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654A -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654A
KR20060049654A KR1020050054059A KR20050054059A KR20060049654A KR 20060049654 A KR20060049654 A KR 20060049654A KR 1020050054059 A KR1020050054059 A KR 1020050054059A KR 20050054059 A KR20050054059 A KR 20050054059A KR 20060049654 A KR20060049654 A KR 20060049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member
conduit
wall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트 클리펠
한스-조아심 토에펠
Original Assignee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퍼-스탠다드 오토모티브(도이칠랜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4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4Details of bearings for the axis of rotation
    • F16K1/225Details of bearings for the axis of rotation the axis of rotation having only one 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8Modifying distribution valve timing for charging purposes
    • F02B29/083Cyclically operated valves disposed upstream of the cylinder intake valve, controlled by extern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05Details of the flap
    • F02D9/102Details of the flap the flap having movable parts fixed o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2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 F02D9/16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the members being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12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homogenising valves held open by mixture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788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at junction
    • Y10T137/87796Movable deflector spout in lateral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t Valve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는 벽을 구비한 매체 안내용 콘딧(12)과 밸브 부재(20)를 구비하며, 밸브 부재(20)는, 폐쇄된 상태에서는, 콘딧(12)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대부분에 걸쳐 콘딧(12)의 인접한 벽과 정렬되거나 그 벽의 외측에 배치되어 매체의 안내를 보조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A VALVE IN THE REG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밸브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밸브 부재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 분야에서는 종종 매체가 적절한 콘딧들(conduits) 또는 라인들을 통해서 안내되어야 하고, 밸브들에 의하여 접속, 차단 또는 조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배기 가스를 신선한 공기측(fresh-air side)을 향하여 복귀시키는 과정은 연료 소모 및 그에 따른 오염물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작동 상태와 관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한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배기 가스 재순환(Exhaust-Gas Recirculation: EGR) 밸브들이 마련된다. 또한, 배기 가스의 흐름을 해제, 정지 또는 분기시키기 위하여 배기 시스템 내에 밸브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의 조치들은 배기 배압의 조절 및/또는 가령 촉매식 컨버터들, 필터들, 라디에이터들 등과 같은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의 접속 또는 차단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종래 기술
배기 가스 공급 라인이 흡입 라인 내로 돌출하는 EGR 밸브가 DE27 03 687 A1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흡입 라인 내에는, 배기 가스 공급 라인의 개폐를 보장하는 드로틀 밸브가 배기 가스 공급 라인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DE 195 49 107 A1호의 주제에서도 역시, 배기 가스 공급 라인이 흡입 라인 내로 돌출한다. 배기 가스 공급 라인은 그것의 축방향 단부에서 폐쇄되고 방사상으로 개방된다. 그 배기 가스 공급 라인의 단부 위에 소위 로터리 게이트 밸브형 벨(rotary gate valve type bell)이 배치되는데, 그 벨은 배기 가스 공급 라인 내의 개구부와 정렬되어 그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EP 1 245 820 A1호로부터 알려져 있는 것은 회전형 밸브 부재가 편심으로 지지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배기 가스의 흐름에 가급적 적은 영향을 미치도록 배기 가스 라인의 연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있는 EGR 밸브이다.
