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87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878A
KR20150105878A KR1020140027996A KR20140027996A KR20150105878A KR 20150105878 A KR20150105878 A KR 20150105878A KR 1020140027996 A KR1020140027996 A KR 1020140027996A KR 20140027996 A KR20140027996 A KR 20140027996A KR 20150105878 A KR20150105878 A KR 20150105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mobile terminal
signature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784B1 (ko
Inventor
유경진
전태영
최진해
김종훈
최정은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784B1/ko
Priority to US14/532,255 priority patent/US9607169B2/en
Priority to EP15152193.7A priority patent/EP2919143B1/en
Priority to CN201510069798.XA priority patent/CN104917876B/zh
Publication of KR2015010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30Writer recognition; Reading and verifying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사용자 서명(user signature)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 서명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생활의 보장은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 서명을 통해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사용자 서명(user signature)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에 의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미리 지정된 패턴의 입력을 통해 해제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미리 지정된 패턴이 디스플레이부에 개시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사용자의 비밀 폴더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상기 터치 스크린상의 특정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에 의해 페이지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정된 메뉴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스트로크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트로크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소정의 진동에 의해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되는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핀치 아웃 입력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배경화면상에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베젤(bezel)에서 시작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연장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에 접근하기 위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멀티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원이 임시로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서명 입력 패턴을 달리함으로써,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폴더에 진입한 결과 제공되는 화면은 복수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또는 멀티 터치 입력(multi touch input)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폴더에 진입한 결과 제공되는 화면을 다르게 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서명에 따라 상기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상기 태그에 의해 필터링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밀 폴더에 포함된 많은 컨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필터링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전술한 사용자 서명을 소정의 아이템과 연관시킴으로써,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동시에 상기 연관된 아이템을 상기 비밀 폴더에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페어링이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상기 폴더에 진입한 화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을 통해 수집된 개인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비밀 폴더에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사용자 서명(signature)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고유의 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비밀 폴더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잠금 상태의 해제와 동시에 사용자의 비밀 폴더로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 설정된 사용자 서명을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입력받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의 개시 정도를 달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다양한 정보를 상기 비밀 폴더로 바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서명을 입력하더라도 상기 서명의 궤적이 터치 스크린상에 보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비밀 폴더로의 접근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항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와치 타입의 디바이스(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4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으로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사용자의 손과 펜으로 입력되는 경우, 폴더에 진입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패턴에 따라 폴더에 진입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자 서명을 통해 폴더에 진입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a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3 내지 도 4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서명을 통해 소정의 아이템을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폴더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삭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5 내지 도 47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서명을 통해 소정의 아이템을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8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서명을 통해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표시를 제어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가능한 이동 단말기(20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51)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은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말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부(2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로 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전자 종이(e-paper) 및 그 조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짐, 구부러짐, 접힘, 비틀림 또는 말림이 가능한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어, 가볍고 쉽게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를 말한다.
또한, 전자 종이는 일반적인 잉크의 특징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기술로서, 반사광을 사용하는 점이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와 다른 점일 수 있다. 전자 종이는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캡슐을 이용한 전기영동(電氣泳動, 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 상태라 한다)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평면이 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변형된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 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평평한 상태가 아닌,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상하 또는 좌우로 휘어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에 외력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평평한 상태(혹은 보다 덜 휘어진 상태) 또는 보다 많이 휘어진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센서와 조합되어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 도 1a 참조)는 이러한 터치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은 상기 제1 상태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상태에서도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는 변형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감지수단은 센싱부(140, 도 1a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수단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또는 케이스(201)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변형과 관련된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변형된 방향, 변형된 정도, 변형된 위치, 변형된 시간 및 변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복원되는 가속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휘어짐으로 인하여 감지 가능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변형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거나, 이동 단말기(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변형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를 수용하는 케이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배터리(미도시)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력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와 함께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을 위로 쌓은 스택앤폴딩(stack and folding)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의 상태 변형은 외력에 의한 것으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251)가 제 1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사용자 혹은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에 의해서, 제 2 상태로 변형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와치 타입의 디바이스(3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51)를 구비하는 본체(301) 및 본체(3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3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3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301a) 및 제2케이스(3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3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의 윈도우(351a)는 제1 케이스(3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3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301)에는 음향 출력부(352), 카메라(321), 마이크로폰(322), 사용자 입력부(3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3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3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3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3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302)는 본체(3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3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302)에는 파스너(fastener; 3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3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3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글래스 타입의 디바이스(4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401)과 제2 프레임(4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4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480), 음향 출력 모듈(4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4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480)은 이동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모듈(480)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4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4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4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4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4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421)가 제어 모듈(4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4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4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423a, 4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4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 스크린(151)으로 가정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151)은 정보 표시 기능과 정보 입력 기능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a,1b 및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 서명(user signature)을 등록할 수 있다(S100).
