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817A -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817A
KR20150102817A KR1020140024297A KR20140024297A KR20150102817A KR 20150102817 A KR20150102817 A KR 20150102817A KR 1020140024297 A KR1020140024297 A KR 1020140024297A KR 20140024297 A KR20140024297 A KR 20140024297A KR 20150102817 A KR20150102817 A KR 2015010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ucational
voice
contents
keywor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068B1 (ko
Inventor
여수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촉
Priority to KR102014002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0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는,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단계;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단계; 및 상기 키워드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여, 교육용 동영상에 대한 검색이 용이해지며, 또한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 간의 분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EDUCATIONAL CONTENTS MAP}
본 발명은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과 무선통신의 발달로 동영상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활성화에 따라공급되는 동영상의 숫자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온라인 교육 서비스의 주 소비층으로부터 필요한 교육 컨텐츠를 쉽고 간편하게 찾을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교육 컨텐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교육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기술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원하는 교육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교육용 동영상을 검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개별 동영상을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 동영상 실행 가능한 매체를 통하여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상에서 각각 직접 실행하여 눈으로 확인하여 보아야만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하며, 따라서통상의 문자 검색에 비하여 그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육용 컨텐츠의 특성상 여러 주제 내지는 범주가 긴밀히 상호 연결되어 학습하여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바 영상 간의 연관성의 분석이 요구되는데, 종래의 기술에서는 교육용 동영상 간의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안출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검색 가능한 문자로 변환하여 이를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로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단계;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단계; 및 상기 키워드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상기 음성문자변환부에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상기 메타정보관리부의 정보를 참고로 각각의 상기 교육용 동영상을 의미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컨텐츠맵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메타정보관리부;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부;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부; 상기 키워드추출부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맵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목차정보부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추출부는,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맵생성부는, 상기 메타정보관리부의 정보를 참고로 단위컨텐츠를 표시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육용 동영상의 음성이 문자로 변환되어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가 생성되므로 교육용 동영상의 필요한 내용을 효율적으로 검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가 시각화되어 표시되므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 간의 분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의 구성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여 교육용 동영상을 검색하며, 교육용 동영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교육 편의성을 도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이다. 인터넷의 저변 확산과 통신속도의 급증 및 휴대용 단말기 사용의 보급 등으로 인해 온라인 상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오프라인 수요가 온라인으로 대거 흡수되었고, 현장성과 접근성을 함께 충족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에서 동영상 기반 서비스를 대폭 차용하게 되었으며, 많은 동영상 강좌 내지는 강의가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교육용 동영상의 양적 팽창에 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교육용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찾는 서비스는 아직까지 많이 시도지 않고 있다. 더욱이 교육용 동영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유기적인 교육 서비스를 도모하는 기술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메타정보관리부(100);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부(200);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부(300); 상기 키워드추출부(300)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맵생성부(400)를 포함한다.
메타정보관리부(100)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한다. 상기 메타정보는 동영상의 컨텐츠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서 표제, 제작자, 유형, 기타제작자, 발행처, 날짜, 언어, 형식, 설명, 주제, 관계, 식별자, 권한, 출처, 범위를 포함한다. 학습정보에 관한 부가적인 인덱스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표제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부여되는 이름일 수 있다. 상기 유형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성격이나 그 내용의 특징일 수 있다. 상기 날짜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이 현재의 형태로써 이용 가능하게 된 날짜일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상기 동영상의 내용에 관한 설명 또는 강의내용 등에 관한 설명일 수 있다. 상기 관계는 관련된 교육용 동영상에 대한 참조일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을 타 교육용 동영상으로부터 식별하는 참조일 수 있다. 상기 메타정보는 XML기반의 메타정보일 수 있다. 메타정보의 형식은 텍스트 형식으로 표현되는 각종 부가파일일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상기 메타정보를 상기 교육용 동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가공함으로써 교육용 동영상마다의 특징을 색인화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메타정보관리부(100)는, 기술용 메타정보와 관리용 메타정보 그리고 구조용 메타정보를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할 수 있다. 기술용 메타정보는, 정보자원의 검색을 목적으로 한 메타정보로서 어떤 동영상을 어떻게 찾아내는지의 발견, 어떤 동영상을 다른 유사한 동영상과 어떻게 구분하는지에 대한 식별, 어떤 교육용 동영상이 특정 내용을 만족시킨다는 사실을 결정하는 목적을 충족시키는 선정 등을 포함한다. 관리용 메타정보는, 자원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객체의 작성 및 주 내용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등의 책임, 접근이나 이용에 대한 제약의 적용 등을 포함한다. 구조용 메타데이터는, 복합적인 디지털 객체들을 함께 묶어주기 위한 메타정보로서, 어떤 교육용 동영상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음성문자변환부(200)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성 인식은 음성을 구성하는 음소를 식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음성 인식 방법으로는 단어단위 인식과 음소단위 인식이 있으며, 점차 음소단위 인식으로 발전하는 추세이다. 발화자가 내는 말이 담고 있는 음파를 음소 단위로 인식하면, 이를 언어로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 단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로 대응시켜 출력한다.
