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268A -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268A
KR20120138268A KR1020110057611A KR20110057611A KR20120138268A KR 20120138268 A KR20120138268 A KR 20120138268A KR 1020110057611 A KR1020110057611 A KR 1020110057611A KR 20110057611 A KR20110057611 A KR 20110057611A KR 20120138268 A KR20120138268 A KR 20120138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nit
content
resource
learning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2583B1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신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신일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신일학원
Priority to KR1020110057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58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단위객체에 결합된 다수의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학습자원 및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여,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학습자원 및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고 재사용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n e-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object units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단위객체에 결합된 다수의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일반인들에게 이러닝(e-Learning)의 개념을 물어보면 '기존 오프라인 학습과 달리 학습 방법적인 측면에서 컴퓨터나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이나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을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단순히 이러닝에서의 'e'를 'electronic[전자/컴퓨터의, 전자적인]'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규정할 경우, 이러닝을 테크놀러지 기술 측면에서만 보게 되고, 정작 가장 중요한 '학습(Learning)'의 중요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교육공학적인 측면에서는 이러닝을 e(xpansion)-Learning, e(xtension)-Learning, e(xperience)-Learning으로 규정하고 이러닝이 기존 오프라인 교육과 비교시 가장 큰 장점으로 가지는 것을 '학습기회가 확대되고(expansion)', '학습선택권이 확장되며(extension)', '다양한 학습경험을 창출(experience)'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닝이 이렇게 정의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러닝의 형태를 살펴보면, 기존 오프라인 강의를 그대로 영상화하거나 음성화하여 제공하는 형태(동영상/음성 강의 형태), 플래시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만들어 제공하는 형태(소극적 스토리텔링 형태) 등 학습자들은 단순히 이러닝 콘텐츠를 보고 듣고 읽는 경험 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즉, 학습자 입장에선 여전히 이러닝은 학습기회가 제한되고, 학습선택권이 없으며, 단순히 책을 읽는 형태의 학습경험 외에는 할 것이 없는, 단지 오프라인 교육과 비교할 때 학습시간과 학습공간만 선택할 수 있는 학습방법일 뿐이었다.
또한, 이러닝 산업에 종사하는 관련 설계자, 개발자 조차도 이러닝 콘텐츠를 이러닝의 최종 목표라고 생각하고 이러닝 콘텐츠를 단지 보기에 예쁘고 화려하게 개발하는 것에만 집중했을 뿐, 정작 중요한 학습자 입장에서 학습효과의 증진과 학습경험을 창출해내는 데는 매우 소극적이었다.
그러다 보니, 학습효과 측면에서 이러닝은 한계가 있다는 비판에 당면했고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지적되게 되었다.
먼저, 학습도구 기능 및 수의 제약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학습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자체적인 도구가 매우 제한적이며, 교수의 수업목적에 따른 별도의 게시판 생성이 불가능하여 교수활동이 제한적이다. 또한 게시판의 경우도 단순히 게시물 등재 방식이라 토론 활동의 경우도 토론이라기 보다는 개인의견 피력에 가까운 형태로 한정되고 있다.
또한, 폐쇄적인 플랫폼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외부 다양한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이나 웹 서비스(Web Service)를 학습내용 및 도구로 활용하지 못하고 정보모델이 해당 기관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종속되어 있다.
또한, 종래 이러닝은 다양한 이러닝 학습활동에 제약을 갖는다. 즉, 기존 이러닝은 학습내용과 학습활동 영역이 분리됨에 따라, 오프라인 학습처럼 '학습맥락'이 유지되는 상태에서의 학습활동이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이러닝은 읽기 위주(e-Learning content = Reading)라는 문제점이 있다. 학습자들은 이러닝 콘텐츠에서는 단지 '보고, 듣고, 읽는' 단순한 학습경험 외에는 할 것이 없다.
또한, 새로운 학습자료, 학습도구의 추가, 콘텐츠의 변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닝 콘텐츠가 통상 1~2년 정도 반복되어 사용된다고 볼 때, 현재의 이러닝 콘텐츠는 학습과 관련되어 나오는 새로운 자료를 현재의 이러닝 학습내용과 연결시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 한번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는 수정 및 변형이 어려워 교수학습모형이 고정화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지적된 위의 문제점들은 이러닝 교육환경 및 교육 운영, 개발 방법 등과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이러닝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후, 각 교육기관별로 폐쇄적인 플랫폼을 운영하다 보니, 콘텐츠 개발사에서는 그 플랫폼에만 종속된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진도 체크, 수강 여부 등을 파악, 콘텐츠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다양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이벤트 요소가 포함되기 시작하면서 이러닝 콘텐츠 자체에 각종 스크립트 및 소스가 코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구현해야할 사항들이 복잡해지면서 현재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주요 저작도구로 대부분 어도브(Adobe)사의 플래시(Flash)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동적이고 역동적인 디자인과, 화면, 요소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으나, 보안 정책 변경, 프로그램 업데이트, 스크립트 언어의 업데이트, 브라우저와의 호환성 문제 등으로 인해 이러닝 콘텐츠에서 예측하지 못했던 오류사항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는 사용된 각 요소(이미지, 텍스트 등)들이 상호 연결되거나 연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문 개발자가 아닌 이상 이러닝 콘텐츠의 수정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은 이러닝 콘텐츠의 일부를 재사용하거나 신속히 재구성 또는 새로운 학습자료 등을 연결하여 추가시키는데 큰 제한점이 되고 있다.