마지막으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EP 03 029 491호는 흐름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그 흐름 안내 부재 뒤에는 배기 가스의 흐름을 가급적 적게 중단시키도록 개방된 상태로 밸브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EGR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흐름 손실의 회피와 관련하여 더욱 향상되는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를 설계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밸브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내연 기관용으로 의도되고 내연 기관 내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한편으로 매체를 안내하는 콘딧을 구비한다. 그 매체는, 예컨대 배기 가스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이 경우에 배기 밸브 또는 EGR 밸브로서 사용된다. 배기 밸브로 의도되는 경우, 배기 시스템에 마련되어 배기 가스의 흐름을 정지, 해제, 분기 또는 조절할 수 있다.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조치는 배기 배압을 조절하거나, 가령 촉매식 컨버터들, 필터들, 라디에이터들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접속 또는 차단하거나, 또는 예컨대 배기 시스템의 소음, 따라서 차량의 소음을 개선하거나 이러한 소음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기타의 특징들을 개선하거나 또는 그 특징들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취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배기 가스 흐름을 엔진의 신선한 공기측으로 향하여 재순환시키거나 엔진의 흡입측에서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하여 EGR 밸브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디젤 엔진의 경우, 인덕션측(induction side)에 마련된 밸브가 완전히 또는 어느 정도 폐쇄되므로, 인덕션측에서 구동 압력 구배의 상승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디젤 엔진에는 신선한 공기 공급 장치를 급작스럽게 폐쇄함으로써 실행되는 이른바 특징 부가 또는 간편 컷오프 설비(added-feature or convenience cut-off facility)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전술한 용도에도 또한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전술한 콘딧은 벽을 구비한다. 그 밸브는 또한 폐쇄 된 상태에서 콘딧 내에 배치되는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또한 매체의 흐름을 반드시 제2 콘딧으로 공급하지 않고도 매체의 흐름을 해제 또는 봉쇄하는 밸브로서 특히 적합하다. 후자의 예에서만 밸브 부재가 실제 제2 콘딧에, 따라서 제1 콘딧의 외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밸브 부재는 그것이 폐쇄 상태에서 매체가 안내되는 콘딧 내에 배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로 이 매체를 봉쇄, 해제, 분기 또는 조절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밸브 부재가 적어도 그것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대부분 콘딧의 인접한 벽과 정렬되거나 그 콘딧 벽의 외측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한 흐름 상태를 조성할 수 있다. 개방된 상태의 전술한 상황, 즉 밸브 부재의 콘딧 벽과의 정렬되거나 또는 콘딧 벽 외측에 배치되는 상황에 도달하기 위해서, 아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가 콘딧 벽에 마련된다. 이 리세스를 고려하여, 밸브 부재에 인접한 그 콘딧 벽을 참고로 하여 개방 상태의 밸브 부재의 위치를 설명한다. 밸브 부재가 개방될 때까지는 콘딧 내에서 조성되는 흐름이 콘딧 벽에 의해서 결정되고, 밸브 부재가 개방되기 직전에는 이 흐름이 그 밸브 부재에 인접한 콘딧 벽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개방된) 밸브 부재의 영역에서, 그 밸브 부재는 매체의 안내를 보조한다. 이는 간단한 조치들에 의해서 흐름 손실을 저감할 수 있게 한다. 종래 기술에서와는 달리, 추가적인 흐름 안내 부재가 실제로 불필요하다. 반대로, 밸브 부재는 개방된 상태에서 그 밸브 부재가 매체의 안내를 보조함과 동시에 흐름에 대한 간섭을 회피 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특히, 밸브 부재는 개방된 상태에서 콘딧 벽의 일부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콘딧 벽은 연속된 단일 벽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별도의 흐름 안내 부재에 의해서 형성될 제2의 내측 콘딧 벽은 필요하지 않다. 이 때문에,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밸브 부재는 개방된 상태에서 다른 구성 요소들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특정되는 조치에 의하여, 즉 밸브 부재가 그것이 개방된 상태에서 인접한 콘딧 벽과 정렬되거나 그 콘딧 벽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밸브 부재를 설계함으로써, 크게 봉쇄되지 않는 흐름이 보장될 수 있다. 개방된 밸브 부재는 실제로, 그것이 흐름에 영향을 미칠, 콘딧의 내측 빈 단면(clear cross-section) 내에 배치되지 않는다. 반대로, 밸브 부재는 그것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일종의 콘딧 벽 연속부를 형성하여 매체의 유리한 안내에 기여한다. 간섭은 회피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밸브 부재가 그것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인접한 콘딧 벽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흐름 손실을 적절히 회피하기 위해서 밸브 부재는 그것이 완전 개방 상태에서 인접한 콘딧 벽과 대부분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밸브 부재가 콘딧 벽과 완전히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한 콘딧 벽의 외측에 밸브 부재가 배치되는 것과 관련하여, 흐름에 대한 간섭을 가급적 멀리 배제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상태의 밸브 부재도 마찬가지로 인접한 콘딧 벽의 완전히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밸브 부재가 크게 개방된 상태에서 적어도 대부분 콘딧의 인접한 벽 과 정렬되도록 그 밸브 부재를 설치하는 조치와 관련하여, 밸브 부재는, 이 경우 특히 그것이 폐쇄된 상태에서, 밸브의 콘딧 내에 반드시 위치해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출원과 관련하여, 밸브 부재가 적어도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적어도 대부분 인접한 콘딧 벽과 정렬되어 있는 밸브를 마련하는 것은 혁신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조치는 전술하였거나 후술되는 모든 특징들과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청구항들에 설명되어 있다.
