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996A -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996A
KR20150099996A KR1020140021249A KR20140021249A KR20150099996A KR 20150099996 A KR20150099996 A KR 20150099996A KR 1020140021249 A KR1020140021249 A KR 1020140021249A KR 20140021249 A KR20140021249 A KR 20140021249A KR 20150099996 A KR20150099996 A KR 2015009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eets
box
f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성
이용철
Original Assignee
태용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용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용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02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9996A/ko
Publication of KR2015009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26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involving folding, leading, or trailing flaps of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박스, 특히 대형 접이식 박스의 제조에 있어서, 접이식 박스 제조에 사용되는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접착용 수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접착시켜 박스본체를 완성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박스 제작을 위하여 전개된 제1 및 제2시트를 나란히 배치하여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된 제1시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승된 제1시트의 제1부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접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제1합지부; 상기 제1합지부에서 이송된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어서 상기 제1시트의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부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접이수단을 구비한 제2합지부; 상기 제2합지부에서 이송된 박스본체가 배출되는 박스배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시트의 중첩된 부위들이 상호 접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착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FOLDING APPARATUS FOR BOX}
본 발명은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접이식 박스, 특히 대형 접이식 박스의 제조에 있어서, 접이식 박스 제조에 사용되는 제1시트와 제2시트를 접착용 수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접착시켜 박스본체를 완성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박스, 특히 접이식 박스는 통상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기 위하여 박스의 소재로 사용되는 시트가 전개된 상태에서 양측 단부를 상호 접착하여, 박스 본체가 완성되면 이를 접어서 박스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박스로 접이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시트가 접착된 박스 본체 상태로 납품이 이루어진다.
박스 본체의 제조 공정을 도 1a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우선 덮개 및 바닥면 등이 절개된 상태로 접힘선를 구비한 하나의 시트(Bc)가 재단되는데, 이때 박스 본체 제작을 위하여 일측 단부에 부착부(Bc2)로 활용하기 위한 날개부가 추가 재단되어 있다.
이렇게 재단된 시트의 양측 단부를 중앙 접힘선 양측에 구비된 측면 접힘선을 기준으로 접은 다음 상호 중첩된 접착부(Bc1)와 부착부(Bc2)를 철심(스테이플러 심)을 이용해 연결하게 되면 박스 본체(B2)가 완성되고, 이 상태에서 납품이 된 후 구매자는 박스의 접힘선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접은 다음 내용물을 박스(B)에 수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박스 본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6162호(2012.01.09.) "포장박스 제조장치용 스티칭 장치에 있어서의 하역가이드 지지유닛"(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1은 하나의 전개된 시트의 양측을 접은 상태로 스테이플러들이 구비된 지지플레이트 사이로 공급하고, 접히면서 중첩된 부분을 스테이플러를 통해 접착시킴으로써, 박스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반제품박스(이하 박스 본체로 통칭함.)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소형 물품이 담기는 소형 박스의 경우에는 상기 종래 기술 1을 이용하여 박스 본체로 제작될 시트를 하나만 사용하여도 큰 무리가 없으나, 냉장고 등 대형 물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대형 박스의 경우, 크기 문제로 인하여 하나의 시트만으로 접이식 박스를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두 개의 시트를 사용하여 박스 본체를 제조하게 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제조를 위하여 우선 재단되어 전개된 한 쌍의 시트(Ba)(Bb)를 준비하고, 제1시트(Ba)의 제1부착부(Ba2)와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를 중첩한 후 연결하여 합지시트(B1)를 완성한 다음, 합지시트의 양측, 즉 제1시트(Ba)와 제2시트(B2)를 측면 접힘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접어서 제1시트의 제1접착부(Ba1)와 제2시트의 제2부착부(Bb2)를 중첩시켜 연결하게 되면 박스로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박스 본체(B2)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시트를 사용하여 박스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1110호(2008.01.29.)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된 박스 제조장치"(이하 종래 기술 2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 2는 한 쌍의 시트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양 시트의 일측을 중첩시키는 중첩 가이드부와, 중첩된 시트를 철심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중첩된 시트의 양측을 절곡시키는 절곡 가이드부와, 절곡된 양측을 중첩시키는 가압 절곡부와, 절곡하여 중첩된 부분을 철심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2는 철심을 사용하여 박스본체를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중첩 가이드부와 절곡 가이드부가 이송되는 시트의 양측에서 접촉, 간섭을 통해 시트가 중첩되도록 하므로 시트 중첩의 정확성이 결여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박스 외관 향상 및 견고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시트 간에 연결되는 부위 중 제1, 제2부착부가 박스 내측을 향하도록 중첩되면서 연결해야 하는데, 상기 종래 기술 2는 시트 단순히 양측 단부의 접촉, 간섭을 통해 시트가 중첩되도록 하므로 부착부가 내측에 중첩되는 것이 불확실하며,
