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106A - 일륜 전기스쿠터 - Google Patents

일륜 전기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106A
KR20150106106A KR1020140028193A KR20140028193A KR20150106106A KR 20150106106 A KR20150106106 A KR 20150106106A KR 1020140028193 A KR1020140028193 A KR 1020140028193A KR 20140028193 A KR20140028193 A KR 20140028193A KR 20150106106 A KR20150106106 A KR 20150106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andle
electric scooter
support stan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김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기 filed Critical 김승기
Priority to KR102014002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106A/ko
Publication of KR2015010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00Un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1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the engine beside or within the driven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 일륜 전기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양단부 중심에 결합된 채,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륜과; 상기 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와; 상기 차륜의 하부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과; 상기 차륜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은 하단부가 차륜에 고정된 채, 상부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인 일륜 전기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륜 전기스쿠터는 하나의 바퀴로 구동하기 때문에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레포츠용으로 적합하며, 또한 핸들과 바퀴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며, 일륜 구동이라도 안전하게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으며, 외관이 매우 미려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륜 전기스쿠터{One wheel electric scooter}
본 발명 일륜 구동하는 전기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원활하게 방향전환이 되는 일륜 전기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여가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레포츠를 즐기는 사람이 점점 많아지며, 오토바이와 같은 모터사이클을 즐기는 동호인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보다 스릴을 느끼길 원하는 사람은 일륜 구동사이클을 즐기길 원하고 있다.
이러한 일륜 구동사이클의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0838호에 핸들 중간 하측으로 길게 설치되는 수직차대와, 상기 수직차대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사이드프레임의 차륜통과공으로, 차륜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차륜과; 상기 차륜통과공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길다란 동력전달프레임 중간에 감속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는 마찰구동륜이 회전되게 설치되어 마찰력에 의해 차륜으로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차륜동력전달수단과; 상기 핸들(10)에 레바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설치된 동력차단레바의 당김 조작에 의해 동력차단와이어가 당김되어 동력전달프레임 선단부의 회동으로 마찰구동륜이 차륜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시에 동력차단레바의 누름부가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켜 신호전달이 된 콘트롤부에서 감속모터와 솔레노이드장치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되게 하는 차륜동력차단수단과; 상기 동력전달프레임 하단부 받침 역할을 하기 위해 스프링 탄력에 의해 전후진로드가 전진이동되도록 동력전달프레임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장치가 핸들에 설치된 시동스위치를 누르면 콘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진로드가 후진이동되게 동작되는 동시에 동력전달프레임 선단부와 사이드프레임 사이에 설치된 당김스프링의 당김력에 의해 동력전달프레임 선단부가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마찰구동륜이 차륜에 밀착되고, 핸들에 설치된 공지의 변속용 엑셀핸들장치의 변속레버 회전에 의해 콘트롤부에서 감속모터의 전압을 가감되게 제어하여 변속되게 하는 동력부여수단과; 상기 차륜축 보다 하부 위치의 사이드프레임 하단부에는 받침프레임부재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첩되게 회동되는 발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에 설치된 브레이크레바의 당김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와이어가 당김되어 스프링로 탄력을 받도록 연결된 당김링크에 의해 사이드프레임과 회동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브레이크하우징부재가 차륜 방향으로 회동되어 브레이크고무부재가 차륜하우징에 가압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륜 전동스쿠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6-0092517호에 원통 형상의 림의 내부에 모터가 내장되고 상기 모터와 연동되는 바퀴 중심축이 상기 림의 좌우측면으로 연장 돌출되며 상기 림의 외주면에 타이어가 장착된 바퀴 일체형 모터; 상단에 핸들이 수평지게 결합된 핸들 지지대의 하단으로부터 포크부가 두 갈래로 분기되어 하향지게 연장되고 상기 포크부의 하단부가 상기 바퀴 일체형 모터의 바퀴 중심축에 고정된 프레임; 상기 포크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발판 고정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발판 고정축에 결합되고 내부에 배터리가 내장된 발판; 및 상기 바퀴 일체형 모터의 림에 근접되게 한 쌍의 작동 레버가 상기 프레임 포크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가 핸들에 부착된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립 외륜 구동 이동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로 열거한 것들은 안정성이나 불안하며, 외관상 아름답지 못하며, 대부분 서서 타야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장과 함께 핸들에 힘을 가하는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원활한 방향전환과 함께 매우 안정감 있는 일륜 전기스쿠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일륜 전기스쿠터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바퀴와; 상기 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양단부 중심에 결합된 채,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륜과; 상기 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와; 상기 차륜의 하부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과; 상기 차륜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은 하단부가 차륜에 고정된 채, 상부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륜 전기스쿠터는 하나의 바퀴로 구동하기 때문에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레포츠용으로 적합하며, 또한 핸들과 바퀴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며, 일륜 구동이라도 안전하게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으며, 외관이 매우 미려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핸들을 접은 일 실시 상태도.
도 3은 도 1을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를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일 실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일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견본품 제작사진.
본 발명 일륜 전기스쿠터(100)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바퀴(120)와; 상기 바퀴(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양단부 중심에 결합된 채,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륜(110)과; 상기 차륜(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150)와; 상기 차륜(110)의 하부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140)과;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130);로 구성되되, 상기 핸들(130)은 하단부가 차륜(11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일륜 전기스쿠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핸들을 접은 일 실시 상태도, 도 3은 도 1을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를 또 다른 관점에서 본 일 실시 상태도, 또한, 도 5는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일부분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전기스쿠터의 견본품 제작사진이다.
일륜 전기스쿠터(100)의 특성상 하나의 바퀴(120)의 양단에는 차륜(110)이 바퀴(120)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차륜(110)은 바퀴(120)의 양단을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몸체로 형성된 상단부에서 하부로 수직하는 두 프레임다리가 형성되고 상기 두 프레임다리 사이에 바퀴(120)가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안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바퀴(120)의 내부에는 바퀴(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특히, 바퀴(120)의 내부에는 바퀴(120)가 기울어지는 것을 측정하는 센서 및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바퀴(1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관용의 자동복귀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사용시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150)가 차륜(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차륜(110)의 하단부에는 외측에는 사용자의 발을 안치할 수 있는 발판(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150)는 팩의 내부공간에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팩에는 배터리(150)가 2개씩 수용되며, 팩은 차륜(110)의 좌우 측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4개의 배터리가 필요하며, 팩을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여분의 배터리(180)까지 포함하여 총 8개의 배터리(15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시동장치 및 제동장치는 관용의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일륜 전기스쿠터(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발판(140)과 바퀴가 결합된 부분을 상부로 회동시켜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130)은 ‘
Figure pat00001
’형으로 되어 하단부는 차륜(11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즉,‘
Figure pat00002
’형 핸들(130)은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직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수평프레임이 내부로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하우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하우징(180)과 차륜(110) 사이에는 스프링(17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130)의 상부는 전후좌우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핸들(130)과 핸들(130)을 지지하는 지지하우징(180)은 서로 중심선이 일치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에는 핀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여 핸들(130)과 지지하우징(180)을 서로 결합하며, 핀 또는 볼트를 분리하면 핸들(130)을 하부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170)은 핸들(130)은 지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해야만 움직이는 탄성 강도가 매우 큰 특수 스프링을 사용하며, 스프링(170)을 대체하여 완력기 등에 상용으로 사용되는 것처럼 탄성재질을 환봉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휨강도가 너무 작은 스프링(170)을 사용하면 핸들(130)에 의해 스프링(170)이 하부로 처지거나 탑승자의 너무 미세한 힘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면 운전이 힘들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핸들(130)에는 사용자가 핸들(130)에 부가하는 힘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도면 미도시)가 부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핸들(130)에 힘을 가하면 차륜(110)과 함께 바퀴(120)는 자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유도된다.
또한, 핸들(130)의 하부는 결합축에 의해 차륜(110)에 결합하고, 상기 결합축은 양단이 볼조인트에 의해 핸들(130)가 차륜(110)에 각각 결합되어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60)을 설치하여 안장(160)에 착석한 채 사용자가 장시간 일륜 전기스쿠터(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륜 전기스쿠터는 하나의 바퀴로 구동하기 때문에 스릴감을 느낄 수 있는 레포츠용으로 적합하며, 또한 핸들과 바퀴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며, 일륜 구동이라도 안전하게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으며, 외관이 매우 미려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전기스쿠터
110. 차륜 120. 바퀴 130. 핸들
140. 발판 150. 배터리 160. 안장
170. 스프링 180. 지지하우징

