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216A -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216A
KR20150106216A KR1020140028454A KR20140028454A KR20150106216A KR 20150106216 A KR20150106216 A KR 20150106216A KR 1020140028454 A KR1020140028454 A KR 1020140028454A KR 20140028454 A KR20140028454 A KR 20140028454A KR 20150106216 A KR20150106216 A KR 2015010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seating
guide spring
slot
centr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825B1 (ko
Inventor
안재혁
Original Assignee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25B1/ko
Priority to CN201410768732.5A priority patent/CN104908716B/zh
Priority to EP14199300.6A priority patent/EP2918457A1/en
Priority to JP2014257203A priority patent/JP6040463B2/ja
Priority to US14/581,652 priority patent/US20150258965A1/en
Priority to RU2015101090/11A priority patent/RU2583124C1/ru
Publication of KR2015010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79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placed in side grooves in the squeege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74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 B60S1/3875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 B60S1/3881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with a reinforcing vertebra rectangular section in additional element, e.g.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27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or wiping element
    • B60S2001/3841Squeegee modifications to prevent longitudinally sliding of squeegee in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 를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스포일러(40)에 결합되고, 상기 스포일러(4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중앙부(41)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삽입되는 안착 슬롯(101)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다.

Description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FLAT WIPER BLADE AND COMBINATION METHOD}
본 발명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 운행 중에 이물질이나 눈 또는 비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암에 의해 연결된 링크장치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부채꼴 모양으로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유리면에 접촉되는 기다란 와이퍼 스트립과, 와이퍼 스트립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유지하고 지지하는 가이드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이드 스프링을 가진 와이퍼 블레이드는 당해 분야에 컨벤셔널(conventional) 와이퍼 블레이드로 알려져 있다. 최근, 와이퍼 블레이드의 가이드 스프링으로서, 소정 곡률로 휘어져 있고 얇고 기다란 바(bar) 형태의 하나의 가이드 스프링을 사용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당해 분야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flat wiper blade) 또는 플랫바 와이퍼 블레이드(flat-bar wiper blade)로 알려져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컨벤셔널 와이퍼 블레이드에 비해 높이가 낮고 적은 공기 저항을 받고 균일한 하중으로 와이퍼 스트립을 유리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가이드 스프링의 중앙부에 설치된 어댑터부를 포함한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어댑터부가 와이퍼 암의 말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와이퍼 암에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중에는, 요크부를 사용하여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을 연결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가 있었고, 안착부가 좌우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져 있어 좌우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감싸도록 두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안착부를 고정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도 있었으며, 안착부를 가이드 스프링의 상단에 놓은 후 안착부 다리를 좌우에서 가이드 스프링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하여 안착부를 고정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도 있었고, 좌우에서 가이드 스프링을 감싸는 안착부 다리를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 스프링과 용접함으로써 안착부를 고정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도 있었다.
이러한 요크부를 사용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부품 수가 많아지고 가이드 스프링이 스포일러로부터 이탈되며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앞서 언급된 종래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들 역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많아지고 그 조립 방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요크부를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을 결합하여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며, 스포일러를 사출 성형이 아니라 압출 성형으로 제조하여 그 제조 단가를 저감하고, 가이드 스프링이 스포일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그 조립 방법이 간단하고,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며, 스포일러를 사출 성형이 아니라 압출 성형으로 제조하여 그 제조 단가를 저감하고, 가이드 스프링이 스포일러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그 조립 방법이 간단하고,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 를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스포일러(40)에 결합되고, 상기 스포일러(4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중앙부(41)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삽입되는 안착 슬롯(101)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0)는 강성이 있고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 슬롯(101)의 하부에는 안착부(100)의 하단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02)의 폭(L1)은 상기 안착 슬롯(101)의 내부 폭(L2)보다 작으며, 상기 안착부(100)는 내부 모서리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102)의 한쪽 상단과 반대쪽 상부의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L3)은,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의 외부 윤곽의 폭방향 길이(L4)보다는 짧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폭방향 길이(L5)보다는 길며,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연장부(101a)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되기 위하여 변형이 시작되는 때에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1면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01a)의 상기 제1면은 상기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한 쌍의 연장부(101a)는 상기 안착부(100)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4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이 삽입되는 결합 슬롯(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40)는 상기 중앙부(41)로부터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의 양쪽 바깥쪽에 형성된 제1 핀부(43) 및 제2 핀부(45)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핀부(42)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1면(44)은 