나아가 1차 연결 후 양측을 접어서 2차 연결을 하는 공정에서 역시 접촉, 간섭을 통해 시트를 접게 되므로, 두꺼운 재질의 시트의 경우 접힘 공정이 정확하게 수행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도 1c에 도시된 서로 다른 형태로 재단되어 전개된 한 쌍의 시트(Ba)(Bb)를 사용하여 박스 제조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종래 기술 2의 제조 장치를 통해서는 이형(異形) 시트들을 중첩, 연결하는 공정이 불가능하므로 범용성 및 효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이식 박스본체를 쉽고 빠르게 제조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공급되는 시트들의 접착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여 박스본체의 합지가 이루어지며, 다른 형태의 시트들이 공급되어 박스 제조에 사용되더라도, 별도의 조정 없이 합지가 이루어지도록 시트공급부의 개별 공급 수단을 통해 시트들이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공급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나란히 이송되는 시트들이 중첩되면서 1차 합지공정을 통해 합지시트가 완성되도록 제1시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승된 제1시트의 제1부착부와 제2시트의 제2접착부가 중첩되도록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제1합지부를 포함하고, 접착된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어서 2차 접착공정을 통해 박스본체가 완성되도록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는 접이수단을 구비한 제2합지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1합지부와 제2합지부로 이송된 시트들이 나란히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합지가 이루어져 접이식 박스 완성 시 접착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송되는 시트들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후 시트들이 중첩된 부위의 접착이 빠르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부위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어 박스본체를 완성하는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합지시트가 접히면서 접히지 않는 부분, 즉 합지시트의 중앙 부분이 동반 상승되면서 접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지시트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어 접힘 방향으로 상향 스윙하는 스윙부재와, 상기 합지시트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어 합지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접이수단을 포함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박스 제작을 위하여 전개된 제1 및 제2시트를 나란히 배치하여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된 제1시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승된 제1시트의 제1부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접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제1합지부;
상기 제1합지부에서 이송된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어서 상기 제1시트의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부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접이수단을 구비한 제2합지부;
상기 제2합지부에서 이송된 박스본체가 배출되는 박스배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시트의 중첩된 부위들이 상호 접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착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1합지부와, 상기 제2합지부에는 이송된 시트들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합지부는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부위를 압착하여 시트들이 접착되도록 하는 압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에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합지시트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어 접힘 방향으로 상향 스윙하는 한 쌍의 스윙부재와, 상기 합지시트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어 합지시트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시트들의 접착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을 도입하여 종래 시트 연결을 위하여 스테이플러 용 철심을 사용하지 않고 접착용 수지를 사용하게 되므로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박스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단순화에 따라 자동 제조 장치의 단순 구조 설계가 가능하므로 제조 장치 자체의 제작 용이성 확보 및 제작 단가 절감에 유리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된 제1시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제1합지부를 도입하여 상승된 제1시트의 제1부착부 하측에 제2시트의 제2접착부가 위치하면서 중첩, 접착되므로 1차 합지 공정의 정확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동 제조 공정 중 항상 제1부착부가 박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조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제1합지부와 제2합지부에 이송된 시트들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도입하여, 이송 중의 시트들이 나란히 정렬된 상태에서 합지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정확한 합지가 가능하며, 특히, 시트공급부의 개별 공급 수단과 함께 상기 스토퍼가 작동함에 따라 다른 형태로 재단되어 전개된 시트들이 공급, 이송되더라도 제1, 제2합지부의 동일한 위치에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합지가 이루어지므로 접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제1 및 제2 합지부에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부위를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중첩된 부위의 시트들의 접착이 단시간에 이루어짐과 동시에, 접착력을 증대시켜 더욱 견고한 박스 제조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1차 합지된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는 접이수단을 구비한 제2합지부를 도입하고, 상기 접이수단으로써, 합지시트의 양측 하부에서 상향 스윙하는 스윙부재와, 합지시트의 중앙 상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도입함에 따라 박스본체를 완성하는 공정이 쉽고 단순하게 이루어져 불량 발생률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합지시트가 접히면서 접히지 않아야 할 부분, 즉 합지시트의 중앙 부분이 동반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여 접이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형태의 박스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도포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시트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작동 설명을 위하여 개략 도시한 요부 확대도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제1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작동 설명을 위하여 개략 도시한 요부 확대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제2합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작동 설명을 위하여 개략 도시한 요부 확대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제조 장치의 박스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박스 공정이 진행되는 방향, 즉 박스배출부(40)가 배치된 방향을 전방, 시트공급부(10)가 배치된 방향을 후방으로 정한다.