상기 사용자 서명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것으로서, 필기 입력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등록된 사용자 서명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런 후, 차후에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이하 '비밀 폴더'라 호칭한다.)에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서명은 사용자의 필기 입력에 의한 서명(signature) 외에 미리 정해진 코드를 순서대로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 "1,2,3,4" 4개를 순서대로 조합하여 설정하고(예를 들어, 1324), 터치 스크린(151)의 임의의 영역을 4개의 가상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가상의 4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설정된 1324를 순서대로 터치하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 스크린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110).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하여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해서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110).
이동 단말기(100)는 잠금 모드 상태이거나,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잠금 모드 상태는 두 가지 모드로 나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아무런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제1 잠금 모드 상태,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상기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소정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대한 조작 또는 다른 미리 정해진 조작에 의해 잠금 상태의 해제가 가능한 제2 잠금 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혹은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잠금 모드 상태도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는 잠금 해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잠금 모드 상태 또는 잠금 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술한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영역을 활성화시켜,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활성화된 후,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S120).
제어부(180)는 기 등록한 사용자 서명과 동일한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었는지를 인식하고, 기 등록한 사용자 서명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비밀 폴더)에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30).
여기서, 제어부(180)는 입력된 사용자 서명과 기 등록한 사용자 서명이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형태의 궤적을 갖는 경우, 동일하지 않는 정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하인 경우, 동일한 사용자 서명으로 인식하여,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서명과 기 등록한 사용자 서명이 상기 임계치 이상으로 다른 경우, 소정의 피드백을 통해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은 알람, 진동, 팝업창 등을 통해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비밀 폴더에 대응하는 화면을 설명한다.
도 6의 (a)는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을 통해 제공되는 홈 스크린(home screen) 화면이다. 상기 홈 스크린 화면은 웨젯(11)을 포함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화면 중 제1 그룹의 아이콘(12)은 사용자의 플리킹(flicking) 입력에 의해 페이지가 전환되면서 다음 페이지로 대체될 수 있는 영역이고, 제2 그룹의 아이콘(13)은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에 관계없이, 그 표시를 유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즉, 제2 그룹의 아이콘(13)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가장 많이 이용되는 전화 통화 아이콘, 문자 메시지 아이콘, 인터넷 접속을 위한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 스크린 화면은 제1 그룹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제1 영역(12)과 제2 그룹의 아이콘이 배치되는 제2 영역(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영역(12)과 제2 영역(13) 이외의 영역은 위젯(widget)이 추가로 배치되거나, 아무런 아이콘이 배치되지 않는 빈 공간일 수도 있다.
도 6(b)는 전술한 사용자 서명의 입력을 통해 진입한 비밀 폴더에 대응하는 화면이다. 상기 비밀 폴더는 My Room으로 호칭되어,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컨텐츠(21), 애플리케이션(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21) 및 애플리케이션(22)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들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식별자(23)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자(23)는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 60)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는 고유의 텍스트(예를 들어, "My Room" or "Owner Mode") 형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서명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된 상태임을 알리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비밀 폴더로의 진입을 피드백하는 수단으로서, 시각적인 효과, 청각적인 효과, 진동 발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의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경우, 비밀 폴더 화면상의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전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의 색상(color)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을 참조하여, 도 5의 S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서명을 등록하기 위한 설정 화면(도 7의 (a),(b))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사용자 서명을 소정의 궤적을 가지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인(signature)로 설정할 것인지, 전술한 소정의 코드로 설정할 것인지 선택 가능한 서명 타입 메뉴(31), 설정한 사용자 서명을 잊은 경우, 소정의 비밀 번호를 통해 비밀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 Back PIN 메뉴(32), 비밀 폴더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알림을 비밀 폴더에 진입하였을 때만 제공받을지,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알림을 제공받을지를 선택하기 위한 알림 메뉴(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서명 타입 메뉴(31)를 선택한 경우, 소정의 궤적을 가지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인(signature) 항목(34), 코드 항목(35)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서명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인(signture) 항목(34)이 선택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등록하기 위한 가이드 화면들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화면은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36)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36)에 사용자 입력을 통해 서명(S)을 입력받는 경우,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서명(S)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서 서명 타입 메뉴(31) 중 코드 메뉴(35)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분면으로 분할된 공간에 할당된 아라비아 숫자 4개(37)를 중 소정의 순서에 따라 입력란(38)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에 접근하기 위한 코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서명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정된 사용자 서명을 입력을 통해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다양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가 잠금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잠금 모드 화면(LS)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모드 화면(LS)은 시간, 날짜 등 기본적인 정보만을 표시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외에 나머지 터치 입력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는 화면이다.
