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994A -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994A
KR20150106994A KR1020140028949A KR20140028949A KR20150106994A KR 20150106994 A KR20150106994 A KR 20150106994A KR 1020140028949 A KR1020140028949 A KR 1020140028949A KR 20140028949 A KR20140028949 A KR 20140028949A KR 20150106994 A KR20150106994 A KR 20150106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red ginseng
blood pressure
eto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범
정종태
이민정
고영종
이수정
최경민
차정단
황승미
임지예
정후길
박종혁
오전희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재단법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재단법인 임실치즈과학연구소,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베리앤바이오식품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28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994A/ko
Publication of KR2015010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와 홍삼의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분자 열매와 홍삼을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와, 복분자 와 홍삼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혈압강하 효능을 시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epression of Blood Pressure from main component Using Extract of Rubus occidentalis & Red Ginseng}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혈관내피세포주에서 복분자 완숙과의 에탄올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이 혈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NO(Nitric oxide) 생성의 변화와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통해 복분자와 홍삼의 분자생물학적 효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복분자(rubus occidentalis)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 및 남부지역이 주요산지로 초여름에 검붉은 열매를 수확하고 있다. 복분자는 유리당, 무기질의 인, 철 및 칼륨이 많이 함유하여 있고 특히 유기산과 비타민C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항암활성 및 면역증진효과, 항산화 및 항균효과, Hapatitis B virus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복분자 물추출물이 동물시험과 임상시험에서 저밀도 지단백(LDL)을 억제함으로써 고지혈증 및 지질대사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혈관질환의 원인이 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a, IL-6, PGF2, 일산화질소 등의 생성을 억제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한방에서 복분자는 강장제, 신체허약, 당뇨병, 성욕감퇴, 정액루, 유뇨증, 천식, 알레르기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홍삼(red ginseng)은 6년근 수삼을 증기로 쪄서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2차적인 성분 변환이 일어나 수삼에 존재하지 않는 특유의 새로운 약효 성분들이 생성되고 일정의 생리활성물질인 사포닌(saponin)의 함량이 증가하고 보관성이 우수해진다. 홍삼내에 존재하는 Ginseniside는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의 흡수 및 이동속도를 촉진하고, 혈청 콜레스테롤 증가를 억제하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Ginseniside를 동물에 투여시 간의 LDL(Low Density Lipoprotein) 흡입을 증가시키고 혈액내의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 제거속도를 촉진하여 Ginseniside의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가 VLDL과 LDL의 농도감소에 기인한 것임이 증명되었고, Ginseniside에 의한 콜레스테롤 저하는 고지방 식이에 의한 LDL 수용체의 합성억제를 완화시킨 다는 것이 밝혀졌다.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회복, 혈당강하, 운동 수행 능력증대, 항피로 작용, 면역력 증대 등의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흡수를 억제하고 생체 내 지방 대사를 촉진하는 기능성 식품으로 생각되어져 왔다.
