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366A -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 Google Patents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366A
KR20090132366A KR1020080058586A KR20080058586A KR20090132366A KR 20090132366 A KR20090132366 A KR 20090132366A KR 1020080058586 A KR1020080058586 A KR 1020080058586A KR 20080058586 A KR20080058586 A KR 20080058586A KR 20090132366 A KR20090132366 A KR 20090132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fire
transmitter
receiver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176B1 (ko
Inventor
홍성현
Original Assignee
홍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현 filed Critical 홍성현
Priority to KR102008005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용전원(AC 200V)과 수소전지나 리듐이온 배터리를 예비전원으로 함께 사용하는 전원부(1)와; 유선감지기(7)의 경우 저항을 거쳐온 DC 24V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포토커플러 PC-1의 출력 LOW 또는 HIGH의 변화로 단선 유무를 판정하고, 무선감지기(8)의 경우 무선감지기(8) 자체에 부여된 번지수를 코드화하여 일정량의 시간 동안 반복 순환하여 수신기와 통신함으로써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회로감시부(2)와; 감지기가 동작하여 포토커플러 PC-2의 LED를 점등하고 화재발생 신호를 다채널 멀티플레스에 전달하면 디지털 컨트롤러로 코드화하여 통신포트(5)로 보내는 화재감시부(3)와; 회로감시와 화재감시의 레벨신호를 디지털 컨트롤러에서 코드화하고 다시 레벨 정형하여 감지기 고유번호로 분류 변화시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전달하여 통신 포트(5)와 결합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4)와; RS-232를 사용하여 MD-10MM 칩의 프로그램을 입출력 통신 관리하는 통신 포트(5) 및; MD-10MM 칩의 근거리 통신 전용의 모듈이며 오디오 입출력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있으며 프로그램의 입출력을 위한 I/O 포트에 의해 수신기와 중계기 및 발신기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중계기와 발신기 및 수신반이 하나의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어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며 자유로워 비 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선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화재(사찰, 석조건물 등)와 고건축물 기타 주요 시설물의 화재를 조기에 감지, 무선으로 신속한 화재경보를 알려 줌으로써 화재의 초기 대응으로 피해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58586
수신반, 중계기, 발신기, 무선종합발신기, 화재경보, 유선, 무선