제어부(180)는 잠금 모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소정의 패턴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의 임의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패턴 암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패턴 가이드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하면, 제어부(180)는 잠금 모드 화면(LS)에서 상기 패턴 가이드가 표시되기 전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는 영역(I)을 활성화 하고, 상기 활성화된 영역(I)을 통해 사용자 서명(S)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모드 화면(LS)의 빈 공간에 대하여 롱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는 영역(I)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영역(I)의 활성화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상기 영역(I)의 테두리를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영역(I)의 활성화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방법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S)에 의해 잠금 모드 상태를 해제는 것과 동시에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고, 비밀 폴더 화면(20)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비밀 폴더 화면(20)은 도 6의 (b)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잠금 모드 상태가 해제되어 이동 단말기(100)가 정상적으로 이용 가능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상의 빈 공간(아이콘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롱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영역(I)을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서명(S)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여 비밀 폴더 화면(20)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잠금 모드 상태에서 잠금 모드 화면(LS)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되, 상기 잠금 모드 화면(LS)은 패턴 암호를 해제하기 위한 패턴 가이드(41)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패턴 가이드(41)가 표시된 상태에서 패턴 가이드(41)를 구성하는 복수의 객체에 대한 터치 입력이 아닌,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51) 전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특정 영역에 대하여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홈 스크린 화면 중 사용자의 플리킹 입력에 관계없이 메뉴의 표시를 유지하는 제2 영역(13)에 대하여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영역(13)을 서명 영역(I)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역(12)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의해 동작되지 않도록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내비게이션 키 영역(14)에 대하여 플리킹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키 영역(14)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키 영역(14)은 홈 스크린으로 바로 가기 버튼, 취소 버튼, 메인 메뉴 버튼 등을 소프트 키 타입으로 제공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키 영역(14)이 서명 영역(I)으로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키 영역(14)에 표시된 각종 기능 버튼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51)상의 특정 영역(13,14)에 대한 플리킹 입력으로 서명 영역(I)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고, 해당 영역을 서명 영역(I)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51)상의 일정 영역에 서명 영역(I)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특성 또는 진동 특성을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서명 영역(I)이 활성화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특성은, 상기 서명 영역(I)이 표시될 때 부여되는 애니메이션 효과, 상기 서명 영역(I)의 시각적 특성 변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특성은, 상기 서명 영역(I)이 활성화될 때, 햅틱 모듈(도 1a의 153)을 통해 출력되는 일정 패턴의 진동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영역 중 특정 영역에 활성화되는 서명 영역(I)은 사용자 조작(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을 통해 크기 및 위치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프론트 케이스(101) 또는 리어 케이스(102)의 적어도 일부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트로크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하되, 소정의 배경 화면(4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대하여 핀치 아웃(pinch out)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제거하고 상기 배경 화면(42)의 표시만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배경 화면(42) 상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은 상기 윈도우(151a)외에 상기 윈도우(151a)를 감싸는 베젤 영역(151b)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베젤에서 시작되는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베젤에서 시작되어 상기 윈도우(151a)로 연장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베젤에서 시작되어 상기 윈도우(151a)로 연장되는 터치 입력은 좌측 베젤과 우측 베젤 둘 중 어느 하나의 베젤에서 시작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윈도우(151a)는 본 문서에서 터치 스크린(151)에 대응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51)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에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페이지 중 첫 번째 페이지가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좌측 경계 영역(I1)에서 1/3 영역 이상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I2)이 슬라이딩되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51)상의 임의의 일 영역에 사용자 서명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지점(SC)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일정 시간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 서명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사용자 서명이 종료되는 종료지점(SE)에 대하여 터치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온(ON) 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고 비밀 폴더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 잠금 패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온(ON) 시키는 것과 동시에, 잠금 상태가 해제하면서 비밀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51)의 아래쪽 경계면에서 시작되어 위쪽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퀵 메뉴(51,52,53)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이 상기 퀵 메뉴(51,52,53) 중 비밀 폴더에 대응하는 메뉴(52)에서 종료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51)은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멀티 터치에 의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익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61)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62)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한 손가락으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단말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창을 제공하지만, 두 손가락으로 인디케이터(60) 영역을 드래그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서명 