키워드추출부(300)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한다.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직후의 단어는 모든 가능한 인식가능공간에서 최고의 확률을 가지는 단어열을 찾는 과정을 거쳐 가공된다. 가공된 단어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특징을 설명하는 메타정보로부터 도출된 키워드로서, 상기 키워드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검색 및 상기 교육용 동영상 간의 연관성을 검색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사용된다. 추출된 키워드는 특정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가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된 복수개의 키워드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개념트리를 구축할 때 개념트리 단위개체의 면적을 확대/축소 시키는 등의 시각화 작업의 기초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컨텐츠맵생성부(400)는, 상기 키워드추출부(300)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학습하고자 하는 대상과 해당 영상의 컨텐츠 간의 관련성 및 해당 영상과 연관되는 다른 교육용 동영상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는 동영상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가공하여 특정된 가중치에 따라서 관계의 밀접함 또는 중요도의 대소를 달리할 수 있으며, 이는 개념트리에서 시각화 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는,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용 동영상과 연관되는 다른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 간에는 학습 효율의 도모 내지는 편의성 증진을 위해 일련의 시청 순서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교육목차정보부에서는,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아 동영상의 키워드를 이와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한다. 상기 교육목차정보는 웹페이지 상에서 정해진 양식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생성되거나, 웹페이지 제공자가 임의로 지정하여 사용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음성문자변환부(200)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은 단어단위 인식과 음소단위 인식이 있으며, 화자의 발화를 단어 단위로 분절하여, 상기 분절된 단어와 가장 유사한 단어를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대응시켜 문자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워드추출부(300)는,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맵생성부(400)는, 상기 메타정보관리부(100)의 정보를 참고로 단위컨텐츠를 표시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의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은,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단계(S100);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단계(S200);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단계(S300); 및 상기 키워드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단계(S100)는, 동영상의 컨텐츠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로서 표제, 제작자, 유형, 기타제작자, 발행처, 날짜, 언어, 형식, 설명, 주제, 관계, 식별자, 권한, 출처, 범위를 포함하는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단계(S200)는, 발화자가 내는 말이 담고 있는 음파를 음소 단위로 인식하여, 이를 언어로 이해하는 자연어 처리 단계를 거쳐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문자 데이터로 대응시켜 출력하는 단계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은 위 자연어 처리기술 외에도 다양해지고 있다.
상기 키워드추출단계(S300)는,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인식하여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 직후의 단어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인식가능공간에서 최고의 확률을 가지는 단어열을 찾아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S400)는, 상기 키워드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각각의 교육용 동영상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이를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이다. 컨텐츠를 만드는 컨텐츠 관리자는 교육의 방향, 중요 학습포인트 등을 데이터로 가공하여 서버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음성에서 문자데이터로 추출된 키워드들 중에 컨텐츠 관리자의 의도에 맞추어진 키워드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동영상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든 동영상을 모두 플레이 하여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에 있어서,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생성자 및 관리자는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교육목차를 설계하여 데이터화할 수 있으며, 이를 서버에 입력하고, 기준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일관성 있는 교육용 동영상 컨텐츠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문자변환부(200)에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는 문장과 문장으로 이루어져있으므로,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였을 때, 정확한 내용이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문장으로 받아들여진 이후 텍스트 변환을 하는 것 보다는, 문장으로 된 음성을 단어별로 분파하여 분파된 음절을 단어로 변환하는 것이 더 정확한 키워드 추출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관리부(100)의 정보를 참고로 각각의 상기 교육용 동영상을 의미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타정보관리부(100)에서는 강의제목, 강의내용, 키워드, 키워드군, 가중치, 교육목차 등 다양한 메타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메타정보관리부(100)의 정보를 참고하여,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을 관계맺을 수 있으며, 하나의 동영상을 하나의 기호로 표현하고 이들을 연결시키는 컨텐츠맵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컨텐츠맵의 단위기호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일 수 있으며, 컨텐츠맵의 단위기호의 크기는 동영상에 포함된 키워드와 교육목차, 컨텐츠 생성자의 의도가 입력된 파일 등에 담긴 정보에 기초하여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컨텐츠맵에 배치되는 동영상의 크기, 색상, 형태 등을 조절하게 함으로써, 컨텐츠맵을 통하여 서버 내에 존재하는 교육용 동영상의 연관성, 중요도, 필요성 등을 한눈에 알 수 있게되어 사용자들의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게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메타정보관리부
200: 음성문자변환부
300: 키워드추출부
400: 컨텐츠맵생성부
500: 교육목차적용부

Claims (10)

  1.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단계;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단계; 및
    상기 키워드추출단계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문자변환부에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정보관리부의 정보를 참고로 각각의 상기 교육용 동영상을 의미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6. 서버에 저장된 교육용 동영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교육용 컨텐츠맵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메타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가공하는 메타정보관리부;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포함된 음성의 음소에 따라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성문자변환부;
    상기 문자 데이터에 포함된 단어를 가공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단어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생성하는 키워드추출부;
    상기 키워드추출부에서 생성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기 복수의 교육용 동영상의 관계 및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컨텐츠맵생성부;
    를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교육목차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교육목차정보와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키워드를 비교하여, 상기 교육용 동영상의 순서를 배열하는 교육목차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문자변환부는,
    상기 교육용 동영상에 등장하는 화자의 음성 데이터를 단어로 분절시키고, 분파된 상기 단어를 문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추출부는,
    상기 메타정보를 기초로 상기 교육용 동영상과 가장 밀접한 상기 변환된 문자데이터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맵생성부는,
    상기 메타정보관리부의 정보를 참고로 단위컨텐츠를 표시하는 기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장치.