Description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A wireless synthesis transmitter for fire alarm having reception panel and repeater function}
본 발명은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감지기와 일반 유선감지기를 병행하여 사용하면서 유, 무선의 경보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발신기의 기능과 중계기의 기능 및 국부적인 수신반의로서 역할도 통합하여 하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한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화재경보기의 시스템은 감지기의 화재경보 신호를 유선으로 중계기 단자로 전송하면 중계기 및 회로선은 그 신호를 구분하여 메인 수신반으로 보내고 있다.
그리고 R형 또는 P형 발신기에는 인위적으로 화재 발생을 경보 할 수 있는 스위치가 내장되어 화재시에는 이 스위치를 눌러서 화재신호를 유선으로 직접 수신기로 전달하거나 중계기로 보내면 중계기는 이 경보신호를 메인 수신반에 보낼 수가 있다.
종래의 발신기에는 전화단자용 잭이 별도로 장착되어 있으나 일반 범용적인 전화단자용 잭이 아니라 오디오용 잭이 사용되고 있어 특수용도의 전화기가 아니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현 설비에서는 중계기와 발신기가 그 기능별로 분리가 되어 있어 설비의 대, 중, 소에 관계없이 모든 것을 설치하여야 했으며 이는 건설 단가를 높이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시설이 복잡하여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다른 시각에서는 건물의 증축이나 용도 변경이 되면 이에 따른 화재설비의 신설이나 보수 등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많은 불편이 있어 왔다.
특히 고층건물이나 지하층 등은 보수유지와 중계기나 발신기 또는 수신기 등의 유선 설치에 따르는 배선이나 회로변경이 용이하지 않아 화재 등의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무선감지기와 일반 유선감지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고, 중계기와 발신기 및 수신반을 집약하여 하나의 화재 감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시설물의 특수성에 관계없이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를 쉽고 간단하게 설치하여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를 제공한다.
상기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는 종래의 결점을 보완하여 무선감지기와 일반 유선감지기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 무선의 경보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발신기의 기능과 중계기의 기능을 포함하여 국부적인 수신반으로써의 역할을 통합하여 작동되게 하였다.
또한, 무선종합발신기 자체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내장하여 비상시에 통화버튼 하나로 종합방재실(또는 메인수신반)과 쌍방향 통화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건축물의 규모와 시설에 맞는 방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현실적으로는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R형 수신기와도 매칭이 쉽게 되어 기존의 건물이 증축이나 용도가 변경되어도 기타 설비나 배선 등이 불필요하여 무선으로 중계기와 발신기의 복합기능을 동작할 수 있으며 수신반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써 기능을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중계기와 발신기 및 수신반이 하나의 화재 감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어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며 자유로워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선의 설치가 매우 어려운 문화재(사찰, 석조건물 등)와 고건축물 기타 주요 시설물의 화재를 조기에 감지, 무선으로 신속한 화재경보를 알려 줌으로써 화재의 초기 대응으로 피해를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의 구성을 이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 발신기의 외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는,
전원부(1)와; 회로감시부(2)와; 화재감시부(3)와; 데이터 전송부(4)와; 통신 포트(5) 및; 블루투스 모듈(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부(1)는 상용 전원과 예비전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예비전원은 상용전원이 없거나 정전 등으로 사용이 불가능하였을 때 사용한다.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에 입력된 상용전원(AC 220V)은 ±3V, ±5V, ±24V 등으로 세분되면서 정류 및 DC화하여 AC 리플 전압을 제거한다.
이 전압과 전류를 정전압 레귤레이트에 가하면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면서 내 부 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예비전원의 수소 충전지나 리듐이온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과충전방지회로가 있는 충전 레귤레이트를 사용한다.
전압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고 지시하기 위하여 전압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과전압, 저전압, 정상전압 등을 LED의 색상을 이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발신기의 표시등도 여기의 전압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로감시부(2)는 기존의 유선감지기(7)의 경우 말단 저항(10ΚΩ)을 거쳐 DC 24V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포토커플러 PC-1의 LED를 상시 작동시켜 내부의 C-MOS 버퍼의 출력이 LOW 또는 HIGH의 변화를 감시하여 회로의 단선 유무를 점검한다.
즉, PC-1의 LED가 점등하면 출력은 LOW가 되어 정상으로 판정하고 회로가 단선이면 PC-1의 LED가 소등되어 출력은 HIGH가 되고 출력이 HIGH로 변화하면 단선이라 판정한다.
따라서 PC-1의 출력 변화를 최종 LED Dispaly에 이상 유무로 표시한다.
감시 대상이 무선감지기(8)일 경우에는 무선감지기(8) 자체에 부여된 번지수를 코드화하여 일정량의 시간동안 반복 순환하여 수신기와 통신함으로써 이상 유무를 판독하여 역시 최종 LED Display에 이상 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화재감시부(3)는 상기 회로감시와 같은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특이점은 다음과 같다.
즉 유, 무선감지기(7)(8)가 동작하여 상기 유, 무선감지기(7)(8) 내부의 접 점이 ON되면 DC 24V의 전압이 IN 4001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제너다이오드(ZD)의 항복전압(15V) 이상이 되면 제너다이오드가 도통하여 포토커플러 PC-2의 LED를 점등하고 이때의 PC-2의 출력은 LOW가 되어 화재발생 신호를 다채널 멀티플레스에 전달하면 디지털 컨트롤러로 코드화하여 통신 포트(5)로 보낸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4)는 회로감시와 화재감시의 레벨신호를 디지털 컨트롤러에서 코드화하고 다시 레벨 정형하여 유, 무감지기(7)(8) 고유번호로 분류 변환시켜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에 전달하여 다음의 통신 포트(5)와 결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곳에서 제어용 S/W를 이용하여 회로감시와 화재감시 부분의 회로를 ON, OFF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포트(5)는 RS-232를 사용하여 블루투스 모듈(6)에 삽입된 MD-10MM칩의 프로그램을 입출력 통신관리를 한다. J1은 MD-10MM 칩의 자료를 컴퓨터에 내려받아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된 자료나 프로그램을 다시 J2의 잭을 이용하여 MD-10MM칩에 심어 놓을 수 있게 하였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Bluetooth Module)(6)은 MD-10MM 칩의 근거리 통신전용의 모듈이며 오디오 입출력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이 집약되어 있다.
최대 통신거리는 약 1KM이며 프로그램의 입출력을 위한 I/O 포트도 내장하고 있으며 세부 기능은 다음과 같다.
수신기로 동작할 시에는 감지기 수에 따른 번지수를 입력하여 두고 화재 발생시나 발신기의 스위치 등이 동작하였을 때는 무선감지기(8)는 안테나로 수신하며 유선감지기(7)일 경우에는 J3을 통하여 수신하여 지정된 번지수의 데이터를 프로그램에이블(Programable) I/O(PIC)에 출력하여 다음의 LCD, LED Driver 활성화해 LCD에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LED Dispaly에는 해당 유, 무선감지기(7)(8)와 발신기의 표시등이 점등한다. 또한, Line Buffer를 이용하여 릴레이(RY1)가 동작하고 벨 또는 부져(Buzzer)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하게 하였다.
동시에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담당자, 관계기관 등에 문자 또는 음성을 이용하여 화재사실을 통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기의 기능은 타지역의 무선중계기나 유선중계기 신호를 받아 내부적으로 비트 검사를 연산한 후 번지수의 출력을 다시 안테나 혹은 J3의 릴레이(RY1) 접점을 이용하여 중계기나 수신기로 전달한다.
발신기의 역할은 MD-10MM 칩의 기능 핀을 이용하여 발신기 전용의 내장 스위치를 사용하였다. 이 기능 핀 자체에 번지수를 프로그램하면 별도의 번지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위치 파악이 용이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신기에 부착되는 전화 잭을 대신하여 스피커와 마이크를 장착할 수 있어 통화 버튼 하나로 전화로서 기능을 다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중계기, 발신기 및 수신기가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되고 유, 무선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의 설치가 쉽고 간단하며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원부 2 : 회로감시부
3 : 화재감시부 4 : 데이터 전송부
5 : 통신 포트 6: 블루투스 모듈