입력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멀티 터치 입력으로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비밀 폴더는 적어도 하나의 뎁스에 의해 게스트 모드(guest mode) 환경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스트 모드에서는 상기 비밀 폴더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만 보이고, 사용자의 개인 정보(예를 들어, 건강 정보, 스케줄 정보, 신체 정보, 금융 정보 등) 또는 이미지(image)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비밀 폴더에 포함된 아이템을 제3자에게 보여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두 손가락(F1,F2)에 의해 사용자의 서명(S1,S2)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되, 상기 비밀 폴더를 게스트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비밀 폴더의 정보 중 특정 정보가 추가로 숨겨진 비밀 폴더 화면(20)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서명을 사용자의 손과 펜으로 입력되는 경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으로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와, 스타일 러스 펜(P)에 의해 입력받는 경우, 비밀 폴더 진입시 제공되는 화면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P)에 의해 사용자 서명이 수신하는 경우, 도 21에서 설명한 게스트 모드로 비밀 폴더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입력과 달리 스타일러스 펜으로 입력될 때, 비밀 폴더 진입시 제공되는 화면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패턴에 따라 폴더에 진입하는 방식을 달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에 활성화되는 경우, 복수의 사용자 서명(S11,S12)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서명은, 사용자를 식별하고 소정의 궤적을 갖는 것으로 기 등록된 메인 서명(S11)과 상기 메인 서명(S11)에 부가되는 태그(S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서명(S11, Hong)이 입력된 후, 태그(S12, "2013,12,25"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태그(S12)를 2013년 12월 25일로 인식하여, 상기 비밀 폴더에 포함된 콘텐츠 중 2013년 12월 25일에 비밀 폴더에 저장된 콘텐츠들만 필터링하여 비밀 폴더에 진입 시 첫 화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3에서, 2013년 12월 25일에 이미지 10개 및 동영상 3개가 사용자의 비밀 폴더에 추가되었으며, 제어부(180)는 메인 서명(S11) 이후에 입력되는 소정의 필터링 태그를 통해, 비밀 폴더에 저장된 콘텐츠 중 원하는 콘텐츠에 보다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서명에 부가되는 태그는 날짜를 나타내는 정보 외에, 특수 기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메인 서명(S21)이 입력된 후, 날짜를 나타내는 태그(S22)와, 특수기호에 대응하는 태그(S23)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날짜 이후에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필터링하여 비밀 폴더 진입 시 제공되는 첫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13년 12월 25일 이후에, 추가된 콘텐츠(C1,C2,C3,C4,C5,C6,C7,C7,C8,...)를 비밀 폴더 진입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151)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밀 폴더에 포함된 정보들은 추가로 보안 등급이 설정된 결과, 입력되는 서명의 패턴에 따라 등급별 컨텐츠가 선택적으로 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메인 서명(S1)이 입력된 후 일정 패턴의 태그(S2)가 추가로 입력되는 경우, 메인 서명(S1)을 통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71,72,73)외에, 보안 등급이 더 높은 아이템들(81,82)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태그(S2)가 입력될 때, 상기 태그(S2)의 실시간 궤적을 터치 스크린(151)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혹은 상기 태그(S2)의 원 궤적 외에, 다른 궤적의 태그를 터치 스크린(151)에 노출시킴으로써, 비밀 폴더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서명 패턴에 따라 비밀 폴더에서 개시되는 정보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비밀 폴더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기기와의 관계에 따라 상기 비밀 폴더에서 개시되는 콘텐츠를 다르게 제공하는 예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사용자 서명을 통해 폴더에 진입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1)와 무선 통신을 통해 페어링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151)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1)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비밀 폴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개인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하여 운동 기록을 저장한 경우, 해당 운동 기록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경우, 페어링된 상기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1)에 대응하는 아이콘(W)(71)을 비밀 폴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WB)(71)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로부터 수신된 운동 기록 정보(72)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 서명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진입하고, 비밀 폴더 화면에 제공된 아이콘(W)(71)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로 소정의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비밀 폴더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를 통해 인터넷 뱅킹을 수행하는 중, 상기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인터넷 뱅킹에 이용되는 금융 정보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를 통해 인터넷 뱅킹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D1)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를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 모듈을 통해 확인한 후, 상기 비밀 폴더에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WD1)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76)을 일반 애플리케이션(75)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76)을 선택하면, 사용자의 신체 정보, 건강 정보 등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한편, 도 28을 참조하면, 사용자 서명이 입력될 때, 이동 단말기(100)와 페어링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글라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2)인 경우이다. 이 경우, 글라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2)를 통해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이동 단말기(100)에서의 사용자 서명을 통해 비밀 폴더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글라스 타입의 웨어러블 디바이스(WD2)에 대응하는 아이콘(81)을 비밀 폴더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서명을 통해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예들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서명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을 표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0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200).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151)상의 일 영역으로서, 터치 스크린(151)의 최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은,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에서 시작되어,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상기 드래그 입력은, 사용자의 한 손가락에 의한 드래그 입력, 두 손가락에 의한 드래그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서명 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210).
