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800A -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800A
KR20150102800A KR1020140024046A KR20140024046A KR20150102800A KR 20150102800 A KR20150102800 A KR 20150102800A KR 1020140024046 A KR1020140024046 A KR 1020140024046A KR 20140024046 A KR20140024046 A KR 20140024046A KR 20150102800 A KR20150102800 A KR 2015010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card
card
content
social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054B1 (ko
Inventor
주종필
신민교
차동욱
박경서
박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05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 소셜 카드 생성 앱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SOCIAL CARD}
본 발명은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작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쇼핑몰이 활성화되고 있다.
사용자는 상품 구입을 위해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 접속하고 로그인 절차를 거친 후에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검색한다. 이때 원하는 상품이 검색되지 않거나 원하는 가격대의 상품이 검색되지 않으면 다시 다른 쇼핑몰 사이트를 찾아 가서 로그인 및 검색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라고도 불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각광받고 있다. SNS는 참가자가 서로에게 친구를 소개하여 친구 관계를 넓힐 것을 목적으로 개설한 커뮤니티형 웹사이트를 가리키는 것으로, 블로그, 트위터, 미니홈피 등이 이에 해당된다.
SNS는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및 정보 공유의 속성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SNS에 상품 또는 서비스의 리뷰 기사를 등록하면 친구들에게 자연스럽게 전파되어 결과적으로 입소문 마케팅의 매체로 활용되기도 한다.
종래 SNS 컨텐츠(사진, 동영상, 텍스트, 댓글 등), 온라인 커머스(Commerce) 관련 컨텐츠는 특정 웹페이지 상에서 시간 순서 등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웹 페이지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고, 컨텐츠가 시간 순서로 나열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래된 컨텐츠들이 새로운 컨텐츠들에 밀려서 접근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작성된 컨텐츠들을 작성 시간 순서 이외의 방식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선행기술 1 : 한국공개특허 제 10-2009-0040081호(2009.04.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드 형태 프레임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완결된 형태로 SNS 컨텐츠, 온라인 쇼핑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카드 형태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는 소셜 카드(social card)를 생성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작성된 컨텐츠를 카드의 앞면과 뒷면에 표시할 수 있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이 소셜 카드에 포함될 사진,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소셜 카드를 생성할 수 있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소셜 카드 생성 앱이 저장된 저장부,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모듈,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매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소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소셜 카드 생성부를 포함하는 관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소셜 카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키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장치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는 단계,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형태 프레임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완결된 형태로 SNS 컨텐츠, 온라인 쇼핑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카드 형태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는 카드(card)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소셜 카드에 포함될 사진,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소셜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SNS 컨텐츠가 카드 형상 프레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쇼핑 컨텐츠가 카드 형상 프레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카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셜 카드'는 앞면과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를 의미한다. '카드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등의 표현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구현되는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을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동영상, 댓글, 링크 정보 등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의 '앞면 및 뒷면'에 다양한 정보들을 매핑(Mapping)한 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러한, 카드를 이용하면 온라인상의 SNS 컨텐츠, 쇼핑 컨텐츠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페이지의 링크 정보를 공유하지 않더라도 카드 형태의 프레임을 매개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으며, SNS 웹페이지 또는 쇼핑 웹페이지 상에 존재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분리/추출하여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동일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SNS 컨텐츠, 쇼핑 컨텐츠들을 더욱 분할하고 세분화할 수 있으며, 세분화된 컨텐츠들을 서로 다른 카드 형상 프레임에 매핑시켜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컨텐츠 기술은 온라인상의 SNS 컨텐츠, 쇼핑 컨텐츠 등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컨텐츠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컨텐츠 이외에도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들이 개인적으로 생성하는 사진, 텍스트, 동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카드 컨텐츠의 예시를 살펴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 모두 좌측이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을 나타내고 우측이 카드 형상 프레임의 뒷면을 나타낸다)
도 1은 SNS 컨텐츠가 카드 형상 프레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조로써, 앞면에는 컨텐츠를 작성한 사용자 정보, 메인 이미지, 타이틀 등의 정보가 매핑되고, 뒷면에는 본문 텍스트 내용, 관련 이미지들, 위치 정보, 댓글 정보 등의 정보가 매핑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도 2는 쇼핑 컨텐츠가 카드 형상 프레임에 매핑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조로서, 앞면에는 상품의 메인 이미지 정보가 매핑되고, 뒷면에는 해당 상품의 상세 정보, 판매 정보 등의 정보가 매핑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이상에서 살핀 카드 컨텐츠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매개로 독립적이고 완결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공유될 수 있으며, SNS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웹페이지 등에 포스팅되어 공유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관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 및 관리 장치(20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관리 장치(200)로부터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를 관리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를 관리하는 UI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UI를 통해 단말 장치(100)는 카드 컨텐츠를 직접 제작(SNS 컨텐츠, 쇼핑 컨텐츠 등을 카드 형태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표시)하거나, 관리 장치(200)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100)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작된 카드 컨텐츠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기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소셜 카드 생성 앱은 기 작성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는 프레임의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소셜 카드 생성 앱을 통해 소셜 카드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지만, 관리장치(200)에 소셜 카드 생성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되면,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200)로 전송하고, 관리장치(200)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컨텐츠를 표시 즉, 다양한 컨텐츠를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을 통해 표시한다. '컨텐츠', '카드 형상의 컨텐츠',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등의 표현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구현되는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을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동영상, 댓글, 링크 정보 등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의 '앞면' 및 '뒷면'에 다양한 정보들을 매핑(Mapping)한 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단말장치(100)는 관리 장치(200)로부터 카드 생성 앱을 다운받아 구동시킬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 랩톱(laptop) 컴퓨터, 태플릿(tablet) 컴퓨터 등의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드 생성 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관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셜 카드를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관리 장치(200)는 소셜 카드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에 소셜 카드를 구현하기 위한 UI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카드 형상 프레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200)는 각 단말 장치(100)가 생성한 카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사업자의 주문에 의해 제작된 카드 컨텐츠 정보를 관리하고 단말 장치(100)들에 배포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장치(200)는 바람직하게는 단말 장치(100)와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서버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서버 장치 이외에도 통신 모듈 및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특히 카드 컨텐츠를 작성, 수정, 편집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받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카드 컨텐츠 UI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UI 환경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될 수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에는 단말장치(100)가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한 소셜 카드 생성 앱이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해당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는 컨텐츠 입력 모듈(152), 위치 설정모듈(154), 매핑 모듈(156)을 포함한다.