상기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안착면(104)과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2 핀부(45)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2면(46)은 상기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안착면(106)과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1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제1 돌기부(14)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제2 돌기부(15)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상기 제1 삽입부(34)는 상기 제1 삽입부(34)가 형성된 일측 단부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0)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있는 내부면(10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있는 외부면(4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0)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있는 내부면(107)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상기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에 대응하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있는 외부면(47)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결합되면,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볼록부(48) 또는 상기 오목부(49)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오목부(108) 또는 상기 볼록부(109)와 제각기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오목부(108)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108a)이 형성된 쐐기형이거나, 또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볼록부(109)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109a)이 형성된 쐐기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볼록부(48)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48a)이 형성된 쐐기형이거나, 또는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오목부(49)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49a)이 형성된 쐐기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의 결합방법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0)과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을 상기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상기 스포일러(40)를 상기 안착부(100)와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과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을 상기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일부를 상기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일부가 상기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일부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퍼 스트립(10)과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을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결합 슬롯(42)에 완전히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일부가 상기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일부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14)가,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그 일측 단부측으로 개방된 제1 삽입부(34)에,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일부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15) 를,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35)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상기 스포일러(40)를 상기 안착부(100)와 결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일측부를 상기 안착부(100)의 내부 모서리부(103)에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타측부가 상기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외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고, 스포일러를 사출 성형이 아니라 압출 성형으로 제조하여 그 제조 단가를 저감하며, 가이드 스프링이 스포일러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와이퍼 스트립의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이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스포일러의 중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7a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의 스포일러와 도 2의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안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안착부의 내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착부의 정면도이고, 도 10b는 안착부의 내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착부의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의 안착부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안착부와 도 2의 스포일러,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안착부와 도 2의 스포일러,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내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내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먼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는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를 와이퍼 암(미도시)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중앙부위에 조립되는 어댑터부(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는, 차량의 유리창면에 밀착되어 차량의 유리창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스트립(10), 와이퍼 스트립(10) 상에 배치되어 와이퍼 스트립(10)을 지지하는 가이드 스프링(30),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과 결합하여 이들을 고정시키는 스포일러(40),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와 어댑터부(3)를 연결시키는 구성인 안착부(100)를 포함하며,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은 스포일러(40)에 결합되고, 스포일러(40)는 안착부(10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안착부(100)와 구분되는 별도의 어댑터부(3)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착부(100)와 어댑터부(3)는 일체형일 수 있다. 즉, 안착부(100)는 어댑터부(3)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는 상기 와이퍼 암의 선단에 연결되고, 차량 유리의 유리면에 대하여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다. 상기 와이퍼 암은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 회전되고, 이에 따라,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는 차량 유리의 유리면(와이핑면)에서 소정 각도 범위로 와이핑한다.
이하에서는, 와이퍼 스트립(1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와이퍼 스트립의 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며, 도 8b는 도 2의 스포일러와 도 2의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10)은, 가이드 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부(11), 및 베이스부(11) 하부에 배치되며 직접 유리면에 접촉하여 와이핑을 하는 와이핑 립(lip)부(12)를 포함한다. 와이퍼 스트립(10)은 전체적으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장축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탄성재료 즉, 고무재와 같은 탄성재료 또는 탄성 합성재료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sliding)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2, 도 3 및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1)는 가이드 스프링(30)에 의해 지지되고, 가이드 스프링(30)과 함께, 후술하게 될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가이드 스프링(30)과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지지되며, 베이스부(11) 및 와이핑 립부(12)는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게 연장된다.
