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813A -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813A
KR20150101813A KR1020140023567A KR20140023567A KR20150101813A KR 20150101813 A KR20150101813 A KR 20150101813A KR 1020140023567 A KR1020140023567 A KR 1020140023567A KR 20140023567 A KR20140023567 A KR 20140023567A KR 20150101813 A KR20150101813 A KR 20150101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rope
main body
body fram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자
강순동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2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813A/ko
Priority to PCT/KR2014/003935 priority patent/WO2015129956A1/ko
Publication of KR20150101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6Details of cords, e.g. buckles, drawing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블라인드를 상, 하 이동시키는 구동 줄과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 줄을 이원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파손시 작동 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적은 힘으로 구동 줄을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은 고정 줄로 고정되는 블라인드 날개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줄로 가동되는 회전장치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구동 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U자형 격벽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 줄과 맞물리는 회전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나사의 하부는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 결합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에 감겨 상기 본체프레임의 회전나사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 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Rope of safety handleusing blind}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블라인드를 상, 하 이동시키는 구동 줄과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 줄을 이원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파손시 작동 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적은 힘으로 구동 줄을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장착된 창문에는 외부의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커튼이나 블라인드 또는 버티칼 블라인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커튼보다 외관상 미려한 블라인드나 버티칼 블라인드를 많이 선호하고 있는 추세서이다.
통상적으로 버티칼 블라인드 및 블라인드는 실내에서 볼 때 창문 앞쪽에 설치되어 차양 및 차관기능과 시각적으로 내부, 외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되며 섬유, PVC 또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버티칼 블라인드 및 블라인드는 날개의 간격과 겹침부분이 일정하고 회전시 전체날개의 각도가 일정하여 빛의 양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원단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원단, 물세탁용도로 개발된 워셔블원단, 발습처리로 먼지가 스며들지 않는 얼록방지원단, 실버칼라로 코팅한 실버코팅원단, 불에 타지 않게 코팅된 방염원단, 발포원단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블라인드 장치는 대한민국 출원 실용신안 등록 제0349145호는 고정 줄로 고정하는 블라인드 날개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줄로 가동하는 회전장치로 이루어지는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날개(35)들을 연쇄적으로 고정하고 있는 고정 줄(32)(33)(34)을 감거나 풀어주기 위해 회전하고, 회전운동으로부터 직선운동으로 유도하기 위해 일단에 나사산(39)을 구비하는 회전봉(36)과, 상기 회전봉(36)의 일단을 나사산(39)으로 가공하여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는 지지 브래킷(37)과, 상기 지지 브래킷(37)의 상대측에 위치하여 회전봉(36)과 연결되며, 상기 작동 줄(38)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봉(36)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50)와, 상기 회전장치(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36)을 회전과 직선 수평 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시키고 지지하며 상기 블라인드 날개(35)를 연결하는 고정 줄(32)(33)(34)들이 회전봉(36)에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이(41)(42)와 상기 다이(41)(42)를 통해 안내되는 고정 줄(32)(33)(34)들을 고정하고 상기 회전봉(36)에 대하여 미끄럼 접촉으로 회전봉(36)에 고정되어 블라인드 날개(35)를 이동시키는 날개 이동키(43)를 구비하는 고정 줄 클립(4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작동 줄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날개가 펴지거나 접힘으로 인하여 빛을 차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 줄을 당기 위해 많은 장력이 소요되고, 이와 같은 큰 장력을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큰 장력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작동 줄은 강화된 줄로 이루어져 유아나 어린이 신체 일부분에 감긴 경우 위험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03491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블라인드의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 줄과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 줄을 이원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파손시 작동 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적은 힘으로 구동 줄을 작동할 수 있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작동 줄이 유아나 어린이 신체부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 장력 이상으로 작동 줄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작동 줄이 이탈되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줄로 고정되는 블라인드 날개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를 접거나 펼치는 기 위해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줄로 가동되는 회전장치로 이룬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구동 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U자형 격벽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 줄과 맞물리는 회전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나사의 하부는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 결합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에 감겨 상기 본체프레임의 회전나사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 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중심부와 외주면에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에 안착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가이드 공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된 유도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 일측면에는 큰 장력을 받으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탄성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대에는 상기 유도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의 가이드 부 외주면에는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삽입홈부와 대응되는 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은 블라인드의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 줄과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 줄을 이원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파손시 작동 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적은 힘으로 구동 줄을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작동 줄이 유아나 어린이 신체부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 장력 이상으로 작동 줄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작동 줄이 이탈되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라인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a, 6b는 도 5에 대한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 9b는 도 8에 대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을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은 고정 줄로 고정되는 블라인드 날개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줄로 가동하는 회전장치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구동 줄(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통공(12-2)이 구비된 U자형 격벽(12)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 줄(100)과 맞물리는 회전나사(1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나사(14)의 하부는 개방된 개방부(16)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개방부(16) 내측일측면에 결합되는 유도부재(20)와 상기 유도부재(20)에 감겨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나사(14)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 줄(30)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 줄(100)과 작동 줄(30)은 상기 회전나사(14)의 상부와 하부 홈(14-2) 사이에 맞물리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볼 형태로 이루어진 줄로 이루어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을 일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유도부재(20) 외주면부를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작동 줄(30)과 맞물린 상기 회전나사(14)를 회동된다.