아울러 동영상 콘텐츠 개발에서 대부분 많이 사용하는 편집 프로그램은 어도브(Adobe)사의 프리미어(Premier)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기타 다른 프로그램들도 프리미어와 거의 동일한 편집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리미어와 같은 동영상 콘텐츠 편집프로그램은 방송영상 등 순수 동영상 콘텐츠를 편집/가공하는데 특화된 소프트웨어이므로, 학습 동영상과 학습 내용의 연결, 동기화가 필요한 이러닝 콘텐츠에는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가장 큰 문제는 생산성 효율의 문제이다. 통상 이러닝 콘텐츠에 활용되는 동영상(오디오도 동일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최초 촬영된 원본 영상 파일을 수정/편집/인코딩하여 서비스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 기존 프리미어 등의 소프트웨어는 동영상 중 일부 내용(예를 들어, 자막 문구 등)을 수정하더라도 처음과 동일한 시간의 인코딩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는 동영상 콘텐츠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정 및 재사용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물론, 이러한 이러닝 콘텐츠의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러닝 콘텐츠 저작도구(자이닉스사의 이스트림이 가장 대표적임)가 사용되기는 하나, 이는 콘텐츠 개발 효율성만 높혔을 뿐, 학습의 효과성 부분에선 여전히 보여주기식 강의가 전부이다. 따라서 학습도구와의 결합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들의 학습시간을 철저히 관리해야 하는 등(예를 들어 출석관리의 필요성 등)의 국내 이러닝 교육정책과 특정 프로그램들로 개발되어지는 개발 환경, 이러닝 운영기관의 폐쇄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국 현재 국내의 이러닝은 학습효과는 고려하지 않은 보여주기식 강의, 부분 단위별 재사용/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이러닝 콘텐츠, 교수자의 수업운영의 자유로움을 극히 제한하는 단순히 온라인에서 학습이 가능한 전자학습(electronic Learning)일 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학습 콘텐츠를 단위객체별로 개발하는 기술의 일례가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특허출원 10-2011-0009645,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도구 및 그 기록매체"](이하 선행기술 1)에 의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화면에 표시되는 학습 콘텐츠를 단위객체별로 개발하여 결합하고, 다수 종류의 학습자원을 시간상으로 동기화시켜 상기 단위객체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로 인해, 학습 내용을 자유롭게 결합하거나 해체하여 학습 콘텐츠를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발된 학습 콘텐츠 내에 포함된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들은 다른 강의에도 재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미 개발된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학습자원들을 재사용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의 관리 기술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단위객체에 결합된 다수의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 콘텐츠에는 포함된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단위객체에는 포함된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학습자원도 별도로 저장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를 가지지 않는 학습자원을 키워드에 의하여 검색하여 제공하되,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을 먼저 키워드에 의해 검색하고 검색결과의 학습자원과 동일한 단위객체와 결합하고 있는지의 여부로 검색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관리하되, 상기 단위객체는 다수의 학습자원으로 결합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상기 학습자원 및 상기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텍스트를 가지지 않는 학습자원(이하 제2 유형 학습자원)을 키워드에 의하여 검색하여 제공하되,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을 상기 키워드에 의해 검색하고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과 동일한 단위객체와의 결합여부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키워드에 의해 상기 단위객체를 검색하여 제공하되, 상기 키워드에 의해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검색하여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결합하는 단위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학습자원을 분류 검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단위객체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단위객체를 분류 검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제목에 대해서 상기 키워드에 의해 상기 학습자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원이 결합되는 단위객체의 수(이하 사용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학습자원의 사용횟수가 0이 되면 상기 학습자원이 삭제 가능한 것을 알리는 콘텐츠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원은 동영상, 음성, 자막, 이미지, 슬라이드 자료, 웹페이지,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관리하되, 상기 단위객체는 다수의 학습자원으로 결합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학습자원 및 상기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학습자원 및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고 재사용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개발된 선행기술 1의 학습 콘텐츠 개발 도구를 통해 다양한 리소스간 결합 및 동기화가 쉽고 용이하고, 학습내용과 학습도구간의 자유롭게 결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학습자원 또는 단위객체들을 재사용한다면, 이러닝 콘텐츠 개발 비용이 획기적인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텍스트를 가지지 않는 학습자원도 키워드에 의해 검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의 학습자원도 쉽게 검색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동영상 또는 이미지 등의 개발 비용이 텍스트에 의한 프리젠테이션 또는 노트자료 보다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콘텐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 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위객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용자 단말 20 : 네트워크