Claims (2)

  1.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바퀴(120)와; 상기 바퀴(120)가 회전가능하도록 양단부 중심에 결합된 채, 상부로 연장되어 상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륜(110)과; 상기 차륜(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바퀴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전기가 충전되어 있는 배터리(150)와; 상기 차륜(110)의 하부측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140)과;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핸들(130);로 구성되는 일륜 전기 스쿠터에 있어서,
    상기 핸들(130)은 하단부가 차륜(110)에 고정된 채, 상부는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인 일륜 전기스쿠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11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16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일륜 전기스쿠터.
KR1020140028193A 2014-03-11 2014-03-11 일륜 전기스쿠터 KR20150106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93A KR20150106106A (ko) 2014-03-11 2014-03-11 일륜 전기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93A KR20150106106A (ko) 2014-03-11 2014-03-11 일륜 전기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106A true KR20150106106A (ko) 2015-09-21

Family

ID=54245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93A KR20150106106A (ko) 2014-03-11 2014-03-11 일륜 전기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1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39225A1 (en) Powered personal mobility vehicle with rotating wheels
US8322478B2 (en) Hands-free electric scooter
KR20180082481A (ko) 주륜 및 원위 보조 바퀴를 구비한 셀프 밸런싱 보드
EP3016847B1 (en) A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US8998232B2 (en) Recumbant style powered unicycle
CN211943609U (zh) 用自平衡驱动轮组装成的滑板车组合器具
WO2009091136A2 (en) Tricycle kick board
US20170313375A1 (en) Tilting-capable three-wheeled boarding vehicle
WO2017215056A1 (zh) 滑板车
JP5213597B2 (ja) 三輪車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US6848699B2 (en) Leg direction-control mini-tricycle
KR20170033361A (ko) 구형 바퀴를 구비한 차량
KR20150106106A (ko) 일륜 전기스쿠터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CN216102576U (zh) 脚控个人运输器
KR101483696B1 (ko) 스쿠터
NL2003040C2 (en) Vehicle.
JP2006151032A (ja) 立ち乗り式小型車両
KR200363709Y1 (ko) 무핸들 삼륜 자전거
JP3186475U (ja) 自転車用後輪支持装置
CN211223724U (zh) 一种电动车及其车架
JP3185619U (ja) 三輪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