또 도 5 및 도 6의 상측 확대 정면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며,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방향을 종방향으로, 좌우측 방향을 횡방향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는 크게 한 쌍의 시트(Ba)(Bb)를 공급하는 시트공급부(10), 공급된 시트를 1차 접착하여 합지시트(B1)를 제작하는 제1합지부(20), 이송된 합지시트(B1)를 2차 접착하여 박스본체(B2)를 제작하는 제2합지부(30), 완성된 박스본체(B2)를 배출하는 박스배출부(40) 및 시트들 간의 접착을 위하여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공급부(10)는 본체 프레임(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프레임 상부에 시트들이 전방으로 공급되도록 회전, 설치된 공급벨트들(11A)(12A)이 횡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벨트들(11A)(12A) 중앙에는 격판(18)이 설치되어 우측이 다수의 제1시트(Ba)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11)로 구성되며, 좌측이 다수의 제2시트(Bb)가 안착되는 제2안착부(12)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벨트들(11A)(12A)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 외주면에 벨트가 결합하여 동반회전하면서 벨트 상부에 안착된 시트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안착부(11) 하부에 구비된 공급벨트를 제1공급벨트(11A)로, 제2안착부(12) 하부에 구비된 공급벨트를 제2공급벨트(12A)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시트공급부(10)의 양측에는 상기 제1공급벨트(11A)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13A)와, 상기 제2공급벨트(12A)를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13B)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공급부(10)는 제1 및 제2구동부(13A)(13B)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1안착부(11)의 제1시트(Ba)와 제2안착부(12)의 제2시트(Bb)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개별 공급 수단(13)이 구성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태로 재단되어 전개된 제1, 제2시트(Ba)(Bb)를 공급하여 접이식 박스(B)의 제작이 이루어질 경우 공급되는 속도, 위치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필요 없이 하나의 구동수단으로 제1, 제2안착부(11)(12)의 각 공급벨트들을 제어하더라도 박스 제작이 가능한 반면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로 재단되어 전개된 제1, 제2시트(Ba)(Bb)를 공급하여 접이식 박스(B)의 제작이 이루어질 경우 박스의 덮개 및 바닥면으로 활용되도록 절개된 날개부들의 크기, 형태, 길이 등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일한 속도, 위치로 시트들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다음 연속되는 시트 공급 시 공급되는 시트들 간의 위치, 속도가 상이하므로 후술하는 제1합지부(20)에서 1차 합지 공중 중 별도로 시트들의 이송 속도, 위치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은 개별 공급 수단(13)을 통해 시트공급부(10)에서부터 시트들이 개별적으로 제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구동부(13A)(13B) 내부에는 각각의 서보모터(13a)(13b)와 연동하여 제1, 제2공급벨트(11A)(12A)를 구동시키는 기어들(미도시)과 배전판(미도시) 및 개별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미도시) 등이 내장되며, 개별 공급 수단(13)의 개별 제어는 장치에 설치된 컨트롤 박스(미도시) 또는 무선 컨트롤러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제1, 제2구동부(13A)(13B)의 서보모터(13a)(13b)에 의하여 전달되는 구동력이 상기 제1, 제2공급벨트(11A)(12A) 모두에 각각 개별적으로 전달되면서, 동일한 안착부에 구비된 공급벨트들(11A)(12A)끼리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제2공급벨트(11A)(12A) 각각의 전방 롤러들은 제1, 제2연동축(11a)(12a)을 통해 안착부 간의 공급벨트들이 상호 간섭 없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공급벨트(11A)(12A)는 시트공급부(1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하부 프레임을 따라 좌, 우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시트의 크기에 따라 공급벨트들(11A)(12A)간의 폭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박스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급벨트들(11A)(12A) 간의 폭에 상관없이 제1, 제2연동축(11a)(12a)을 통해 제1, 제2공급벨트(11A)(12A)가 상시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제2연동축(11a)(12a)은 외주면의 