밸브 부재는 전체적으로 만곡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한쪽, 예컨대 하류측에서 만곡부를 나타내는 밸브 부재들이 알려져 있지만, 전체에 걸쳐 만곡되게 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부재가 최초이다. 이는 흐름에 대한 영향을 가급적 적게 하기 위하여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술한 구성, 즉 콘딧 벽과 정렬되는 것 및/또는 콘딧 벽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밸브 부재는, 그것이 예컨대 원통형으로 설계되는 콘딧 벽의 만곡부 형태를 띄고, 따라서 콘딧 벽과 특히 양호하게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단일 벽의 판금부로서 마련되므로, 특히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와 관련해서는 또한, 이러한 특징부가 전술된 특징부들 및 후술되는 특징부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특징부가 조합될 수 있는 특징부들과 관계없이 혁신적인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은 전체가 만곡된 구조의 밸브 부재를 구비한 밸브를 소개한다. 다시 말해서, 그 밸 브 부재는 상류측과 하류측 모두에서 만곡부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체예에 있어서, 그 만곡부는 또한 상류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상류측에서는 오목한 만곡부가 바람직하고, 하류측에서는 볼록한 만곡부가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서 특정되는 조치는 밸브 부재가 왕복 운동, 회전 운동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임의의 밸브 설계에 적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브 부재가 피벗 가능하여, 말하자면 그것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콘딧 벽의 영역 내로 피벗하여, 흐름에 대한 영향을 가급적 적게 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바람직하다.
밸브 부재의 지지부와 관련하여, 밸브 부재가 중심에서 지지되는 것이 현재로서는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가 적어도 대부분 밸브 부재에 관하여 중심점에 배치된다. 또한, 그 지지부는 밸브가 설치되는 콘딧에 대하여 중심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밸브의 중심선에 대하여 중심에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편심형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도 동일하게 착상할 수 있으며, 결코 본 발명에 의해서 배제되지 않는다. 그러한 지지부는, 예컨대 밸브를 폐쇄하기 위하여 밸브 부재에 가해지는 배기 가스 압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폐쇄 운동을 보조하는 장점을 취할 수 있다. 그 지지부는 마찬가지로 배기 가스 압력이 개방 운동을 보조하도록 편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중심 지지부를 기초로 한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는 압력 보상을 수반하여 특정 용도에 장점을 가져온다.
밸브 부재 지지부에 관해서는, 그 밸브 부재가 한 쪽에서 지지되는 것도 또한 현재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치는 비용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양쪽을 지지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고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밸브 부재의 형상이 제1 원통 및 제2 원통의 단면 곡선(sectional curve)으로부터 도출되면 특별한 장점들이 얻어질 수 있다. 그 단면 곡선을 결정하기 위해서, 그 두 원통들의 중심선들은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밸브 부재는 원형 단면의 콘딧에 특히 적합하다. 밸브 부재의 (만곡된) 형상은 어느 정도 밸브 콘딧의 형상을 반영한다. 결국, 밸브 부재는 최소한 그것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인접한 벽과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본 예에서는 원통 자켓(cylinder jacket)에서 수반되는 형상인 콘딧 벽의 형상이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유리하다. 그러나, 밸브 부재가 그것의 폐쇄 상태로 이동되면, 즉 예컨대 90˚ 회전되면, 그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딧 내부, 즉 또 다른 원통 내에서 밀봉을 보장해야 하는 원통 자켓의 일부의 역할을 한다. 결국, 콘딧에 의해서 형성되는 제2 원통과 함께, 밸브 부재가 그 일부의 역할을 행하는 제1 원통의 단면 곡선으로부터 밸브 부재의 연부들이 얻어진다.
