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47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479A
KR20150108479A KR1020140031164A KR20140031164A KR20150108479A KR 20150108479 A KR20150108479 A KR 20150108479A KR 1020140031164 A KR1020140031164 A KR 1020140031164A KR 20140031164 A KR20140031164 A KR 20140031164A KR 20150108479 A KR20150108479 A KR 20150108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area
sealing portion
alignment ke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824B1 (ko
Inventor
홍상민
황현민
이고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24B1/ko
Priority to US14/334,999 priority patent/US9600111B2/en
Publication of KR20150108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기판과, 기판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밀봉부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과,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커버;와,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 커버의 위치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이;와, 기판과 밀봉부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를 포함하되, 씰링부에는 얼라인 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면적 확대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씰링부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구비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초슬림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 정보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용 디스플레이 장치나, 초박형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전기 제품에 적용할 수 있어서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기판을 씰링(sealing) 해야 한다. 복수의 기판 사이에 씰링부를 형성하고, 씰링부에 에너지를 가하여 복수의 기판을 서로 접합하게 된다. 씰링후, 씰링부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씰링부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밀봉부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 커버의 위치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이; 및
상기 기판과 밀봉부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씰링부에는 상기 얼라인 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면적 확대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씰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밀봉부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와 얼라인 키이는 서로 중첩되게 위치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면적을 확대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을 다른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보다 넓게 확대하여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레이저 씰링 이후에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수축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 방향으로 씰링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면적 확대부는 서로 비대칭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제 1 부분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면적 확대부와,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면적 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와, 제 2 면적 확대부는 서로 다른 크기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의 면적이 상기 제 2 면적 확대부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와, 제 2 면적 확대부는 각각 반원형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경로를 전환하여 연장되고, 상기 코너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의 면적이 더 확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연속적인 라인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와, 면적 확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에 복수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밀봉부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 패턴부와, 상기 전극 패턴부를 서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전극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이 형성된 밀봉부의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회로 영역과, 상기 회로 영역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씰링부가 형성된 씰링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은 상기 회로 영역과 대응되는 밀봉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씰링 영역과 대응되는 밀봉부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얼라인 키와 대응되는 위치의 씰링부에 면적 확대부를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부의 신뢰성은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씰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나, 전자 종이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EPD) 등 어느 하나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과, 상기 기판(110) 상에 설치된 밀봉부(140)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60)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기판(110)은 강성(rigidity)을 가지는 글래스 기판이나, 폴리머 기판이나, 유연성(flexbility)을 가지는 필름이나, 금속 기판이나, 이들의 복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밀봉부(140)는 글래스 기판이거나, 고분자 수지이거나,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밀봉부(140)는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된 영역을 밀봉하기 위하여 씰링부(sealing portion, 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씰링부(200)는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포함한다.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터치 스크린 패널(1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상기 밀봉부(140) 상에 터치 스크린 패턴이 형성된 온-셀 터치 스크린 패널(on-cell touch screen panel)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상기 밀봉부(140)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의 상부에는 편광판(17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광판(170)은 외광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편광판(170)의 상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윈도우 커버(window cover, 180)가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 커버(180)는 강성을 가지는 글래스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얼라인 키이(align key, 2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윈도우 커버(180)가 정위치에 결합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마크(mark)이다.
상기 기판(110)에는 상기 밀봉부(140)의 가장자리로 연장되어서 노출되는 영역(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110)의 노출된 영역(A)에는 기판(110)의 일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패드(190)가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패드(190)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기 위하여 회로 보드(240)의 단자(2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회로 보드(240)는 유연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프린티드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터치 스크린 패널(150)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정전 용량 타입(electrostatic capacitive type)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항막 타입(resistive type)이나, 전자기장 타입(electro-magnetic type)이나, 소오 타입(saw type)이나, 인프라레드 타입(infrared type)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터치 스크린에도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밀봉부(140) 상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50)은 밀봉부(140)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일체형 구조지만, 별도로 마련된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복수의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복수의 제 2 전극 패턴부(152)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는 상기 밀봉부(140)의 제 1 방향(X 방향)을 따라 서로 모서리를 맞대면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는 복수의 제 1 본체부(153)와, 제 1 본체부(15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연결부(1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본체부(153)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본체부(153)는 상기 기판(140)의 제 1 방향(X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54)는 제 1 방향(X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열된 한 쌍의 제 1 본체부(15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54)는 한 쌍의 제 1 본체부(153)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인접한 한 쌍의 제 1 전극 패턴부(151) 사이에는 제 2 전극 패턴부(15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152)는 상기 밀봉부(140)의 제 2 방향(Y 방향)을 따라 서로 모서리를 맞대면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부(152)는 복수의 제 2 본체부(155)와, 상기 제 2 본체부(15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연결부(15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본체부(155)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본체부(155)는 상기 밀봉부(140)의 제 2 방향(Y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56)는 한 쌍의 제 2 본체부(155)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1 전극 패턴부(151)는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된 제 1 연결부(15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2 전극 패턴부(152)는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평면상에 배치된 제 2 연결부(156)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를 다같이 커버하는 절연층(15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층(157)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를 서로 절연시킨다.