30 :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31 : 콘텐츠 수신부
32 : 콘텐츠 저장부 33 : 콘텐츠 검색부
34 : 콘텐츠 수정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
60 : 학습 콘텐츠 61 : 강의 콘텐츠
62 : 서브 콘텐츠 63 : 단위객체
70 : 학습자원 71 : 시간형 학습자원
72 : 정지형 학습자원
80 : 콘텐츠 표시화면 81 : 학습목차 영역
82 : 동영상 영역 83 : 학습내용 영역
84 : 팝업 영역 85 : 내비게이션 영역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의 예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일례는 사용자 단말(10)과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으로 구성되고 서로 네트워크(20)로 연결된다. 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50)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학습 콘텐츠 개발자, 교수 등 사용자가 이용하는 PC, 노트북, 넷북, 태블릿PC, PDA, 모바일 등의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학습자원 검색 등의 작업을 처리한다. 또한, 처리를 위한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자 단말(1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고, 그 처리 결과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등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에서,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또, 도면부호 10을 단말 이외에 사용자에게도 붙이기로 한다.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은 통상의 서버로서,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학습 콘텐츠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시스템(30)은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시스템(30)은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또는 소프트웨어)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베이스(40)는 학습자원을 저장하는 학습자원DB(41),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DB(42), 및, 단위객체를 저장하는 단위객체DB(4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50)은 학습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개발 화면(또는 인터페이스)을 제공하거나, 학습 콘텐츠 생성을 위한 명령 등을 수신하여 그 명령을 수행시켜 준다.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50)은 도 1과 같이 서버로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50)에 관한 실시예는 특허출원 10-2011-0009645에 기재되어 있다. 또는,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50)과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관리 시스템(30)은 개발 시스템(50)에 의해 개발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학습자원을 별개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개발 시스템(50)이 사용자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이나 별도의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관리 시스템(30)은 완성된 학습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 또는 개발 시스템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관리 시스템(30)과 개발 시스템(50)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개발된 경우, 내부의 저장장소(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학습 콘텐츠는 일련의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되고, 각 단위객체는 다수의 학습자원들로 결합된다. 관리 시스템(30)은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10)는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이미 만들어진 학습자원 또는 단위객체 등을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10)는 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사전에 저장된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을 검색하여 열람하거나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들은 다수의 학습 콘텐츠에 사용될 수 있다. 즉, 학습자원이 다수의 단위객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학습자원이 결합되는 단위객체의 수를 학습자원의 사용횟수라 말하기로 한다. 하나의 단위객체도 다수의 학습 콘텐츠에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단위객체가 구성되는 학습 콘텐츠의 수를 단위객체의 사용횟수라 말하기로 한다.
한편, 학습 콘텐츠는 시간이 지나면 폐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법학 개론" 강의가 매 학기마다 개설되고, 그 학기가 지나서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면 지난 학기의 강의 콘텐츠들은 폐기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관리자 등 사용자(10)는 관리 시스템(30)에 접속하여, 학습 콘텐츠를 삭제한다.
학습 콘텐츠가 삭제되면, 관리 시스템(30)은 그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의 사용횟수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관리 시스템(30)은 사용횟수가 0인 경우, 즉, 사용되지 않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에 대해 삭제 가능함을 관리자 등에 알린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콘텐츠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용 콘텐츠(60)는 강의 콘텐츠(61), 서브 콘텐츠(62), 단위객체(63)로 단계적으로 구성된다.
강의 콘텐츠(61)는 하나의 강의에 속하는 전체 콘텐츠를 말한다. 예를 들어, 법학 개론이라는 하나의 강의를 진행하기 위한 모든 콘텐츠이다. 한편, 동일한 제목의 강의라 하더라도 학기 등 강의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2010년도 1학기 법학개론과 2011년도 2학기 법학개론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강의 콘텐츠(61)는 다수의 서브 콘텐츠(62)로 구성된다. 서브 콘텐츠(62)는 한 타임의 강의(이하 서브 강의)를 진행하는 콘텐츠이다. 예를 들어, 한 학기 동안 진행되는 어느 한 과목의 강의는 매주 1회씩 총 16회를 진행한다면, 각 회의 강의가 곧 서브 강의를 말한다. 상기 서브 강의에 대한 콘텐츠가 곧 서브 콘텐츠이다.