컨텐츠 입력 모듈(152)은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에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때, 컨텐츠는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설정모듈(154)은 컨텐츠 입력 모듈(152)을 통해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한다. 즉, 위치 설정모듈(154)은 컨텐츠를 분석하여 타이틀, 사진, 동영상, 본문, 댓글 등으로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한다. 그런 후, 위치 설정모듈(154)은 매핑 규칙에 따라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위치를 설정한다. 여기서, 매핑 규칙은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위치를 나타낸 규칙으로, 예컨대, 타이틀, 사진, 동영상은 소셜 카드의 앞면에 위치, 본문과 댓글은 소셜 카드의 뒷면에 위치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매핑 규칙은 사진과 동영상이 모두 포함된 경우, 사진을 앞면에 매핑시키고 동영상은 뒷면에 매핑시키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매핑 규칙은 기 정의된 선택 알고리즘을 통해 선택된 대표 이미지만을 앞면에 매핑시키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알고리즘은 random 선택, 단말 장치에 의한 선택, 크기가 가장 큰 이미지 자동 선택, title로 인식된 영역과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이미지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알고리즘일 수 있다.
매핑 모듈(156)은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컨텐츠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 즉, 매핑 모듈(156)은 소셜 카드의 프레임 크기 등을 고려하여, 매핑될 구성요소들의 크기를 변환시킨다. 예컨대, 타이틀, 본문, 댓글 등의 텍스트는 소셜 카드의 프레임 크기에 맞도록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텍스트 글자 수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진, 동영상 등은 프레임 크기에 맞도록 이미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매핑모듈(156)은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소셜 카드 생성의 기초가 된 웹 페이지 또는 SNS 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켜, 전체 컨텐츠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서, 주소 정보는 URL 정보일 수 있다. 소셜 카드에는 선택된 일부 구성요소만을 표시하게 되므로, 컨텐츠의 주소정보를 매핑시켜 전체 컨텐츠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15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200)는 카드 데이터베이스(2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통신부(230), 소셜카드 생성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카드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카드 데이터베이스(21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컨텐츠 데이터(카드 식별정보,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정보, 히든 컨텐츠 등),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히스토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데이터베이스(21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각 사용자들이 보유한 카드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는 각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소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소셜 카드 생성부(240)는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고,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소셜 카드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소셜 카드 생성부(140)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은 단말장치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셜 카드 생성부(240)는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소셜 카드 생성의 기초가 된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제어부(250)는 카드 데이터베이스(2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통신부(230), 소셜카드 생성부(24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장치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면(S702),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704). 컨텐츠 입력 화면에는 컨텐츠를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 존재하고, 사용자는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S706), 단말장치는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컨텐츠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한다(S708). 즉, 단말장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타이틀, 사진, 동영상, 본문, 댓글 등 컨텐츠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한다.
그런 후 단말장치는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한다(S710).
단말장치는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컨텐츠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S712),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S714)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S716).
웹 페이지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매핑 규칙이 타이틀, 사진, 동영상은 소셜 카드의 앞면, 본문과 댓글은 소셜 카드의 뒷면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a)와 같은 웹 페이지 컨텐츠를 소셜 카드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장치는 웹 페이지 컨텐츠를 분석하여 타이틀(910), 본문(920), 사진(930), 댓글(940)로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한다.