상기 절연층(157)에는 복수의 컨택 홀(1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택 홀(158)은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 2 본체부(155)가 서로 마주보고 있는 모서리 부분에 대하여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컨택 홀(158)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가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56)는 상기 절연층(157)을 가로질러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56)의 양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컨택 홀(158)에 매립되어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56)의 양 단부는 상기 제 2 본체부(155)의 윗면에 접촉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연결부(156)는 인접한 한 쌍의 제 2 전극 패턴부(152)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는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22)와, 제 2 전극 패턴부(123)는 증착, 스핀 코팅, 스퍼터링, 잉크젯 등과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투명 도전층을 패터닝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는 투명 도전층, 예컨대,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157) 상에는 제 2 전극 패턴부(152)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56)를 커버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터치 스크린(150)은 손가락 같은 입력 수단이 상기 밀봉부(140) 상에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 1 전극 패턴부(151)와, 제 2 전극 패턴부(152) 사이에서 변화하는 정전 용량을 측정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두께의 증가없이 터치 패널 기능의 구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140)의 외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150)이 설치된 온-셀 TSP 형의 터치 방식이므로, 외광이 강한 경우에도 반사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선명한 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160)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110)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된 액티브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액티브 영역(AA)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회로 영역(circuit area, CA)과, 상기 회로 영역(AA)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씰링 영역(cell seal area, CSA)을 포함한다.
상기 액티브 영역(AA)은 픽셀이 형성되는 영역과,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영역과,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영역(CA)은 상기 액티브 영역(AA)과 전기적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씰링 영역(CSA)은 씰링부(200)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은 글래스 기판이나, 폴리머 기판이나, 플렉서블 필름이나, 금속 기판이나, 이들의 복합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배리어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리어층(111)은 상기 기판(110) 상부에 평활한 면을 제공하고, 불순 원소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리어층(111)은 유기막이나, 무기막이나, 유기막 및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이다.
상기 배리어층(111) 상에는 반도체 활성층(112)이 형성된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1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산화물 반도체는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 하프늄(Hf)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12)은 N형 불순물 이온이나, P형 불순물 이온을 도핑하는 것에 의하여 소스 영역(113)과, 드레인 영역(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스 영역(113)과, 드레인 영역(114) 사이의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115)이다.
상기 반도체 활성층(112)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6)은 실리콘 산화물이나, 실리콘 질화물이나, 금속 산화물과 같은 무기막을 포함하며, 이들이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복층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 상에는 게이트 전극(117)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17)은 Au, Ag, Cu, Ni, Pt, Pd, Al, Mo, Cr 등의 단일막이나, 다층막을 포함하거나, Al:Nd, Mo:W 와 같은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17) 상에는 층간 절연막(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18)은 실리콘 산화물이나, 실리콘 질화물 등과 같은 무기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18)은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절연막(118) 상에는 소스 전극(119)과, 드레인 전극(121)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6) 및 층간 절연막(118)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콘택 홀(contact hole, 122)이 형성되고, 상기 콘택 홀(122)을 통하여 소스 영역(113)에 대하여 소스 전극(119)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레인 영역(114)에 대하여 드레인 전극(12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소스 전극(119)과, 드레인 전극(121)은 게이트 전극(117)과 동일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전극(119)과 드레인 전극(121) 상에는 수분과 산소로부터 소스 전극(119)과 드레인 전극(121)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막(패시베이션막 및/또는 평탄화막, 123)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123)은 하부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하고, 평탄화시킨다. 상기 보호막(123)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BCB(Benzocyclobutene)나, 아크릴(Acryl) 등과 같은 유기물이나, SiNx와 같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23)은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소스 전극(119)이나 드레인 전극(121)중 어느 한 전극에 콘택 홀(124)을 통하여 픽셀 전극과 대응되는 제 1 전극(1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125)은 유기 발광 소자(OLED)에 구비되는 전극들 중에서 애노우드로 기능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도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25)은 목적에 따라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제 1 전극(125)은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ITO, IZO, ZnO, In2O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반사막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반사막의 상부에 ITO, IZO, ZnO, In2O3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123)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제 1 전극(125)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도록 픽셀 정의막(pixel define layer, PDL, 1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셀 정의막(126)은 상기 제 1 전극(125)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것에 의하여 각 서브 픽셀의 발광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픽셀 정의막(126)은 유기물이나, 무기물로 형성하게 된다.