서브 강의는 시간상으로 연속되는 강의의 단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서브 강의 콘텐츠는 통째로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진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강의 동영상인 경우, 서브 강의의 콘텐츠는 시작부터 끝까지 시간상으로 연속되는 하나의 동영상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콘텐츠(62)는 다수의 단위객체(63)로 구성된다. 각 단위객체(63)는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든 단위객체(63)는 서로 독립적으로 만들어지고, 각 단위객체(63)는 각자가 일체의 파일로 만들어진다. 각 단위객체(63)를 시간상으로 순서만 정하여 배열하면, 그 배열의 구성으로 곧 서브 콘텐츠(62)가 구성된다.
단위객체(63)는 학습자원(70)이 결합되어 생성된다. 즉, 학습자원(70)들은 시간상으로 동기화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앞서 단위객체(63)가 시간상 순서만으로 서브 콘텐츠(62)를 구성하는 것과, 학습자원(70)이 결합되어 단위객체(63)를 구성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 단위객체(63) 내에서 학습자원(70)들은 동기화 되어 유기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학습자원(70)들이 일체가 되어 하나의 단위객체(63)를 형성한다.
한편, 강의 콘텐츠(61)와 서브 콘텐츠(62)를 묶어 학습 콘텐츠로 부르기로 한다. 학습 콘텐츠는 사전에 정해진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된다. 예를 들어, 강의 콘텐츠(61)의 과목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분류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법학 개론이면, 법학 개론 - 법학 - 인문학 등에 의해 분류된다. 또한, 서브 콘텐츠(62)도 사전에 정해진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법률학 개념, 법률 구조, 법률 역사, 법체계 등으로 분류되고 법체계도 우리나라 법체계, 외국 법체계 등 세분화되어 분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학습 콘텐츠의 분류 체계(또는 분류 기준)는 사전에 정해져 저장된다. 그리고 콘텐츠 제작자 또는 관리자 등 사용자(10)가 학습 콘텐츠를 생성시 상기 학습 콘텐츠에 해당하는 분류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따라서 학습 콘텐츠는 분류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 콘텐츠는 콘텐츠 제목을 가진다. 강의 콘텐츠(61)는 과목명이 곧 콘텐츠 제목이고, 서브 콘텐츠(62)는 각 강의별 세부 제목들을 갖는다. 상기 콘텐츠 제목들도 콘텐츠 제작자 또는 관리자 등 사용자(10)에 의해, 학습 콘텐츠를 생성시 입력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이미 만들어져 완성된 학습 콘텐츠에는 분류와 제목이 부여되어 데이터로서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콘텐츠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학습용 콘텐츠의 표시화면은 학습자(또는 사용자)에게 학습용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한 화면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용 콘텐츠의 표시화면(80)은 학습목차 영역(81), 동영상 영역(82), 학습내용 영역(83), 팝업 영역(84), 내비게이션 영역(85) 등으로 구분된다.
학습목차 영역(81)은 학습용 콘텐츠의 목차를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목차를 계층구조로 표시한다. 이때, 목차의 계층적 구조는 도 2와 유사하다. 즉, 전체 강의, 서브 강의, 단위객체 순으로 단계적으로 나열하여 표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학습용 콘텐츠 화면(80)은 하나의 서브 강의(또는 서브 콘텐츠)에 대한 화면이므로, 목차를 단위객체만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를 예로 들면, "서브 콘텐츠 1"의 학습용 콘텐츠이면, 목차에는 그 서브 콘텐츠의 단위객체들, 즉, "단위객체 1.1", "단위객체 1.2", ..., "단위객체 1.n"만으로 나열된다.
어느 경우에나, 목차의 최하위 내용은 단위객체이다.
동영상 영역(82), 학습내용 영역(83), 팝업 영역(84)은 학습용 콘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동영상 영역(82)은 동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시간상으로 연속하여 표시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로 들면, 강의 동영상 파일이나, 강의 음성 파일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이에 반해, 학습내용 영역(83)은 시간상으로 연속하여 표시되지 않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로 들면, 프리젠테이션 파일, 이미지, 웹페이지, 게시판 등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팝업 영역(84)은 팝업 창에 의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동영상 영역(82)과 학습내용 영역(83)에 표시되는 학습용 콘텐츠 이외의 추가적인 학습용 콘텐츠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즉, 동영상 영역(82) 또는 학습내용 영역(83)에 이미 학습용 콘텐츠가 표시되고 있으면, 추가적인 학습용 콘텐츠는 상기 영역(82, 83)에 표시될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팝업 창을 생성하여 그 팝업 창(또는 팝업 영역)에 추가 콘텐츠를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영역(85)은 시간상으로 표시되는 학습용 콘텐츠의 표시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학습용 콘텐츠가 20분 동안 진행되는 경우, 시작 시간부터 종료시간까지의 20분 사이의 특정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이전(back) 버튼이나 다음(next) 버튼 등을 이용하여, 현재 진행중인 시간에서 일정한 시간 이전 또는 다음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특정 시간이 선택되면, 선택된 시간에 표시되어야할 학습용 콘텐츠들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객체(70)의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객체(63)는 시간상으로 동기화된 다수의 학습자원(70)으로 구성된다.