이때, 상기 회전나사(14)의 상부에 맞물린 상기 구동 줄(100)이 이동되면서 블라인드의 회전장치가 회동하여 블라인드의 날개를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 줄(100)과 구동 줄(30)에 맞물린 상기 회전나사(14)에 의해 사용자는 작은 힘을 사용하여 블라인드를 작동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작은 힘에 의해 블라인드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나사(14)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나사(14)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홈부가 형성된 회전나사가 설치되거나 다단으로 연결된 기어형태로 이루어져 보다 손쉽게 작동할 수 있는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줄(100)과 구동 줄(30)으로 이원화 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구동 줄(30)이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블라인드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아나 아이들이 사용시 신체 일부분에 줄이 감겨 위험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개방부(16)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18)의 중심부와 외주면에는 가이드 공(19)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탄성스프링(40)이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18)에는 상기 탄성스프링(40)에 안착되며 상기 삽입홈부(18)의 가이드 공(19)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22)가 구비된 유도부재(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에 감겨지는 유도부재(20)에 적정 이외에 큰 장력이 하방으로 작용시 상기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를 가압하면 상기 유도부재(20)의 가이드 부(22)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가이드 공(19)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유도부재(20) 외주면에 감겨진 상기 작동 줄(30)이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때, 상기 유도부재(2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 상기 작동 줄(30)의 장력이 사라지면 상기 유도부재(20)에 의해 가압된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가 원상복귀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40)은 상기 유도부재(20)를 원상복귀하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작동 줄(30)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20)를 가압되는 장력 힘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탄성스프링(40)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가압되는 힘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유도부재(20)가 돌출되어 상기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를 방지하고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부재(20)의 가이드 부(22) 외주면에는 돌출된 걸림편(22-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삽입홈부(18)와 대응되는 면부에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 줄(30)에 의해 가압되는 유도부재(20)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도부재(20)의 가이드 부(22)에 형성되는 걸림편(22-2)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가이드 공(19)에 걸려 상기 작동 줄(30)이 용이하게 상기 유도부재(20)로 부터 이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관통공(15)으로 통해 상기 유도부재(20)를 가압을 할 수 있어 상기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 외주면이 아닌 타 면부에 걸려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나사(14)에 걸리지 않거나, 상기 작동 줄(30)이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에 사용자의 손 장력보다 큰 장력이 작용시 상기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상기 작동 줄(30)이 용이하게 이탈되기 때문에 유아 또는 어린이들 신체부분에 상기 작동 줄(30)이 감겨 큰 장력이 발생시 상기 작동 줄(30)이 바닥으로 떨어져 이로 인한 위험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에 큰 장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유도부재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도부재(20)의 일측면에는 경사면(24)이 형성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작동 줄(30)의 큰 장력이 발생시 상기 유도부재 외주면에 감겨진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의 경사면(24)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유도부재(20)를 하방 또는 일측방향으로 더욱더 용이하게 밀어 상기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로 부터 이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에 큰 장력을 작용시 더욱더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개방부(16)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18) 일측면에는 큰 장력을 받으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탄성지지대(50)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대(50)에는 상기 유도부재(20)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이 상기 유도부재(20)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회전나사(14)를 회전작동시키면 상기 구동 줄(100)에 연결된 블라인드의 회전장치가 작동되어 블라인드 날개가 작동되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줄(30)이 큰 장력을 받을시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탄성지지대(50)에 삽입결합된 상기 유도부재(20)가 수평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유도부재(20) 외주면에 있던 상기 작동 줄(30)이 바닥으로 떨어지고 장력이 없어진 상기 유도부재(20)는 원상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은 블라인드의 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 줄과 이를 작동시키는 작동 줄을 이원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파손시 작동 줄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적은 힘으로 구동 줄을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작동 줄이 유아나 어린이 신체부분에 감기면서 당겨지는 경우 허용 장력 이상으로 작동 줄에 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작동 줄이 이탈되도록 하여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블라인드용 손잡이 줄