이를테면, 상기 픽셀 정의막(126)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벤조사이클로부텐, 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등과 같은 유기물이나, SiNx와 같은 무기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픽셀 정의막(126)은 단일막으로 형성되거나, 다중막으로 구성될 수 있는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전극(125) 상에는 상기 픽셀 정의막(126)의 일부를 식각하는 것에 의하여 노출되는 부분에 중간층(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간층(127)은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127)은 각 서브 픽셀, 즉, 패터닝된 제 1 전극(125)에만 대응되도록 패터닝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것은 서브 픽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도시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중간층(127)은 저분자 유기물이나,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테면, 상기 중간층(127)은 발광층(Emissive layer)을 구비하고, 그 외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중간층(127)이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고, 기타 다양한 기능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27)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의 커먼 전극과 대응되는 제 2 전극(128)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전극(128)은 제 1 전극(125)과 마찬가지로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125)과, 제 2 전극(128)은 중간층(127)에 의하여 서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제 1 전극(125) 및 제 2 전극(128)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중간층(127)에서 가시광이 발광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이 구현된다.
상기 제 2 전극(128)은 제 1 전극(125)과 마찬가지로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8)이 투명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일 함수가 작은 금속, 즉,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이 중간층(127) 상에 증착된 후, 그 위에 ITO, IZO, ZnO, In2O3 등의 투명 전극 형성용 소재로 된 보조 전극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8)이 반사형 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Li, Ca, LiF/Ca, LiF/Al, Al,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전면 증착하여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 1 전극(125)은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으로 형성시에 각 서브 픽셀의 개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28)은 투명 전극이나, 반사형 전극을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전면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상기 제 2 전극(128)은 전면 증착시키는 대신에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1 전극(125)과, 제 2 전극(128)은 위치를 반대로 하여 적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다양한 회로 패턴을 구비하는데, 전원 공급 패턴, 정전기 방지 패턴 및 기타 다양한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 영역(CA)에는 회로 배선(129)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 배선(129)은 보호막(12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배선(129)은 상기 제 1 전극(125)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배선(129)은 전원 배선(130)과 연결된다. 상기 전원 배선(130)은 층간 절연막(119)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배선(130)은 소스 전극(119)이나, 드레인 전극(12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전극(128)은 상기 회로 배선(129) 및 전원 배선(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씰링 영역(CSA)에는 씰링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씰링 영역(CSA)에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 사이를 씰링하게 된다. 상기 씰링부(200)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밀봉부(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140)는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 및 다른 박막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밀봉부(140)는 강성을 가지는 글래스나, 고분자 수지나,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부(140)는 유기 발광 소자 상에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막과 무기막은 각각 복수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도 3의 터치 스크린 패널(150)에 구비된 복수의 제 1 전극 패턴부(151) 및 복수의 제 2 전극 패턴부(15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9)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9)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회로 영역(CA)의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로 영역(CA)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9)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이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밀봉부(140)의 외면에 패턴화된다.
또한, 상기 밀봉부(140) 상에는 얼라인 키이(260)가 형성된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씰링 영역(CSA)의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씰링 영역(CSA)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이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밀봉부(140)의 외면에 패턴화된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0)이 형성된 밀봉부(140)의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0)과 동일한 소재, 이를테면, 몰리브덴(Mo)과 같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150)과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과 윈도우 커버(160)를 정위치에서 정렬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씰링부(20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상기 씰링부(200)의 용융에 의하여 상기 기판(110)과 밀봉부(140)를 서로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레이저 빔이 금속재로 된 얼라인 키이(260)에 반사되어서, 레이저 빔의 일부는 상기 밀봉부(14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라인 키이(260)와 대응되는 위치의 씰링부(200)의 영역에서는 씰링되는 온도 프로파일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씰링부(200)를 제조한 이후 상기 씰링부(200)를 관찰하게 되면, 상기 씰링부(200)의 강도가 저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씰링부(200)에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와 대응되는 위치에 면적 확대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의 씰링부(200)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도 4의 160)의 수직 방향으로 얼라인 키이(260)와 중첩되게 위치한다. 상기 씰링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가장자리, 즉, 씰링 영역(도 4의 CSA)을 따라서 연속적인 라인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은 사각형이므로,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각 코너마다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씰링부(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가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씰링부(200)의 면적을 확대시킨 면적 확대부(27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면적 확대부(270)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와 대응되는 위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각 코너마다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적 확대부(270)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200)의 폭을 다른 부분에서의 씰링부(200)의 폭보다 넓게 확대하여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씰링부(200)는 제 1 부분(201)과, 상기 제 1 부분(201)과 일체로 형성되며,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20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분(201)과 제 2 부분(202)은 길이 방향(Y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된 라인이다.
