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55A -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55A
KR20130005455A KR1020110066852A KR20110066852A KR20130005455A KR 20130005455 A KR20130005455 A KR 20130005455A KR 1020110066852 A KR1020110066852 A KR 1020110066852A KR 20110066852 A KR20110066852 A KR 20110066852A KR 20130005455 A KR20130005455 A KR 2013000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knowledge information
information
generating
knowl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곤
이유남
황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북이십일
(주)터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북이십일, (주)터치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북이십일
Priority to KR1020110066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455A/ko
Priority to PCT/KR2012/005351 priority patent/WO2013006002A2/ko
Publication of KR201300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구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Knowledge card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and the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및 그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이용자가 급증하고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여러 곳에 산재된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부분적으로 얻게 된다. 따라서, 특정 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일반 도서를 컴퓨터상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e-book)의 등장으로 컴퓨터 단말을 통한 정보 습득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86873 전자북 제작 방법 및 시스템(유니웨이브) 2003.11.12(문헌 1)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와 오프라인 상에서의 전자북 제작 툴이 연동하여 다양한 전자북을 제작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전자북 제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40209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박영욱) 2011.04.20(문헌 2)에는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찾아서 전자북 생성/관리 서버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이미지를 전자북의 페이지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페이지에 적응하는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북은 전자북 전문 제작자가 전용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제작하므로, 일반인이 콘텐츠를 생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전자북 제작 회사마다 전자북의 형식과 프로그램이 다르기 때문에 전용 뷰어 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야 해당 전자북을 열람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인이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정보로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86873 전자북 제작 방법 및 시스템(유니웨이브) 2003.11.12.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40209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박영욱) 2011.04.20.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제공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드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카드의 각종 속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생성하여, 상기 카드의 검색, 관리 및 조합 등이 용이한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생성함으로써,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및 유통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구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목,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등록하여 지식 정보 카드의 표지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된다.
이때, 각 카드가 생성되는 과정 중 카드의 속성 정보가 자동 생성 또는 입력되며, 생성된 각 카드에 카드의 속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설정하고, 각 카드에 포함된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카드의 속성 및 규칙이 구조화되어 포함된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기능 설정 단계에서 설정하는 특수 기능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메일을 통해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SNS 서비스로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목,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등록하여 지식 정보 카드의 표지 카드를 생성하는 표지 카드 생성부; 상기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구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본문 카드 생성부;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카드 기능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지식 정보 카드는,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기본 형태를 정의하는 카드 템플릿; 상기 특정 지식 정보의 내용 및 형식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영역;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이용을 위한 기능 및 규칙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속성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제목, 카드의 일반적인 분류에 대한 설명, 카드의 언어, 카드를 정의하는 키워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개정 상태, 카드의 현재 상태, 카드를 제작한 사람 또는 조직의 설명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이프 사이클 속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표현 및 접근에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 정보 유형 및 소프트웨어, 