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005A -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005A
KR20150107005A KR1020140029084A KR20140029084A KR20150107005A KR 20150107005 A KR20150107005 A KR 20150107005A KR 1020140029084 A KR1020140029084 A KR 1020140029084A KR 20140029084 A KR20140029084 A KR 20140029084A KR 20150107005 A KR20150107005 A KR 2015010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ituation
sensor
patter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고은진
지덕구
장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005A/ko
Priority to US14/627,101 priority patent/US9406210B2/en
Publication of KR2015010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84Arrangements monitoring consumption of a utility or use of an appliance which consumes a utility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metering of water, gas or electricity, use of taps, toilet flush, gas stove or electric kett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센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정보 생성부, 상기 상황 패턴 정보와 상기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 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living}
본 발명은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의 발전과 네트워크 기능을 탑재한 홈 가전 제품들이 등장하면서, 홈 내에 거주자가 없을 경우, 디바이스를 제어하거나 홈 내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바이스의 진화는 건축물 내 설계 시 ICT 기술과의 융합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향해 발전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즉, 단순 휴식 제공 개념의 주거 공간이 첨단 과학 기술이 집약된 하이테크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핵 가족화와 불안한 외부 경험을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 이루고자 하는 요구사항의 변화에 대해, 미래학자 페이스 팝콘(Faith Popcorn)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하고 포근한 가정 같은 환경 속으로 파고드는 경향을 가진 코쿠닝(Cocooning) 트랜드의 변화를 팝콘리포트(1992)에 발표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트랜드의 변화는 댁내 스마트 디바이스와 센서 장치 등의 확대가 불가피해 보인다.
따라서, 현재 일반적으로 홈 내 위험 상황 감지를 위해 사용되는 단순 연기 센서를 이용한 방재 서비스, 홈 내 디바이스 제어를 위하여 홈 오토메이션 기기를 이용한 가스 밸브 잠그기, 조명 ON/OFF와 같은 단순 기능 서비스는 한층 세심하고 디테일한 확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외부 침입, 방범 등을 위하여 주로 이용하는 영상에 의존한 서비스 제공은 높은 설치비, 사건 발생 후 처리를 위한 자료 이용 등과 개인 정보 침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최근 사용자들은 현재 폭넓게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단말과 스마트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댁내 설치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거주자의 안전생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시스템은 개발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 제10-2007-009196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홈 내 설치된 센서 장치와 거주자가 사용하는 스마트 단말과 스마트 디바이스 등에서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회적 약자 및 상시 보호가 필요한 사용자의 안전성 및 생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목적은 거주자 자신의 상태 정보가 생성되고 있음을 인지하지 않고 지낼 수 있도록 하여, 장치에 대한 거부감이나 디바이스 사용 중 강제 중단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목적은 핵가족화와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1인 가정의 증대로 인한 위험상황에 대한 대처가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목적은 앞서 언급한 코쿠닝족의 증가로 댁 내에서 멀리 있는 가족 및 외부 사람들과의 댁내에서의 교류에 대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목적은 노인성 치매와 같이 홀로 생활이 불가한 거주자 또는 상시 도움이 필요한 환자를 돌보는 보호자의 잠시 외출 등과 같은 상황에서 댁내 환경 인지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의 자동 제어 및 원격지 통보가 가능한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센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정보 생성부, 상기 상황 패턴 정보와 상기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 처리부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센서의 위치, 타입, 종류, 측정가능 값 및 측정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정보 수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특성 정보, 기능 및 상태 정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공간 상태 정보,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규칙 정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시작시간, 센싱 종료시간, 센싱 값, 센서 임계치 및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센싱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패턴 정보 생성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동작시간, 최대동작시간 및 주기성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센싱 패턴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부는 상기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제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웹 검색을 통해 상기 제어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안전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센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황 패턴 정보와 상기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 인지에 상응하는 디바이스 제어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 반응 정보에 따른 상황 패턴 정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안전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해 사용자 반응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상황의 경중에 따라 구별되는 상황을 개별적으로 인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의 경중에 따라 구별되는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상시 보호가 필요한 치매 환자 등이 순간적인 동작의 변화가 발생하거나 생활 패턴을 잃었을 경우, 도움을 주고 위험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센서와 디바이스 정보의 위치 정보와 생성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생활 동선 및 동작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거주자의 공간에 따른 디바이스와 센서의 정보를 분리함으로써, 각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디바이스 특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한 디바이스에 따라 상황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보호가 요구되는 환자 등이 위험에 노출되었을 경우, 가상 공간 제 3자의 원격 제어 및 상황처리부의 디바이스 제어로 즉각 대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특정 디바이스 반응(예, 컴퓨터 사용시 키보드 및 마우스 클릭 반응) 및 특정 동작을 위한 디바이스 위치 인지 후 사용자의 