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406A - 경보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보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406A
KR20150107406A KR1020140030285A KR20140030285A KR20150107406A KR 20150107406 A KR20150107406 A KR 20150107406A KR 1020140030285 A KR1020140030285 A KR 1020140030285A KR 20140030285 A KR20140030285 A KR 20140030285A KR 20150107406 A KR20150107406 A KR 2015010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receiver
alarm
alarm sig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0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406A/ko
Publication of KR2015010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경보 방송 시스템은 알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및 전원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제1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제1 단선 감지부는 전원 케이블의 단선시 배터리로부터 스피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Description

경보 방송 시스템{ALARM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경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나 폭발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에 경보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경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비롯하여 다양한 해양 플랜트(offshore plant)의 설계시 안전성(safety)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에 해당한다. 예컨대, 해양 플랜트에는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emergency)의 발생시에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중 방송(PAGA; Public Address General Alarm) 시스템이 구축된다. 종래의 PAGA 시스템은 하드와이어(hard wire)를 통해 알람을 전송하고 스피커(speaker)를 동작시켜 경보 방송을 수행한다. 즉, 종래의 PAGA 시스템은 전원 케이블(power cable)을 통해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고, 통신 케이블(telecommunication cable)을 통해 스피커로 알람 신호를 송신하여 경보 방송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PAGA 시스템은 화재나 폭발 등의 사고로 인해 전원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이 끊어질 경우 시스템의 유지가 불가능해지고 스피커를 통해 경보 방송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AGA 시스템을 이원화하고 이원화된 PAGA 시스템의 서로 다른 스피커에 서로 다른 라인(전원 케이블, 통신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스피커와 장비가 2배 이상으로 소모되고, 2곳 이상의 화재 발생으로 인해 모든 라인이 끊어질 경우에는 여전히 경보 방송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전원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는 경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은, 알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제1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선 감지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배터리 간에 설치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전원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방송 시스템은,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송신기를 통해 무선 송신하거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통제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방송 시스템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신기 간에 설치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각 스피커에 내장되며,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1 단선 감지부 및 상기 제2 단선 감지부는 복수 개의 스피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은,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알람 신호를 송신하거나 송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제 시스템;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통신 케이블 또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선 감지부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상기 알람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신기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전원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은 통제 시스템(10)에서 알람 신호(alarm signal)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transmitter), 스피커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 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알람 신호를 입력받아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speaker), 전원 케이블(power cable)을 통하여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power provider),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battery) 및 전원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제1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제1 단선 감지부는 전원 케이블의 단선시 배터리로부터 스피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은 알람 신호를 송신기를 통해 무선 송신하거나 통신 케이블(telecommunication cable)을 통해 송신하는 통제 시스템(control system) 및 통신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여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전원 케이블이나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100)은 송신기(110), 수신기(120), 스피커(130), 전력 공급부(140), 배터리(150), 제1 단선 감지부(160) 및 제1 스위치(170)를 포함한다.
송신기(110)는 수신기(120) 측으로 알람 신호(alarm signal)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알람 신호는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을 알리는 경고 방송 정보 혹은 경고음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110)는 통제 시스템(10)에 구비될 수 있다. 통제 시스템(10)은 화재나 폭발 사고 발생시에 대비하여 미리 설정된 경고 방송 정보 혹은 경고음 정보와 같은 알람 신호를 스피커(130)로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PAGA(Public Address General Alarm)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110)는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하역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의 그레이팅(grating) 구조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변조(FM; 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를 이용하여 알람 신호를 수신기(120)로 송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기(120)는 송신기(110)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수신기(120)는 스피커(130)와 인접하도록 설치되거나, 스피커(130)에 내장될 수 있다.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된 알람 신호는 스피커(130)로 입력된다. 스피커(130)는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 예를 들어 사고 발생을 알리는 경보 방송이나 사이렌 소리와 같은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수신기(120)에 의해 알람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 개의 스피커(130)로 알람 신호를 입력하고 있으나, 복수 개의 수신기(120)를 이용하여 스피커(130)들로 알람 신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 공급부(140)는 전원 케이블(141)을 통하여 스피커(13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로, 전력 공급부(140)는 스피커(130)들로 전력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전력 분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 하나의 전력 공급부(140)에 의하여 복수 개의 스피커(130)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으나, 복수 개의 전력 공급부(140)를 이용하여 스피커(130)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다른 전력 공급부(14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스피커(130)별로 각각 제1 단선 감지부(160)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배터리(150)는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피커(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50)는 각 스피커(130)에 내장될 수 있다. 