10 : 본체프레임 12 : U자형 격벽
14 : 회전나사 15 : 관통공
16 : 개방부
18 : 삽입홈부 19 : 가이드 공
20 : 유도부재 22 : 가이드 부
22-2 : 걸림편
24 : 경사면
30 : 작동 줄
40 : 탄성스프링
50 : 탄성지지대
100: 구동 줄

Claims (5)

  1. 고정 줄로 고정되는 블라인드 날개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를 접거나 펼치기 위해 회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 줄로 가동되는 회전장치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구동 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U자형 격벽이 형성되고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구동 줄과 맞물리는 회전나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나사의 하부는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 결합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에 감겨 상기 본체프레임의 회전나사를 회동시킬 수 있는 작동 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중심부와 외주면에는 가이드 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삽입홈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에 안착되며 상기 삽입홈부의 가이드 공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된 유도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방부 내측일측면에는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부 일측면에는 큰 장력을 받으면 하방으로 이동되는 탄성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대에는 상기 유도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가이드 부 외주면에는 돌출된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삽입홈부와 대응되는 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KR1020140023567A 2014-02-27 2014-02-27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KR201501018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67A KR20150101813A (ko) 2014-02-27 2014-02-27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PCT/KR2014/003935 WO2015129956A1 (ko) 2014-02-27 2014-05-02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567A KR20150101813A (ko) 2014-02-27 2014-02-27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813A true KR20150101813A (ko) 2015-09-04

Family

ID=5400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567A KR20150101813A (ko) 2014-02-27 2014-02-27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01813A (ko)
WO (1) WO20151299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679A (zh) * 2018-11-28 2019-02-15 广州市瑞翔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窗帘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5824A (en) * 1998-05-13 2000-07-11 All-Teck Blinds, P.T.B. Inc. Control cord end security device
KR100994401B1 (ko) * 2010-04-13 2010-11-15 곽재석 소아안전 롤스크린 장치
KR101311900B1 (ko) * 2011-07-01 2013-09-25 주식회사 좋은아침창 블라인드 줄에 결합되는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KR101218887B1 (ko) * 2011-08-12 2013-01-09 안은로 블라인드용 안전바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9679A (zh) * 2018-11-28 2019-02-15 广州市瑞翔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窗帘系统
CN109339679B (zh) * 2018-11-28 2024-02-13 广州市瑞翔机电有限公司 一种自动窗帘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9956A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513B1 (ko) 이중원단 블라인드의 원단 각도 조절장치
US8708023B2 (en) Cordless blind assembly
US9157274B2 (en) Window covering
US20140048220A1 (en) Window covering
GB2517547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screen assembly
KR101323289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20150130191A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부착장치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US11866992B2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KR102031526B1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
KR101442466B1 (ko) 안전장치를 갖춘 블라인드의 가동줄
KR20150101813A (ko) 블라인드용 안전 손잡이 줄
KR20150014599A (ko) 롤 블라인드
KR101413744B1 (ko) 롤 블라인드 작동줄의 안전장치
KR20130011342A (ko) 조정 줄을 갖는 블라인드의 어린이 안전장치
KR101505535B1 (ko) 커튼 조정줄용 안전 손잡이
KR101562372B1 (ko) 블라인드 작동줄 고정구
KR101195828B1 (ko)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101626923B1 (ko) 블라인드 줄 안전장치
KR20150094564A (ko) 스크린 높낮이 조절용 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
KR101283990B1 (ko) 안전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조절장치
KR101601139B1 (ko) 블라인드의 승강줄용 안전바
KR101536572B1 (ko) 커튼 장치
KR102271085B1 (ko) 블라인드 가동줄용 안전 손잡이
KR101682804B1 (ko) 안전 사고 방지용 블라인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