베이스부(11)에는, 결합 슬롯(42)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포일러(40)의 하단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수평 연장부(42a; 도 6 참조)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되는 유지부(13)가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와이퍼 스트립(10)의 베이스부(11)의 적어도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스프링(30)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부(34)에 삽입되는 제1 돌기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스트립(10)의 베이스부(11)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스프링(30)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35)에 삽입되는 제2 돌기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돌기부(14, 15)는 제1 및 제2 삽입부(34, 35)에 대응하는 개수일 수 있고, 제1 및 제2 삽입부(34, 35)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스프링(3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가이드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2의 스포일러와 도 2의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스프링(30)은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장축 방향으로 얇고 길쭉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 스프링(30)의 적어도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와이퍼 스트립(10)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14)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는 와이퍼 스트립(10)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15)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삽입부(34, 35)는 제1 및 제2 돌기부(14, 15)에 대응하는 개수일 수 있고, 제1 및 제2 돌기부(14, 15)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스프링(30)의 제1 삽입부(34)는 제1 삽입부(34)가 형성된 일측 단부측으로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은 후술하게 될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다.
와이퍼 암으로부터 가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가압력은 안착부(100), 스포일러(40) 및 가이드 스프링(30)을 통하여 와이퍼 스트립(10)으로 분배된다. 이때, 가압력은 가이드 스프링(30)에 의하여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가이드 스프링(30)은 탄성을 가져야 하며, 와이퍼 스트립(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도 가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스포일러(4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스포일러의 중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a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포일러의 정면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의 안착부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의 안착부와 도 2의 스포일러,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a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내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고, 도 15b는 스포일러의 중앙부의 외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내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5, 도 6,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스포일러(40)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장축 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을 갖고, 상면이 경사진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서,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과 결합하여 이들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스포일러(4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바깥쪽에 형성된 제1 핀부(43) 및 제2 핀부(45)와, 제1 핀부(43) 및 제2 핀부(45)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부(41), 그리고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이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는 결합 슬롯(4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는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수 있다.
스포일러(40)는 안착부(10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PU)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열가소성 우레탄수지(TPU)는 단가가 비싸고, 폴리염화비닐(PVC)은 중금속 문제로 자동차 관련 부품에는 적용할 수 없으므로,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과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 슬롯(42)은,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을 수용하여,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이 스포일러(40)에 고정되는바,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이 스포일러(4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2, 도 6,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스포일러(40)는 중앙부(41)를 제외하고는 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형태를 갖는다. 스포일러의 중앙부(41)에, 안착부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끼워질 수 있는 걸림면 등이 형성되어, 스포일러의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포일러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해야 하지만, 본원발명의 스포일러(40)는 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바 압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스포일러(40)의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앙부(41)는, 스포일러(40)가 압출 성형으로 제조된 후,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 핀부의 길이 방향 중앙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부(41)의 형성시에는, 가공의 편의를 위하여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한 가운데에 해당하는 위치의 스포일러의 폭 방향 양측에 소정 크기를 갖는 한 쌍의 홈을 먼저 가공한 후에, 일체로 형성된 핀부를 가공된 홈을 기준으로 양쪽 길이 방향으로 소정 수치만큼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핀부(43) 및 제2 핀부(45)가 형성되면, 제1 핀부(43)의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1면(44)과, 제2 핀부(45)의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2면(46)도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도 5 참조).
그리고,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에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포일러(40)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경우에 중앙부(41)의 외부면(47)이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내부면(107)과 서로 접하게 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스포일러(40)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는 반드시 중앙부(41)의 외부면(47) 전체에 형성될 필요가 없고, 그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볼록부(48)와 오목부(49)가 같이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각각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중앙부(41)의 외부면(47)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부(41)의 외부면(47)의 볼록부(48)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경우에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로부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48a)이 형성되는 쐐기형일 수 있고, 중앙부(41)의 외부면(47)의 오목부(49)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경우에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로부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49a)이 형성되는 쐐기형일 수 있다.
