저면부(7a)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최대 높이) H보다, 그 선단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는 방향(박리 방향 X)의 길이(최대 길이) L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길이 H에 대한 길이 L의 비(H:L)는 1:3 내지 1:5가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 H는 15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길이 L은 50 내지 75㎜가 바람직하다.
저면부(7a)는, 적층체(30)에 있어서의 편광판(33)측의 면(33a)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면부(7a)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편광판(33)이 박리될 때, 적층체(30)와 접촉하여 상기 적층체(30)의 부상을 억제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저면부(7a)의 배치는, 상기 박리 시에 상기 저면부(7a)가 적층체(30)와 접촉하여 상기 적층체(30)의 부상을 억제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저면부(7a)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한 박리의 개시 전에 있어서는, 편광판(33)측의 면(33a)과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상기 면(33a)의 근방에 상기 면(33a)과 비접촉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부(7b)는, 박리 방향 X(박리 보조 부재(7)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권취 부재(5)보다 상류측(도 13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박리된 편광판(33)이 선단부(7b)의 곡면(선단 테두리)(7ba)을 따라서 만곡되어, 상기 박리 보조 부재(7)의 기단부측(박리 방향 X의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즉, 박리된 편광판(33)이 권취 부재(5)를 향하여 안내된다.
이러한 선단부(7b)의 선단 테두리(7ba)의 곡률 반경 r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31)에 대한 편광판(33)의 접착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경계 부분 S의 근방에 있어서, 박리된 편광판(33)은, 선단부(7b)(의 선단 테두리(7ba))에 추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7b)의 곡률 반경 r이 비교적 클수록, 박리된 편광판(33)과 선단부(7b) 사이의 간극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경계 부분 S가, 선단부(7b)와 적층체(30)의 접촉 부분 M으로부터 먼 곳(상류측, 도 15의 좌측)에 위치하기 쉬워진다.
한편,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7b)의 곡률 반경 r이 비교적 작을수록, 박리된 편광판(33)과 선단부(7b)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경계 부분 S가, 선단부(7b)와 적층체(30)의 접촉 부분 M의 근처(하류측, 도 16의 우측)에 위치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박리된 편광판(33)과 선단부(7b) 사이의 간극이 커질수록, 선단부(7b)를 통하여 변환되는 편광판(33)의 박리력이, 박리 보조 부재(7)의 길이 방향(박리 방향 X와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변동되기 쉬워진다. 또한, 기판(31)이 깨지기 쉬워진다.
또한, 기술 상식에 의하면, 곡률 반경 r이 지나치게 작으면, 선단부(7b)가 지나치게 예리해져, 편광판(33)이 절단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관점을 고려하여 선단부(7b)의 선단 테두리(7ba)의 곡률 반경이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그 곡률 반경 r은 2.5 내지 1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7b)의 곡률 반경 r이 17.5㎜ 이하임으로써, 편광판(33)의 경계 부분 S를, 적층체(30)와 저면부(7a)의 접촉 부분 M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단부(7b)를 통하여 전달되는 편광판(33)을 박리하는 힘이, 선단부(7b)의 연장 방향(박리 방향 X와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변동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편광판(33)을 보다 찢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게다가, 기판(31)의 깨짐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7b)의 곡률 반경 r이 2.5㎜ 이상임으로써, 선단 테두리(7ba)가 지나치게 예리해지는 것을 억제하여, 편광판(33)이 절단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사부(7c)는, 선단부(7b)에 의해 안내된 편광판(33)을, 다시 박리 보조 부재(7)의 기단부측(박리 방향 X의 하류측)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박리 보조 부재(7)가 경사부(7c)를 가짐으로써, 박리된 편광판(33)이, 선단부(7b)에 의해 안내된 후, 다시 경사부(7c)에 의해 안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선단부(7b)를 통과한 편광판(박리된 편광판)(33)의 경로가, 경사부(7c)에 의해 소정의 각도 θ2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박리된 편광판(33)의 상기 각도 θ2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각도 θ2에 기인하는 선단부(7b)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리 보조 부재(7)에 가해지는 장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이 보다 억제되기 때문에, 편광판(33)을, 기판(31)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적층체(30)와 평행한 면 T에 대한 경사부(7c)의 각도 θ2는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사부(7c)의 각도 θ2가 10 내지 30°임으로써, 박리된 편광판(33)에 의해 박리 보조 부재(7)를 적층체(30)에 대하여 가압하면서, 상기 편광판(33)을 기단부측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박리 보조 부재(7)를 보다 안정시켜, 편광판(33)을 보다 용이하게 기판(31)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박리 보조 부재(7)의 형성 재료로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재, 탄소공구강재, 고속도공구강재, 크롬강재, 크롬몰리브덴강재, 망간강재, 그 밖에, 합금류재 및 세라믹 소재를 들 수 있다. 또한, 박리 보조 부재(7)는 중공이어도 중실이어도 된다.
