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518A - Egr 밸브 - Google Patents

Egr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18A
KR20150101518A KR1020140022692A KR20140022692A KR20150101518A KR 20150101518 A KR20150101518 A KR 20150101518A KR 1020140022692 A KR1020140022692 A KR 1020140022692A KR 20140022692 A KR20140022692 A KR 20140022692A KR 20150101518 A KR20150101518 A KR 20150101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cam
gear
shaft
eg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413B1 (ko
Inventor
조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스
Priority to KR102014002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13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66Lift valves, e.g. poppet valves
    • F02M26/67Pintles; Spindles; Springs; Bearings; Sealings; Connections to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 F16K31/524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a cam comprising a lif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EGR 밸브가 개시된다. 이 EGR 밸브는, 하우징과; 포핏 샤프트 및 상기 포핏 샤프트 선단에 설치된 포핏을 구비한 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배기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을 위해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중간기어들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 구동부는, 캠홀이 형성된 캠부 및 기어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기어들 중 하나의 중간기어와 부분적으로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캠 붙이 피동기어와, 상기 포핏 샤프트와 결합된 롤러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 플레이트에 설치된 채 상기 캠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다.

Description

EGR 밸브{EGR VALVE}
본 발명은 EGR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조립하고, 롤러와 상호 작용하는 캠의 기능과 반달 기어의 기능을 통합한 부품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부품이 샤프트를 일체로 갖도록 하여, 부품수, 조립 공정수 및 제조 원가를 줄인 EGR 밸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롤러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조립하되, 롤러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의 개선된 용접 구조에 의해 강도를 높인 EGR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밀폐된 실린더 속에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가두고, 압축·점화하여 연료 속의 탄소를 급속히 연소시킨다. 연소 후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배기가스로 한다.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배기가스의 대부분을 이루며, 배기가스는 나머지 성분으로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한다.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시스템은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매니폴드로 다시 돌려보내 혼합기가 연속될 때의 연소 온도를 낮추어 질소산화물(NOx)의 발생량을 저감하도록 구성된다. EGR 시스템은 EGR 밸브를 포함하는데, 이 EGR 밸브 제어를 통해, 배기가스의 일부를 혼합기에 더하여 실린더 내로 흡입시키는 작용을 한다.
EGR 밸브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개폐유닛을 동작시키는 구동유닛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흡입구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고, 배출구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유닛 및 개폐유닛의 동작에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에서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EGR 밸브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흡기 매니폴드로 이동한다. 종래 EGR 밸브는 개폐유닛의 일부로서 상하 왕복운동하는 포핏 샤프트와, 이 포핏 샤프트의 선단에 형성되어 배기가스의 흡입구 및 배출구를 개폐하는 포핏을 포함한다. 또한, EGR 밸브는 구동유닛의 일부로서 포핏 샤프트의 기단에 결합된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캠 플레이트에는 롤러가 안내되는 캠홀이 형성된다. 캠 플레이트는 한 쌍의 다리를 구비하며, 이 한 쌍의 다리 사이로 포핏 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로, 캠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가 맞대기 용접되어 결합된다. 또한 종래 EGR 밸브의 구동유닛은 모터와 연결된 기어열을 포함하고, 기어열의 최종단에는 반달 기어가 제공된다. 이때, 반달 기어와 반달 기어를 지지하는 샤프트는 용접에 의해 조립된다.
종래의 EGR 밸브는 캠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와 기어 사이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고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캠 플레이트에 구비된 한 쌍의 다리에 포핏 샤프트를 끼워 용접하는 구조는 캠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 사이의 결합 강도를 크게 떨어뜨리며, 반달 기어의 샤프트와 롤러를 결합 구조 또한 복잡하며 그 결합을 위한 용접 작업이 난해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EGR 밸브는 용접 조립의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며 부품 수가 많고 중량이 많이 나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EGR 밸브는 작동 과정에서 소음 발생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132804(2009. 12. 