이때, 중앙부(41)의 외부면(47)에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형성되는 경우라도 스포일러(40)의 단면의 형상은 일정한바 스포일러(40)는 압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스포일러(40)의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착부(1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도 2의 안착부의 정면도이고, 도 10a는 안착부의 내부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착부의 정면도이며, 도 10b는 안착부의 내부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착부의 정면도이고, 도 11a 및 도 11b는 도 2의 안착부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2의 안착부와 도 2의 스포일러, 가이드 스프링 및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축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9,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와 어댑터부(3)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는 안착 슬롯(101)과,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는 경우에 스포일러(40)의 제1 핀부(43)의 제1면(44)과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1 안착면(104), 그리고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후술하게 될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는 경우에 스포일러(40)의 제2 핀부(45)의 제2면(46)과 서로 마주보게 되는 제2 안착면(10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의 하부에는 개구(102)가 형성되며, 안착부(100)는 내부 모서리부(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구(102)는 안착 슬롯(101)을 형성하기 위하여 안착부(100)의 하단 양측에서 안착부(100)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에 의하여 형성되며, 개구(102)의 폭(L1)은 안착 슬롯(101)의 내부 폭(L2)보다 작게 된다.
여기서, 안착부(100)의 연장부(101a)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되기 위하여 변형이 시작되는 때에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1면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01a)의 제1면은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만곡될 수 있고,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도록 만곡될 수 있으며, 개구(102)에 인접한 연장부(101a)의 제1면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수 있는 조건으로는, 예를 들어,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의 한쪽 상단과 반대쪽 상부의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L3)은,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의 외부 윤곽의 폭방향 길이(L4)보다는 짧고, 가이드 스프링(30)의 폭방향 길이(L5; 도 4 및 도 12 참조)보다는 길어야 한다. 여기서, 개구(102)의 한쪽 상단과 반대쪽 상부의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L3)은 개구(102)의 한쪽 상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최대로 측정되는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안착부(100)의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즉, 안착부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101a)의 길이가 같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는 서로 비대칭이 되도록, 즉, 한 쌍의 연장부(101a)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 중에 길이가 짧은 연장부(101a)가 스포일러(40)의 제2 핀부(45)의 제2면(46)과 서로 접하게 되는 제2 안착면(106)이 형성된 측의 안착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에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면(107)의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는, 반드시 안착부(100)의 내부면(107) 전체에 형성될 필요가 없고, 그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오목부(108)와 볼록부(109)가 같이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각각의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하여도 무방하다.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의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의 오목부(108)는,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로부터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108a)이 형성되는 쐐기형일 수 있고,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의 볼록부(109)는,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로부터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109a)이 형성되는 쐐기형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결합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도 6 및,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은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어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와이퍼 스트립(1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와이퍼 스트립(10)의 일부(대략 전체 길이의 2/3 정도)가 삽입 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와이퍼 스트립(10)의 베이스부(11)와 스포일러(40)의 내부면의 상부 사이의 틈으로 가이드 스프링(30)을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제1 돌기부(14)가 형성되고,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제2 돌기부(15)가 형성되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제1 삽입부(34)가 형성되고,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제2 삽입부(35)가 형성되는 실시예의 경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14)는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게 되는바,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그 일측 단부 측으로 개방된 제1 삽입부(34)가 먼저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스프링(30)을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야 하며, 와이퍼 스트립(10)의 제1 돌기부(14)가 가이드 스프링(30)의 제1 삽입부(34)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때 까지(대략 결합 슬롯(42)에 삽입되어 있는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만큼 가이드 스프링(30)이 삽입될 때 까지) 가이드 스프링(30)을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 후,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15)를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35)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와이퍼 스트립(10)의 제1 돌기부(14) 및 제2 돌기부(15)와 가이드 스프링(30)의 제1 삽입부(34) 및 제2 삽입부(35)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완전히 삽입한다. 이와 같이 와이퍼 스트립(1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먼저 삽입한 후, 가이드 스프링(3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하더라도, 와이퍼 스트립(10)의 제1 돌기부(14) 및 제2 돌기부(15)와 가이드 스프링(30)의 제1 삽입부(34) 및 제2 삽입부(35)에 의하여,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이 용이하게 정렬되여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는, 와이퍼 스트립(10)의 일부를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하고, 가이드 스프링(30)의 일부를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삽입한 후에,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완전히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퍼 스트립(10)의 제1 돌기부(14) 및 제2 돌기부(15)와 가이드 스프링(30)의 제1 삽입부(34) 및 제2 삽입부(35)가 제각기 서로 결합하도록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을 먼저 결합한 후에, 결합된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도 1, 도 9,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와 결합시킨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결합 슬롯(42)에 와이퍼 스트립(10)과 가이드 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일측부를 안착부(100)의 내부 모서리부(103)에 접촉시킨 후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타측부가 그 타측부와 접하는 안착부(100)의 연장부(101a)의 제1면과의 간섭을 이기고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외력을 가하여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와 결합시킨다.
