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507A -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507A
KR20150108507A KR1020140031348A KR20140031348A KR20150108507A KR 20150108507 A KR20150108507 A KR 20150108507A KR 1020140031348 A KR1020140031348 A KR 1020140031348A KR 20140031348 A KR20140031348 A KR 20140031348A KR 20150108507 A KR20150108507 A KR 2015010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tile
volume
vo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이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환 filed Critical 이재환
Priority to KR102014003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507A/ko
Publication of KR2015010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이로운 천연 고령토와 높은 내구성과 더불어 아토피 예방, 탈취 효과, 습도 관리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다양한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주방, 거실, 천정 등 실내를 친환경적인 생활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10-20부피%의 고령토와, 15-20부피%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부피%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제조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효율적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더욱 고품질의 타일을 제공하며, 제조과정에서 천연색감을 지니도록 하여 더욱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색상과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고품격 인테리어 디자인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Environmental friendly interior t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발명은 실내장식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이로운 천연 고령토와 높은 내구성과 더불어 아토피 예방, 탈취 효과, 습도 관리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다양한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주방, 거실, 천정 등 실내를 친환경적인 생활환경으로 조성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시멘트 소비율은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5위 규모이고 국내 산업부문에서 시멘트산업은 철강 산업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이산화탄소 배출원이다. 시멘트의 주원료인 석회석의 탄산칼슘에서 이산화탄소를 날려 보내 생석회를 만들 때 1,450℃로 가열하는 과정 및 기타 공정에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통계적으로 1톤의 시멘트를 생산하여 소비할 때까지 1톤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폐시멘트의 재활용 방법이 없어, 큰 환경재해 요인이 되고 중요한 지구온난화 요인으로 부각이 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건축 내장재 등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실내습도의 영향으로 곰팡이, 바이러스 등에 의한 새집증후군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새집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탄소 등 각종 유해물질이 많아 입주자에게 아토피,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집중력 감퇴 등과 같은 새집증후군을 일으켜 건강에 큰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생활환경과 거주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가급적 독성이 적거나 없는 화학물질을 재료로 하는 내외장재, 포함된 화학물질의 방출량이 적은 내외장재, 화학물질이 아닌 천연재료를 사용한 내외장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항균 또는 향균 처리되었거나 해충방제 처리가 된 내외장재를 비롯하여 냉난방과 습도 조절 기능을 갖는 내외장재 등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602호(2008. 03. 03. 등록)인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패각, 맥반석, 천매암, 적토, 황토, 백토, 녹차잎, 커피가루, 시금치 분말, 파프리카유, 쑥 분말, 흑연, 숯, 및 이들의 혼합물로 채색을 하거나, 은나노 및 향캡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코팅을 하여, 실내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포름알데이드 등의 유해물질을 저감시키고,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에너지 효율을 높여주는 건축 내장재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과 같은 친환경 건축 내장재들은 원재료들이 친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내장재로 적합한 물성을 만들기 위해 첨가하는 결합제나 접착제 등 바인더로 유기화합물이 사용됨으로써, 이들로부터 방출되는 유해물질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러한 유기화합물들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들로 야기되는 화재 시 치명적인 질식사 등에 대한 친환경적 해답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다른 건축자재에 비하여 원적외선 방사율, 탈취율, 습도조절 능력이 우수하여 최근에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흙마감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735호(2010. 11. 23. 공개)인 '친환경 발수제를 이용한 흙마감 시공방법 및 그 조성물'에 따르면, 흙의 통기성을 유지시키며 흙마감재를 손상시키는 가장 큰 요소인 수분을 차단함으로써 흙마감재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콩물과 식물성기름을 혼합한 친환경 발수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발수제를 사용함으로써 흙마감재의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양생기간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유의 향을 갖는 식물성 기름을 사용함으로써 항균이나 향균 또는 해충방제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새로운 건축소재 개발의 패러다임(Paradigm)으로서 최근 생활의 질 향상과 함께 주목 받는 건축 내장재에 있어서, 바닥타일, 텍스 및 벽지의 접착제 및 각종 코팅제, 도막방수제 등과 같은 건축내장재 및 인테리어소재의 모든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형태의 친환경 기능성 건축 내장재가 요망된다.