3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조립하고, 롤러와 상호 작용하는 캠의 기능과 반달 기어의 기능을 통합한 부품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부품이 샤프트를 일체로 갖도록 하여, 부품수, 조립 공정수 및 제조 원가를 줄인 EGR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롤러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조립하되, 롤러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의 개선된 용접 구조에 의해 강도를 높인 EGR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EGR 밸브는, 하우징과; 포핏 샤프트 및 상기 포핏 샤프트 선단에 설치된 포핏을 구비한 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배기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을 위해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중간기어들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 구동부는, 캠홀이 형성된 캠부 및 기어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기어들 중 하나의 중간기어와 부분적으로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캠 붙이 피동기어와, 상기 포핏 샤프트와 결합된 롤러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 플레이트에 설치된 채 상기 캠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는 상기 중간기어들 중 하나의 중간기어와 맞물리는 톱니 치형이 형성된 원호를 갖는 반달형 바디부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캠부와 상기 기어 샤프트가 상기 반달형 바디부의 정면 및 배면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핏 샤프트는 기단 부근에 수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포핏 샤프트는 상기 수평면이 상기 롤러 플레이트의 정면 또는 배면에 접하도록 겹쳐진 후 상기 수평면과 상기 롤러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에 의해 상기 롤러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하는 제1 기어 설치부와, 상기 중간기어들 중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중간기어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한 채 상기 제1 기어 설치부와 일정 영역을 교집합적으로 공유하도록 형성된 제2 기어 설치부와, 상기 포핏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의 접속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기어 설치부의 외곽 양 접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까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부 측에서 포핏 센터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냉각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포핏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과 일치하는 제1 라인부와, 각각이 상기 제1 라인부와 90도 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면서 상기 포핏 센터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가상의 원과 만나는 제2 및 제3 라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예 따라, 상기 포핏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딤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플레이트를 조립하고, 롤러와 상호 작용하는 캠의 기능과 반달 기어의 기능을 통합한 부품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 부품이 샤프트를 일체로 갖도록 하여, 부품수, 조립 공정수 및 제조 원가가 감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포핏 샤프트의 일단에 롤러가 구비된 롤러 플레이트를 용접에 의해 조립하되, 롤러 플레이트와 포핏 샤프트의 개선된 용접 구조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하우징의 부품 최적화 배치 구조 및 연결부의 점진적인 크기 감소 구조에 의해 경량되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포핏 센터와 냉각 유로를 최대한으로 가깝게 배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이 구성에 의해 냉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EGR 밸브는 포핏 샤프트에 형성된 복수의 딤플에 의해 오염물이 구동유닛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를 하우징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의 주요 요소들을 하우징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를 하우징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의 캠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의 포핏 샤프트와 롤러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EGR 밸브의 구동유닛으로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한 포핏 샤프트의 딤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부품 최적화 및 감량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냉각 유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기술을 본 발명과 비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 및 실시예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를 하우징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의 주요 요소들을 하우징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를 하우징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의 캠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EGR 밸브의 포핏 샤프트와 롤러 플레이트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EGR 밸브의 구동유닛으로 오염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한 포핏 샤프트의 딤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부품 최적화 및 감량을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냉각 유로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 하우징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도 10a 내지 도 10c는 종래기술을 본 발명과 비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1)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구동유닛 및 개폐유닛을 포함한다. 개폐유닛은 포핏 샤프트(410)와, 상기 포핏 샤프트(4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는 포핏(42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포핏 샤프트(410)를 들어 올리거나 하강시키도록 작동하여, 상기 포핏(420)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EGR 밸브(1)는, 상기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요소들로, DC 모터(210)와, 캠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DC 모터(210)와 상기 캠 구동부(230) 사이에는 상기 DC 모터(210)의 모터축에 설치된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중간기어(222)와, 상기 캠 구동부(230) 측 캠 붙이 피동기어(231)와 부분적으로 기어 맞물림되어 상기 피동기어(231)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 중간기어(223)을 포함한다. 상기 캠 구동부(230)는 상기 DC 모터(210)로부터 전달된 회전 동력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포핏 샤프트(410)와 상기 포핏(420)을 구동시킨다.
