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674A -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674A
KR20150101674A KR1020140023262A KR20140023262A KR20150101674A KR 20150101674 A KR20150101674 A KR 20150101674A KR 1020140023262 A KR1020140023262 A KR 1020140023262A KR 20140023262 A KR20140023262 A KR 20140023262A KR 20150101674 A KR20150101674 A KR 20150101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ontents
area
view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887B1 (ko
Inventor
주종필
박혜진
신민교
박경서
차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8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배치 처리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카드 인식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ARD CONTENTS VIEWER}
본 발명은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카드 영역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SNS 컨텐츠(사진, 동영상, 텍스트, 댓글 등), 온라인 커머스(Commerce) 관련 컨텐츠는 특정 웹페이지 상에서 시간 순서 등에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되는 방식으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컨텐츠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에는 웹 페이지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고, 컨텐츠가 시간 순서로 나열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래된 컨텐츠들이 새로운 컨텐츠들에 밀려서 접근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작성된 컨텐츠들을 작성 시간 순서 이외의 방식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을 이용하여 독립적이고 완결된 형태로 SNS 컨텐츠, 온라인 커머스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소위 '소셜 카드(Social Card)'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소셜 카드'란,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들을 매핑(Mapping, 프레임상의 일정 영역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의미로 사용함)시킨 뒤에, 카드 형상 프레임을 매개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셜 카드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단말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display) 공간이 제약되어 있기 때문에, 소셜 카드의 프레임을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였다.
그러나, 태블릿, 데스크탑, 노트북, IPTV 등과 같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현된 장치에서는 남은 디스플레이 공간이 많은데도, 사용자가 계속 카드를 뒤집어가면서 전체 컨텐츠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소셜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상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99631호(2008.11.1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셜 카드에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대화면의 디스플레이(display)상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 설정된 영역에 카드를 드래그(drag)해 오는 경우에, 그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들(즉,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 프레임 상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을 재편집하여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배치 처리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카드 인식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면 배치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일정 크기 이상이 아닌 경우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들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는 각 카드와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저장부 또는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재배치하여 상기 뷰어 영역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UI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관리장치,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단말장치가 카드 컨텐츠 뷰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히든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관리장치가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UI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및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셜 카드에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대화면의 display상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영역에 카드를 드래그(drag)해 오는 경우에, 그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들(즉,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 프레임 상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을 재편집하여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소셜 카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카드 컨텐츠 뷰어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이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뷰어 영역에 표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화면 전체에 표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드 컨텐츠' 또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등의 표현은,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구현되는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을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동영상, 댓글, 링크 정보 등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의 '앞면 및 뒷면'에 다양한 정보들을 매핑(Mapping)한 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도 1은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소셜 카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좌측이 카드의 앞면을 나타내고 우측이 카드의 뒷면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구조로써, 앞면에는 컨텐츠를 작성한 사용자 정보, 메인 이미지, 타이틀 등의 정보가 매핑되고, 뒷면에는 본문 텍스트 내용, 관련 이미지들, 위치 정보, 댓글 정보 등의 정보가 매핑되는 형태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카드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매개로 독립적이고 완결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이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자유롭고 독립적으로 공유될 수 있으며, SNS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웹페이지 등에 포스팅되어 공유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관리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관리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카드 영역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단말장치(100)는 특정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특정 카드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에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다. 카드 형상 프레임은 앞면 및 뒷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텐츠들은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뿐 아니라 뒷면에도 매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카드 형상 프레임의 뒷면을 활용함으로써 한정된 디스플레이 공간상에서도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 없이도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구현되는 카드 형상 프레임(Frame, 기본골격, 기본구조)을 이용하여 사진, 텍스트, 동영상, 댓글, 링크 정보 등을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 형상 프레임(Frame)의 '앞면' 및 '뒷면'에 다양한 정보들을 매핑(Mapping)한 뒤에 표시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를 요청하면, 단말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런 후,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단말장치(100)는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 즉,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동시에 뷰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도 8의 (a)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뷰어 영역(8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추출한 뒤에, 기 설정된 규칙 또는 랜덤한 방식에 따라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도 8의 (b)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뷰어 영역(8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던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s)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단말 장치(10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또는 뒷면 상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카드 자체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히든 컨텐츠를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든 컨텐츠는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예시(도 8의 (a))에서는 도 8의 (c)와 같이 뷰어 영역(810)내 프레임들(812) 외부의 빈 공간(814)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표시하는 예시(도 8의 (b))에서는, 도 8의 (d)와 같이 다른 컨텐츠들과 함께 재배치되어 뷰어영역(810)에 표시될 수 있다.