선단부(7b)의 선단 테두리(7ba)는, 박리된 편광판(33)이 그 표면에서 미끄러지기 쉬워지도록, 이형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이형 처리로서는, 포화 폴리에스테르 코팅, 바이 코트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선단부(7ba)에 실시하거나, 또는, 도전 테이프를 선단부(7ba)에 부착시키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선단부(7ba)를 미끄러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를 사용한 박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서는,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를 구비한 박리 장치(1)를 사용하는 것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형태에 대해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에 있어서의 박리 공정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박리 보조 부재(7) 대신에, 별도로 상이한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편광판(33)을 박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박리 공정에 있어서, 적층체(30)의 편광판(33)측의 면(33a)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7a)와,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박리 부재(5)로 안내하는 선단부(7b)를 갖는 판상의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을 선단부(7b)의 선단부(7b)에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박리 부재(5)로서의 권취 부재(5)로 안내하면서, 권취 부재(5)를 사용하여,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면서 순차적으로 권취함으로써,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한다.
또한,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는, 상기 선단부(7b)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7a)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7a)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선단 테두리(7ba)를 따라서 안내시킨 편광판(33)을, 다시 상기 경사부(7c)를 따라서 상기 권취 부재(5)로 안내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는,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33)이 걸쳐지면서 상기 편광판(33)을 상기 박리 부재(5)로 안내하는 박리 보조 부재(7)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는,
상기 적층체(30)의 상기 편광판(33)측의 면(33a)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7a)와,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33)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5)로 안내하는 선단부(7b)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방법은,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30)의 상기 편광판(33)측의 면(30a)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7a)와, 선단 테두리(7ba)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박리된 상기 편광판(33)을 상기 선단 테두리(7ba)를 따라서 만곡시키는 선단부(7b)를 갖는 판상의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박리된 상기 편광판(33)을 상기 선단 테두리(7ba)를 따라서 만곡시키면서 상기 박리 부재(7)로 안내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5)에 의해 상기 편광판(33)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30)로부터 상기 편광판(33)을 박리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기판(30)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함으로써, 선단부(7b)와 저면부(7a)를 통하여 편광판(33)을 박리시킴과 함께, 박리된 편광판(33)을 선단부(7b)의 선단 테두리(7ba)를 따라서 만곡시켜 기단부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박리된 편광판(33)을 기단부측으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박리 보조 부재(7)가 저면부(7a)를 가짐으로써, 박리할 때 선단부(7b)에 가해지는 장력이, 나머지 부분(기단부측 부분)에 분산되기 때문에, 롤러 형상의 박리 보조 부재(7)에 비해, 상기 장력에 의해 박리 보조 부재(7)가 구부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박리 보조 부재(7)에 가해지는 장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이 밸런스의 붕괴에 기인한 편광판(33)의 찢어짐 등의 문제가 억제된다.
또한, 박리 보조 부재(7)는 상기와 같이 구부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적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박리 보조 부재(7)가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롤러 형상의 박리 보조 부재(7)에 비해, 선단부(7b)의 곡률 반경을 비교적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박리 보조 부재(7)에 가해지는 장력의 밸런스 붕괴가 억제되고, 또한, 기판(31)이 깨지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편광판이(33)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면서, 기판(31)으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보조 부재(7)가, 상기 선단부(7b)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7a)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7c)를 더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박리 보조 부재(7)가 상기 경사부(7c)를 갖고 있음으로써,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이, 선단부(7b)에 의해 안내된 후, 다시 경사부(7c)에 의해 기단부측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선단부(7b)를 통과한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33)의 경로가, 경사부(7c)에 의해 소정의 각도 θ2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박리되고 있는 편광판의 당해 각도 θ2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변동에 기인하는 선단부(7b)에 가해지는 장력의 변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박리 보조 부재(7)에 가해지는 장력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것이 보다 억제되기 때문에, 편광판(33)이 찢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은 상기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설계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지 부재(3) 및 지지용 부재(40)를 박리 방향 X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그 밖에, 이들을 이동시키는 대신에, 권취 부재(5), 박리 보조 부재(7), 제1 지지 부재(9) 및 제2 지지 부재(11)를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스테이지 부재(3) 및 지지용 부재(40)와, 권취 부재(5), 박리 보조 부재(7), 제1 지지 부재(9) 및 제2 지지 부재(11)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종래 공지의 이동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에, 지지용 부재(40)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스테이지 부재(3)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적층체(30)가 스테이지 부재(3) 상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스테이지 부재(3) 상에서 미끄럼 가능한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층체(30)를,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스테이지 부재(3) 및 권취 부재(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31), 접착제층(35) 및 편광판(33)을 갖는 적층체(30)를 박리하는 형태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적층체는, 기판(31), 접착제층(35) 및 편광판(33) 외에, 편광판(33) 상에, 더 적층된 별도의 필름을 갖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하는 형태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지 않고 편광판(33)을 박리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리 보조 부재(7)를 사용하여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하는 형태를 채용한 경우, 상기 박리 보조 부재(7)는 상기 실시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밖에, 스테이지 부재(3)를 구동 회전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박리 장치(1)가, 스테이지 부재(3)를 구동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등의 구동 부재(도시 생략)와,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의 장력 F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전자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측정 부재(도시 생략)와, 상기 측정 부재로부터 출력된 전자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양단부간의 장력 F의 차로부터, 상기 장력 F의 차를 해소할 수 있는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 방향을 향하여 산출된 회전 각도만큼, 구동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시키는 제어 부재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박리 장치(1)를 사용한 박리 방법은, 상기 측정 부재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스테이지 부재(3)를, 상기 장력 F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 F의 차를 스테이지 부재(3)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도록 회전시키면서, 적층체(30)로부터 편광판(33)을 박리한다.