상기 씰링부(200)를 폭 방향(X 방향)으로 1/2로 나누었을 때, 상기 제 1 부분(201)은 도 5의 씰링부(200)의 중앙의 점선으로부터 우측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에 해당되고, 상기 제 2 부분(202)은 중앙의 점선으로부터 좌측 가장자리까지의 영역에 해당된다.
상기 제 1 부분(20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도 4의 120)의 액티브 영역(AA)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이며, 상기 제 2 부분(202)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바깥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 1 부분(201)과 제 2 부분(202)은 일체로 형성되며, 연속적인 하나의 라인으로 된 씰링부(200)를 형성한다.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된 제 1 부분(201) 및 제 2 부분(202)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패널(160)의 길이 방향(Y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제 1 부분(201) 상에 위치한다. 대안으로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는 제 2 부분(20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면적 확대부(270)는 상기 제 1 부분(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액티브 영역(AA)으로 돌출된 제 1 면적 확대부(271)와, 상기 제 2 부분(202)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가장자리로 돌출된 제 2 면적 확대부(27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는 상기 제 1 부분(201)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면적 확대부(272)는 상기 제 2 부분(202)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와, 제 2 면적 확대부(272)는 각각 곡률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와, 제 2 면적 확대부(272)는 반원형이며, 이외에도 다른 형상으로도 제조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와, 제 2 면적 확대부(272)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부분에서 상기 씰링부(200)의 폭 방향(X 방향)으로 양 가장자리에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상기 제 1 부분(201) 상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의 간격(d1)이 상기 제 2 면적 확대부(272)의 간격(d2)보다 넓게 형성시킨다.
이것은 상기 얼라인 키이(260)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하는 부분에서의 제 1 부분(271)은 제 2 부분(272)보다 레이저 씰링 이후 수축되는 현상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제 1 부분(271)이 수축되는 양만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1)의 면적을 상기 제 2 면적 확대부(272)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레이저 씰링 이후에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200)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하지 않은 다른 부분에서의 씰링부(200)보다 수축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크다.
즉, 상기 얼라인 키이(260)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씰링부(200)에 소망하는 열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게 되어서, 경화시에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200)는 수축되는 양이 더욱 많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270) 및 제 2 면적 확대부(260)의 크기는 상기 씰링부(200)의 수축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레이저 씰링 이후에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200)는 상기 얼라인 키이(260)로 인하여 수축이 더 발생하더라도 수축량을 보상해주도록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면적 확대부(200)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얼라인 키이(260)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에서의 씰링부(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코너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씰링부(200)는 면적을 더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60)의 코너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200)는 대략 90° 각도로 경로를 전환하여 연장된다. 이렇게, 경로가 전환하는 부분에서의 씰링부(200)는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제 3 면적 확대부(273)가 형성된다.
상기 제 3 면적 확대부(273)는 상기 씰링부(200)가 경로 전환을 하는 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제 1 부분(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액티브 영역(AA)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씰링부(200)가 꺽여지는 부분에는 제 3 면적 확대부(273)의 간격(d3)만큼 두꺼워진다.