카드 실제 크기, 카드를 활용하는 데 요구되는 기술적인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크니컬 속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 접근에서 사용의 지적 소유권과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권한 속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는 인간의 기억 저장 및 호출 방식과 유사하여 지식 또는 정보를 보관, 전달, 이용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된 지식 정보 카드를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라인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의 생성 주체가 변경한 내용을 즉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신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로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의 표준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 카드 만들기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 카드 앞면 구성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 카드 뒷면 내용 입력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문 카드 앞면 구성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문 카드 뒷면 내용 입력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북 기능 설정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모드 실행에 의한 카드 생성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IY 모드 실행에 의한 카드 생성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북 목록 설정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북 목록 구성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유통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제공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와 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지식 정보 카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카드 생성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즉, 지식 정보 카드)로 제작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지식 정보 카드는 일반적인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을 이용하여 생성 또는 저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식 정보 카드 제작을 위해 새롭게 정의되는 마크업 언어에 의해 생성 및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식 정보 카드 생성시 카드의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하는 카드 메타 데이터가 자동 생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생성된 복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의해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유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휴대폰을 포함하여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항법 장치 등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컴퓨터, TV 등 고정 단말기를 포함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지식 정보 카드'는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서, 전자 기기상에서 카드 형태로 구성된 어떠한 형태의 지식 정보들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으며,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카드의 속성 및 구조가 정의되어 구조화된 마크업 언어인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포함된 카드의 속성 및 구조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카드의 사이즈, 사이즈 확장, 이미지의 위치와 사이즈, 음성 파일의 위치와 사이즈, 텍스트의 위치와 사이즈, 폰트 및 카드와 카드가 결합되는 방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는 지식 정보 카드의 구조를 정의하는, 즉,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카드의 속성 및 구조가 정의되어 구조화된 마크업 언어로서, 일반적인 마크업 언어 또는 프로그램 언어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 카드의 속성 및 규칙 즉, 카드의 사이즈, 이미지의 위치와 사이즈, 음성 파일의 위치와 사이즈, 텍스트의 위치와 사이즈, 폰트 및 카드와 카드가 결합되는 방식 등이 구조화되어 있으며, 상기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는 상기 정의된 마크업 언어로 생성되어 저장되거나 이에 포함되어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마크업 언어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을 위한 전용 마크업 언어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별도의 마크업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용어 '카드 메타 데이터(또는 줄여서 메타 데이터)' 또는 '메타 데이터 세트'는 본 발명에 따라 카드 생성시 생성되어 저장되는 카드의 속성 정보로서 카드 생성시 동시에 자동 생성 되는 속성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속성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 데이터에 의해 지식 정보 카드가 저장, 검색, 활용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카드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제목, 저자, 제작일, 개정 상태, 현재 상태, 사이즈(데이터 용량)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 데이터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카드의 저장, 검색, 활용을 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 생성시 자동 생성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관련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날짜, 언어, 사이즈 등의 정보는 자동 생성될 수 있으며, 저자 정보를 포함하여 키워드 등의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단말에 저장 및 설치되거나,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주요 구성 개념으로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지식 정보 카드, 지식 정보 카드의 구조를 정의하는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Knowledge Card Markup Language), 지식 정보 카드를 표준 단위로 생성하는 카드 생성부,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카드 관리 시스템, 그리고 생성된 카드를 배포하고 교환하는 유통 시스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는 인간의 기억 저장 및 호출 방식과 흡사하여 지식 또는 정보를 보관, 전달, 이용하는 데 효과적이며, 모듈화된 지식 정보 카드를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온라인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카드의 생성 주체가 변경한 내용을 즉시 업데이트 가능하므로 최신성을 보장할 수 있다.