이러한 박리 장치(1) 및 박리 방법에 의하면, 장력 F의 측정 결과에 따라서, 보다 정밀하게 박리 방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경계 부분 S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 F의 차를 보다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경계 부분 S의 일단부에 있어서, 스테이지 부재(3)에 자체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중력보다 큰 장력 F가 가해지지 않으면,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지만, 상기 제어 부재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중력보다 작은 장력 F에 따라서 스테이지 부재(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0)를 회전시키는 형태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밖에, 권취 부재(5)를 회전시키는 형태를 채용해도, 적층체(30)와 권취 부재(5)의 양쪽을 회전시키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장력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지지 부재(도시 생략)에 권취 부재(5)가 지지된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 부재(5)로서 권취 부재(5)를 채용한 형태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박리 부재(5)는, 상기 권취 부재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박리 부재(5)로서, 상기 권취 부재(5) 대신에,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당해 박리 부재(5)는,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사이에 끼워 이것을 유지하면서, 박리 방향 X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편광판(33)을 다시 박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박리 부재(5)를 구비한 박리 장치(1)로서, 박리 부재(5)가, 편광판(33)의 박리 방향 X를 향하여 이동 가능한 지지부(5a)와, 상기 지지부(5a)에 지지되면서, 박리된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협지 가능한 협지부(5b)를 갖고, 지지부(5a)를 박리 방향 X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서보 모터나 리니어 모터 등의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협지부(5b)에서 상기 편광판(33)의 일단부(33b)를 사이에 끼워 이것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구동 부재가 지지부(5a)를 이동시켜 편광판(33)을 박리하는(도 20 참조) 구성의 것을 들 수 있다.
1: 박리 장치
3: 스테이지 부재
5: 박리 부재
5a: 지지부
5b: 협지부
7: 박리 보조 부재
7a: 저면부
7b: 선단부
7ba: 곡면(선단 테두리)
9: 제1 지지 부재
11: 제2 지지 부재
30: 적층체
31: 기판
31a: 한쪽 면
33: 편광판
33a: 편광판측의 면
33b: 일단부
S: 경계 부분

Claims (14)

  1.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을 갖는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 장치이며,
    상기 적층체가 적재되는 스테이지 부재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유지하면서,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는 박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박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박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적층체와 평행한 가상 평면 상에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박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상기 스테이지 부재 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와 함께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박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이 걸쳐지면서 상기 편광판을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판상의 박리 보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박리 보조 부재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편광판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와,
    상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선단부를 갖는 박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보조 부재가,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더 갖는 박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가 걸쳐져 회전함으로써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하는 권취 부재인 박리 장치.
  8. 스테이지 부재 상에,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접착된 편광판을 갖는 적층체를 적재하는 적재 공정과,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박리하여 상기 일단부를 박리 부재에 의해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된 상기 편광판과 아직 박리되지 않은 편광판의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구비하는 박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경계 부분의 양단부간에 있어서의 장력의 차에 따라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장력의 차를 상기 적어도 한쪽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박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적층체와 평행한 가상 평면 상에서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박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공정에서는 상기 스테이지 부재 상에 상기 적층체를 고정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 및 상기 박리 부재 중 상기 적층체를 상기 장력의 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를 상기 스테이지 부재와 함께 회전시키는 박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적층체의 상기 편광판측의 면을 따라서 배치되는 저면부와,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만곡시켜 따르게 하기 위한 곡면을 갖는 박리 보조 부재를 사용하여, 박리되고 있는 상기 편광판을 상기 선단부에 만곡시켜 따르게 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면서, 상기 박리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보조 부재가, 상기 선단부로부터 기단부측을 향하여 또한 상기 저면부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선단부를 따라서 안내시킨 편광판을, 다시 상기 경사부를 따라서 상기 박리 부재로 안내하는 박리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부재로서 권취 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유지 공정에서는, 상기 편광판의 일단부를 박리하여 상기 권취 부재에 걸치고,
    상기 박리 공정에서는, 상기 권취 부재에 의해 상기 편광판을 다시 순차적으로 박리하면서 권취함으로써, 상기 적층체로부터 상기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 방법.