여기서, 안착부(100)의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가 서로 비대칭인 경우, 즉, 한 쌍의 연장부(101a)의 길이가 다르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일측부를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 중에 길이가 긴 연장부(101a)가 형성된 측의 내부 모서리부(103)에 접촉시킨 후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타측부가 그 타측부와 접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 중에 길이가 짧은 연장부(101a)의 제1면과의 간섭을 이기고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도록 외력을 가하여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와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와 간섭을 일으키는 연장부(101a)의 제1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의 안착슬롯(101)에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01a)의 제1면은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도록 만곡되어 있는바, 개구(102)에 인접한 연장부(101a)의 제1면은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게 되므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폭 방향 타측부를 개구(102)에 인접한 연장부(101a)의 제1면과 접촉시킨 후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와 결합시키기 위해 스포일러(40)에 외력을 가할 때에 스포일러(40)가 스포일러(40)의 폭 방향으로 압축되어 변형되면서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의 한쪽 상단과 반대쪽 상부의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L3)은,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의 외부 윤곽의 폭방향 길이(L4; 도 6 및 도 12 참조)보다는 짧고, 가이드 스프링(30)의 폭방향 길이(L5; 도 4 및 도 12 참조)보다는 길기 때문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는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 또는 안착부(100)의 연장부(101a)의 제1면과 중앙부(41)의 외부면(4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 바깥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러한 밀림에 의하여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에서 스포일러의 두께가 감소하게 되는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는 결합 슬롯(42)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면서 탄성 및 강성을 가지는 가이드 스프링(30)과 안착부(100)의 연장부(101a)의 제1면 또는 안착부(100)의 내부면(107) 사이에서 압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의 내부면(107) 및 연장부(101a)의 제2면은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 후에 다시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경우에는, 안착부(100)의 내부면(107)과 중앙부(41)의 외부면(47)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가 안착 슬롯(101)의 개구(102)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러한 밀림에 의하여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스포일러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가 안착부(100)의 내부면(107)과 가이드 스프링(30) 사이에서 더욱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되므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 후에 다시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경우에는, 연장부(101a)의 제2면과 접촉하고 있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영역이 안착부(100)의 연장부(101a)의 제2면에 의하여 더욱 압축되면서 이러한 압축에 의하여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의 적어도 일부에서 스포일러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양 측부가 안착부(100)의 내부면(107)과 가이드 스프링(30) 사이에서 더욱 강한 압력으로 밀착되게 되므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에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에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는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의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와 제각기 맞물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의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와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의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 후에 다시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경우에,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바, 안착부(100)의 물리적인 파손 없이는 다시 분리되지 않는 성질을 더욱 확실하게 한다.
따라서, 안착부(100)의 물리적인 파손 없이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하려면,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스프링(30)을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분리한 다음에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해야만 하며, 와이퍼 암에 의해 연결된 링크장치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가 부채꼴 모양으로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하는 일상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스포일러(40)가 안착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되는 경우에는, 제1 핀부(43)의 제1면(44)과 안착부(100)의 제1 안착면(104)이 서로 마주보게 되고, 제2 핀부(45)의 제2면(46)은 안착부(100)의 제2 안착면(106)과 서로 마주보게 되는바, 스포일러(40)가 안착부(100)에 결합된 후에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의 장축 방향으로의 스포일러(40)와 안착부(1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제한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방법에서는, 요크부를 사용하여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을 연결하거나, 안착부가 좌우 두 개의 부재로 나뉘어져 있어 좌우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감싸도록 두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안착부를 고정하거나, 안착부를 가이드 스프링의 상단에 놓은 후 안착부 다리를 좌우에서 가이드 스프링을 감싸도록 벤딩(bending)하여 안착부를 고정하거나, 좌우에서 가이드 스프링을 감싸는 안착부 다리를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 스프링과 용접함으로써 안착부를 고정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는 단순히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과 결합된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를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압입함으로써 안착부를 고정할 수 있어서, 가이드 스프링과 와이퍼 스트립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조립 방법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될 수 있고,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가 안착부(100)의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되어 