생활 패턴 내 평균 반응 동작과 비교하여 동작에 이상발생 했을 경우, 환경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안내 서비스 및 디바이스 알람으로 상황의 변화를 유도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동작 변화를 관찰하여 결과 반응에 따른 상황을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은 주기적 센서 정보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하여, 디바이스에 설치된 센서 정보와 거주 공간별 디바이스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동작 패턴 및 동선을 파악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지된 상황의 경중에 따른 즉각 디바이스 제어 및 비위험 디바이스 동작 후 사용자 동작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가 동작하는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로 디바이스 동작의 On/Off 동작으로 한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가 동작하는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센서(10)에 관한 정보(Sensor Information, S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0)에 관한 정보(SI)는 센서 ID, 센서 타입, 센싱 주기, 센서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Device Information, D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DI)는 디바이스 ID, 디바이스 타입, 디바이스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에 관한 정보(User Information, UI)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에 관한 정보(UI)는 사용자의 공간 상태 정보, 사용자의 특성 정보 및 사용자의 규칙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UI)를 직접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 및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 및 장치의 배치등을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 즉 안방, 거실, 주방등의 배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침대, 전등, 전기장판, 냉장고, 세탁기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정보 즉, 연령, 기본 생활 주기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Realtime Sensing Information, RSI) 및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20)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Realtime Device Operating Information, RDOI)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 및 디바이스(2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정보(RSI, RDOI)와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상황은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상황은 위험 상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은 소정의 디바이스(20)의 동작이 요청되는 상황이나 사용자에게 도움을 주어야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디바이스(20)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현재 상황에 맞는 디바이스(2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가 디바이스(20)를 제어하기 위해 디바이스 제어신호(Control signal, CS)를 디바이스(20)에 전송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안전 서비스 제공자(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서비스 제공자(50)는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이나 단체가 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자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의 보호자 등에게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보호자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케어되고 있는 상황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거주자의 공간에 따른 디바이스(20)와 센서(10) 정보를 이용하여, 각 공간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20)의 특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바이스(20)에 따라 상황 대응이 가능하며, 위험에 노출되었을 경우 가상 공간 제 3 자의 원격 제어 및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의 디바이스 제어로 즉각 대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정보 수신부(110), 패턴 정보 생성부(130), 상황 인지부(150), 프로파일부(170) 및 상황 처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10)는 센서(10)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10)에 관한 정보는 센서 ID, 센서의 위치, 센서의 타입, 센서의 종류, 센서의 측정가능 값 및 센서의 측정주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가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지원되는 경우,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에 관한 정보를 센서(1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센서(10)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센서(10)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는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디바이스의 특성 정보, 디바이스의 기능 및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20)에 관한 정보를 디바이스(2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설치된 도어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어에 관한 정보는 도어의 위치정보, 도어의 특성 정보, 도어의 기능 및 도어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세탁기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세탁기에 관한 정보는 세탁기의 위치정보, 세탁기의 특성 정보, 세탁기의 기능 및 세탁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세탁기에 구비된 센서(10)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세탁기에 구비된 센서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접촉 센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에 구비된 센서에 관한 정보는 세탁기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세탁기 주변에 설치된 압력센서 및 중력센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센서 및 중력센서는 사용자가 세탁기 앞에 위치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세탁기 접촉센서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디바이스 위치 정보와 압력센서 및 중력센서의 값으로 사용자를 인지하고 동선을 파악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센서(10) 및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센싱 패턴 정보 생성부(131), 디바이스 패턴 정보 생성부(133) 및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턴 정보 생성부(131)는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 시작시간, 센싱 종료시간, 센싱 값, 센서 임계치 및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센싱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디바이스 패턴 정보 생성부(133)는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한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디바이스의 동작시간, 디바이스의 최대동작시간 및 디바이스의 주기성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문서 작성, 웹서핑, 기능성게임 등)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마우스와 키보드의 클릭 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동작 