KR1020140024297A 2014-02-28 2014-02-28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634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97A KR101634068B1 (ko) 2014-02-28 2014-02-28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297A KR101634068B1 (ko) 2014-02-28 2014-02-28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17A true KR20150102817A (ko) 2015-09-08
KR101634068B1 KR101634068B1 (ko) 2016-06-28

Family

ID=5424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297A KR101634068B1 (ko) 2014-02-28 2014-02-28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0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0365A (zh) * 2018-04-23 2018-09-11 温州市鹿城区中津先进科技研究院 基于大数据分析的教育决策系统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035088B1 (ko) * 2018-12-31 2019-10-23 주식회사 이르테크 스토리텔링 기반 멀티미디어 무인 원격 1:1 맞춤형 교육시스템
KR102046148B1 (ko) * 2018-08-27 2019-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강의 요약본을 제공하는 전자칠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790A1 (en) 2005-09-01 2007-03-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djustable surgical sling
KR100828166B1 (ko) * 2007-06-12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의 음성 인식과 자막 인식을 통한 메타데이터 추출방법,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동영상 탐색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20120138268A (ko) * 2011-06-14 2012-12-26 학교법인 신일학원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9136A (ko) * 2012-08-06 2014-02-14 (주) 소프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KR20140019512A (ko) * 2012-08-06 2014-02-17 지승환 전자적 서적의 통합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9790A1 (en) 2005-09-01 2007-03-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djustable surgical sling
KR100828166B1 (ko) * 2007-06-12 2008-05-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영상의 음성 인식과 자막 인식을 통한 메타데이터 추출방법,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동영상 탐색 방법 및 이를기록한 기록매체
KR20120138268A (ko) * 2011-06-14 2012-12-26 학교법인 신일학원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9136A (ko) * 2012-08-06 2014-02-14 (주) 소프 네트워크를 경유한 지식컨텐츠의 제공방법
KR20140019512A (ko) * 2012-08-06 2014-02-17 지승환 전자적 서적의 통합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115A1 (ko) * 2017-09-29 2019-04-04 (주)자이네스 교육 플랫폼을 위한 교과목 지식체계도 구조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CN108520365A (zh) * 2018-04-23 2018-09-11 温州市鹿城区中津先进科技研究院 基于大数据分析的教育决策系统
KR102046148B1 (ko) * 2018-08-27 2019-11-18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강의 요약본을 제공하는 전자칠판
KR102035088B1 (ko) * 2018-12-31 2019-10-23 주식회사 이르테크 스토리텔링 기반 멀티미디어 무인 원격 1:1 맞춤형 교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068B1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412B2 (en) Context sensitive text recognition and marking from speech
JP6361351B2 (ja) 発話ワードをランク付けする方法、プログラム及び計算処理システム
CN105224581B (zh) 在播放音乐时呈现图片的方法和装置
CN113709561A (zh) 视频剪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30792B (zh) 数据资源的标注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123143B1 (ja) 特許要件適否予測装置および特許要件適否予測プログラム
US201502137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ting text to video
CN111753104A (zh) 对多媒体内容进行的场境搜索
KR101634068B1 (ko)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KR20210121387A (ko) 콘텐츠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N113360598A (zh) 基于人工智能的匹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060100646A (ko) 영상물의 특정 위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영상 검색 시스템
CN110297965B (zh) 课件页面的显示及页面集的构造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09977294B (zh) 信息/查询处理装置、查询处理/文本查询方法、存储介质
Spolaôr et al. A video indexing and retrieval computational prototype based on transcribed speech
KR102422844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영상 컨텐츠의 언어 위기를 관리하는 방법
US11854430B2 (en) Learning platform with live broadcast events
US20140297678A1 (en) Method for searching and sorting digital data
JP2016099381A (ja) 音声対話システムおよび音声対話方法
KR20140137219A (ko) 멀티미디어 파일에서 원하는 부분만 쉽고 빠르게 정확히 추출하거나 저장하여 s,e,u-컨텐츠를 만드는 장치 및 그 방법 또는 요점 추출 저장
KR20080020011A (ko) 모바일 웹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8990B1 (ko) 또래 학습 추천 방법 및 장치
US11984113B2 (en) Method and server for training a neural network to generate a textual output sequence
CN117174092B (zh) 基于声纹识别与多模态分析的移动语料转写方法及装置
Balzano et al. Lectures Retrieval: Improving Students’ E-learning Process with a Search Engine Based on ASR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