압입된 후에 다시 스포일러(40)를 안착부(10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경우에는, 스포일러(40)의 중앙부(41)의 외부면(47)이 안착부(100)의 내부면(107)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빠져나올 수 없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도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안착부(100)의 물리적인 파손 없이는 스포일러(40)가 안착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스포일러(40)와 안착부(100)를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요크부를 사용하지 않고 가이드 스프링(30)과 와이퍼 스트립(10)을 결합하여 가이드 스프링(30)과 와이퍼 스트립(10)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스포일러(40)를 사출 성형이 아니라 압출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포일러(40)의 결합 슬롯(42)이,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을 수용하여,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바, 와이퍼 스트립(10) 및 가이드 스프링(30)이 스포일러(4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요크부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및 스포일러(40)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2)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3: 어댑터부 10: 와이퍼 스트립
11: 베이스부 12: 와이핑 립(lip)부
13: 유지부 14: 제1 돌기부
15: 제2 돌기부 30: 가이드 스프링
34: 제1 삽입부 35: 제2 삽입부
40: 스포일러 41: 중앙부
42: 결합 슬롯 43: 제1 핀부
44: 제1면 45: 제2 핀부
46: 제2면 47: 외부면
48: 볼록부 49: 오목부
100: 안착부 101: 안착 슬롯
102: 개구 103: 내부 모서리부
104: 제1 안착면 106: 제2 안착면
107: 내부면 108: 오목부
109: 볼록부

Claims (15)

  1. 와이퍼 스트립(10);
    가이드 스프링(30);
    스포일러(40); 및
    안착부(100); 를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스포일러(40)에 결합되고,
    상기 스포일러(40)는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중앙부(41)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삽입되는 안착 슬롯(101)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탄성 변형에 의해 압입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는 강성이 있고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만들어지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슬롯(101)의 하부에는 안착부(100)의 하단 양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연장부(10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102)의 폭(L1)은 상기 안착 슬롯(101)의 내부 폭(L2)보다 작으며,
    상기 안착부(100)는 내부 모서리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102)의 한쪽 상단과 반대쪽 상부의 내부 모서리부(103)와의 간격(L3)은,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의 외부 윤곽의 폭방향 길이(L4)보다는 짧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폭방향 길이(L5)보다는 길며,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연장부(101a)는,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되기 위하여 변형이 시작되는 때에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1면과,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앙부(41)와 접촉하게 되는 제2면을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01a)의 상기 제1면은 상기 개구(102)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연장부(101a)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만곡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한 쌍의 연장부(101a)는 상기 안착부(100)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다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4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및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이 삽입되는 결합 슬롯(42)을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40)는 상기 중앙부(41)로부터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의 양쪽 바깥쪽에 형성된 제1 핀부(43) 및 제2 핀부(45)를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핀부(42)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1면(44)은 상기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안착면(104)과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2 핀부(45)의 상기 스포일러의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하는 제2면(46)은 상기 안착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안착면(106)과 서로 마주보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돌기부(14)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제1 돌기부(14)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부(34)를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은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돌기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은, 상기 제2 돌기부(15)가 삽입되는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길이 방향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부(35)를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프링(30)의 상기 제1 삽입부(34)는 상기 제1 삽입부(34)가 형성된 일측 단부측으로 개방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있는 내부면(107)을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있는 외부면(47)을 포함하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는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가 있는 내부면(107)을 포함하고,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는 상기 오목부(108) 또는 볼록부(109)에 대응하는 볼록부(48) 또는 오목부(49)가 있는 외부면(47)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가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안착 슬롯(101)에 결합되면,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볼록부(48) 또는 상기 오목부(49)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오목부(108) 또는 상기 볼록부(109)와 제각기 맞물리는,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오목부(108)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108a)이 형성된 쐐기형이거나, 또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기 내부면(107)의 상기 볼록부(109)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내부면(10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109a)이 형성된 쐐기형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볼록부(48)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가까운 측에 걸림면(48a)이 형성된 쐐기형이거나, 또는 스포일러(40)의 상기 중앙부(41)의 상기 외부면(47)의 상기 오목부(49)는, 상기 개구(102)로부터 상기 외부면(47)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가 먼 측에 걸림면(49a)이 형성된 쐐기형인,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140028454A 2014-03-11 2014-03-11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KR10156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54A KR101565825B1 (ko) 2014-03-11 2014-03-11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CN201410768732.5A CN104908716B (zh) 2014-03-11 2014-12-12 平雨刮片及连接方法