<지식 정보 카드의 개념>
지식 정보 카드는 미리 정의되고 정형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와,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단위 지식 정보가 온라인 또는 모바일 상에서 카드 형태로 표현되는 일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는 카드 이용자의 접근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표제 및 저자 서문, 저작권 지식 정보 등이 담긴 표지 카드,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및 텍스트로 구성된 본문 카드, 그리고 카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동작과 효과 등을 담은 기능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드의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며, 각각의 지식 정보 카드는 단위 지식 정보 내용 및 상기 지식 정보 내용을 카드로 구성하는 일련의 데이터 구조와 규칙이 포함된 마크업 언어인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Knowledge Card Markup Language)로 생성 되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포함된 카드의 속성 및 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지식 정보 카드는, 상기 메타 데이터 및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참조되거나 여러 장의 카드를 결합하거나 조합함으로써 개별적인 단위 카드가 담고 있는 지식을 넘어 새로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단위 카드를 저술 또는 편찬의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묶거나 특정한 정보 요구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검색 또는 선별하여 묶은 카드의 집합을 스택(Stack)이라 정의한다. 이때, 각각의 카드 스택은 카드의 분량 및 내용 등에 따라 카드북, 카드 매거진, 카드 카탈로그 등 다양한 표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카드 스택은 카드의 기술적 속성 또는 서비스 내용에 따라 멀티미디어 카드북, 오디오 카드북, 게임 카드북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식 정보 카드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100)는 기본적으로 카드의 기본 형태를 정의하는 카드 템플릿(110),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영역(120), 이용자가 지식 정보 카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규칙을 담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130) 및, 지식 정보 카드를 보관하고 관리하며 가공 처리하는 일련의 규칙을 담은 메타 데이터 세트(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타 데이터는 각 요소가 검색, 카드에 대한 정보 제공에 이용된다. 각각의 지식 정보 카드는 단위 지식 정보 내용 및 상기 지식 정보 내용을 카드로 구성하는 일련의 데이터 구조와 규칙이 포함된 마크업 언어인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Knowledge Card Markup Language)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는 전자 기기상에서 일종의 카드 형태로 표시된다. 따라서, 특정 지식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200)은 카드 생성 모듈(210), 마크업 언어 변환 모듈(220), DIY 카드 생성 모듈(230) 및 카드 목록 작성 모듈(240) 등 본 발명의 실시예들 따른 특정 기능들을 수행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로서, 카드 속성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60), 목록 스타일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및 카드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280) 등과 같은 복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생성 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표지 카드 생성부(211), 본문 카드 생성부(212) 및 카드 기능 설정부(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기능 설정부(213)는 다시 오디오 기능 설정부(213), 메일 전송 처리부(215), 메시지 전송 처리부(216)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전송 처리부(21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지 카드 생성부(211)는 지식 정보 카드 중에서 표지 카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문 카드 생성부(212)는 지식 정보 카드 중에서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드 기능 설정부(213)는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오디오 기능 설정부(214)를 통해 오디오 기능을 제공하거나, 메일 전송 처리부(215)를 통해 전자 메일(E-Mail) 전송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전송 처리부(216)를 통해 SMS 또는 MMS 메시지 전송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SNS 전송 처리부(217)를 통해 각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전송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카드 생성부(200)에서 카드가 생성되는 과정 중 각 카드(표지 카드 및/또는 본문 카드)의 속성 정보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속성 정보는 카드 메타 데이터로서 카드의 저장, 검색, 활용을 위해 사용된다.
마크업 언어 변환 모듈(220)은 카드 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각 카드에 대해 카드 내용 및 이미지의 배치, 글자의 속성, 문단의 속성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임의의 지식 정보를 본 발명의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는 일련의 속성 및 규칙을 구조화한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메타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생성된 속성 정보들을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
상기 마크업 언어 변환 모듈(220)은 변환 처리하는 메타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일반 속성부(GENERAL; 221), 라이프 사이클부(LIFE CYCLE; 222), 테크니컬부(TECHNICAL; 223) 및 권한 생성부(RIGHTS; 2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카드의 속성 정보의 전체 또는 일부(이에 포함된 카드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해당 지식 정보 카드의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포함시킨다.