스피커(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40)이 단선되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배터리(150)의 전원을 예비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140)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에는 배터리(150)로부터 스피커(13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시에 배터리(150)로부터 스피커(1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단선 감지부(160)는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을 감지한다. 제1 단선 감지부(160)는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시 배터리(150)로부터 스피커(1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제1 단선 감지부(160)는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을 감지하여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릴레이 회로(relay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단선 감지부(160)는 전원 케이블(14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는 분기 회로(미도시)와, 분기 회로를 통해 분기된 전력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에 미달하는 것으로부터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70)는 스피커(130)와 배터리(150)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70)는 제1 단선 감지부(160)로부터 발생된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150)로부터 스피커(130)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170)는 제1 단선 감지부(160)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케이블(14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배터리(150)의 전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130)의 전원 입력 단자(131)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전원 케이블(141)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제1 스위치(170)의 입력 단자는 전력 공급부(140)로부터 스피커(130)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41)의 말단 측에 연결되고, 스피커(130)는 전력 공급부(140)로부터 전원 케이블(141)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만약, 전원 케이블(141)이 단선되면 제1 단선 감지부(160)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치(170)의 입력 단자는 배터리(150) 측으로 전환되고, 스피커(130)는 배터리(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나 폭발 사고와 같은 비상 상황 발생시에 전원 케이블(141)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스피커(13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피커(130)에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분) 이상 사용 가능한 배터리(150)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비상 상황 발생시에 전원 케이블(141)이 단선되더라도 배터리(150)의 전원을 이용하여 스피커(130)를 작동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이상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스피커(130)에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1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화재나 폭발 등의 비상 상황 발생시 통신 케이블(1410이 단선되는 것과 무관하게 수신기(120)를 통해 알람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스피커(130)를 통해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스피커(130)가 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는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단선 감지부(160)와 수신기(120)는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피커(130)에 각각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제1 단선 감지부(160)는 대응하는 스피커(13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141)의 단선 여부를 감지한다. 단선을 감지한 제1 단선 감지부(160)로부터 발생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스피커(130)에 내장된 배터리(150)의 전원을 이용해 스피커(130)가 작동된다. 수신기(120)를 통해 수신된 알람 신호는 대응하는 스피커(130)로 입력되고, 스피커(130)로 입력된 알람 신호에 따라 경보 방송이 수행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제 시스템(10)은 알람 신호를 송신기(110)를 통해 무선 송신하거나 통신 케이블(191)을 통해 스피커(130) 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경보 방송 시스템(100)은 제2 단선 감지부(180)와 제2 스위치(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단선 감지부(180)는 통신 케이블(191)의 단선을 감지하여 통신 케이블(191)의 단선시 수신기(12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2 단선 감지부(180)는 통신 케이블(191)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여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릴레이 회로(relay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단선 감지부(180)는 통신 케이블(191)을 통해 송신되는 알람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는 분기 회로(미도시)와, 분기 회로를 통해 분기된 전력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에 미달하는 것으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수신기(120)에 상시 운용으로 인한 전력 소비를 줄이도록 수신기(120)는 제2 단선 감지부(180)에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만 작동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90)는 스피커(130)와 수신기(120) 간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90)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기(120)로부터 스피커(130)로 알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스위치(190)는 제2 단선 감지부(180)로부터의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통신 케이블(191)의 말단과 수신기(120)의 출력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스피커(130)의 통신 입력 단자(132)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통신 케이블(191)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제2 스위치(190)의 입력 단자는 통신 케이블(191)의 말단에 연결되고, 스피커(130)는 통신 케이블(191)을 통해 알람 신호를 입력받는다. 만약, 통신 케이블(191)의 단선시 제2 단선 감지부(180)로부터의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스위치(190)의 입력 단자는 수신기(120)의 출력단으로 전환되고, 스피커(130)는 수신기(120)로부터 알람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보 방송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케이블(191)은 스피커(130)마다 개별적으로 알람 신호를 송신하도록 각 스피커(130) 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단선 감지부(180)와 제2 스위치(190)는 복수 개의 스피커(130)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제2 단선 감지부(180)는 대응하는 스피커(130)로 알람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케이블(191)의 단선 여부를 감지한다. 단선을 감지한 제2 단선 감지부(180)에서 발생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대응하는 수신기(120)를 동작시키고 수신기(120)로 무선 수신된 알람 신호를 대응하는 스피커(130)로 입력하여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화재나 폭발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전원 케이블(141)과 통신 케이블(191)이 단선되는 경우에도 일정 시간 이상 스피커(130)들을 통해 경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통제 시스템 100: 경보 방송 시스템
110: 송신기 120: 수신기
130: 스피커 140: 전력 공급부
141: 전원 케이블 142: 정션 박스(junction box)
150: 배터리 160: 제1 단선 감지부
170: 제1 스위치 180: 제2 단선 감지부
190: 제2 스위치 191: 통신 케이블