종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제2공급벨트(11A)(12A)의 전방 롤러들에는 축 중앙에 연동축들의 종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각각의 연동축들이 해당 전방 롤러들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각 공급벨트들(11A)(12A)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더라도 연동축의 회전에 따라 해당 공급벨트들(11A)(12A)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공급벨트(11A)(12A)의 폭 조절에 대응하여 다양한 크기의 시트 공급 및 시트들의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공급부(10)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정렬패널(17)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정렬패널(17)은 시트공급부(10) 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횡방향 프레임(10a)을 따라 좌우 횡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횡방향 프레임(10A) 후방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0a; 도 4의 하측 원내 확대 측면도 참고)이 구비되며, 상기 정렬패널(17)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17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가이드레일에 접촉됨으로써 가이드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봉(17b)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정렬패널(17)의 위치 조절을 행하기 위해서 고정봉의 고정너트를 푼 다음 정렬패널(17)을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 고정너트를 조이게 되면 정렬패널(17)이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안착부(11)(12) 사이를 구획화시키는 격판(18)과 함께 양측면에 배치되어 횡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정렬패널(17)들을 포함하는 개별 공급 수단(13)을 도입하여, 도 1c에 도시된 이형(異形)의 시트들과 같이, 종방향 길이가 다른 시트들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이형(異形)의 시트들, 즉 시트들의 횡방향(폭방향) 길이 또는 형태가 서로 상이한 시트들에 대하여도 박스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시트들이 수직방향으로 중첩하여 쌓이더라도, 시트들의 양측면을 상기 정렬패널(17)과 격판(18)이 시트 중앙 쪽으로 가압하여 중첩된 시트들을 일렬로 정렬시키게 되므로, 제1합지부(20)로 공급되는 시트들의 위치를 별도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
편 본 발명은 제1시트(Ba)와 제2시트(Bb)의 각 접착부(Ba1)(Bb1)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50)을 포함하는데, 도포유닛(50)으로써, 상기 시트공급부(10) 중앙 전방에는 상기 제1시트(Ba)의 제1접착부(Ba1) 또는 상기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제1도포유닛(51)이 구비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시트공급부(10)에 제1도포유닛(51)이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것을 대표하여 설명하고, 도 2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도포유닛(51)을 생략하였으며, 이는 후술하는 제2도포유닛(50)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포유닛(51)은 상기 횡방향 프레임(10A)의 전면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이송되는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에 접착용 수지(M)를 도포한다.
상기 제1도포유닛(51)의 수지 도포 작업은 상기 제2시트(Bb)가 제1합지부(20)로 공급, 이송되는 도중에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시트가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접착용 수지란 가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수지(핫 멜트; hot melt)로써, 가열 용융시킨 후 냉각되면서 바로 고화되어 접착제용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를 통징하는 것으로 펠렛형, 필름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사 방식의 핫 멜트 도포유닛(50)을 대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제1도포유닛(51)은 하부에 수지 분사 노즐(51a)이 구비되고, 도면에서 생략된 수지 공급부(예를 들어 별도의 수지 공급 장치 또는 제1도포유닛(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수지가 저장되는 저장부 등)를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프레임(10A)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정렬패널(17)을 통해 시트의 횡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고정 설치되어도 무관하다.