EP14199300.6A EP2918457A1 (en) 2014-03-11 2014-12-19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JP2014257203A JP6040463B2 (ja) 2014-03-11 2014-12-19 フラットワイパーブレード及びその結合方法
US14/581,652 US20150258965A1 (en) 2014-03-11 2014-12-23 Flat wiper blade and coupling method
RU2015101090/11A RU2583124C1 (ru) 2014-03-11 2015-01-14 Плоская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54A KR101565825B1 (ko) 2014-03-11 2014-03-11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16A true KR20150106216A (ko) 2015-09-21
KR101565825B1 KR101565825B1 (ko) 2015-11-05

Family

ID=521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454A KR101565825B1 (ko) 2014-03-11 2014-03-11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58965A1 (ko)
EP (1) EP2918457A1 (ko)
JP (1) JP6040463B2 (ko)
KR (1) KR101565825B1 (ko)
CN (1) CN104908716B (ko)
RU (1) RU258312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EP3368383B1 (en) 2015-10-26 2021-08-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513246B2 (en) 2016-05-19 2019-12-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2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766462B2 (en) 2016-05-19 2020-09-0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WO2018081791A1 (en) * 2016-10-31 2018-05-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FR3067312A1 (fr) * 2017-06-09 2018-12-14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 marquage grave, et deflecteur aerodynamique grave pour un balai d'essuie-gla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75Y1 (ko) * 2000-04-27 2000-09-01 강동훈 와이퍼 블레이드
DE10025706A1 (de) * 2000-05-25 2001-11-29 Bosch Gmbh Robert Wischblatt zum Reinigen von Fahrzeugscheiben
DE10054235A1 (de) * 2000-11-02 2002-05-08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US20060064840A1 (en) * 2004-09-30 2006-03-30 Se-Heon Park Automotive wiper
US20060265830A1 (en) * 2005-02-14 2006-1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ncapsulated beam with anti-rotation system
US7350259B2 (en) 2005-07-28 2008-04-0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elative axial translation prevention system for wiper blade assemblies
JP4586752B2 (ja) * 2006-03-16 2010-11-24 市光工業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
FR2911834B1 (fr) * 2007-01-30 2009-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vertebre interne realisant le blocage d'un element de liaison sur la monture de support.
EP2008891B1 (en) * 2007-06-27 2011-02-16 Federal-Mogul S.A. Windscreen wiper device
DE602008006668D1 (de) * 2008-03-20 2011-06-16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ATE514600T1 (de) * 2009-04-02 2011-07-15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vorrichtung
JP5795640B2 (ja) * 2010-09-30 2015-10-14 フェデラル−モグル エス.エー.Federal−Mogul.S.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DE102010062910A1 (de) * 2010-12-13 2012-06-1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JP2013018308A (ja) * 2011-07-07 2013-01-31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
DE102011090099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einheit
US20130185891A1 (en) * 2012-01-19 2013-07-25 Eletromecanica Dyna S/A Disposition Introduced in Windshield Wiper Blade and the Respective Assemb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8716A (zh) 2015-09-16
JP6040463B2 (ja) 2016-12-07
US20150258965A1 (en) 2015-09-17
JP2015171885A (ja) 2015-10-01
CN104908716B (zh) 2017-05-24
EP2918457A1 (en) 2015-09-16
KR101565825B1 (ko) 2015-11-05
RU2583124C1 (ru)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25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KR10151422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JP4741482B2 (ja) ワイパー装置
KR20070041734A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20120009450A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20170029412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1032890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962384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MX2008014724A (es) Dispositivo limpiador de parabrisas.
KR101691427B1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9580047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576938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WO2016119852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KR101766944B1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KR20130124301A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WO2022215405A1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150039590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10723323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0246057B2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KR20130124178A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