콘딧은 개방된 상태의 밸브 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한데, 그 리세스의 형상은 밸브 부재의 형상에 맞춰진다. 그 결과, 특히 간단한 조치에 의하여 본 발명에 다른 밸브 부재의 구조가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 리세스는 특히 간단한 조립을 보장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벽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10)는 우선 도시 된 실시예에서는 큰 원형 단면의 길이가 짧은 파이프로서 도시되어 있는 콘딧(12)을 구비한다. 그러나, 콘딧(12)이 더 길게 설계될 수 있고 다른 단면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다른 밸브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장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되겠지만, 윈도우라고도 설명될 수도 있는 리세스(recess)(14)가 콘딧(12)의 벽에 마련된다. 이 리세스(14)는, 예를 들면 레이저 커팅 장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리세스(14)는 두 개의 분리된 벽 부재들, 즉 제1 베어링 벽 부재(16)와 제2 벽 부재(18)에 의하여 폐쇄된다. 그 제1 베어링 벽 부재(16)는 밸브 부재(20)용 지지부를 수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 부재(20)는 베어링 핀(22)을 구비한다. 제1 베어링 벽 부재(16) 내에는, 정합 베어링 부시(24)가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베어링 부시(24) 둘레에 플랫 코일 스프링(26)이 배치되는데, 그 플랫 코일 스프링은 제1 후크(28)가 제1 베어링 벽 부재(16)에 캐치되어 그곳에 지지된다. 플랫 코일 스프링(26)을 레버 부재(32)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2 후크(30)가 사용된다. 그 레버 부재(32)는 레버 부재에 형성된 개구부(34)에 의하여 베어링 핀(22)상에 끼워맞춰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랫 코일 스프링(26)은, 그것이 제1 베어링 벽 부재(16)상에 지지되고 노치(36)에서의 레버 부재(32)에 의한 추가로 고려된 캐칭으로 인하여, 밸브 부재(20)를 개방된 상태에서 예인장한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은 또한 폐쇄 상태로의 예인장 과정을 고려하여, 그리고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행하여지는 개방 과정을 위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26)의 힘에 저항하여 폐쇄가 행해진다. 밸 브 부재(2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이 구체예에서는 양단에서 크게 S자형으로 굴곡된 로드(38)가 마련되는데, 이 로드(38)는 그것의 일단에서 레버 부재(32) 내의 제2 개구부에 삽입되고 제2 단부에서는 제2 레버 부재(42)에 삽입된다. 그 제2 레버 부재(42)는 구동 기구 영역에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 구동 기구는 1조의 유성 기어(46)가 장착된 전기 모터(44)로 설계된다. 그러나, 그 구동 기구가 공압 또는 유압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또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단지 중요한 것은 레버 부재(42)가 회전되어 로드(38)가 당겨지거나 압력이 그 로드에 가해져서 레버 부재(32)가 그에 상응하게 회전하게 되고 밸브 부재(20)가 작동되게 한다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동 기구(44, 46)는 적절히 설계된 리테이너(48)를 매개로 하여 벽 부재(18)에 부착된다. 그 리테이너(48)는 구동 기구(44, 46)를 삽입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벽 부재(18)의 측부에 적절한 탭들(52)을 갖는다. 이 구체예에서, 밸브 부재(18)는 조립된 상태에서 리세스(14)의 측부 영역을 폐쇄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 부재(18)에는 오부를 향한 곡면부가 마련되어 콘딧(12) 내측에 리세스를 형성한다. 이 리세스는 밸브 부재(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 부재(20)를 수용하고, 및/또는 밸브 부재(20)가 필요한 운동을 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방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부재(20)는 이렇게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밸브 부재(20)가 콘딧(12)의 인접한 벽과 적어도 대부분 정렬되어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콘딧(12)의 내부를 통과 하는 흐름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밸브 부재(20)의 한 측부에만 비교적 작은 슬롯(54)이 마련되는데, 이 슬롯은 밸브 부재(20)의 필요한 피벗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 특별한 경우에, 밸브 부재(20)는 실제 그것을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폐쇄 위치에서, 밸브 부재(20)의 두 개의 연부들(56)이 콘딧(12)의 내측과 접촉한다.