상기 일반 속성부(221)는 지식 정보 카드와 관련된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속성을 설정하며, 라이프 사이클부(222)는 콘텐츠의 역사와 현재 상태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테크니컬부(223)는 지식 정보 카드의 기술적인 필요조건인 특징, 구조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권한 생성부(224)는 지식 정보 카드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되도록 권한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IY 카드 생성 모듈(2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DIY 모드 진입 후, 상기 DIY 모드에 따른 카드 생성 처리를 제공한다. 카드 목록 작성 모듈(240)은 목록 스타일 설정부(241)의 설정에 따라 각종 다양한 형태로 카드 목록을 작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각 기능부의 세부 구현 형태 및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로서 카드 속성 정보 데이터베이스(250)는 카드 생성 시 필요한 각종 속성 정보(예컨대, 카드의 제목, 분류, 언어, 키워드 등)들을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콘텐츠 정보(260) 데이터베이스는 지식 정보 카드의 콘텐츠 영역에 표시되는 지식 정보 내용을 저장한다. 또한, 목록 스타일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생성된 복수의 지식 정보 카드로 목록을 작성할 경우 설정하는 각종 스타일 정보를 저장한다. 카드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280)는 복수의 단위 카드들을 묶어서 스택(stack)을 형성할 경우, 각 단위 카드들의 연관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절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먼저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컴퓨터 단말기,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 카드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S301)시킨다. 그런 다음, 먼저 표지 카드 생성을 위한 메뉴에서 각종 표지 카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표지 카드를 제작(S302)한다. 다음으로, 본문 카드 생성을 위한 메뉴에서 각종 본문 카드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본문 카드를 제작(S303)한다. 표지 카드를 제작하는 과정(S302)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지 카드 및/또는 본문 카드가 제작되면, 지식 정보 카드에서 실행 가능한 각종 기능들(예컨대, 오디오 기능, 이메일 또는 SNS로 카드 전송 기능 등)을 설정(S304)함으로써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이 완료되며,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에 관련된 속성 정보(예컨대, 제목, 저자, 제작일, 개정 상태, 현재 상태, 사이즈, 키워드 등)가 메타 데이터로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의 일부는 또는 전체는 상기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이 완료된 후, 생성된 복수의 지식 정보 카드들에 대해 각종 다양한 스타일로 목록을 생성(S305)할 수도 있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로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지식 정보 카드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카드 형태로 표시된다. 즉, 도 4a와 같이 생성된 표지에서 엔터 버튼을 클릭하면, 도 4b와 같이 본문 내용이 표시된다.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Knowledge Card Markup Language) 및 카드 메타 데이터>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는 임의의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발행하는 일련의 속성과 규칙을 구조화한 것으로서, 카드에 포함된 문자, 이미지, 표 등의 배치 정보, 글자는 크기 및 종류 등과 같은 글자 속성 정보, 들여쓰기, 간격, 여백 등과 같은 문단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카드의 외형과 내용구성에 대한 정의를 하는 언어를 의미하며, HTML과 XML을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용 마크업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메타 데이터(즉, 메타 데이터)는 카드 생성부에서 카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동 또는 수동 입력을 통해 생성되는 각종 카드 속성 정보를 의미한다. 이때, 입력된 구성 요소 중 특정 항목은 선별하여 카드에 표시될 수 있으며, 카드의 구조에 관한 정보는 마크업 언어로 변환되어 해당 카드의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에 포함된다.
먼저, 'GENERAL'은 카드와 관련된 지식 정보를 제공하는 속성이다. 상기 'GENERAL'에는 'Title', 'Category', 'Language', 'Keyword' 등의 속성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Title'은 카드의 실제 제목이며, 'Category'는 일반적인 분류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Language'는 카드의 작성 언어이며, 'Keyword'는 축어적인 '단어'나 '구(phrase)'로서 카드를 확인하고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키워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LIFE CYCLE'은 콘텐츠의 역사와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상기 'LIFE CYCLE'에는 'Version', 'Status', 'Contribute' 등의 속성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Version'은 카드의 개정 상태를 의미하며, 'Status'는 카드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Contribute'는 카드를 만든 사람이나 조직을 설명하는 부분으로서, 'Role'(공헌의 유형), 'Entity'(카드 개발에 기여한 그룹이나 조직), 'Date'(카드가 만들어지고 승인되고 개정된 날짜) 등과 같은 세부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TECHNICAL'은 카드의 기술적인 필요조건, 특징, 구조 등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상기 'TECHNICAL'에는 'Format', 'Size', 'Requirements' 등의 속성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Format'은 카드를 표현하고 접근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 정보 유형과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며, 'Size'는 카드 실제 크기를 바이트(BYTES)로 표현한 정보이며, 'Requirements'는 카드를 활용하는 데 요구되는 기술적인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RIGHTS' 카드 접근에서 사용의 지적 소유권과 상태 설명을 나타내는 속성이다. 