결국,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하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카드 형상 프레임 자체를 해체'하여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들 이외에도 '히든 컨텐츠'를 추가로 카드의 식별 정보에 매핑시킬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의 화면을 갖는 단말장치(100)에서는 이러한 히든 컨텐츠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들을 통해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들(즉, 앞면 컨텐츠, 뒤면 컨텐츠, 히든 컨텐츠)을 한 화면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이 화면의 크기가 일정 크기 미만인 단말장치(100)에서는 디스플레이(display) 공간이 제약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의 프레임을 유지하면서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러나, 태블릿, 데스크탑, 노트북, IPTV 등과 같은 대화면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단말장치(100)에서는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분산 표시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대화면상에 일괄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카드를 뒤집어가면서 전체 컨텐츠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졌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관리장치(200)는 단말장치(100)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전송한다.
이러한 관리 장치(200)는 1)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서 단말 장치(100)에 UI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2) 실시간 서비스 제공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서 단말 장치(100)가 실시간으로 접속한 상태에서만 UI 구현을 위한 데이터들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 이외에도 단말 장치(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제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화면 배치 처리부(150), 카드 인식 처리부(16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관리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카드 컨텐츠 UI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을 통해 표시되는 컨텐츠,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UI 환경 등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일정 크기 이상이 아닌 경우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들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카드 영역에 나열된 카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선택하여 뷰어 영역으로 드래그(drag)하면, 디스플레이부(130)에는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가 표시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0)는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0)는 도 8의 (a)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또는 도 8의 (b)와 같이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0)는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의 히든 컨텐츠를 도 8의 (c) 또는 (d)와 같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LCD, LE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화면 배치 처리부(150)는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를 요청하면, 화면 배치 처리부(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카드들을 획득하거나, 관리장치로부터 카드들을 수신한다. 그런 후, 화면 배치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이면, 화면 배치 처리부(150)는 도 7과 같이 카드 영역(710)과 뷰어 영역(720)을 화면(700)상에 표시하고, 카드 영역(710)에 상기 획득 또는 수신된 카드들을 배치한다. 여기서, 카드 영역(710)은 뷰어 영역(720)을 제외한 모든 영역 또는 특정 영역일 수 있고, 카드 영역(710)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들이 배치된다. 뷰어 영역(720)은 카드와 매핑된 모든 컨텐츠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해당 카드를 뷰어 영역(720)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카드에 매핑된 모든 컨텐츠를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영역일 수 있다.
만약,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이 아니면, 화면 배치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을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으로 구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상에 상기 획득 또는 수신된 카드들만을 배치한다.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에 표시한다. 이때,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특정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특정 카드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되면,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후,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 즉,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 등을 획득하고, 획득된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히든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한다. 이때,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카드의 앞면 및 뒷면에 표시된 컨텐츠 모두를 기 설정된 규칙(컨텐츠 종류별 배치 규칙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음)에 따라 뷰어 영역 전체에 재편집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카드의 특정 정보를 기준으로 카드를 재정렬하여 순서대로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카드 프레임의 공간상의 제약 때문에,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는 못했지만, 카드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있던 추가적인 컨텐츠들도 뷰어 영역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카드 형상 프레임 자체를 해체'하여 특정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를 한 화면을 통해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카드 영역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특정 카드를 인식 및 특정 카드의 컨텐츠를 획득한다. 그런 후,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획득된 컨텐츠들을 도 9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정 카드의 컨텐츠들이 표시된 화면에는 카드 보기 버튼(910)이 화면의 일정 영역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도 9의 (a)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카드 형상 프레임의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추출한 뒤에, 기 설정된 규칙 또는 랜덤한 방식에 따라 컨텐츠들을 재배치하여 도 9의 (b)와 같이 화면 전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도 9의 (c)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열(좌우로 나열)되는 복수의 카드 형상 프레임'을 이용하여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표시하고 그 외의 빈 공간상에 히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인식 처리부(160)는 도 9의 (d)와 같이 카드 형상 프레임을 해체한 뒤에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히든 컨텐츠를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전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드 보기 버튼(910)을 누르면, 도 7과 같이 카드들이 화면의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카드 보기 버튼(910)을 누르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은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카드 영역에는 카드들이 배치되고, 뷰어 영역에는 특정 카드의 컨텐츠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화면 배치 처리부(150), 카드 인식 처리부(160))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다른 전자 장치들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 등의 관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장치(200)는 카드정보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00), UI 관리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카드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컨텐츠 데이터(카드 식별정보, 앞면 및 뒷면에 매핑된 정보, 히든 컨텐츠 등), 카드 컨텐츠를 표시하는 UI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히스토리 정보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20)는 단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20)는 단말 장치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을 기초로 UI 구현을 위한 UI 데이터, 다양한 카드 컨텐츠 등의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220)는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규격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ITU, IEEE, ISO, IEC 등에서 규정하는 다양한 표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표준 통신 모듈 이외에도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UI 관리부(230)는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UI 구현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단말장치에 전송되도록 한다. 즉, UI 관리부(230)는 UI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단말장치의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어부(240)는 카드정보 데이터베이스(210), 통신부(200), UI 관리부(230)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가 카드 컨텐츠 뷰어를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장치 사용자가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를 요청하면(S502),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04).