단말장치는 (a)와 같은 웹 페이지 컨텐츠를 기 설정된 매핑 규칙에 따라 (b)와 같이 소셜 카드의 앞면과 뒷면에 매핑시켜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 즉, 단말장치는 컨텐츠로부터 타이틀(910)을 추출하고, 추출된 타이틀(910)을 매핑 규칙에 따라 소셜 카드의 앞면에 매핑한다. 또한, 단말장치는 컨텐츠로부터 사진(930)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진(930)을 매핑 규칙에 따라 소셜카드의 앞면에 매핑시킨다. 또한, 단말장치는 컨텐츠로부터 본문(920) 및 댓글(940)을 추출하고, 추출된 본문(920) 및 댓글(940)을 매핑 규칙에 따라 소셜 카드의 뒷면에 매핑시킨다. 이때, 단말장치는 소셜 카드의 프레임 크기에 맞도록 사진의 크기를 조절하고, 타이틀, 본문, 댓글의 텍스트 크기를 줄이거나 글자 수를 줄여서 소셜 카드에 매핑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장치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면(S802),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804).
사용자가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선택 또는 입력하면(S806), 단말장치는 입력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한다(S808).
관리장치는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S810),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한다(S812).
그런 후, 관리장치는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컨텐츠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S814),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S816) 소셜 카드를 생성한다(S818).
그런 후, 관리장치는 생성된 소셜 카드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8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카드 형태 프레임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완결된 형태로 SNS 컨텐츠, 온라인 쇼핑 컨텐츠 등을 제공하고, 카드 형태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표시할 수 있는 카드(card)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소셜 카드에 포함될 사진, 텍스트 등의 컨텐츠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더라도, 기존에 작성된 웹 페이지 컨텐츠, SNS 컨텐츠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소셜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11, 230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
160,250 : 제어부 200 : 관리장치
210 : 카드 데이터베이스 22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240 : 소셜 카드 생성부

Claims (10)

  1. 디스플레이부;
    소셜 카드 생성 앱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를 입력받는 컨텐츠 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모듈;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매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카드 생성 앱 구동 처리부는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각 사용자들에 의해 생성된 소셜 카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단말장치로부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소셜 카드 생성부;
    를 포함하는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카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의 뒷면에 상기 컨텐츠의 주소 정보를 매핑시키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장치.
  7.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의한 소셜 카드를 수신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8. 단말장치가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
  9.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된 경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입력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들의 종류를 식별하고,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식별된 종류들의 소셜 카드내 매핑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단말장치는 소셜 카드 생성 앱이 구동되어 컨텐츠가 입력된 경우,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 요청 신호를 관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장치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소셜카드내 매핑 위치를 기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 설정하고, 상기 소셜카드의 프레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장치는 상기 변환된 구성요소들을 상기 설정된 매핑 위치에 매핑하여 소셜 카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셜 카드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방법.
KR1020140024046A 2014-02-28 2014-02-28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17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46A KR102175054B1 (ko) 2014-02-28 2014-02-28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046A KR102175054B1 (ko) 2014-02-28 2014-02-28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00A true KR20150102800A (ko) 2015-09-08
KR102175054B1 KR102175054B1 (ko) 2020-11-05

Family

ID=54243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046A KR102175054B1 (ko) 2014-02-28 2014-02-28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0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81A (ko) 2007-10-19 2009-04-23 (주)이와이드플러스 카드 스킨 서비스 시스템
KR20130005455A (ko) * 2011-07-06 2013-01-16 주식회사 북이십일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15948A (ko) * 2012-07-27 2014-02-07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유통 단위를 이용하는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81A (ko) 2007-10-19 2009-04-23 (주)이와이드플러스 카드 스킨 서비스 시스템
KR20130005455A (ko) * 2011-07-06 2013-01-16 주식회사 북이십일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15948A (ko) * 2012-07-27 2014-02-07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유통 단위를 이용하는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054B1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9881008B2 (en) Content participation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0606466B2 (en) Presenting additional content to an online system user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 a scrollable content unit
CN105917369B (zh) 修改广告大小调整以用于在数字杂志中呈现
US9535945B2 (en) Intent bas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KR101667220B1 (ko) 소셜 네트워킹 시스템에서 유연한 문장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164808B2 (ja) 推奨用共有ボックス
US201503179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inted glass effect for interface controls and elements
US10289727B2 (en) Incorporation of semantic attributes within social media
US9830388B2 (en)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20150317319A1 (en)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CA29893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alls to action for social networking system resources
US10803077B2 (en) Applying templates to customize presentation of content based on surface type
US10109020B2 (en) User interface for bookmarks in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10628848B2 (en) Entity sponsorship within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KR20150102800A (ko)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3809A (ko) 검색 기반의 수집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2169648B1 (ko)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AU2019101510A4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SPLAY FROM MULTIPLE MEDIA FORMATS A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splay on a client device where a display template is created with embedded tags to identify media format types to permit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media on a single display. The system and method may incorporate artificial intelligence to personalize the display to the needs of the user.
KR102241401B1 (ko) 위시카드를 이용한 카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43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splay from Multiple Media Formats
KR102199205B1 (ko) 카드 컨텐츠 태깅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장치 및 관리 장치
KR20200013412A (ko)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10116A (ko) 웹페이지 내 문장 기반의 컨텐츠 등록 시스템
KR20150101674A (ko)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