상기 'RIGHTS'는 'Price', 'Copyright and other Restrictions' 등의 속성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Price'는 유료 여부 확인 정보이며, 'Copyright and other Restrictions'는 카드를 사용하는 데 저작권이나 제한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은 임의의 지식 정보를 카드 형식으로 변환, 발행하기 위해 필요한 저작도구 및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은 각각 온라인 웹사이트의 저작도구,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저작도구, 모바일 저작도구 등 3종류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먼저, 웹 기반의 카드 생성 시스템은 플래시, 모바일 앱과 같은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기술을 이용하여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PC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카드 생성 시스템은 다양한 운영체제의 퍼스널 컴퓨터에서 GUI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기반의 카드 생성 시스템은 모바일 앱의 형태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식정보 카드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리 시스템상에 구현된 인터페이스와 순서에 따라 메타 데이터와 지식 정보 내용을 입력, 삽입한다. 그런 다음, 발행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들이 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카드 관리 시스템을 거쳐 서비스 플랫폼에 공개된다.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의 표준 절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카드 생성 마법사(Card Builder Wizard)를 실행하면, 표지 카드 생성을 위한 메뉴가 제공된다. 또한, 카드 내용 작성 메뉴가 제공되며, 기능 추가 메뉴가 제공된다. 아울러, 목록 보기 형식을 지정하고 발행하면 지식 정보 카드가 생성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절차를 실제로 구현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절차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하기 위해 카드 생성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표지 카드 제작>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지 카드 만들기의 프로그램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식 정보 카드의 표제부를 구성하는 표지 카드를 만드는 기능 블록으로서, 각각 제목과 이미지, 텍스트를 삽입하는 기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지식 정보 카드의 제목을 입력하는 공간에 텍스트로 직접 제목을 입력할 수 있으며, 카드의 표지 이미지를 업로드 한다. 또한, 카드의 표지에 사용되는 버튼 이미지를 업로드 함으로써 등록한다. 상기 카드의 표지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는 자신의 컴퓨터 단말기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함으로써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과 같이 표지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서 입력한 제목과, 업로드한 이미지 및 버튼 이미지가 디폴트(default) 값으로 위치되어 표시된다. 이때, 도 7의 A로 표시된 부분에서 제목, 버튼 및 이미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의 B로 표시된 부분에서 제목, 버튼, 이미지의 레이어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목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에 제목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목을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B 부분에서 글꼴 버튼을 클릭하여 제목의 글꼴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 쓰기 툴로 표지 뒷면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본문 카드 제작>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문 카드 만들기 메뉴는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을 구성하는 카드를 만드는 기능 블록으로서, 각각 제목과 이미지, 텍스트를 삽입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문 카드의 앞면을 구성하는 화면이며, 도 10은 본문 카드의 뒷면을 구성하는 화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크기 조절이 가능한 메인 이미지 상자가 배치되며, 넘버링 상자, 텍스트 상자, 서브 이미지 상자(개수별로 점으로 표시), 설정한 카드를 미리 볼 수 있는 버튼(메인 이미지와 서브 이미지를 미리 볼 수 있음)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의 A로 표시된 부분에서는 B 부분에서 선택한 콘텐츠가 상자 형태로 제시되며, 위치 및 크기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최대 5개의 상자까지 포함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C로 표시된 부분은 레이어 컨트롤 상자로 B 부분에서 클릭한 상자가 순차적으로 포함된다. 이때, 레이어 순서를 변경하거나 각 상자의 상세 속성(예컨대, 글꼴 등)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미지 등록 및 상자 삭제가 가능하다. 도 9의 D로 표시된 부분에서는 설정한 카드 앞면을 다수의 카드에 한 번에 적용할지, 카드별로 적용할지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여러 카드 한 번에 만들기는 텍스트, 이미지, 슬라이드만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문 카드의 뒷면을 구성하는 화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1 부분은 글쓰기 툴로 표지 뒷면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2 부분은 카드를 추가하는 부분으로 '+' 클릭 시 현재 카드가 저장된다.