고혈압은 전 세계 성인의 15∼20%에 달하는 만연된 질병으로 동맥경화, 뇌졸중, 심근경색 및 당뇨병 등 심각한 만성 질병문제를 야기한다. 고혈압은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는 기구들이 천천히 붕괴되는 질병들과 함께 합병증으로 나타날 경우 치사율이 높은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Nitric oxide(NO)는 혈관내피 세포에서 방출되는 강력한 혈관확장제로서, 혈관벽을 이완하며, 혈소판의 유착 및 응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NO는 혈관 평활근을 효과적으로 확장하며 이렇게 확장된 혈관은 혈액이 쉽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혈압이 저하되고 따라서 고혈압이 정상혈압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한다. 최근 몇몇 연구에서 NO합성차단제인 L-NAME (N-nitro-L-arginine methyl ester)를 장기간 투여한 결과, 고혈압이 유발되었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혈압조절과 관련하는 중요한 기작으로서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가 있다. ACE는 아연 금속 protease 그룹에 속하고 폐 혈관내피를 감싸고 있다. Angiotensin Ⅰ은 1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펩타이드로서 angiotensinogen이 renin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며, 이것은 ACE에 의해서 C말단의 dipeptide(His-Leu)가 절단되어 8개의 펩타이드를 가진 강력한 혈관 수축 물질인 angiotensin Ⅱ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angiotensin Ⅱ는 동맥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켜, 아드레날에서의 aldesterone의 분비를 촉진하여 신장의 sodium 및 수분의 재흡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ACE는 혈관 확장, 장의 운동성 증대 등의 작용을 가진 bradykinin을 분해하여 불활성화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혈압의 강화는 ACE의 저해제를 연구함으로써 고혈압이나 심장병 치료를 위해 ACE 저해물질인 alacepril, benazepril, captopril, cilazapril, enalapril, fosinopril, lisinopril, moexipril, perindopril, quinapril, ramipril, tandolapril 및 zofenopril 등을 포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학 합성 치료제들은 헛기침, 미각 장애 및 피부 홍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에 식품 및 의약 등에서 천연물 유래의 ACE 저해제를 찾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최근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면서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밝힌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연구에서 혈압 강하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천연물을 이용한 혈압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대부분 질병 모델동물을 대상으로 단기간동안 추적조사를 하거나 고혈압 환자들을 대상으로 혈압을 측정하는 연구가 많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번호1045551은 복분자 발효주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첨가하여 용출한 메틸렌클로라이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 있으나 본 발명과는 기술적구성이나 기술적사상 및 목적이 다른 것이다.
복분자와 홍삼은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및 항당뇨 등의 대사증후군에 효과가 있으며,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 촉진, 간기능회복, 항피로 작용 및 운동 수행 능력 증대 등 면역기능을 증대시켜주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그러나 복분자와 홍삼을 병행 사용시의 효과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기 때문에 대사증후군 예방과 면역기능 증진에 도움이 되는 복합제의 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품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분자 열매와 홍삼을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와, 복분자 와 홍삼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혈압강하 효능을 시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람의 혈관내피세포주에서 복분자 완숙과의 에탄올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이 혈압강하에 영향을 미치는 NO 생성의 변화와 ACE 단백질 발현의 변화를 통해 복분자와 홍삼의 분자생물학적 효능을 파악한다.
본 발명은 복분자와 홍삼의 추출물이 혈압강하 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 예방과 면역기능 증진에 도움이 되는 복합제의 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EtOH 농도별 추출물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50, 75% EtOH 추출물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복분자 완숙과 50%, 75% EtOH 추출물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물추출물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물추출물 그리고 그 혼합액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복분자 단일물질인 폴리페놀류가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열매와 홍삼을 각각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와, 복분자 와 홍삼의 추출액을 여과하여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와, 혈압강하 효능을 시험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는 생과 1 ㎏에 에탄올용매(0, 25, 50, 75% EtOH) 10 L를 넣고 환류냉각장치를 부착한 히팅 맨틀을 이용하여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고, 이것을 2회 반복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ADVANTEC No.2)를 이용하여 여과하였고 이를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 하였다. 홍삼 물 추출물은 홍삼 1 kg에 물 10 L를 넣고 환류냉각장치를 부착한 히팅맨틀을 이용 75℃에서 48시간, 72시간, 48시간 3회 가열 추출 하였다. 추출물은 여과지(ADVANTEC No. 2, Adventec Toyo Kaisha, Tokyo, Japan)를 이용 여과하여 감압농축 후 동결 건조 하였다.