제어부(180)는 상기 서명 패드상이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고, 입력된 서명을 인식한다(S220). 사용자 서명을 인식하는 방법은, 소정의 기호 및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텍스트, 기호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기호 및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을 인식하는 경우, 비밀 폴더에 숨겨진 애플리케이션의 알림 정보를 상기 서명 패드에 표시할 수 있다(S23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지 않고서도, 인디케이터 영역을 활용하여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들에 대한 다양한 알림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아이템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서명 입력을 통해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한 후,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업데이트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인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통해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전술한 복수의 단계를 생략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은,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하여 멀티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두 손가락에 의한 하향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서명 패드(I)를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현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화면과 중첩되도록 슬라이드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명 패드(I)에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 폴더에 보관된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알림 정보를 상기 서명 패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업 정보, 메시지 송수신 알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림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와 관련하여 개략적인 요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메신저인 경우, 수신된 메시지 내용을 프리뷰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지 않고서도 인디케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상기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통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에 접근하는 다른 예들을 필요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a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하향 드래그하는 입력(T1)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상태 창(status window, 61)을 슬라이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 창(61)이 미리 정해진 길이(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51) 세로 길이의 1/2) 이상으로 슬라이드 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에 대응하는 지점에 기준선(R)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선(R)은 하향 드래그 입력(T1)을 상기 기준선(R) 까지 연장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영역으로부터 이격되는 특정 거리(L1)는 터치 스크린(151)의 세로 길이의 1/4에 해당하는 길이일 수 있다. 상기 특정 길이(L1)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31b 내지 도 31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하향 드래그 입력(T1)이 상기 기준선(R)을 지난 후, 상향 드래그 입력(T2)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상향 드래그 입력(T2)에 의해 상기 상태 창(61)이 상기 기준 선(R)으로부터 상향되는 길이(L2)만큼의 서명 패드(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명 패드(I)와 상태 창(61)은 구분될 수 있다.
도 31d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서명 패드(I)에 사용자 서명(S)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서명 패드(I)에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명 패드(I) 위에 표시된 상태 창(61)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상태 정보(85,86)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단말의 일반적인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창(60)과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명 패드(I) 영역을 분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으로 인해 하향 슬라이드 되는 상태 창을 다시 상향시키는 다양한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는,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의 지점에 기준선(R)을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거리(L1) 지점에 비밀 폴더를 직관할 수 있는 객체(object)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비밀 폴더를 직관할 수 있는 객체는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아이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하향 드래그 입력이 어디까지 연장되어야 사용자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활성화되는지 알리기 위한 모든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향 드래그 입력이 어디까지 연장되어야 하는지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객체는 압정 모양의 그래픽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으로 인해, 기준선(R)을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32a 내지 도 32b에서는 상기 기준선(R)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일반적인 상태 창(61)과 서명 패드(I)로 구분하여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2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영역(60)을 하향 드래그하는 입력(T1)을 수신하고, 상태 창(status window, 61)을 슬라이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상태 창(61)이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에 이르는 경우,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vibration)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햅틱 모듈(153, 도 1a 참조)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vibration)은, 상기 상태 창(61)을 다시 상향시킴으로써, 서명 패드(I)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32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진동이 발생된 지점으로부터 상향되는 길이(L2)만큼의 서명 패드(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명 패드(I)와 상태 창(61)은 구분되며, 상기 서명 패드(I) 영역을 통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2a 내지 32b에서는 인디케이터 영역(60)에서 시작된 하향 드래그 입력이 다시 상향 드래그 입력으로 선회하는 지점을 진동(vibration)으로 알려주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선회 지점의 알림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향 드래그 입력이 상기 선회 지점에 이르는 경우, 터치 스크린(151)의 적어도 일부 면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스크린(151)의 인디케이터 영역(60)을 미리 지정된 지점까지 하향시킨 후, 다시 선회하여 상향시킴으로써,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에 접근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상기 미리 지정된 지점까지 하향시키지 않고서 서명 패드(I)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3a 내지 도33b를 통해 설명한다.