<지식 정보 카드 기능 설정>
도 11은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화면으로, 오디오 기능, 이메일 전송 또는 기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로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도 10의 #1 및 #2 부분의 기능 선택에 따라 해당 부분이 아이콘이 바로 변경된다. 또한, #2 부분에 카드별 특수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한편, 오디오북의 경우 각 카드에 대응하는 오디오 파일을 업로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디오북의 경우 오디오북 아이콘 터치 시 각 카드에 대응하는 업로드한 음성 파일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이때 재생 버튼은 멈춤 버튼으로 스위칭된다.
한편, 카드 공유 아이콘 터치 시 해당 카드를 정해진 포맷으로 이메일, MMS, SNS(예컨대, 페이스북) 등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은 주로 광고 카드북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만의 카드 제작 기능>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카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타인이 제작한 카드를 불러와 수정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Y(do it yourself) 모드 진입 후 카드 만들기를 선택하면, 새 카드 만들기, 카드 불러오기, 카드 편집하기 등의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새 카드 만들기 메뉴에서는 카드 앞면 레이아웃(layoout)을 선택하고, 카드 앞면을 제작하고, 카드 뒷면을 제작하여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카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드 불러오기 메뉴를 선택하면 불러온 카드를 수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드 편집하기 메뉴에서는 카드 순서를 변경하거나, 선택한 카드를 수정할 수 있으며, 카드를 삭제하거나 DIY 카드북을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을 참조하면, DIY 카드 모드에 진입하여 새 카드 만들기를 선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새로운 카드 제작이 가능하다.
<복수의 카드에 대한 카드 목록 제작 기능>
두 장 이상의 복수 카드에 대해서는 찾아보기 용이하게 하거나 검색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해 카드 목록을 썸네일, 카테고리, 마인드맵, 타임 테이블, 메타 태그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썸네일, 카테고리, 마인드맵, 타임테이블, 스마트테그 등과 같은 목록 스타일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목록 구성이 가능하다. #1의 스타일 선택에 따라 #2의 스타일 에디터가 이에 맞게 변경된다.
도 15는 도 14의 각 스타일 선택에 따른 목록 구성의 예를 나타낸다. 일반 스타일로 설정될 경우, 넘버링(있을 경우)과 제목을 카드 순서대로 보여준다. 썸네일이 선택될 경우, 카드 앞면 썸네일 이미지와 넘버링, 제목을 보여준다. 카테고리가 선택될 경우, 카드 제목을 카테고리 별로 정리하여 보여주게 되며, 카테고리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카테고리명을 만들고 제목을 위, 아래로 위치 이동하여 정리할 수 있다.
마인드맵이 선택되면, 카드 앞면 썸네일을 선으로 연결하여 카드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때, 텍스트 상자를 추가하여 선을 연결하거나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타임 테이블이 선택되면, 설정한 타임 테이블에 카드 앞면의 썸네일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카드의 시간 흐름을 보여주게 된다. 스마트 태그를 선택하면, 각 카드마다 태그를 적용하고, 편집자가 생각하는 중요도를 반영하여 태그의 진하기, 크기 등을 변경시키게 된다.
<지식 정보 카드 관리 시스템>
지식 정보 카드 관리 시스템은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을 통해 만들어진 카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우선, 임의의 사용자가 카드 생성 시스템을 통해 카드를 생성하면 이의 지식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카드의 지식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기본 지식 정보와 부가 지식 정보, 이의 통계 지식 정보 등으로 나누어 저장되며, 카드의 생성부터 개정 이력, 삭제까지를 관리한다.