패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135)는 센싱 패턴 정보 및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135)는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센싱 패턴 정보 및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기초로 임의로 학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디바이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선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135)는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주된 생활이 TV가 위치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TV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직접입력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50)는 센서(10) 및 디바이스(20)로부터 수신되는 실시간 정보와 패턴 정보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상황은 열센서 및 연기 센서등에 의한 화재상황, 가스 센서(10)를 이용한 가스노출상황, 도어센서를 이용한 거주자 부재시 침입 상황 등과 같이 단순 센서 동작에 의한 위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황 인지부(150)는 식사 후 설거지, 세탁 후 세탁건조대 이동,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의 위치에 따른 외출과 귀가와 같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황 인지부(150)는 디바이스(20)의 동작 순서와 관련 없는 현재 상황도 인지할 수 있고, 공간 내 설치된 디바이스(20)를 그룹화(grouping), 디바이스와 센싱 정보를 매핑하고, 특정 디바이스(20)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에 설치된 디바이스(20)는 가스레인지, 개수대,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냉장고, 쌀통, 식탁, 의자 등이 있을 수 있고, 센서(10)는 각각의 디바이스(20)에 도어 On/Off 감지 접촉센서(10), 사용자 이동 체크 및 동작시간 체크를 위한 중량센서(10)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50)는 디바이스(20)를 그룹으로 정의하고, 패턴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수신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식사 준비를 위한 것인지, 다른 이유로 주방에 온 것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50)는 사용자가 식사를 준비한다는 상황을 인식한 후, 각각의 디바이스(20)에 대한 동작 여부 확인, 동작 지속 시간 등을 체크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는지 확인하여, 확인된 결과를 상황 처리부(19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파일부(170)는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디바이스(20)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프로파일부(170)는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제어 서비스에서 디바이스(20)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프로파일부(170)는 웹 검색을 통해 제어 서비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센서(10)와 디바이스(20)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으며, 웹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센서(10)와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한 경우, 홈페이지를 통해 업로드 하거나, 통신망을 이용하여 업데이트하는 방법으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황 처리부(190)는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현재 상황에 맞는 디바이스(2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황 처리부(190)는 디바이스(20) 제어 및 위험 상황을 통보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처리부(190)가 현재 상황을 처리하는 단계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디바이스(20)/센서(10) 패턴 정보 생성부(130) 상황 인지부(150) 상황 처리부(190)
세탁기 세탁기 사용 시간: 30분(1일차), 35분(2일차), 40분(3일차)
세탁기 동작을 위해 세탁기 앞에 머무르는 시간(중량센서 이용): 10분(1일차), 8분(2일차), 13분(3일차)
패턴 정보: 하루 평균 사용 시간 35분
패턴 정보(하루 평균 사용 시간 35분)와 실시간 입력되는 정보(세탁기 사용 시간 0분, 세탁기 앞 머무르는 시간 15분) 비교
날씨 정보(날씨 맑음) 고려
프로 파일 검색: 사용자가 동작을 망각 혹은 거동이 불편한 상황 인지
사용자에게 케어 서비스 제공 요청
세탁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제공 요청
근거리 가족에게 메시지 전송
경비회사에 경비 확인 요청
원격지 보호자에게 메시지 전송
전담의사에게 사용자 건강상태 확인 요청
패턴 정보 업데이트 요청
세탁기 도어 센서(10) 세탁기 도어 센서(10) 개폐시간: 08시(1일차), 08시 30분(2일차), 09시(3일차)
패턴 정보: 하루 중 08시 30분경 세탁기 사용
세탁기 조작 하루 평균 시간 10분
패턴 정보(하루 중 08시 30분경 세탁기 사용)와 실시간 입력되는 정보(세탁기 도어 개폐시간 없음) 비교
날씨 정보(날씨 맑음) 고려
프로 파일 검색: 사용자의 거동이 불편한 상황 인지
사용자 프로파일 비교
만약 사용자가 경증치매환자의 경우 동작 망각 판단
일반인일 경우 거동 불편 상황 판단
[표 1]을 참조하면,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세탁기 사용 시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1 일차에는 30분, 2 일차에는 35분, 3 일차에는 40분 동안 세탁기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세탁기의 평균 사용 시간이 하루 평균 35분이라는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 정보 생성부(130)는 세탁기 도어 센서(10) 개폐시간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하루 중 08시 30분경 세탁기 사용한다는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황 인지부(150)는 실시간으로 세탁기 사용 시간과 사용 시각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패턴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세탁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어, 0분이 된 경우, 날씨 정보를 고려하여, 프로파일부(170)를 통해 현재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날씨가 맑음에도 불구하고, 세탁기의 사용시간이 전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황 인지부(150)는 사용자의 거동이 불편하다는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거동이 불편하다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황 처리부(190)는 사용자에게 케어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거나, 세탁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고, 근거리 가족에게 메시지 전송하는 방법으로 현재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로 디바이스 동작의 On/Off 동작으로 한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기초로 디바이스(20) 및 센서(10)의 정보 입력 예상 시나리오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생활 지원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센서(1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사용자(30)로부터 시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4 및 단계 S405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센싱값을 수신하고,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 동작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04 및 단계 S405에서 생성된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을 이용하여, 센싱 패턴 정보를 생성한 후,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센싱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했다는 판단을 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단계 S404 및 단계 S405에서 생성된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패턴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단계 