한편,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주거 공간이 시멘트 및 콘크리트로 건축되고 있고, 이에 따른 통풍과 습도 조절 등의 제한으로 인해 아토피 등 현대병이 유발되면서, 최근에는 탈취, 통풍 및 방습 작용이 우수하면서도 단열 및 보온 효과가 우수한 황토 타일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토 타일은 천연의 황토분말에 소결성을 좋게 하는 원료 및 기능성을 부여하는 각종 원료 등을 혼합하여 분쇄 및 건조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성형한 후, 850-1200℃의 온도 범위에서 소성함으로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황토 타일은 압축강도가 50㎏f/㎠ 이하로서 매우 낮아 시공 후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조 시 소성온도가 너무 높아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존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 제10-0377488호에 게시되어 있는 내용으로서, 15-40 중량%의 가공 황토에 10-30 중량%의 유기질 점토를 혼합하고, 소결촉진을 위하여 20-40 중량%의 도석 및 납석을 첨가하고, 또한,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10-15 중량%의 석회석을 첨가하여, 혼합공정을 거쳐, 흡수 효과 및 다공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5-10 중량%의 1차 소성 후 바디 분쇄원료와 소량의 슬러지를 혼합하고, 분쇄, 건조, 숙성, 성형 공정을 거친 후, 1100-1150℃의 온도 범위에서 28-45분 동안 1차 소성 공정을 거친다.
상기 조건으로 1차 소성시킨 타일 바디에 소정의 유약을 시유하여 1030-1090℃의 온도범위에서 28-45분 동안 2차 소성 공정을 거쳐서 황토 타일을 제조하거나, 또는 유약과 소지를 동시에 1170-1200℃ 범위에서 40-60분 동안 소성 공정을 거쳐서 황토타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공정이 복잡하고, 1차 및 2차 소성온도가 1000℃ 이상으로 고온이어서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딱딱하게 건조된 황토타일을 이용하여 벽면 시공할 경우에는, 상기 황토타일을 고정하기 위해 부득이 화학약품을 필요 이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 인체에 유익한 황토의 효능을 반감시킬 뿐만 아니라, 숙련된 기술자가 작업하여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황토는 수축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되며 딱딱하게 건조된 상태에서 운반할 경우에는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균열된 부분에 의해 황토타일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16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27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7488호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인체에 이로운 천연 고령토를 비롯한 다양한 소재를 배합하여 아토피 예방, 탈취 효과, 습도 관리 및 원적외선이 방사됨으로써 주방, 거실, 천정 등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은, 10-20부피%의 고령토와, 15-20부피%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부피%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은, 10-20부피%의 고령토와, 15-20부피%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부피%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타일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조성물을 분쇄하고 입도를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를 각각 습도조절하는 단계; 상기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를 각각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대립원료를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미립원료와 상기 1차 성형된 대립원료를 함께 2차 성형하는 단계; 700-9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안료를 사용하여 프린트 방식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700-900℃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립원료를 습도조절하는 단계는, 빨강, 노랑, 검정의 천연색소로 1차 또는 2차에 걸쳐 채색되며, 채색과 함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이로운 천연 고령토와 다양한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높은 내구성과 더불어 아토피 예방, 탈취 효과, 습도 관리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친환경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효율적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더욱 고품질의 타일을 제공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제조과정에서 천연색감을 지니도록 하여 더욱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색상과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고품격 인테리어 디자인을 간편하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조성물의 구성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101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원료를 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조성물은 10-20부피%의 고령토와, 15-20부피%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부피%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령토는 산지에 따라 성분 조성비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실리카 (SiO2) 55-65 중량%, 알루미나(Al2O3) 20-30 중량%, 산화철(Fe2O3) 6-12 중량%의 주성분 외에 산화마그네슘(MgO), 산화나트륨(Na2O),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의 장석류가 58 중량%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고령토는 타일에 포함되어 아토피 예방, 탈취, 보온 및 보습효과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라이트는 미세한 운모족 광물로서, 백색의 조흔색이 타일에 광택을 제공하며 내화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Na+(또는 K+)와 같이 용이하게 교환되는 양이온을 가지고, 수중의 Ca2+나 Mg2+로 치환되어 물의 연화작용을 행하는 성질이 있으며, 내부에 비교적 큰 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해성 물질의 탈취를 위한 흡착제로서 기능하게 된다.
상기 맥반석은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는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는 원료로서, 1㎤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실내의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시켜 유해금속을 제거하는 역할과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벤토나이트는 미세한 콜로이드상 물질의 집합체로서 높은 점도를 보이며, 양이온 교환능이 다른 점토광물에 비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천연 바인더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벤토나이트는 흡착성이 있어 실내의 유해성 물질의 탈취 및 흡착제로서도 기능한다.