<실시예 2> 세포 배양
인간 혈관내피 세포인 HUVEC cell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을 37℃, 5% CO2와 습윤화된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56℃에서 30분간 열처리된 fetal bovine serum (FBS, Invitrogen, USA) 10%와 항생제(antibiotic-antimycotic, GibcoBRL)를 함유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였다. 매우 낮은 온도(-196℃)에서는 세포내의 모든 대사 작용이 멈추게 되어 세포가 장기간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거의 영구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40). 그러므로 세포주의 변형, 오염, 배양기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세포주를 손실하게 되는 경우에 대비해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 10%, FBS 23.5%, 배양배지 66.5%를 혼합한 세포 동결배지와 함께 액체 질소에 보관해 두었다. 필요한 경우, 액체 질소에 보관되어 있는 동결 용기를 꺼내, 즉시 37℃의 수조에서 충분히 녹인 후 70% 알코올로 동결 용기의 외부를 소독하였다. DMSO는 세포 성장에 방해가 되므로 세포 동결 배지 10배의 배양 배지와 함께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세포만을 새 배양 배지에 부유하여 배양하였고 6시간 이후 배지를 교체해주었다. 실험에 사용한 모든 culture dish는 0.2% gelatin으로 코팅시킨 후 사용하였다. HUVEC cell은 내피세포이므로 세포외기질(ECM:extracellular matrix)이 있어야지만 세포끼리의 부착으로 인한 정상적인 증식과 신호전달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2% gelatin 코팅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NO production assay
NO는 인체 내 신경계, 면역계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등에 관여하는 매우 중요한 전령분자이다. Nitric oxide synthase(NOS)에 의해 L-arginine으로부터 NO가 생성되는데(41. 42), 이는 빠르게 안정화된 형태인 NO2 - (NItrite, 아질산염), NO3 - (Nitrate, 질산염)으로 전환된다. Griess reagent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 + 1% N-(1-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는 아질산염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보라색의 아조염을 형성하고 이것은 NO의 농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NO의 생성은 아조염의 농도로부터 아질산염의 농도를 548 nm에서 그 최대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HUVEC 세포는 12 well culture dish에 1×105/㎖로 농도로 희석하여 분주하였다. 24시간 뒤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0, 25, 50, 75% EtOH 추출물을 처리하였고, 복분자 처리 24시간 뒤 세포배양액을 획득하였다. 대조군과 복분자 처리군의 세포 배양액 상층을 각각 150 ㎕씩을 첨가한 후 20 ㎕의 griess reagent 시약과 H2O의 130 ㎕의 혼합물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Griess Reagent Kit for Nitrite Determination, Invitrogen). 이후 반응물의 흡광도는 microplate reader (Bio-Tek, USA)을 사용하여 548 nm에서 측정하였다. 아질산염의 농도 정도는 아질산염의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실시예 4> Western blot
HUVEC 세포는 60 mm dish에 6×105/㎖의 농도로 희석하여 분주하고, 복분자 EtOH 농도별 추출물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ACE inhibitor인 captopril을 사용하였다. 복분자 추출물과 양성대조군을 처리한지 24시간 뒤에 차가운 PBS로 dish를 washing하고 lysis buffer를 dish에 뿌린 후 스크래퍼를 이용해 세포를 획득하였다. 단백질 추출을 위해 30분 동안 5분에 한번씩 voltex mixing을 시행하였다. 이후 13,000 rpm으로 15분 동안 원심분리를 하여 상층액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상층액은 Brad-ford 정량법을 이용해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였고, SDS-page gel에 loading하였다. 이후 transfer terbo (Bio-Rad)를 이용해 PVDF membrane (Bio-Rad)에 단백질을 transfer 시킨 후 5% blocking buffer (sigma, skim milk)를 사용해 blocking 과정을 거쳤다. 이후 1×TBS-T로 washing 후 5% blocking buffer에 antibody를 희석하여 4℃에서 overnight시켰다. 다음날 1×TBS-T로 blot을 washing 한 뒤 2차 antibody를 4℃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1×TBS-T로 washing 후 ECL western blotting substrate (promega, korea)로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antibody는 ACE, eNOS, β-actin (SANTACRUZ)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추출물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는 angiotensin Ⅰ을 angiotensin Ⅱ로 전환시킴으로써 혈압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로 작용한다. 