학습자원(70)은 시간상에서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시간형 학습자원(71)과 시간과 무관하게 표시되는 정지형 학습자원(72)으로 크게 구분된다. 즉, 시간형 학습자원(71)은 동영상, 오디오 등 일정한 시간동안 플레이되는 학습자원을 말한다. 또한, 자막 등도 시간형 학습자원(71)으로 볼 수 있다.
정지형 학습자원(72)은 슬라이드, 이미지, 웹페이지, 게시판, 학습자원 리스트 등 시간적으로 연속적으로 표시될 필요가 없는 학습자원이다. 슬라이드나 이미지와 같이 정지된 상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움직이는 이미지 등 움직임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웹페이지나 게시판 등과 같이, 인터랙티브한 반응을 할 수 있다. 학습자원 리스트는 다수의 학습자원을 표시해주고, 학습자가 그 중 하나의 학습자원을 선택하면 표시하게 해주는 것을 말한다. 즉, 학습자원 리스트도 하나의 학습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학습자원(70)은 하나의 파일 또는 링크 파일로 존재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등 저장장소에 파일로 저장된다. 웹페이지 또는 게시판 등은 URL 형태의 링크 파일로 존재한다. 링크 파일은 파일을 직접 자신의 저장장소에 저장하지 않을 뿐, 결국, 링크로 연결된 파일을 가져와서 표시한다.
또한, 학습자원(70)은 파일의 종류에 따라 파일을 표시하는 플레이어를 구동하여 표시한다. 플레이어는 내장된 어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구동시킨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객체(63)의 표시시간은 시간형 학습자원인 동영상에 의해 정해진다. 즉, 동영상의 플레이 시간(또는 표시시간)이 0에서 T까지의 시간이고, 이 시간을 기준으로 단위객체(63)의 표시기간도 정해진다.
동영상 영역(82)에서, 동영상은 내부에 오디오를 포함하는 파일이거나, 오디오와 독립된 파일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은 자막과 시간상으로 동기화된다.
한편, 레이어드는 동영상의 화면에 겹쳐 표시되는 학습자원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우측 상단의 작은 화면에 레이어드 동영상이 동시에 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레이어드는 동영상외에도 이미지 또는 슬라이드 등 정지형 학습자원으로 겹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레이어드의 동영상과의 동기화는 이하에서 설명할 정지형 학습자원(72)의 동기화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된다.
자막도 일종의 레이어드로 볼 수 있다.
또한, 학습내용 영역(83)에는 5개의 슬라이드가 배열되고 있다. 각 슬라이드가 표시되는 시간은 단위객체(63)의 표시기간 내의 기간으로 정해진다. 즉, 슬라이드 1은 0에서 T1까지의 시간동안 표시되고, 슬라이드 2는 T1에서 T2까지 기간내에 표시된다. 또, 슬라이드 3, 4, 5는 각각 T2-T3, T3-T4, T4-T 까지 기간동안에 표시된다. 슬라이드는 정지형 학습자원으로서 표시되는 기간동안 동일한 화면으로 표시된다.
한편, 단위객체(63)를 구성하는 학습자원은 모두 시간상으로 동기화되나, 동영상 영역, 학습내용 영역 등 각 영역 내에서의 학습자원 사이에도 동기화된다. 동영상 영역 내의 자막, 레이어드 등이 동영상과 서로 동기화된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시간형 학습자원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전체 단위객체(63)의 표시시간이 정해질 수도 있다. 즉, 동영상 1과 동영상 2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2개의 동영상의 각 플레이 시간이 합쳐져서 전체 단위객체(63)의 표시시간이 된다. 동영상 1의 표시시간은 0에서 T5이고, 동영상 2의 표시시간은 T5에서 T까지이다. 2개의 표시시간이 합쳐져서, 전체 단위객체(63)의 표시시간 0에서 T까지로 설정된다.
또, 자막 1은 동영상 1에만 동기화되고, 동영상 2에는 자막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이어드에 관하여, 동영상 1의 일부시간과 이미지 1이 동기화되고, 동영상 2의 일부시간과 동영상 2와 이미지 3이 서로 동기화된다. 그 외 시간은 레이어드 없이 동영상만 표시된다.