상기 펄라이트는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층상의 조직이 진주 조개 표면의 모습을 닮은 원료로서, 펄라이트 조직을 가열하면 A1 변태(273℃)에서 전부 오스테나이트로 변하며, 펄라이트 속의 탄소 농도는 약 0.85%로 일정하므로, 경도가 작고 자력성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이 잘 깨어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펄라이트는 다공질체로서 실내의 유해성 물질의 탈취 및 흡착제로서도 기능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101단계에서 배합된 원료는 103단계에서 분쇄되고, 105단계에서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로 입도선별 된다. 상기 103단계에서 분쇄된 원료는 1mm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립원료와, 직경이 1mm를 초과하는 대립원료로 분리된다. 상기 103단계의 분쇄는 분쇄기 또는 볼밀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볼밀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볼은 통상의 구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105단계의 입도선별은 가장 효율적인 공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표면을 미립원료로 매끈하고 미려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대립원료로 분리된 원료는 107단계에서 적절한 정도로 습도를 조절하고, 109단계에서 대립원료 사일로에 숙성(제1숙성)을 위해 저장된다. 상기 109단계의 숙성(제1숙성)은 필요에 따라 30분에서 1일간 이루어진다.
이어, 적정한 시간 동안 숙성된 대립원료는 111단계에서 타일 금형 내에 투입되어 1차 성형된다. 상기 111단계의 성형 후 금형의 상부에 남아있는 잔여원료는 금형 상부의 잔여원료를 집진하는 것은 입도와 색채의 혼탁을 방지하기 위하여 113단계에서 집진되어 상기 111단계의 1차 성형을 위한 금형 내에 재 투입된다.
한편, 상기 105단계에서 미립원료로 분리된 원료는 108단계에서 채색 및 습도가 조절된다. 상기 108단계의 채색 및 습도조절은 빨강, 노랑, 검정의 천연색소로 1차 또는 2차에 걸쳐 채색되며, 채색과 함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공정을 더욱 단순화시킨다.
상기 108단계에서 채색 및 습도가 조절된 미립원료는 110단계에서 미립원료 사일로에 숙성(제2숙성)을 위해 저장된다. 상기 110단계의 숙성(제2숙성)은 필요에 따라 30분에서 1일간 이루어진다.
상기 107단계 및 108단계의 습도조절단계는 대립원료와 미립원료에 포함된 수분을 투입하는 과정으로서, 수분스프레이투입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습도조절이 완료되면, 대립원료와 미립원료에 포함된 수분의 중량은 각각의 원료 전체 중량에 대하여 6-12 중량%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적정한 시간 동안 숙성된 미립원료는 115단계에서 타일 금형 내에 투입되어 1차 성형된 대립원료와 함께 2차 성형된다. 상기 115단계의 2차 성형에서 1차 성형된 대립원료에 미립원료가 투입되어 2차 성형됨으로써 가장 효율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표면을 미립원료로 매끈하고 미려하게 처리된다.
상기 111단계 및 115단계의 성형단계는 대립원료 및 대립원료와 미립원료가 일정한 타일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과정으로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하거나,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할 수도 있다.
이어, 2차 성형물은 117단계에서 1차 소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은 상기 제107단계 및 108단계에서 습도가 적절히 조절되었기 때문에 별도의 건조단계를 거치지 않으므로, 한층 간결한 제조공정을 이루게 되며 건조를 위해 필요한 공기가 단축된다.
상기 117단계의 1차 소성단계는 일정 형상을 갖춘 타일을 소성하여 경화하는 과정으로, 700-90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4시간 동안 실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성온도가 700℃ 미만이면 프리트의 연화(softening)가 충분치 않아서 타일의 강도가 낮아지게 되고, 소성온도가 900℃를 초과하게 되면 900℃까지는 타일의 강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에너지 효율이 낮아져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소성온도는 700-900℃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17단계의 1차 소성시간의 경우, 30분 미만이면 소성이 충분치 못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시간을 초과하면 추가적인 강도 증가가 미미함으로 소성 시간은 30분-4시간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은 118단계에서 코팅되고, 121단계에서 최종적으로 2차 소성된다.