도 33a 내지 도 33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손가락에 의해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을 유지하다가, 제2 손가락에 의해 터치 스크린(15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하향된 상태 창(6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1 손가락(F1)으로 인디케이터 영역(60)을 아래로 드래그 하는 제1 입력(T1)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입력(T1)이 유지된 채 사용자의 제2 손가락(F2)으로 상기 드래그된 지점 근방 혹은 상기 터치 스크린(151)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특정 거리(L1) 이내의 임의의 지점을 터치하는 제2 입력(T2)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T1)에 의해 슬라이드되어 나타나는 상태 창(status window,61)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상태 정보(status information)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T1)만을 수신하고, 제2 입력(T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입력(T1)이 해제되는 경우(드래그 입력의 해제), 상기 상태 창(61)은 원래 상태로 복귀(상향되어 사라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입력(T2)으로 인해, 상기 상태 창(61)을 상기 제2 입력(T2) 지점에 고정시킨 후, 상기 상태 창(61)를 다시 위로 드래그 하는 제3 입력(T3)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T3)은 상기 제2 입력(T2) 지점에서 소정의 길이(예를 들어, L3)만큼 위로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소정의 길이(L3) 만큼에 해당하는 서명 패드(I)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서명 패드(I) 위로는 상기 상태 창(61)이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서명 패드(I)에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서명 패드(I)에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명 패드(I) 위에 표시된 상태 창(61)은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상태 정보(85,86)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은, 후면 입력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 모듈은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입력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음향 출력 모듈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입력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향된 상태 창(61)의 위치를 상기 후면 입력 모듈(미도시)에 대한 입력을 통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즉, 도 33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입력(T1)만을 수신하고, 제2 입력(T2)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술한 후면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후면 입력이 수신된 시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상태 창(6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60)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에 따라 하향되는 상태 창(61)을 고정시키는 입력 패턴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제공받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151)의 상단 영역에 표시되는 인디케이터 영역은, 서로 다른 속성이 반영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를 참조하면, 인디케이터 영역은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과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분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를 참조하면,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을 롱 터치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을 나머지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하향으로 연장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5를 참조하면,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을 롱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을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하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카테고리와 다른 제2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알림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카테고리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이동 단말기의 이용과 관련된 일반적인 설정 정보,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정보, 메시지 수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테고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시되는 비밀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좌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좌측 인디케이터 영역이 슬라이딩되면,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개시될 수 있으며, 우측 인디케이터 영역이 슬라이딩되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사항(91,92)들이 개시될 수 있다.
이상의 도 34 내지 도 35의 경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 또는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표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은 터치 스크린(151)의 전체 영역(entire area)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36의 (a) 내지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에 대한 하향 드래그 입력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표시되는 상태 창(63)은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의 가로 길이(L4)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며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의 가로 길이(L5)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상태 창(64)이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한 조작으로 개시되는 상태 창(63)에는 전술한 제1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인디케이터 영역에 대한 조작으로 개시되는 상태 창(64)에는 전술한 제2 카테고리(예를 들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상태 창은,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갖는 태블릿 PC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9에서 설명한 코드를 인디케이터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코드는, 비밀 폴더에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자 서명 외에, 설정된 일련의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두 영역(A1,A2)으로 구분하고, 상기 설정된 코드의 개수만큼의 터치 입력을 제1 인디케이터 영역(A1) 과 제2 인디케이터 영역(A2)에 대하여, 나누어서 수신하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 하는 입력(T1)을 수신하는 경우, 상태 창(status window, 61)을 터치 스크린(151)에 슬라이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창(61)의 빈 공간에 핀치 아웃 입력(pinch out input)(T2)을 수신하는 경우, 서명 패드(I)를 상기 상태 창(61) 내부에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태 창(61)에 서명 패드(I)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입력은, 상기 핀치 아웃 입력(T2) 외에 상기 빈 공간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swipe inpu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명 패드(I)에 사용자 서명(S)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1,92)를 상기 서명 패드(I)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창(61)에 서명 패드(I)를 활성화하는 다른 예로서는, 도 34를 참조하면, 제1 손가락(F1)으로 인디케이터 영역을 터치 한 상태에서, 제2 손가락(F2)으로 상기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을 따라 서명 패드(I)를 슬라이드하여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그 이후에 과정은 전술한 내용과 같다.
도 40 내지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디케이터 영역을 활용하여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가 표시되는 타입(type)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93,94)는, 예를 들어, 알림 대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메신저인 경우,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의 이름과, 미확인 메시지 개수와 같이, 알림 정보를 개략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 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멀티 터치에 의한 드래그 입력 포함), 비밀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의 수를 통합하여 개략적인 알림 정보(95)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개략적인 알림 정보(95)에 대하여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거나, 핀치 아웃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구체적인 알림 정보(96,97)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또는 제2 실시예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2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은, 이미지, 동영상, 문서 파일, 음성 녹음 파일, 메모 파일 및 음악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되,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도록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S21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과 사용자 서명이 연관되는 것은, 연관된 아이템을 비밀 폴더로 이동시키기 위한 연관 동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 후,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궤적이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중첩된 아이템이 상기 사용자 서명과 연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비밀 폴더로 이동시킬 수 있다(S220).