상기 캠 구동부(230)는 캠 붙이 피동기어(231)를 포함하되,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는, 원의 일부,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절반이 제거된 반달형 바디부(2310)를 포함하며, 상기 반달형 바디부(2310)의 원호에 톱니 치형(2312)을 포함한다.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는 반달 모양을 가지므로 "반달기어"로 부를 수 있다. 또한 캠 붙이 피동기어(231)는 바디부(2310)의 정면에 캠홀(2314)이 형성된 캠부(2313)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캠 불이 피동기어(231)의 배면에는 기어 샤프트(2314)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바디부(2310)와, 상기 톱니 치형(2312)과, 상기 캠부(2313)와, 상기 기어 샤프트(2315)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EGR 밸브의 구동유닛에도 반달형 기어(G)가 채용되지만, 종래 EGR 밸브의 반달형 기어는 캠부가 일체로 형성되기보다는 캠 플레이트(P)에 형성된 캠과 상호작용하는 롤러(R)가 설치된 것이고, 기어 샤프트를 일체로 구비하지 못하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기어 샤프트(S)와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EGR 밸브의 캠 붙이 피동기어와 비교할 때 부품수가 많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캠 구동부(230)는 상기 포핏 샤프트(410)의 기단(또는, 상단)과 결합된 롤러 플레이트(232)와,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233)을 포함한다. 상기 롤러(233)는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에 형성된 캠홀(23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 또는 이에 일체로 속해 있는 캠부(2313)가 회전하면, 상기 롤러(233)는 상기 캠홀(2314)의 내면, 즉 캠면을 따라서 운동한다. 상기 롤러(233)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와 결합되어 있는 포핏 샤프트(410)는 상하 이동을 하고, 이에 의해, 상기 포핏(420)도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의 일측에는 위치 센싱용 마그넷(234)이 설치된다.
상기 포핏 샤프트(410)는 기단 부근에 외주면 일부를 깍아 평면화하여 형성된 수평면(412)을 포함한다. 상기 포핏 샤프트(410)는 상기 수평면(412)이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의 정면 또는 배면에 접하도록 겹쳐진 후 상기 수평면(412)과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 사이의 겹치기 용접에 의해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에 보다 더 신뢰성 있게 그리고 높은 강도로 결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캠 플레이트(P)와 포핏 샤프트(M)을 용접으로 결합한 구조가 있었는데, 이 구조는 캠 플레이트(P)에 한 쌍의 다리를 형성하고 그 한 쌍의 다리(L, L) 사이로 포핏 샤프트(M)를 끼워 맞대기 용접하였는바, 용접 강도가 크게 떨어진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DC모터(210)가 구동하면, 상기 DC 모터(210)의 모터축에 설치된 주동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주동기어와 맞물려 대직경의 제1 중간기어(22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중간기어(222)와 같은 축에 설치된 소직경의 제2 중간기어(223)이 회전한다. 제2 중간기어(223)과 기어 맞물림된 캠 붙이 피동기어(231)이 회전하며,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의 회전에 의해, 롤러(233)는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에 구비된 캠홀(2314)의 내면, 즉 캠면을 따라서 운동을 하며, 이에 의해, 상기 롤러(233)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롤러 플레이트(232) 및 그와 결합된 포핏 샤프트(410)가 상하 이동을 하고, 이에 의해, 상기 포핏(420)도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배기가스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231)는 반달 형태로 형성된 채 원의 일부만이 존재하여 그 존재하는 일부 외주면에만 톱니 치형(2312)이 형성되는데, 이는 캠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0)은 캠 붙이 피동기어(231)의 센터가 위치하고 캠 붙이 피동기어(231)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하는 제1 기어 설치부(110)와, 중간기어들 중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상기 제1 중간기어(222)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한 채 상기 제1 기어 설치부(1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제2 기어 설치부(120)을 포함한다. 제2 기어 설치부(120)는 제1 기어 설치부(110)와 일정 영역을 교집합적으로 공유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포핏(420)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의 접속을 위한 플랜지부(140)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130)는 상기 제1 기어 설치부(110)의 외곽 양 접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140)까지 점진적으로 수렴되게(좁아지게) 형성되며, 이 연결부(130) 내에서 상기 포핏 샤프트(410)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된다. 상기 연결부(130)의 점차 좁아지는 형상,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기어 설치부(110, 120)를 이용한 배치 최적화를 통해 하우징 크기와 하우징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볼트 체결을 통해 제1 및 제2 하우징부(100a, 100b)들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하우징부(100a)는 돌출형 볼팅 가이드(1001)를 일체로 구비하고, 제2 하우징부(1002)는 볼팅 가이드(1001)에 대응되는 볼팅부(1002)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에 의해, 부시(bush) 부품의 삭제가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플랜지부(140) 측에서 포핏 센터(C)를 3 방향에서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냉각 유로(101)을 포함하며, 이 냉각 유로(101)는, 포핏 센터(C)와 최대한으로 가까이 배치될 수 있도록, 포핏 센터(C)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과 일치하는 제1 라인부(101a)와, 각각이 상기 제1 라인부(101a)와 90도 이상으로 교차하면서 상기 포핏 센터(C)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가상의 원과 만나는 제2 및 제3 라인부(101b, 101c)를 포함한다.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술한 설계 조건을 적용하고 가상의 원 직경을 최대한으로 줄이면, 제1, 제2 및 제3 라인부(101a, 101b, 101c)로 구성된 냉각 유로(101c)와 이에 의해 3 방향에서 둘러싸이는 포핏 센터(C)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냉각 유로의 패턴은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냉각 유로의 패턴과 비교할 때 포핏 센터와 거리가 축소되어 포핏 센터를 지나는 포핏 샤프트의 냉각 성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핏 샤프트(41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딤플(415)들을 포함한다. 이 딤플(415)들은 포핏 및 포핏 샤프트의 조립 틈을 따라 구동유닛 측까지 유입되는 오염물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100: 하우징 230: 캠 구동부
231: 캠 붙이 피동기어 232: 롤러 플레이트
233: 롤러 410; 포핏 샤프트
420: 포핏 2313: 캠부
2314: 캠홀 2315: 기어 샤프트