이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시하기 위하여, 구동 기구가 장착되어 있는 별도의 벽 부재(28)가 도 2 및 도 3에서는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방 상태에서는 벽 부재(18)로 인하여 리세스(14)가 폐쇄됨은 물론이다. 벽 부재(18)에 의하여 유발되는 폐쇄는 콘딧(12) 내부를 통과하는 매체가 분기될 수 있는 또 다른 콘딧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도 마찬가지로 명백하다. 다시 말해서,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밸브 부재(20)의 적절한 개재 위치에 의해서 봉쇄되거나(도 3), 해제되거나(도 2) 또는 조절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벽 부재(18) 대신에 추가적인 콘딧이 수반되면, 안내되고 있는 매체를 분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분기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에서 완벽하게 행해지게 된다. 밸브 부재(20)의 연부들(56)은 사실은 콘딧(12)의 내부면들 내에 밀봉되어 접촉되고, 콘딧을 통하여 매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의 분리된 벽 부재(16, 18)와 관련하여, 이들 벽 부재가 반드시 두 개의 분리된 벽 부재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반대로, 지지부 와 구동 기구를 포함하는 밸브 부재(20)는 단일의 분리된 벽부에 미리 조립되어 리세스(14)가 마련되어 있는 콘딧(1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방법을 "슬립핑 오버(slipping over)"법이라 지칭할 수도 있다. 특히, 지지부가 편심으로 이동되는 실시예에서는 필요한 별도의 벽 부재가 실린더 자켓에서 180˚ 이하의 각도를 커버하여 쉽게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편심 지지부와 단일한 별도의 벽부를 구비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한 형태를 구성한다.
이와 반대로, 도시된 실시예의 지지부는 밸브 부재(20) 및 콘딧(12)에 관하여 중심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 부재(20) 및/또는 콘딧(12)에 관하여 편심 또는 탈중심되어 있는 지지부도 동일하게 착상할 수 있다. 또한, 그 지지부는 한 측부에만 구현된다. 이는 동일하게 착상할 수 있는 두 측부상의 지지부에 비하여 비용적인 이점을 수반한다.
도면들로부터, 밸브 부재(20)가 단일 벽 구성 요소, 예컨대 전체적으로 굴곡된 판금부로 마련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볼록한 만곡부가 보는 사람을 향해 있다. 도 3에서는 오목한 만곡부를 볼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밸브 부재에는 볼록한 만곡부측에 비드(58)가 마련되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밸브 부재(20)의 연부들(56)은 두 개의 원통들의 단면 곡선들로 얻어진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20)는 개방된 상태에서 실제 콘딧(12)의 원통형 자켓의 일부를 형성한다. 폐쇄된 상태에서(도 3 참조), 연부들(56)은 콘딧(12)의 내측면과 밀봉 접촉한다. 그러므로, 연부들(56)을 이롭게 하는 것은 콘딧(12)의 원통 벽부로서 얻어지는(도 2 참조) 밸브 부재(20)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콘딧(12)의 원통에 의해서 교차된다는 사실로부터 얻어지는 형상이다.
본 발명은 흐름 손실의 회피와 관련하여 더욱 향상되는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가 제공된다.

Claims (8)

  1.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10), 특히 배기 또는 배기 가스 재순환 밸브 또는 신선한 공기측 밸브로서, 벽을 구비하는 매체 안내용 콘딧(12)과 밸브 부재(20)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 부재(20)는,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콘딧(12) 내에 배치되고, 적어도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적어도 대부분 상기 콘딧(12)의 인접한 벽과 정렬되거나 그 인접한 벽의 외부에 배치되어 매체의 안내를 보조하는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20)는 전체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20)는 피벗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20)는 중심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20)는 한 측부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20)의 형상은 제1 원통과 제2 원통의 단면 곡선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딧(12)은 개방된 상태의 상기 밸브 부재(20)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의 형상은 상기 밸브 부재(20)의 형상에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벽 부재(16, 18)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KR1020050054059A 2004-06-25 2005-06-22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KR200600496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40014984 EP1609976A1 (de) 2004-06-25 2004-06-25 Ventil im Bereich eines Verbrennungsmotors
EP04014984.1 2004-06-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54A true KR20060049654A (ko) 2006-05-19

Family

ID=34925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059A KR20060049654A (ko) 2004-06-25 2005-06-22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027271A1 (ko)
EP (1) EP1609976A1 (ko)
KR (1) KR20060049654A (ko)
CN (1) CN1712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88A (ko) 2017-04-12 2018-10-23 주식회사 코웰 파이프 일체형 EGR Flap 하우징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33246T3 (es) * 2006-07-06 2010-02-18 Cooper-Standard Automotive (Deutschland) Gmbh Valvula de retorno de gases de escape.