Claims (1)

  1. 화재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용전원(AC 200V)과 수소전지나 리듐이온 배터리를 예비전원으로 함께 사용하는 전원부(1)와; 유선감지기(7)의 경우 저항을 거쳐온 DC 24V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여 포토커플러 PC-1의 출력 LOW 또는 HIGH의 변화로 단선 유무를 판정하고, 무선감지기(8)의 경우 무선감지기(8) 자체에 부여된 번지수를 코드화하여 일정량의 시간 동안 반복 순환하여 수신기와 통신함으로써 이상 유무를 판독하는 회로감시부(2)와; 유, 무선감지기(7)(8)가 동작하여 포토커플러 PC-2의 LED를 점등하고 화재발생 신호를 다채널 멀티플레스에 전달하면 디지털 컨트롤러로 코드화하여 통신포트(5)로 보내는 화재감시부(3)와; 회로감시와 화재감시의 레벨신호를 디지털 컨트롤러에서 코드화하고 다시 레벨 정형하여 유, 무선감지기(7)(8) 고유번호로 분류 변화시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전달하여 통신 포트(5)와 결합한 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4)와; RS-232를 사용하여 MD-10MM 칩의 프로그램을 입출력 통신 관리하는 통신 포트(5) 및; MD-10MM 칩의 근거리 통신 전용의 모듈이며 오디오 입출력과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있으며 프로그램의 입출력을 위한 I/O 포트에 의해 수신기와 중계기 및 발신기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KR1020080058586A 2008-06-20 2008-06-20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KR10094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86A KR100949176B1 (ko) 2008-06-20 2008-06-20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586A KR100949176B1 (ko) 2008-06-20 2008-06-20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366A true KR20090132366A (ko) 2009-12-30
KR100949176B1 KR100949176B1 (ko) 2010-03-23

Family

ID=4169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586A KR100949176B1 (ko) 2008-06-20 2008-06-20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3940A (zh) * 2013-10-25 2014-02-19 黑龙江炎盾物联网科技开发有限公司 应用于消防物联网的电气火灾探测器
CN108777052A (zh) * 2018-09-10 2018-11-09 深圳市泛海三江电子股份有限公司 低功耗无线火灾报警系统及无线控制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753B1 (ko) 2010-10-28 2011-04-14 금성방재공업 주식회사 통신기능을 구비한 전력 감시용 화재수신기
KR102476657B1 (ko) 2022-05-24 2022-12-13 (주)전원테크 중계기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화재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796A (ja) * 1989-10-26 1991-06-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中継器機能を有した発信機及びこれを用いた自火報システム
KR20040057233A (ko) * 2002-12-26 2004-07-02 김경주 화재 감시 시스템용 중계기
KR100515091B1 (ko) 2003-07-10 2005-09-14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지털 화재감지기, 이를 이용한 통합화재감지시스템과화재판단방법
JP4762101B2 (ja) 2006-10-02 2011-08-31 能美防災株式会社 火災受信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3940A (zh) * 2013-10-25 2014-02-19 黑龙江炎盾物联网科技开发有限公司 应用于消防物联网的电气火灾探测器
CN108777052A (zh) * 2018-09-10 2018-11-09 深圳市泛海三江电子股份有限公司 低功耗无线火灾报警系统及无线控制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76B1 (ko) 201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374B1 (ko) 공동주택의 화재감시기능을 갖춘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CN109819676B (zh) 具有灾难警报及灾难训练功能的led照明灯系统
KR101410033B1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장치
KR100949176B1 (ko) 수신반과 중계기 기능을 갖는 화재경보용 무선종합발신기
KR100892604B1 (ko) 소방 복합 관제 모듈
WO2020022697A1 (ko) 소방전용 자동화재 탐지설비 시스템
KR20140050408A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0703A (ko) 지하 주차장 사고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US20170236402A1 (en) Interconnect base for interconnected sensor
KR101005427B1 (ko)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100374154B1 (ko) 전원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KR100979485B1 (ko)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CN202306754U (zh) 智能无线消防报警系统
CN113012382A (zh) 一种古建筑防火预警装置及系统
KR20160093448A (ko) 블루투스 아이비콘을 이용한 전자식 화재감지기 및 수신시스템
KR20180115451A (ko)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KR20100023361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KR20130121490A (ko)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화재방어용감지수단과 전원관리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CN201796452U (zh) 电气火灾监控探测器
JP2010160675A (ja) 無線式警報器
KR20160113784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20200136628A (ko) 무선 화재 감지기 시스템
KR102205262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알람 경보시스템
JP7075522B2 (ja) 警報システム
CN210442910U (zh) 基于电流事件分析的故障自诊断用户传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