100...디스플레이 장치 110...기판
120...디스플레이부 140...밀봉부
150...터치 스크린 패널 159...배선
160....디스플레이 패널 200...씰링부
201...제 1 부분 202...제 2 부분
260...얼라인 키이 270...면적 확대부
271...제 1 면적 확대부 272...제 2 면적 확대부
273...제 3 면적 확대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밀봉부 상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윈도우 커버의 위치 정렬을 위한 얼라인 키이; 및
    상기 기판과 밀봉부 사이에 배치된 씰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씰링부에는 상기 얼라인 키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면적 확대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배치된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씰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밀봉부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와 얼라인 키이는 서로 중첩되게 위치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면적을 확대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을 다른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보다 넓게 확대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레이저 씰링 이후에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수축되는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얼라인 키이가 위치한 부분에서의 씰링부의 폭 방향으로 씰링부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의 양 가장자리에 형성된 면적 확대부는 서로 비대칭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바깥쪽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제 1 부분 상에 위치하며,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 1 면적 확대부와,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제 2 면적 확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와, 제 2 면적 확대부는 서로 다른 크기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라인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의 면적이 상기 제 2 면적 확대부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면적 확대부와, 제 2 면적 확대부는 각각 반원형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확대부는 상기 씰링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와 대응되는 부분에서 경로를 전환하여 연장되고, 상기 코너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씰링부의 면적이 더 확대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연속적인 라인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와, 면적 확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코너에 복수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밀봉부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 패턴부와, 상기 전극 패턴부를 서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전극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이 형성된 밀봉부의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액티브 영역과, 상기 액티브 영역의 바깥쪽으로 연장된 회로 영역과, 상기 회로 영역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며, 씰링부가 형성된 씰링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용 배선은 상기 회로 영역과 대응되는 밀봉부 상에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키이는 상기 씰링 영역과 대응되는 밀봉부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키이는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층을 구비한 중간층을 가지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31164A 2014-03-17 2014-03-1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64A KR102194824B1 (ko) 2014-03-17 2014-03-17 디스플레이 장치
US14/334,999 US9600111B2 (en) 2014-03-17 2014-07-1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64A KR102194824B1 (ko) 2014-03-17 2014-03-1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479A true KR20150108479A (ko) 2015-09-30
KR102194824B1 KR102194824B1 (ko) 2020-12-24

Family

ID=5406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164A KR102194824B1 (ko) 2014-03-17 2014-03-1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0111B2 (ko)
KR (1) KR102194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05A (ko) * 2018-01-25 2019-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251236B2 (en) 2020-01-02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lignment
US11271069B2 (en) 2019-05-14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lign mark to facilitate assembly of layers during manufa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532B1 (ko) * 2014-01-23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60783B1 (ko) 2014-09-16 2022-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99148B (zh) * 2015-06-10 2018-04-03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的封装结构及封装方法
KR20180002797A (ko) * 2015-06-25 2018-01-08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제조 방법
CN106020554A (zh) * 2016-06-06 2016-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盖板及其制造方法和触控显示装置
KR101929452B1 (ko) * 2016-07-29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85787B1 (ko) * 2016-12-23 2023-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27715A (ko) * 2019-09-02 2021-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70452A (ko) *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8711A1 (en) * 1999-06-11 2005-11-10 Takashi Miyazaki Liquid cryst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US20130049062A1 (en) * 2011-08-24 201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639B1 (ko) 2002-02-05 2007-02-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US7362407B2 (en) 2002-02-01 2008-04-22 Lg.Philips Lcd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3317934A (ja) 2002-04-22 2003-11-07 Asahi Glass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867167B1 (ko) 2002-06-17 2008-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50116245A1 (en) 2003-04-16 2005-06-02 Aitken Bruce G. Hermetically sealed glass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649225B2 (ja) 2003-04-21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378439B1 (ko) 2008-08-20 2014-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0102066A (ja) 2008-10-23 2010-05-06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TWI540931B (zh) * 2010-04-01 2016-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電激發光元件封裝及其製造方法
CN102291949B (zh) * 2010-06-18 2013-08-28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多层电路板制作方法
KR20130007006A (ko) 2011-06-28 2013-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8711A1 (en) * 1999-06-11 2005-11-10 Takashi Miyazaki Liquid cryst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10001706A1 (en) * 2009-07-02 2011-01-06 Emery Sanford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display module
US20130049062A1 (en) * 2011-08-24 2013-02-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05A (ko) * 2018-01-25 2019-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74430A (ko) * 2018-01-25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25083B2 (en) 2018-01-25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271069B2 (en) 2019-05-14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lign mark to facilitate assembly of layers during manufacture
US11653539B2 (en) 2019-05-14 2023-05-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n align mark to facilitate assembly of layers during manufacture
US11251236B2 (en) 2020-01-02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l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00111B2 (en) 2017-03-21
KR102194824B1 (ko) 2020-12-24
US20150261365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140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21948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09491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7591423B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22500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683954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09032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s well as a flexible display device
KR101058106B1 (ko) 표시 장치
KR10112758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878687B (zh)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US996506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ouch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45388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504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143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12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12259A1 (zh) 柔性显示装置及电子设备
KR10200071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56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25251A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97375A (zh) 显示装置
CN111602466A (zh)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2015011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1532A (ko) 간격 유지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054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