실험에 사용된 양성대조군인 captopril은 ACE의 inhibitor로 사용되고 있으며, 10 nM, 100 nM, 1,000 nM, 10,000 nM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10 nM과 100 nM에서 ACE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0, 25, 50, 75% EtOH 추출물은 각각 100 ㎍/㎖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미숙과에서는 0, 25% EtOH 추출물의 ACE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는 미미하였으나, 50, 75% EtOH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ACE 단백질 발현이 눈에 띄게 억제 되었다(도 1). 완숙과 추출물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 완숙과 0, 25% EtOH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ACE 단백질 발현 감소가 미약하였으나, 50, 75% EtOH 추출물을 처리한 그룹에서는 ACE 단백질 발현이 눈에 띄게 억제 되었다
<시험예 2> 복분자가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NO는 혈관평활근 세포내의 guanylate cyclase (GC)를 자극하여 3', 5'-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를 증가시켜서 내피 의존적인 혈관이완을 일으킨다. SNP는 평활근의 GC를 자극시켜 cGMP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관이완을 일으킨다. Western blot 실험에서 복분자 미숙과와 완숙과 50, 75% EtOH 추출물의 ACE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가 가장 뛰어남을 바탕으로 4가지 추출물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기로 하였다. 4가지 추출물을 1, 10, 1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NO 생성을 확인한 결과, 미숙과보다 완숙과를 처리한 그룹에서 NO 생성이 더 높게 측정되었다(도 2). 복분자 100 ㎍/㎖의 처리 농도가 NO 생성에 미약한 것으로 생각되어 완숙과 50, 75% EtOH 추출물을 이용하여 50, 100, 200, 400 ㎍/㎖의 농도로 처리해 NO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50, 75% EtOH 추출물에서 농도 증가에 따라 NO의 생성량이 증가되었다(도 3). 추출물 400 ㎍/㎖을 처리 하였을 때 50% EtOH 추출물 그룹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6.2배 증가되었고 75% EtOH 추출물 그룹에서는 6.8배 증가 되었다.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SNP(20 uM) 처리 그룹에서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7.3배정도 NO 생성을 증가시켰다. 50% EtOH 추출물 처리 그룹과 75% EtOH 추출물 처리 그룹에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비슷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조 공정에서 EtOH의 단가나 수율을 고려하여 완숙과 50% EtOH 추출물을 선택하여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3>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상기에서 기술한바와 같이 NO 생성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75% EtOH 추출물의 효과가 비슷한 결과를 바탕으로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을 100, 200, 400 ㎍/㎖의 농도로 처리하여 ACE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을 100, 200, 400 ㎍/㎖의 농도로 처리 했을 농도에 의존적으로 ACE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시험예 4>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물추출물이 일산화질소(NO)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이전의 연구에서 가장 우수한 NO 생성능을 보인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농도에서의 두 추출물의 NO 생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 200 ㎍/㎖와 홍삼 물추출물 2.5 ㎎/㎖ 처리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각각 5.9배, 5.2배로 비슷하게 증가하였으며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 400 ㎍/㎖와 홍삼 물추출물 5 ㎎/㎖ 처리군에서는 각각 11배, 10.5배 증가하였다. 홍삼 물추출물 또한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같이 2.5, 5, 10 ㎎/㎖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도 5).
<시험예 5> 복분자 완숙과 추출물과 홍삼 추출물 혼합액이 ACE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 200 ㎍/㎖과 홍삼 물추출물 5 ㎎/㎖이 NO 생성을 각각 약 6배와 10배 정도 증가시키는 결과를 바탕으로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물추출물을 단독 처리 또는 복합 처리시 ACE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완숙과 50% EtOH 추출물과 홍삼 물추출물 처리군 모두 정상대조군에 비해 ACE 단백질의 발현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감소한 결과는 복분자 50% EtOH 추출물 처리군이 가장 높은 ACE 단백질 발현 억제를 나타내었으며 홍삼 물추출물 단독처리군과 완숙과와 홍삼 복합처리군은 서로 비슷한 정도의 ACE 단백질 발현 억제를 나타내었다(도 6).