S407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센서(10)로부터 실시간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20)로부터 실시간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패턴 정보와 실시간으로 수신한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단계 S409의 비교 정보를 기초로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상황은 열센서 및 연기 센서등에 의한 화재상황, 가스 센서를 이용한 가스노출상황, 도어 센서를 이용한 거주자 부재시 침입 상황등과 같은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에서 현재 상황의 경중에 따라 구별되는 상황을 개별적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화재상황이라 하더라도, 화재의 경중에 따라, 디바이스(20)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또는 보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관 또는 단체의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디바이스(20)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제어 서비스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고,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가 웹 검색으로 통해 기 등록된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단계 S412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단계 S411에서 검색된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디바이스(20)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413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2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변경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업데이트하는 과정에서 패턴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 디바이스 정보 수신(S408)시 헤어드라이어기가 최대 동작 시간을 벗어나 동작하여 S410에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는 디바이스 과열로 인지하고 디바이스 Off라는 제어 서비스 제공(S412)에 대하여 동일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다시 사용자에 의해 On으로 변경된 경우 현재상황 인지(S410)는 패턴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안전 생활 지원 장치(100)에 알리고 패턴 정보 업데이트를 위한 임계 반복 횟수를 체크하여 최종 업데이트(S414)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상기 두 가지의 결합에서 직접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부착 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다른 형상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그리고 정보를 그 저장 매체에 쓸 수 있도록 한다. 대안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 ASIC은 사용자 단말 내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 별도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모든 프로세스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들이나 프로세서들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코드 모듈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그 소프트웨어 코드 모듈들을 경유하여 완전히 자동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드 모듈들은 임의 유형의 컴퓨터-독출가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의 집합 상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법들 중 몇몇 또는 모두는 전문화된 컴퓨터 하드웨어 내에서 대안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들 및 태스크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되고 그리고 충분히 자동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몇몇의 경우들에서, 상기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고 그리고 상호 동작하는 다중의 개별 컴퓨터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물리적인 서버들, 워크스테이션들, 저장 어레이들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컴퓨팅 디바이스 각각은 메모리 또는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독출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모듈들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들 또는 회로 또는 회로들의 집합, 예를 들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비록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중 몇몇 또는 모두는 컴퓨터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특정 회로 (예를 들면, ASIC들 또는 FPGA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지만, 그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은 그런 프로그램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여러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때에, 이 디바이스들은 같은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같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시된 방법들 및 태스크들의 결과들은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칩들 및/또는 자기 디스크들과 같은 변환 물리 저장 디바이스들에 의해서 상이한 상태로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센서
20 : 디바이스
50 : 안전 서비스 제공자
100 : 안전 생활 지원 장치
110 : 정보 수신부
130 : 패턴 정보 생성부
131 : 센싱 패턴 정보 생성부
133 : 디바이스 패턴 정보 생성부
135 :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
150 : 상황 인지부
170 : 프로파일부
190 : 상황 처리부

Claims (11)

  1. 센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패턴 정보 생성부;
    상기 상황 패턴 정보와 상기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상황 인지부;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프로파일부; 및
    상기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 처리부;
    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센서의 위치, 타입, 종류, 측정가능 값 및 측정주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정보 수신부;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특성 정보, 기능 및 상태 정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공간 상태 정보, 사용자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규칙 정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정보 수신부;
    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 생성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 시작시간, 센싱 종료시간, 센싱 값, 센서 임계치 및 센싱 주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센싱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 패턴 정보 생성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 동작시간, 최대동작시간 및 주기성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패턴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센싱 패턴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 패턴 정보 생성부;
    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부는
    상기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부는 상기 제어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웹 검색을 통해 상기 제어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안전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장치.