KR1020140118554A 2014-03-19 2014-09-05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KR102178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6825 2014-03-19
JP2014056825A JP6378910B2 (ja) 2014-03-19 2014-03-19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243A true KR20150109243A (ko) 2015-10-01
KR102178468B1 KR102178468B1 (ko) 2020-11-13

Family

ID=5238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554A KR102178468B1 (ko) 2014-03-19 2014-09-05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78910B2 (ko)
KR (1) KR102178468B1 (ko)
CN (2) CN204123753U (ko)
TW (1) TWI6471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8910B2 (ja) * 2014-03-19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6550311B2 (ja) * 2015-09-28 2019-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方法
KR102450112B1 (ko) * 2017-11-29 2022-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TWI714890B (zh) * 2018-09-28 2021-01-01 景碩科技股份有限公司 起膜機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33A (ja) * 1992-07-28 1994-02-22 Toshiba Corp フィルムの自動剥離装置
JPH08292433A (ja) * 1995-02-22 1996-11-05 Sharp Corp 粘着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装置
JP2009029561A (ja) 2007-07-26 2009-02-12 U-Tec Kk 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フィルム剥離装置
JP3181776U (ja) * 2012-12-07 2013-0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304Y2 (ja) * 1988-12-19 1996-09-25 ミノルタ株式会社 熱転写プリンタ
JP3181776B2 (ja) 1993-11-19 2001-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TW460382B (en) * 2000-11-23 2001-10-21 Hannstar Display Corp Power-driven polarizing film tearing device
WO2004064018A1 (ja) * 2003-01-15 2004-07-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剥離方法及びその剥離方法を用いた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4509666B2 (ja) * 2004-06-25 2010-07-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CN2751321Y (zh) * 2004-07-16 2006-01-11 亿尚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偏光板剥离机
JP2006082893A (ja) * 2004-09-14 2006-03-30 Takatori Corp ラミネート剥離方法及び装置
KR101625250B1 (ko) * 2008-09-30 2016-05-2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필름 박리 방법,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필름 박리 기구 및 광학 필름 제조 장치
JP2010247985A (ja) * 2009-04-20 2010-11-04 Tateyama Machine Kk フィルム材剥離方法と装置
JP2013023526A (ja) * 2011-07-19 2013-02-04 Nitto Denko Corp 貼り合わされた板の剥離方法および剥離装置
JP6378910B2 (ja) * 2014-03-19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33A (ja) * 1992-07-28 1994-02-22 Toshiba Corp フィルムの自動剥離装置
JPH08292433A (ja) * 1995-02-22 1996-11-05 Sharp Corp 粘着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装置
JP2009029561A (ja) 2007-07-26 2009-02-12 U-Tec Kk フィルム剥離方法およびフィルム剥離装置
JP3181776U (ja) * 2012-12-07 2013-0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123753U (zh) 2015-01-28
JP2015178408A (ja) 2015-10-08
TW201536553A (zh) 2015-10-01
KR102178468B1 (ko) 2020-11-13
CN104924732A (zh) 2015-09-23
TWI647111B (zh) 2019-01-11
JP6378910B2 (ja) 2018-08-22
CN104924732B (zh) 2019-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620B1 (ko) 광학 기능 필름 연속 롤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능 필름 접합 장치
KR101774621B1 (ko) 광학 기능 필름 연속 롤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능 필름 접합 장치
KR101308813B1 (ko) 광학 기능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109243A (ko)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TW201408545A (zh) 撕膜機台與撕膜方法
TW201200944A (en) Stripping method and stripping apparatus
CN104460099B (zh) 剥离辅助构件、剥离装置及剥离方法
TWI569048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members with adhesive
KR101862877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시스템
TW201040026A (en) A laminated member capable of following uneven serfaces and a display device with touchpanel using the member
JP6258736B2 (ja) 剥離用部材、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JP6378731B2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4488378A (zh) 偏振板及显示装置
CN108603973B (zh) 层叠光学膜的制造方法
KR102281483B1 (ko) 원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원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6893463A (zh) 偏振板
KR20210126637A (ko)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1232627A (ja)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