한편, 학습내용 영역(83)에서도, 서로 다른 종류의 학습자원들이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슬라이드 1과 슬라이드 2는 T에서 T2까지 표시되고, T2-T3에서 웹페이지 3이 표시되고, T3-T4 사이에 슬라이 4가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T4-T에서, 게시판 5가 표시된다.
학습내용 영역(83)에서는, 각 학습자원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동기화되고 있다. 학습내용 영역(83) 내에는 하나의 학습자원만 표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서, 학습내용 영역(83)에서도 동영상 영역(82)에서와 같이, 레이어드가 추가될 수 있다. 즉, 레이어드가 추가되면, 레이어드의 학습자원이 원래 학습자원(슬라이드 등)과 겹쳐져 표시된다.
한편, 앞서 본 바와 같이, 슬라이드는 학습자가 일방적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는 반면, 웹페이지나 게시판은 학습자에 의해 인터랙티브하게 반응한다. 즉, T1-T2 시간동안, 학습자는 학습내용 영역(83)에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스크롤하거나 링크를 눌러 다른 웹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또, T4-5 시간동안, 학습자는 게시판을 스크롤하여 보거나 클릭하여 내용을 보고, 또, 키 입력을 통해 글을 게재할 수도 있다.
만약, 단위객체(63)가 종료되고, 더 이상 다른 단위객체(63)가 연속되어 실행되지 않으면, 학습내용 영역(83)에서 마지막의 게시판은 계속하여 표시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단위객체(63)가 종료된 후에도 게시판에서 계속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30)은 콘텐츠 수신부(31), 콘텐츠 저장부(32), 및, 콘텐츠 검색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수정부(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31)는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다. 즉, 콘텐츠 수신부(31)는 이미 만들어져 생성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는 개발 시스템(50)에 의해 개발되고, 콘텐츠 수신부(31)는 개발되어 완성된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거나 입력받는다. 또는 개발 시스템(50)과 저장장소(메모리, 하드 디스크, 데이터베이스 등)를 공유하면 공유한 콘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다음으로, 콘텐츠 저장부(32)는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특히, 콘텐츠 저장부(32)는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학습 콘텐츠(또는 서버 콘텐츠)는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다. 단위객체들은 순서에 의해 배열된다. 또한, 단위객체들은 다수의 학습자원들이 결합되어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텐츠 저장부(32)는 학습 콘텐츠, 단위객체, 및,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학습 콘텐츠는 콘텐츠DB(42)에 저장하고, 학습자원은 학습자원DB(41)에 저장하고, 단위객체는 단위객체DB(43)에 저장한다. 물리적으로 하나의 저장공간(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더라도 논리적으로는 분리하여 저장한다.
이때, 학습 콘텐츠는 자신을 구성하는 단위객체에 대하여 링크 데이터만 가지고 있다. 도 6의 예에서, 학습 콘텐츠 1은 단위객체 1, 2, 3의 3개로 구성된다. 이때, 단위객체 1, 2, 3은 단위객체DB(43)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 1에는 상기 단위객체 1, 2, 3에 대한 링크 데이터만 저장한다.
또한,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 1, 2, 3에 대한 구성정보도 포함하여 저장된다. 즉, 단위객체 2가 학습 콘텐츠 1에서 2번째에 위치한다는 정보(위치정보), 단위객체가 진행되는 시간(진행시간) 등을 저장한다. 단위객체를 가져와서 학습 콘텐츠를 복원할 수 있도록, 단위객체에 의한 학습 콘텐츠의 구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학습 콘텐츠에 함께 저장한다.
또한, 단위객체는 자신에 결합되는 학습자원에 대하여 링크 데이터만 가지고 있다. 도 6의 예에서, 단위객체 1은 학습자원 1, 2, 4의 3개로 구성된다. 이때, 학습자원 1, 2, 4는 학습자원DB(41)에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 1에는 상기 학습자원 1, 2, 4에 대한 링크 데이터만 저장한다.
또한, 단위객체 1에도 학습자원 1, 2, 4에 대한 구성정보도 포함하여 저장된다. 학습 콘텐츠와는 달리, 단위객체 내에서 학습자원은 매우 복잡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더 세분화된 구성정보를 저장한다.
콘텐츠 검색부(33)는 학습자원 및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한다. 콘텐츠 검색은 크게 키워드에 의한 검색과 분류에 의한 검색으로 구분된다.
먼저, 키워드에 의한 검색을 설명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학습자원은 슬라이드,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한다. 이때, 학습자원은 텍스트 등을 포함하여 키워드 검색에 의해 검색될 수 있는 것이 있고, 이미지, 동영상과 같이 키워드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에 대한 검색은 종래 기술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키워드의 포함된 횟수나 비율 등에 의해, 검색결과의 우선순위 등을 정하는 등의 종래 검색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반면,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는 학습자원(이하 제2 유형 학습자원)에 대한 키워드 검색은 상기 제1 유형 학습자원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즉, 콘텐츠 검색부(33)는 상기 제1 유형 학습자원을 키워드에 의해 검색한다. 그리고 콘텐츠 검색부(33)는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과 동일한 단위객체와의 결합여부로 제2 유형 학습자원을 검색한다.