  7. 센서에 관한 정보,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황 패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황 패턴 정보와 상기 센싱값 정보 및 상기 동작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현재 상황에 상응하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 서비스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서비스를 기초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안전 서비스 제공자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해 사용자 반응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을 인지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상황의 경중에 따라 구별되는 상황을 개별적으로 인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을 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상황의 경중에 따라 구별되는 상황에 맞는 상기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안전 생활 지원 방법.
KR1020140029084A 2014-03-12 2014-03-12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50107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84A KR20150107005A (ko) 2014-03-12 2014-03-12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US14/627,101 US9406210B2 (en) 2014-03-12 2015-02-20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afe liv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084A KR20150107005A (ko) 2014-03-12 2014-03-12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005A true KR20150107005A (ko) 2015-09-23

Family

ID=5406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084A KR20150107005A (ko) 2014-03-12 2014-03-12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6210B2 (ko)
KR (1) KR201501070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21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센싱을 기반으로 엠티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49622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센싱을 기반으로 무선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6690A (zh) * 2016-11-01 2017-05-10 宋显峰 一种环境检测方法及相关设备
US20210200808A1 (en) * 2018-09-21 2021-07-01 Hefei Compass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Prison monitoring intelligent control method with comparative analysis function
JP2022151232A (ja) * 2021-03-26 2022-10-0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3224B2 (en) * 2006-06-30 2010-06-08 Bao Tran Mesh network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ppliance
KR20070091969A (ko) 2006-03-08 2007-09-12 박봉준 독거노인 및 환자 관리시스템
FR2906629B1 (fr) * 2006-09-29 2010-01-08 Vigilio Procede et systeme pour la detection de situations anormales d'une personne dans un lieu de vie
KR20090019152A (ko) * 2007-08-20 2009-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를 이용한 일상생활 행위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00917605B1 (ko) * 2007-09-07 2009-09-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일상행위의 이상 징후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32339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노인의 문안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184001B2 (en) 2008-01-18 2012-05-22 Intel-Ge Care Innovations Llc Smart display device for independent living care
KR100980426B1 (ko) 2008-07-07 2010-09-07 주식회사 엠유비정보통신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621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센싱을 기반으로 엠티 데이터를 수집하여 무선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149622A1 (ko) * 2021-01-05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센싱을 기반으로 무선 센싱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6210B2 (en) 2016-08-02
US20150262466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8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a person
US9811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ory locking and unlocking of a smart-sensor door lock
US10026289B2 (en) Premises management system with prevention measures
JP5058504B2 (ja) 住居の中の人物の遠隔人物追跡方法とその装置
KR20150107005A (ko) 안전 생활 지원 장치 및 방법
US20210022649A1 (en) Fall detection using sensors in a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US9836069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ng unattended children in the home
KR102494874B1 (ko) 일상생활 능력정보 기반 치매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N105934781A (zh) 用于监测的方法和系统
US20140370469A1 (en) Utilizing appliance operating patterns to detect cognitive impairment
GB2525476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interior of a building, and assistance system for at least one interior of a building
JP2005284535A (ja) 生活監視システム
US11114200B2 (en) Smart monitoring safety system using sensors
US11911187B2 (en) Monitoring a subject
EP3364877A1 (en) Monitoring a physical or mental capability of a person
JP201805529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見守り用プログラム
JP2016066198A (ja) 住戸居住者用熱中症発生警報システム
JP2018180826A (ja) 居住情報管理装置および居住情報管理システム
JP6982815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hmad et al. Smart home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design based on IoT applications
Bafaro et al. Monitoring cooker activities using a grid-EYE infrared array sensor
JP2023161801A (ja) 看視システム、看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Aktaruzzaman et al. Application of cloudbridge automation using raspberry Pi
JP2020021137A (ja) 行動記録情報誤り検出装置および行動記録情報誤り検出システム
WO2023186382A1 (en) Subject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