<시험예 7> 복분자 단일물질인 폴리페놀류들이 일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본 발명을 통해 복분자 완숙과가 강력한 혈압억제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복분자의 단일 물질인 폴리페놀류를 이용하여 NO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폴리페놀은 총 10종으로 caffeic acid, ellagic acid, gallic acid, kaemfrol, luteolin, myricetin, p-coumaric acid,. quercetin, rutin 이다. 10가지 폴리페놀 중 gallic acid와 myricetin 10 ㎍/㎖ 처리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각각 4.9배와 2.8배의 NO 생성 증가를 확인하였다(Fig. 7). 따라서 복분자 완숙과 50% EtOH 추출물이 보이는 강력한 NO의 증가는 이러한 복분자내에 함유된 단일물질인 폴리페놀류 중 gallic acid와 myricetin이 보이는 효과임을 알 수 있다.
<적용예>; 제제
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및 홍삼의 추출물 각각 2 g, 유당 1 g 및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및 홍삼의 추출물 각각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및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및 홍삼의 추출물 각각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및 홍삼의 추출물 각각 1 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및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복분자 및 홍삼의 추출물 각각 150 ㎎, 대두 추출물 50 ㎎, 포도당 200 ㎎, 전분 600 ㎎ 및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을 첨가하여 섭씨 60 ℃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본 발명은 복분자 열매와 홍삼의 추출물이 강력한 혈압억제 활성을 가지며, 폴리페놀류는 NO 생성능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또한 성인의 대사증후군 개선 및 면역증진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5)

  1.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의약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법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위생법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산제, 정제, 캡슐, 환, 액상 또는 과립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1020140028949A 2014-03-12 2014-03-12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20150106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49A KR20150106994A (ko) 2014-03-12 2014-03-12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949A KR20150106994A (ko) 2014-03-12 2014-03-12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994A true KR20150106994A (ko) 2015-09-23

Family

ID=5424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49A KR20150106994A (ko) 2014-03-12 2014-03-12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9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7395A (zh) * 2017-10-13 2018-02-02 延边韩工坊健康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高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091737B1 (ko) * 2018-09-14 2020-03-2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환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7395A (zh) * 2017-10-13 2018-02-02 延边韩工坊健康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高免疫力功能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KR102091737B1 (ko) * 2018-09-14 2020-03-20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환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244B1 (ko)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20210236578A1 (en) Use of tomato extract as antihypertensive agent and process for making water soluble sugar free tomato extract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32897B1 (ko) 모루신, 구와논 지 또는 상백피를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0821153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or for enhancing exercise performance comprising vigna angularis var. angularis
JP5452931B2 (ja) ファセオラス・ブルガリス抽出物、それらの使用、およびそれらを含む組成物
KR101449804B1 (ko) 홍어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KR20150106994A (ko) 복분자와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이용하는 혈압강하용 조성물
KR20150097175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6342134A (ja) 紅麹を用いた薬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97442A (ko) 발효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6971A (ko) 차요테 및 알리움 후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55499B1 (ko) 신규 항산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21506B1 (ko) 돌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개선 조성물
KR102100580B1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Deng et al. Antihypertensive effect of few-flower wild rice (Zizania latifolia Turcz.)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R101536211B1 (ko) 길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1880B1 (ko) 고혈압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JP2021525222A (ja) 骨粗しょう症の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EA017609B1 (ru) Применение гидролизата казеина молока животных и продукта ферментации ис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одержащего молочный белок, включающих ile-pro-pro и/или val-pro-pro, в производстве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от артериосклероза
JP2006016340A (ja) ザクロ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血中尿酸値低下剤
KR101489734B1 (ko) 발아 검은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고혈압 조성물
WO2009057724A1 (ja) 血管弛緩作用を有するモロヘイヤ合成樹脂吸着画分組成物、該吸着画分組成物を含む血管弛緩剤又は飲食物及び該吸着画分組成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