일례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학습자원 5가 로마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동영상 자료이고, 학습자원 3은 텍스트로 기재된 로마법에 대한 설명자료라고 가정한다. 즉, 단위객체 1은 법 역사에 대한 강의 객체이고, 강의를 위한 학습자원으로서 동영상 자료인 학습자원 5와 설명자료인 학습자원 3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객체이다. 즉, 학습자원 3은 제1 유형 학습자원이고, 학습자원 5는 제2 유형 학습자원이다.
콘텐츠 검색부(33)는 "로마법"을 키워드로 하여 학습자원DB(41)을 검색한다. 이때, 학습자원 3이 검색된다. 학습자원 3이 결합하는 단위객체가 무엇인지를 찾는다. 이때, 단위객체 3이 검색되고, 단위객체 3에 결합된 학습자원 중 제2 유형 학습자원을 검색한다. 동영상 학습자원 5(제2 유형 학습자원)가 검색되어 제공된다.
또한, 콘텐츠 검색부(33)는 키워드에 의해 단위객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이때, 콘텐츠 검색부(33)는 상기 키워드에 의해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검색하여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결합하는 단위객체를 제공한다.
도 6의 예에서, "로마법"에 대하여 검색하면 학습자원 3이 검색되고, 학습자원 3을 결합하는 단위객체 3이 검색된다. 또, 한국법에 대한 검색으로 학습자원 2가 검색되면, 단위객체 1과 2가 검색되어 제공된다.
또한, 콘텐츠 검색부(33)는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제목에 대해서 상기 키워드에 의해 상기 학습자원을 검색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에는 제목이 사전에 부여되어 저장된다. 제목은 텍스트 형태이므로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목을 대상으로 키워드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의해 검색된 단위객체에 결합된 학습자원들을 최종 검색결과로서 제공한다.
다음으로, 분류에 의한 검색을 설명한다.
콘텐츠 검색부(33)는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학습자원을 분류 검색을 한다. 또, 콘텐츠 검색부(33)는 단위객체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단위객체를 분류 검색을 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는 사전에 정해진 분류 체계에 의해 해당 분류를 가지고 있다. 이 분류는 관리자 등 사용자(10)에 의해 사전에 입력되어 정해진 값이다. 하나의 단위객체에 포함되는(사용되는) 학습자원들의 분류는 곧 상기 단위객체의 분류와 같다. 따라서 단위객체의 분류에 따라 학습자원을 대상으로 분류 검색을 한다.
한편, 콘텐츠 검색부(33)는 앞서 설명한 키워드 및 분류 검색 등을 결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즉, 분류로서 "법의 역사"이고 키워드로서 "로마법"을 모두 만족하는 학습자원을 검색할 수 있다.
콘텐츠 수정부(34)는 학습자원이 결합되는 단위객체의 수(이하 사용횟수)를 카운팅한다. 또한, 콘텐츠 수정부(34)는 단위객체의 사용횟수가 0이 되면 상기 학습자원이 삭제 가능한 것을 알린다.
도 6의 예에서, 학습자원 1은 단위객체 1에 의해 1회 사용되고 있고, 학습자원 2는 단위객체 1과 2에 의해 2회 사용되고 있다. 또, 학습자원 3은 단위객체 3에 의해 1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학습자원 5는 단위객체 2와 단위객체 3에 의해 2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위객체 3은 학습 콘텐츠 1과 2에 의해 모두 사용되어 사용횟수가 2이다. 따라서 학습자원 5의 단위객체 2에 의한 사용횟수는 1회이지만, 단위객체 3에 의한 사용횟수는 2회이다. 즉, 각 학습자원의 사용횟수는 자신을 사용하는 단위객체의 사용횟수를 모두 더하여 계산된다. 이때, 단위객체의 사용횟수는 학습 콘텐츠에 의한 사용횟수이다.
이때, 단위객체의 학습콘텐츠에 의한 사용횟수가 0인 경우에는, 학습자원의 사용횟수를 구할 때, 1로 본다. 예를 들어, 학습 콘텐츠 2가 삭제되면 단위객체 4의 사용횟수는 0이다. 그러나 단위객체 4가 삭제되지 않는 한, 학습자원 6의 사용횟수는 1이 된다.