상기 118단계의 코팅단계는 인체에 무해한 안료를 사용하여 프린트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은 상기 108단계에서 미립원료에 천연색소로 채색을 겸하여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118단계에서 수행되는 안료 코팅과 색상이 결합됨으로써 한층 깊고 은은하며 미려한 색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21단계의 2차 소성단계는 상기 118단계에서 코팅된 안료를 타일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는 과정으로, 700-90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4시간 동안 실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성온도가 700℃ 미만이면 프리트의 연화(softening)가 충분치 않아서 타일의 강도가 낮아지게 되고, 소성온도가 900℃를 초과하게 되면 900℃까지는 타일의 강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에너지 효율이 낮아져서 경제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소성온도는 700-900℃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21단계의 2차 소성시간의 경우, 30분 미만이면 소성이 충분치 못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고, 4시간을 초과하면 추가적인 강도 증가가 미미함으로 소성 시간은 30분-4시간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 이로운 천연 고령토와 높은 내구성과 더불어 아토피 예방, 탈취 효과, 습도 관리 및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다양한 원료를 배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생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은 제조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효율적인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됨과 아울러 더욱 고품질의 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은 제조과정에서 천연색감을 지니도록 하여 더욱 미려하고 자연스러운 색상과 친환경 기능성을 갖는 고품격 인테리어 디자인을 간편하게 제공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중조절용 시리얼 바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따른 체중조절용 시리얼 바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0-20부피%의 고령토와, 15-20부피%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중량%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10-20부피%의 고령토와, 부피중량%의 일라이트(Illite)와, 20-25부피%의 제오라이트(Zeolite), 10-20부피%의 맥반석, 15-20부피%의 벤토나이트(Bentonite) 및 20-40부피%의 펄라이트(Pearlite)를 포함하는 타일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상기 배합된 조성물을 분쇄하고 입도를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로 선별하는 단계;
상기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를 각각 습도조절하는 단계;
상기 대립원료와 미립원료를 각각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대립원료를 1차 성형하는 단계;
상기 숙성된 미립원료와 상기 1차 성형된 대립원료를 함께 2차 성형하는 단계;
700-9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안료를 사용하여 프린트 방식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700-900℃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원료를 습도조절하는 단계는,
빨강, 노랑, 검정의 천연색소로 1차 또는 2차에 걸쳐 채색되며, 채색과 함께 습도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140031348A 2014-03-18 2014-03-18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08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348A KR20150108507A (ko) 2014-03-18 2014-03-18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348A KR20150108507A (ko) 2014-03-18 2014-03-18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794A Division KR101782627B1 (ko) 2016-12-13 2016-12-13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07A true KR20150108507A (ko) 2015-09-30

Family

ID=5424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348A KR20150108507A (ko) 2014-03-18 2014-03-18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5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9267B1 (ko) 황토 및 침엽수를 이용한 건축재용 몰탈, 벽돌 및 페인트
KR100886696B1 (ko) 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6180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KR101720662B1 (ko) 곰팡이 방지를 위한 친환경 천기토를 이용한 방수페인트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82627B1 (ko)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의 제조방법
KR100415994B1 (ko) 굴 패각을 활용한 황토벽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3112960A (ja) ゼオライトモルタ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1403B1 (ko) 황토, 일라이트 및 소나무를 이용한 건축 마감재용 불연성 천장 텍스, 보드, 패널, 접착제 및 퍼티
KR101600543B1 (ko)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5703B1 (ko) 편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517933B1 (ko) 건축물의 내벽을 내장하는 친환경 몰탈 및 그 제조방법
KR100618075B1 (ko) 황토를 이용한 기능성 원적외선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9115B1 (ko) 환경친화형 벽바름재 조성물
KR101337385B1 (ko) 일라이트 보드 제작방법 및 그에 따른 일라이트 보드
KR20150108507A (ko) 친환경 기능성 실내장식용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69281A (ko) 건강 기능 벽돌
KR20220090770A (ko) 천연 고령토를 이용한 친환경 타일 제조방법
KR101252586B1 (ko) 펄라이트를 사용한 친환경 실내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26202A (ko) 건축용 다공성 세라믹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8682A (ko) 황토 숯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207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101815649B1 (ko) 건축용 실내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206488B1 (ko) 반토혈암과 불석 입자를 혼합한 점토벽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점토벽돌
KR100802977B1 (ko) 황토를 포함하는 도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11517B1 (ko) 천연 고기능 나노 광물을 융합한 내부용 점토 벽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