US8573592B2 (en) * 2009-03-06 2013-11-05 Xerox Corporation Inline skew and lateral measurement of a sheet during printing
US8571460B2 (en) * 2009-06-09 2013-10-29 Xerox Corporation Calculation of correction factors for lead edge sensor measurement in duplex registration
GB201103591D0 (en) 2011-03-01 2011-04-13 Connaught Lithoservices Ltd Valve
CN109707853B (zh) * 2016-01-22 2021-03-16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阀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40A (en) * 1886-11-02 Rain-water cut-off
US176238A (en) * 1876-04-18 Improvement in cut-offs for water-conductors
DE1112671B (de) * 1957-06-15 1961-08-10 Maschf Augsburg Nuernberg Ag Als Drehklappe ausgebildetes Kunststoff-Regelorgan fuer die Luftstroemung im Einlasskanal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DE2555997A1 (de) * 1975-12-12 1977-06-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sseren aufbereitung des kraftstoff-luft-gemisches
US4597415A (en) * 1985-07-23 1986-07-01 Donaldson Company, Inc. Integrated lever and live spring valve
DE19549107A1 (de) * 1995-12-29 1997-07-0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Abgasrückführung mit einem im Ansaugkanal betätigbaren Schließelement
FR2818316B1 (fr) * 2000-12-15 2003-04-11 Coutier Moulage Gen Ind Dispositif de regulation du debit d'air d'une ligne d'admission d'air d'un moteur diesel
DE10235997A1 (de) * 2002-08-06 2004-02-19 Otto Altmann Medienmassen-Steuerelement und Ansaugvorrichtung für Verbrennungsmotoren
DE50306597D1 (de) * 2003-12-19 2007-04-05 Cooper Standard Automotive D Abgasrückführvent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88A (ko) 2017-04-12 2018-10-23 주식회사 코웰 파이프 일체형 EGR Flap 하우징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7271A1 (en) 2006-02-09
CN1712675A (zh) 2005-12-28
EP1609976A1 (de)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3659B2 (en) Exhaust-gas recirculation valve
US7509800B2 (en) Exhaust system of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6762239B (zh) 排气再循环装置
EP2700851B1 (en) Four-way exhaust gas valve
EP2283224B1 (en) Multi-port valve
KR20060049654A (ko) 내연 기관 분야의 밸브
JPH08240123A (ja) 吸込みシステム
KR101039083B1 (ko) 내연기관용 흡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267472B2 (en) Flap device and intake system
JP2011526668A (ja) バルブボディ及びシール構造体を備えるアセンブリ、バルブボディ、及びシール、及び配管を備えるアセンブリ、並びに前記アセンブリ用シール構造
GB2329001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JPWO2012131997A1 (ja) ターボチャージャ
US7726119B2 (en) Exhaust system of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699662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US20060053789A1 (en) Exhaust gas regulating element for supercharger system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101399417B1 (ko) Egr 쿨러의 바이패스밸브 조립체
JP2007132310A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の排気ガス冷却装置
US7963274B2 (en) Two component low pressure EGR module
JP2012122425A (ja) 排気ガス循環装置
JP2012177314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CN1637263A (zh) 废气再循环阀
JP5742538B2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EP3808965A1 (en)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for engine
KR101210637B1 (ko) 디젤엔진의 스월 컨트롤 밸브와 쓰로틀 밸브의 공용화 장치
JP2013053580A (ja) ターボチャ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