도 16은 지식 정보 카드 관리 시스템 구성 및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식 정보 카드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카드의 가져오기,
2) 핵심 사용자 및 그들의 콘텐츠 관리 권한에 대한 인증,
3) 역할의 배정에 관한 권한 및 카드의 타입이나 카테고리 분류,
4) 저작물 워크플로우 작업에 대한 정의,
5) 단일 저작물에 대한 다중 판올림 관리 및 추적,
6) 생성된 카드 지식 정보의 적합성, 즉 저작권 위반 여부, 초상권 침해 여부 등 법적 판단 및 상업적 판매 여부 등 사업적 판단 등의 검증 및 심사,
7) 검증 및 심사 결과에 따라 카드를 상용 또는 비상용 트랙으로 내보내기,
<지식 정보 카드 유통 시스템>
지식 정보 카드 유통 시스템은 카드 생성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고, 카드 관리 시스템에 의해 검수, 분류된 카드 지식 정보를 임의의 이용자가 웹 또는 모바일에 접속하여 검색 등의 방법으로 해당 카드 지식 정보에 접근하여 이를 무료 또는 유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도 17은 지식 정보 카드 유통 시스템 구성도 및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지식 정보 카드 유통 시스템은 각각 상품의 등록, 가격의 책정 등 Merchandizing Process, 임의의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온라인 기반의 웹 및 모바일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결제, 정산 등을 위한 백 오피스 시스템(Back Office System) 으로 구성된다.
이때, 분류 혹은 검색어, 태그(Tag), 연관어 등에 의해 검색된 카드의 제목과 다른 이용자들의 사용 혹은 추천 빈도, 인용 빈도 등의 인기도 및 시스템 관리자의 추천 여부 등에 따라 이용자는 해당 카드를 무료 혹은 유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카드를 구매할 경우 이에 대한 대가는 카드 생성에 참여함으로써 받은 포인트, 비용으로 지불되는 포인트로 지불되거나, 특정 광고를 봄으로써 지불을 대신할 수 있다. 아울러, 구매자의 카드는 웹사이트 내에서 소유하고, 다운로드, 모바일 App.에서의 이용 혹은 플래시(Flash)의 형태로 자기 자신의 웹사이트로 복사해 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따라서 멀티 디바이스에서의 사용이 허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지식 정보 카드 110 : 카드 템플릿
120 : 콘텐츠 영역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0 : 메타 데이터 세트 200 : 카드 생성 시스템
210 : 카드 생성 모듈 211 : 표지 카드 생성부
212 : 본문 카드 생성부 213 : 카드 기능 설정부
214 : 오디오 기능 설정부 215 : 메일 전송 처리부
216 : 메시지 전송 처리부 217 : SNS 전송 처리부
220 : 마크업 언어 변환 모듈 221 : 일반 속성부
222 : 라이프 사이클부 223 : 테크니컬부
224 : 권한 생성부 230 : DIY 카드 생성 모듈
240 : 카드 목록 작성 모듈 241 : 목록 스타일 설정부
250 : 카드 속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260 :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270 : 목록 스타일 정보 데이터베이스
280 : 카드 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구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목,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등록하여 지식 정보 카드의 표지 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드가 생성되는 과정 중 각 카드의 속성 정보가 입력되어 각 카드의 속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설정하고, 상기 각 카드에 포함된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는 일련의 속성 및 규칙을 구조화하여 변환된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제목, 카드의 일반적인 분류에 대한 설명, 카드의 언어, 카드를 정의하는 키워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개정 상태, 카드의 현재 상태, 카드를 제작한 사람 또는 조직의 설명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이프 사이클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표현 및 접근에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 정보 유형 및 소프트웨어, 카드 실제 크기, 카드를 활용하는 데 요구되는 기술적인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크니컬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 접근에서 사용의 지적 소유권과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권한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설정 단계에서 설정하는 특수 기능은,
    오디오 재생 기능, 이메일을 통해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SNS 서비스로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9.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제목, 이미지, 텍스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등록하여 지식 정보 카드의 표지 카드를 생성하는 표지 카드 생성부;
    상기 특정 지식 정보를 담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구성된 지식 정보 카드의 본문 카드를 생성하는 본문 카드 생성부;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특수 기능을 설정하는 카드 기능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카드가 생성되는 과정 중 각 카드의 속성 정보가 입력되며, 생성되는 각 카드에 상기 속성 정보를 메타 데이터로 설정하고,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제목, 카드의 일반적인 분류에 대한 설명, 카드의 언어, 카드를 정의하는 키워드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반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개정 상태, 카드의 현재 상태, 카드를 제작한 사람 또는 조직의 설명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이프 사이클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의 표현 및 접근에 필요한 기술적인 지식 정보 유형 및 소프트웨어, 카드 실제 크기, 카드를 활용하는 데 요구되는 기술적인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테크니컬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카드 접근에서 사용의 지적 소유권과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권한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기능 설정부는,
    오디오 재생 기능, 이메일을 통해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SNS 서비스로 상기 지식 정보 카드를 전송하는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지식 정보 카드에 있어서,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기본 형태를 정의하는 카드 템플릿;