Claims (8)

  1. 알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수신기로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
    상기 스피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제1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선 감지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배터리 간에 설치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신호를 상기 송신기를 통해 무선 송신하거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송신하는 통제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여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신기 간에 설치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를 수신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서로 다른 구역에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는 각 스피커에 내장되며,
    상기 수신기와 상기 제1 단선 감지부 및 상기 제2 단선 감지부는 복수 개의 스피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경보 방송 시스템.
  7. 통신 케이블을 통하여 알람 신호를 송신하거나 송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알람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제 시스템;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알람 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기;
    상기 통신 케이블 또는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알람 신호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는 스피커;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하는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선 감지부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상기 알람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방송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수신기 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통신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은 경우 상기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통신 케이블의 단선시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알람 신호를 입력받는 경보 방송 시스템.
KR1020140030285A 2014-03-14 2014-03-14 경보 방송 시스템 KR20150107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285A KR20150107406A (ko) 2014-03-14 2014-03-14 경보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285A KR20150107406A (ko) 2014-03-14 2014-03-14 경보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406A true KR20150107406A (ko) 2015-09-23

Family

ID=5424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285A KR20150107406A (ko) 2014-03-14 2014-03-14 경보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4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59B1 (ko) * 2018-10-31 2020-02-18 최성국 자체 비상방송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659B1 (ko) * 2018-10-31 2020-02-18 최성국 자체 비상방송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2966989B3 (fr) Systeme d'alimentation electrique sans coupure
KR101293244B1 (ko) 소비전력 절감 전관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534461B (zh) 供电路径切换装置、供电路径切换系统和供电路径切换方法
KR102096091B1 (ko) 진동 지진과 스피커 회선의 이상 자동감지 및 상시 비상 방송 가능 시스템
MD20090001A2 (ro) Sistem şi procedeu de prevenire a incendiului în staţiile electrice de tensiune înaltă
KR101164572B1 (ko)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마을방송/재난방송 시스템
KR101439471B1 (ko) 긴급 상황 방송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영역 제어 방법
KR20150107406A (ko) 경보 방송 시스템
JP6110776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RU2006146687A (ru) Безопасность компьютерной сети
EP2875652B1 (en) Public address system and monitoring device for a public address system
KR20200125040A (ko) 초음파를 이용한 스피커 회선 고장점검 및 보호 장치를 구비한 비상방송시스템
KR20200129975A (ko) 선로 단락 단선 보호기능 통합관리 iot 전관방송시스템
KR20090132366A (ko)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CN203950405U (zh) 隧道掘进机消防安全预警系统
KR101060129B1 (ko) 소방용 무선통신 보조설비 감시 시스템
US109177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loudspeaker line
KR102152257B1 (ko) 스마트폰 운영체제 기반의 전관방송 시스템용 멀티스피커 컨트롤러
KR20140023015A (ko) Af 궤도회로장치
JP5704690B2 (ja) 有線ページングシステムの複合ケーブルの異常検出装置
EP3220583B1 (en) Communications bus line isolator
JP3159725U (ja) 河川警報装置
KR20200045637A (ko) 경보방송시스템
JP2022098567A (ja) 放電検出システム
JP5863750B2 (ja) 放送システムおよびセン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