Claims (6)

  1. EGR 밸브에 있어서,
    하우징;
    포핏 샤프트 및 상기 포핏 샤프트 선단에 설치된 포핏을 구비한 채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배기가스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포핏의 상하 이동을 위해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중간기어들을 통해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포핏 샤프트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 구동부는, 캠홀이 형성된 캠부 및 기어 샤프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기어들 중 하나의 중간기어와 부분적으로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캠 붙이 피동기어와, 상기 포핏 샤프트와 결합된 롤러 플레이트와, 상기 롤러 플레이트에 설치된 채 상기 캠홀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는 상기 중간기어들 중 하나의 중간기어와 맞물리는 톱니 치형이 형성된 원호를 갖는 반달형 바디부를 포함하며,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캠부와 상기 기어 샤프트가 상기 반달형 바디부의 정면 및 배면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핏 샤프트는 기단 부근에 수평면을 포함하며, 상기 포핏 샤프트는 상기 수평면이 상기 롤러 플레이트의 정면 또는 배면에 접하도록 겹쳐진 후 상기 수평면과 상기 롤러 플레이트 사이의 용접에 의해 상기 롤러 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캠 붙이 피동기어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하는 제1 기어 설치부와, 상기 중간기어들 중 가장 큰 직경을 갖는 중간기어의 회전 궤적에 상응하는 원호형 내면을 포함한 채 상기 제1 기어 설치부와 일정 영역을 교집합적으로 공유하도록 형성된 제2 기어 설치부와, 상기 포핏에 의해 개폐되는 유로와의 접속을 위한 플랜지부와, 상기 제1 기어 설치부의 외곽 양 접점으로부터 상기 플랜지부까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플랜지부 측에서 포핏 센터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냉각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 유로는, 상기 포핏 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한 접선과 일치하는 제1 라인부와, 각각이 상기 제1 라인부와 90도 이상의 각도로 교차하면서 상기 포핏 센터의 양측에 인접하여 상기 가상의 원과 만나는 제2 및 제3 라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핏 샤프트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GR 밸브.
KR1020140022692A 2014-02-26 2014-02-26 Egr 밸브 KR101604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92A KR101604413B1 (ko) 2014-02-26 2014-02-26 Egr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692A KR101604413B1 (ko) 2014-02-26 2014-02-26 Egr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18A true KR20150101518A (ko) 2015-09-04
KR101604413B1 KR101604413B1 (ko) 2016-03-18

Family

ID=5424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692A KR101604413B1 (ko) 2014-02-26 2014-02-26 Egr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1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코렌스 밸브샤프트 위치감지형 이지알 밸브
KR101875546B1 (ko) * 2016-06-18 2018-07-06 캄텍주식회사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용 egr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497B1 (ko) * 2020-03-31 2021-08-18 주식회사 고아정공 밸브 개폐용 액츄에이터
KR102387639B1 (ko) 2020-11-23 2022-04-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Egr 마그넷 자동 본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82B1 (ko) * 2012-04-12 2013-01-23 캄텍주식회사 Egr밸브 및 egr밸브용 캠 그리고, egr밸브용 캠의 제조방법
KR101225681B1 (ko) * 2012-04-12 2013-01-23 캄텍주식회사 Egr밸브 및 egr밸브용 하우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19A1 (ko) * 2015-09-11 2017-03-16 주식회사 코렌스 밸브샤프트 위치감지형 이지알 밸브
US10247145B2 (en) 2015-09-11 2019-04-02 Korens Co., Ltd. Valve shaft position sensing type EGR valve
KR101875546B1 (ko) * 2016-06-18 2018-07-06 캄텍주식회사 밸브 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용 egr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413B1 (ko) 2016-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413B1 (ko) Egr 밸브
KR101057067B1 (ko) 차량용 이지알 밸브
KR101403485B1 (ko)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기어 캠 타입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JP4924741B2 (ja) バルブ駆動装置
CN110307045A (zh) 用于多通道涡轮机的阀组件
KR101338272B1 (ko) 차량용 egr 밸브
US20100176325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5652505B2 (ja) バルブ駆動装置
CN101105161A (zh) 废气再循环阀
JP2011058536A (ja) 流体制御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21216A (ko) 차량용 egr 밸브
JP2012167610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CN110100088B (zh) 具有改进的圆柱形凸轮操作的阀组件
JP2009197765A (ja) 弁駆動装置
JP2012122425A (ja) 排気ガス循環装置
JP2012062803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KR20060049654A (ko)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KR101655129B1 (ko) 배기가스 재순환밸브
US20170159828A1 (en) Fluid circulation valv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with thrust was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valve
KR20180096925A (ko) Egr 밸브
JP2012177314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KR101376775B1 (ko) 내연기관용 전자식 배기가스 재순환 액츄에이터
CN1637263A (zh) 废气再循环阀
KR20170079252A (ko) 차압 조절 밸브 구조체
KR20220028691A (ko) 차량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