    상기 특정 지식 정보의 내용 및 형식의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콘텐츠 영역;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이용을 위한 기능 및 규칙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및
    상기 지식 정보 카드의 속성 정보가 포함된 메타 데이터 세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식 정보 카드는,
    상기 카드가 생성되는 과정 중 각 카드의 속성 정보가 메타 데이터로 입력되어 각 카드의 속성 정보를 설정하여 각 카드에 포함된 지식 정보를 지식 정보 카드로 변환 및 발행하는 일련의 속성 및 규칙을 구조화하여 변환된 지식 정보 카드 마크업 언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KR1020110066852A 2011-07-06 2011-07-06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05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52A KR20130005455A (ko) 2011-07-06 2011-07-06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CT/KR2012/005351 WO2013006002A2 (ko) 2011-07-06 2012-07-05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52A KR20130005455A (ko) 2011-07-06 2011-07-06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55A true KR20130005455A (ko) 2013-01-16

Family

ID=478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852A KR20130005455A (ko) 2011-07-06 2011-07-06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4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006A (ko) * 2014-02-24 2015-09-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시카드를 이용한 카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149A (ko) * 2014-02-27 2015-09-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800A (ko) * 2014-02-28 2015-09-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907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투블루 카드뉴스 제작서비스 제공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N112559222A (zh) * 2020-12-23 2021-03-26 百果园技术(新加坡)有限公司 消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006A (ko) * 2014-02-24 2015-09-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시카드를 이용한 카드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149A (ko) * 2014-02-27 2015-09-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2800A (ko) * 2014-02-28 2015-09-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소셜 카드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7907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투블루 카드뉴스 제작서비스 제공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CN112559222A (zh) * 2020-12-23 2021-03-26 百果园技术(新加坡)有限公司 消息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828B2 (en) Licensed rights clearance and tracking for digital assets
US2018018137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diting, and deploying native mobile apps
KR100996682B1 (ko) 리치 콘텐트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581309B2 (ja) 放送サービスシステムの情報処理方法、その情報処理方法を実施する放送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に関する記録媒体
US2016011031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nt creation, versioning and publishing
US9372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creation
US20130198636A1 (en) Dynamic Content Presentations
US20110078041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arsing, Compiling and Disseminating Digital Media
CN101568969A (zh) 故事共享自动化
CN104054104A (zh) 显示自动生成的与音乐库有关的事实
KR20130005455A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471558B2 (en) Generation of introductory information page
KR102026814B1 (ko) 온라인 영상 제작, 온라인 영상 공유 및 온라인 영상/디자인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21809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diting, and deploying native mobile apps and utilizing deep learning for instant digital conversion
WO2013138242A1 (en) Dynamic content presentations
KR20130095511A (ko) 전자책 서재에 보유한 전자책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저작물을 제작하는 방법
KR101602940B1 (ko) 컴포넌트 구조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제작을 지원하는 사이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wisher Global content strategy
Ryan Optimizing academic library services in the digital milieu: Digital devices and their emerging trends
JP2003016291A (ja) 情報提供装置
KR101499052B1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US9069846B2 (en) Business content hierarchy
JP5320613B2 (ja) コンテンツ販売/販売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9966107B1 (en) Networked media consumption service
Osborne et al. Archiving, editing, and reading on the AustESE Workbench: Assembling and theorizing an ontology-based electronic scholarly edition of Joseph Furphy’s Such is L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