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표시된 비밀 폴더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S230).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사용자 서명을 이용하여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소정의 콘텐츠를 상기 비밀 폴더에 이동시키는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3 내지 도 44는 사용자 서명을 통해 소정의 아이템을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폴더에 존재하는 아이템을 삭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소정의 컨텐츠를 비밀 폴더로 이동시키기 위한 메뉴(Import)를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와 함께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1,I2,I3,I4,I5,I6,I7,I8,I9,I10,I11,I12) 중 적어도 하나(I4,I8)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컨텐츠(I4,I8)를 비밀 폴더에 이동시키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I4,I8)가 표시된 비밀 폴더 화면을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비밀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비밀 폴더에서 삭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서명이 필요할 수 있다. 제3자의 무단 삭제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44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비밀 폴더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성 녹음 파일(V1,V2,V3,V4,V5,V6)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서 삭제할 적어도 하나의 음성 녹음 파일(V5,V6)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비밀 폴더에 저장된 컨텐츠를 외부로 내보내기 위한 메뉴(Export)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음성 녹음 파일(V5,V6)을 외부로 내보낼 수 있다. 상기 외부로 내보내어 진 콘텐츠는 일반 컨텐츠 저장 폴더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7는 사용자 서명을 통해 소정의 아이템을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5 내지 도 47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1,I2,I3,I4,I5,I6,I7,I8,I9) 중 적어도 하나(I1,I8 ,I6,I8)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151) 중 빈 공간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입력(예를 들어, 롱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1,I2,I3,I4,I5,I6,I7,I8,I9)와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활성화되면, 터치 스크린(151)의 나머지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1,I8 ,I6,I8)를 상기 비밀 폴더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47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15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1,I2,I3,I4,I5,I6,I7,I8,I9)가 표시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입력에 의해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영역을 활성화시킨 후,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서명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사용자 서명에 대응하는 궤적들 중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I4,I5,I6,I7)를 상기 비밀 폴더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48 내지 도 49는 사용자 서명을 통해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한 폴더로 이동시키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어부(180)는 동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동영상 콘텐츠의 특정 구간만을 사용자 서명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집이 완료되면,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편집된 동영상을 상기 비밀 폴더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8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동영상 콘텐츠(M)를 재생하는 중, 00:10:21 시점(T1)에 일시 정지되는 경우, 정지된 화면상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는 영역을 활성화하고,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시점 T1 이후, 다시 재생 기능이 실행되어, 동영상 콘텐츠(M)가 재생되는 중, 시점 T2(00:25:20)에 재차 일치 정지되는 경우, 다시 정지된 화면상에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는 영역을 활성화하고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시점 T1 부터 T2 구간 사이의 영상을 분리하여 별도의 동영상 콘텐츠로 편집하고, 시적 T2 이후에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비밀 폴더에 진입함과 동시에 상기 편집된 동영상을 상기 비밀 폴더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동영상 콘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상에 시점 T1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SI)를 표시하고, 시점 T2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SE)를 프로그레스 바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도 48에서 편집된 동영상이 비밀 폴더에 추가할 수 있다. 추가된 아이템은, 특정 구간(10:21~25:20)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편집되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구간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폴더에 진입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표시를 제어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궤적을 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하지 않되, 사용자 서명 입력이 완료되면, 소정의 햅틱 반응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자 서명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음을 노티할 수 있다.
도 51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궤적 중 적어도 일부만을 표시함으로써,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의 패턴이 제3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는 시점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예를 들어, 0.01초) 동안만 해당 궤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 입력을 위한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 기 등록된 패턴의 서명 외에 다른 패턴의 궤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기 등록된 사용자 서명의 패턴이 입력되더라도, 기 등록된 사용자 서명의 패턴이 아닌 다른 패턴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 서명이 입력되는 지점에 실시간으로 궤적을 표시하지 않고, 입력되는 궤적을 미니뷰(M) 형식으로 작은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이 실시간으로 표시되지 않더라고, 상기 미니뷰를 통해 올바른 서명이 입력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 서명과 관련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피드백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된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서명이 잘못 입력된 경우, 소정의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패턴의 진동을 출력하거나, 음향 효과, 시각적인 효과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입력된 사용자 서명이 올바르지 않음을 알릴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Claims (17)

  1.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사용자 서명(user signature)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에 의해 상기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폴더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 중 플리킹 입력에 의해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수신된 플리킹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리킹 입력을 수신한 영역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바디의 적어도 일부에 입력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소정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트로크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잠금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핀치 아웃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은 상기 핀치 아웃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배경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베젤(bezel)에서 시작되어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연장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에 대응하는 특정 메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상기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입력은, 멀티 터치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아래로 드래그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의해 슬라이드되는 상태 창(status window)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서명에 따른 궤적이 종료되는 지점에 일정시간 동안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상기 폴더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에 진입한 결과 제공되는 화면은 복수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또는 멀티 터치 입력(multi touch input)에 의해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폴더에 진입한 결과 제공되는 화면을 다르게 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태그(tag)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서명에 따라 상기 폴더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중 상기 태그에 의해 필터링 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인디케이터 