그리고 각 단위객체 또는 학습자원의 사용횟수가 0이 되면, 삭제할 수 있다는 것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관리자는 사용횟수가 0인 학습자원 또는 단위객체를 삭제하거나, 추후 재사용되기 위해 그대로 보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은 (a)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10); (b)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20); 및, (c) 상기 학습자원 및 상기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d) 상기 학습자원이 결합되는 단위객체의 수(이하 사용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학습자원의 사용횟수가 0이 되면 상기 학습자원이 삭제 가능한 것을 알리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참조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저장하여 관리하되, 학습 콘텐츠에 포함된 단위객체 및, 단위객체에 결합된 다수의 학습자원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관리하되, 상기 단위객체는 다수의 학습자원으로 결합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콘텐츠 수신부;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및,
    상기 학습자원 및 상기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텍스트를 가지지 않는 학습자원(이하 제2 유형 학습자원)을 키워드에 의하여 검색하여 제공하되,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을 상기 키워드에 의해 검색하고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과 동일한 단위객체와의 결합여부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키워드에 의해 상기 단위객체를 검색하여 제공하되, 상기 키워드에 의해 텍스트를 포함하는 학습자원(이하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검색하여 검색된 제1 유형 학습자원을 결합하는 단위객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학습자원을 분류 검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단위객체를 포함하는 학습 콘텐츠의 분류에 의하여, 상기 단위객체를 분류 검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검색부는 상기 학습자원을 포함하는 단위객체 또는 학습 콘텐츠의 제목에 대해서 상기 키워드에 의해 상기 학습자원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학습자원이 결합되는 단위객체의 수(이하 사용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학습자원의 사용횟수가 0이 되면 상기 학습자원이 삭제 가능한 것을 알리는 콘텐츠 수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원은 동영상, 음성, 자막, 이미지, 슬라이드 자료, 웹페이지, 문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9. 다수의 단위객체로 구성된 학습 콘텐츠를 관리하되, 상기 단위객체는 다수의 학습자원으로 결합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에 포함되는 단위객체와 학습자원을 서로 구분하여 저장하되,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단위객체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객체에는 학습자원의 링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학습자원 및 상기 단위객체 단위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9항의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57611A 2011-06-14 2011-06-14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02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11A KR101302583B1 (ko) 2011-06-14 2011-06-14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11A KR101302583B1 (ko) 2011-06-14 2011-06-14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68A true KR20120138268A (ko) 2012-12-26
KR101302583B1 KR101302583B1 (ko) 2013-09-02

Family

ID=4790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611A KR101302583B1 (ko) 2011-06-14 2011-06-14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17A (ko)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 촉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261B1 (ko) 2019-02-22 2021-11-16 (주)휴넷 마이크로러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702A (ko) * 2001-05-31 2001-07-27 김준호 개인 인터넷 교육 방송국을 이용한 교육정보 제공방법 및이를 프로그램화하여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기록매체
KR100489673B1 (ko) * 2002-11-08 2005-05-17 한국과학기술원 교육 컨텐츠 관리시스템
KR100978685B1 (ko) * 2008-02-19 2010-08-3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객체 지향형 컨텐츠를 이용한 다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817A (ko) * 2014-02-28 2015-09-08 주식회사 촉 교육용 컨텐츠맵 생성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583B1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53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US20140310746A1 (en) Digital asset management, authoring, and presentation techniques
US100961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mbling animated media based on keyword and string input
Costello Multimedia foundations
US7496845B2 (en) Interactive presentation viewing system employing multi-media components
Monserrat et al. Notevideo: Facilitating navigation of blackboard-style lecture videos
Nguyen et al. Sensepath: Understanding the sensemaking process through analytic provenance
TWI514171B (zh) 動態頁面產生之頁面模組與方法
US20050071736A1 (en) Comprehensive and intuitive media collection and management tool
US20050069225A1 (en) Binding interactive multichannel digital document system and authoring tool
Marchionini et al. The open video digital library: A möbius strip of research and practice
CN104145265A (zh) 涉及搜索和/或搜索整合的特征的系统和方法
Ashmore The role of digital video in language documentation
Song Multimedia news storytelling as digital literacie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online journalism education
KR101367195B1 (ko) 강의 동영상 내의 유의미한 재생시점의 선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강의 동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TW201303723A (zh) 線上互動式三維多媒體編輯交流架構、編輯交流方法及其電腦可讀取媒體
Villa et al. Facetbrowser: a user interface for complex search tasks
Chi et al. Synthesis-Assisted Video Prototyping From a Document
WO20121455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or displaying multimedia objects, modules or presentations
KR101302583B1 (ko)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89357B1 (ko) 객체단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시스템
Hamidi et al. Using social networks for multicultural creative collaboration
Mısır Vlog as a multimodal translanguaging space: insights from a turkish social media influencer corpus
Weller Toward a Taxonomy of News Video
Geisler et al. Crowdsourcing the indexing of film and television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