S504 단계 판단결과,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이면, 단말장치는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506).
그런 후, 사용자가 카드 영역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를 뷰어 영역으로 이동시키면(S508), 단말장치는 특정 카드를 인식하여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획득한다(S510). 이때, 단말장치는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후, 단말장치는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 등의 컨텐츠들을 획득한다.
그런 후 단말장치는 획득된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S512). 이때, 단말장치는 컨텐츠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재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히든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S504 단계 판단결과,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이 아니면,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들을 표시한다(S51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장치는 카드 컨텐츠 표시를 위한 UI 데이터를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S602).
UI 데이터를 전송받은 단말 장치는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S604),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인식한다(S606). 즉, 단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런 후, 단말장치는 인식된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및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한다(S606).
단말장치는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되면(S608),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한꺼번에 표시한다(S61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컨텐츠 작성 권한 설정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들(즉,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 프레임 상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110, 22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화면 배치 처리부
160 : 카드 인식 처리부 170, 240 : 제어부
200 : 관리장치 210 : 카드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 : UI 관리부

Claims (11)

  1. 디스플레이부;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면 배치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카드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배치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 영역과 뷰어 영역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고, 일정 크기 이상이 아닌 경우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들을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를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카드와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들을 상기 저장부 또는 관리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인식 처리부는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재배치하여 상기 뷰어 영역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및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되도록 하는 UI 관리부;
    를 포함하는 관리 장치.
  7.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관리장치; 및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UI를 구현하는 단말장치;
    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8.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단말장치가 카드 컨텐츠 뷰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의 컨텐츠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컨텐츠를 근거로 카드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카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카드의 앞면 또는 뒷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히든 컨텐츠(Hidden Content)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앞면 및 뒷면의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앞면 컨텐츠, 뒷면 컨텐츠 및 히든 컨텐츠를 동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
  10. 단말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앞면 및 뒷면에 컨텐츠가 표시된 카드 보기가 요청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크기가 기 설정된 일정 크기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과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카드들 중에서 특정 카드가 상기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 또는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이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관리장치가 단말장치의 화면 크기를 근거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또는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이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되도록 하는 UI(User Interface)를 구현하는 UI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UI 데이터를 바탕으로 카드들이 배치된 카드 영역 및 카드에 매핑된 컨텐츠들을 표시하기 위한 뷰어 영역을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카드 영역에 배치된 특정 카드가 뷰어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특정 카드에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들을 상기 뷰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드 컨텐츠 뷰어 방법.
KR1020140023262A 2014-02-27 2014-02-27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262A KR102219887B1 (ko) 2014-02-27 2014-02-27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262A KR102219887B1 (ko) 2014-02-27 2014-02-27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74A true KR20150101674A (ko) 2015-09-04
KR102219887B1 KR102219887B1 (ko) 2021-02-24

Family

ID=5424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262A KR102219887B1 (ko) 2014-02-27 2014-02-27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631A (ko)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컨텐츠 사용 방법, 호스트 장치, 및모바일 카드
KR20100053811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00056040A (ko)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045589B1 (ko) * 2010-09-15 2011-07-01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631A (ko)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카드를 이용한 컨텐츠 사용 방법, 호스트 장치, 및모바일 카드
KR20100053811A (ko) * 2008-11-13 2010-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00056040A (ko) * 2008-11-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045589B1 (ko) * 2010-09-15 2011-07-01 주식회사 유비온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컨텐츠의 표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887B1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0946A2 (en) User terminal, remot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9830388B2 (en)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CN106662969B (zh) 处理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20150178388A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EP2940608A1 (en) Intent bas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US20130042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managing annotation in electronic book
CN103189864A (zh) 用于确定个人的共享好友的方法、设备和计算机程序产品
KR20160031851A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ang et al. SurfaceSlide: a multitouch digital pathology platform
EP2940607A1 (en)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CN103080980A (zh) 基于上下文向文档自动附加捕捉的图像
WO2014112143A1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201926968A (zh) 程式、資訊處理方法及資訊處理裝置
US20150046809A1 (en) Activity indicator
US2015016916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isplayed content items on touch-based computer devices
KR20150117043A (ko) 미디어 컨텐츠를 선별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9218539B2 (en) Upload an image to a website server using a pointing device
Figueiredo et al. Overcoming poverty through digital inclusion
TWI514319B (zh) 藉由虛擬物件編輯資料之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101261753B1 (ko) 전자책 상의 애너테이션을 생성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915753B2 (en)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19887B1 (ko) 카드 컨텐츠 뷰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42878B1 (ko) 전자책 상에서 애너테이션이 작성된 항목을 추출 및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608315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10601A1 (en) Augmented reality document red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