영역(indicator area)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status information)을 포함하는 상태 창(status window)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상태 창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폴더와 관련된 알림 정보(notification information)을 상기 상태 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사용자 서명과 연관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서명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을 상기 폴더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에 진입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페어링이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개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정보를 상기 폴더에 진입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한 궤적을 갖는 사용자 서명(signature)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활성화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역에 상기 사용자 서명을 입력받는 경우, 상기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는 폴더에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27996A 2014-03-10 2014-03-1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96A KR102204784B1 (ko) 2014-03-10 2014-03-1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4/532,255 US9607169B2 (en) 2014-03-10 2014-11-04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5152193.7A EP2919143B1 (en) 2014-03-10 2015-01-22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510069798.XA CN104917876B (zh) 2014-03-10 2015-02-10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96A KR102204784B1 (ko) 2014-03-10 2014-03-1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878A true KR20150105878A (ko) 2015-09-18
KR102204784B1 KR102204784B1 (ko) 2021-01-19

Family

ID=52396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96A KR102204784B1 (ko) 2014-03-10 2014-03-10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07169B2 (ko)
EP (1) EP2919143B1 (ko)
KR (1) KR102204784B1 (ko)
CN (1) CN1049178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123A1 (ko) * 2015-12-01 2017-06-08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4769B1 (en) * 2014-03-03 2022-06-2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665738B2 (en) * 2014-07-18 2017-05-30 Mediatek Inc. Electronic devices and signature wakeup methods thereof
CN106664661A (zh) * 2014-09-18 2017-05-10 英特尔Ip公司 用于低成本无线宽带通信系统的有限功率传输状态的方案
CN105488368A (zh) * 2015-11-30 2016-04-1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的安全保护方法及系统
USD816103S1 (en) 2016-01-22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86134S1 (en) 2016-01-22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26937B2 (en) * 2016-01-26 2018-11-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put techniques for virtual reality headset devices with front touch screens
US11429732B2 (en) * 2016-04-01 2022-08-30 Intel Corporation Unlocking electronic notepads for writing
GB2549991A (en) * 2016-05-06 2017-11-08 The Open Univ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ccess to data
US10540491B1 (en) 2016-10-25 2020-01-21 Wells Fargo Bank, N.A.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ignatures
US11482132B2 (en) * 2017-02-01 2022-10-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D834060S1 (en) 2017-02-23 2018-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34612S1 (en) * 2017-03-14 2018-11-27 Facebook,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0305S1 (en) 2017-03-30 2018-06-12 Facebook,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30932B1 (ko) * 2017-05-16 2020-07-08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사이에 내비게이팅하고 제어 객체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D895639S1 (en) * 2017-09-10 2020-09-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I636349B (zh) * 2017-10-20 2018-09-21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腕錶及適用於腕錶的密碼輸入方法
CN108469898B (zh) 2018-03-15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及柔性屏终端
US11714497B2 (en) * 2019-07-18 2023-08-01 Vica Digital Solutions Inc. Electronic document systems, method and uses
EP3832407B1 (fr) * 2019-12-06 2024-03-27 Tissot S.A. Procédé de connexion sécurisée d'une montre à un serveur distant
USD942994S1 (en) * 2020-06-21 2022-02-0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830A (ko) * 2007-02-28 2008-09-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펜입력 디스플레이용 필기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방법
KR20100020817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16108A (ko) * 2009-08-11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59669A1 (en) * 2012-08-24 201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a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4045B2 (en) * 2002-01-23 2004-02-17 Amerasia International Technology, Inc. Generation and verification of a digitized signature
US20110271332A1 (en) * 2010-04-30 2011-11-03 American Teleconferencing Services Ltd. Participant Authentication via a Conference User Interface
DE102011117214B4 (de) * 2011-10-28 2016-06-16 Stepover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unberechtigten Öffnung eines Signaturgeräts,Signaturgerät und Computersystem mit demselben
CN102789362A (zh) * 2012-06-29 2012-11-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智能计算控制方法
CN102880837B (zh) * 2012-08-24 2016-05-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提高移动终端安全性的方法和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830A (ko) * 2007-02-28 2008-09-0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펜입력 디스플레이용 필기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방법
KR20100020817A (ko) * 2008-08-13 2010-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10016108A (ko) * 2009-08-11 201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059669A1 (en) * 2012-08-24 2014-02-2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nhancing the security of a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5123A1 (ko) * 2015-12-01 2017-06-08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7876A (zh) 2015-09-16
EP2919143B1 (en) 2019-05-08
US9607169B2 (en) 2017-03-28
US20150254471A1 (en) 2015-09-10
EP2919143A1 (en) 2015-09-16
KR102204784B1 (ko) 2021-01-19
CN104917876B (zh)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78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8190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60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15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5198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4769A (ko)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KR10164280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975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85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4665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62454A (ko)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61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313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14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2007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4161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37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90071824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651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385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31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1167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729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2435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