또 상기 제1도포유닛(51)은 사용되는 접착용 수지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접착부(Bb1)의 폭에 따라 분사 노즐(51a)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도포유닛(51)이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한다는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제1안착부(11)가 장치의 우측에 도시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제1시트(Ba)와 제2시트(Bb), 제1안착부(11)와 제2안착부(12)는 그 본질이 동일한 것으로 투입되는 시트의 방향에 따라 제1도포유닛(51)의 위치 및 도포면이 달라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상기 제1도포유닛(51)의 구체 구성은 후술하는 제2도포유닛(5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다만 제2도포유닛(50)은 후술하는 제1합지부(20)의 횡방향 프레임에 구비되고, 제1시트(Ba)의 제1접착부(Ba1) 위치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별 공급 수단(13)은 상기 제1 및 제2공급벨트(11A)(12A)의 전방에 구비되며, 시트들 중 최하측 시트만이 통과하여 공급되도록 낱장 시트의 두께와 동일하게 높이가 조절되는 안내부재(14)와, 상기 제1 및 제2공급벨트(11A)(12A)의 후방에 상향 스윙되도록 구비되어, 중첩된 시트들의 후단부를 상승시켜 중첩된 시트들이 경사지도록 하는 승강롤러(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재(14)는 횡방향 프레임(10A)에 대하여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시트들의 폭방향 길이에 따라 각각의 안착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하부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14)는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하측의 공급벨트(11A)(12A)와의 사이에 낱장 시트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안내부(14a)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부재(14) 역시 상기 횡방향 프레임(10A)의 가이드레일(10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부(14d)를 갖으며, 제1 위치 조절봉(14b)을 통해 횡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부재(14)는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제1위치 조절봉을 따라 높이가 조절, 고정되는 고정블록(14e)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1위치 조절봉을 죄거나 풀어서 횡방향 위치를 결정한 후 고정블록을 통해 상기 안내부(14a)의 상하 높이를 낱장의 시트 두께에 상응하도록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이때 안내부재(14)와 가이드부(14d)가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벨트들(11A)(12A) 상에 다수의 시트들이 중첩하여 안착되어 있을 경우 공급벨트에 직접 접하는 최하측의 시트만이 상기 안내부(14a)와 공급벨트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과하여 제1합지부(20)로 이송되며, 상부에 중첩된 시트들은 최하측의 시트가 완전 통과되기 전까지 안착부 상부에 대기하게 된다.
한편 대형 박스의 경우 사용되는 시트의 두께 역시 두꺼운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시트의 무게가 증가되므로, 중첩된 시트들의 하중이 수직방향으로 최하측의 시트에 집중되면 공급벨트가 작동되지 않거나, 구동부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고장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의 상부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롤러(16)를 통해 중첩된 시트들의 후단부를 상승시켜, 공급벨트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함과 동시에, 최하측 시트가 상기 안내부재(14)를 통과하면서 공급되면, 최하측 시트의 후단부가 상기 승강롤러(16)로부터 이탈되면서 최하측 시트만이 공급벨트 상에 안착된 후 상기 안내부(14a)를 통과하여 공급됨으로써, 시트의 낱장 공급이 원활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승강롤러(16)는 시트공급부(10) 후방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16a)에 결합된 회전봉(1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롤러(16)는 상기 회전축(16a)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시트들을 안착부에 적층할 때 승강롤러(16)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킨 상태에서 시트를 적층하기 편리하고, 시트들이 적층된 후 회전축(16a)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롤러(16)가 시트들의 후단부에 접촉하면서 중첩된 시트들의 후단부를 상승시킨다.
상기 회전봉(16b)과 상기 회전축(16a)은 클램핑부(16c)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봉(16b)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시트의 종방향 길이나 형태에 상관없이 중첩된 시트의 후단부 하측을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6a)을 통해 회전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봉(16b)의 길이 조절과 함께 기능하여 중첩된 시트들의 후단부를 다양한 높이로 상승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16c)는 상기 회전축(16a)을 따라 상기 회전봉(16b)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렬패널(17) 및 안내부재(14)의 횡방향 위치 조절에 맞춰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4의 하부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별 공급 수단(13)은 상기 안내부재(14) 후방에 구비되어 중첩된 시트들의 전단부가 사선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하는 정렬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롤러(16)에 의하여 후단부가 상승된 시트들이 전방을 향하여 쏠리게 되는데, 상기 정렬부재(15)는 하측 후면에 전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안내부(15a)가 구비되어 있어 전방으로 쏠리는 시트들의 전단부가 후방 상측 방향으로 정렬되므로 최하측 시트만이 공급벨트를 통해 안내부(14a)를 통과하는 것이 보다 원활해진다.
상기 정렬부재(15)는 제2 위치 조절봉(15b)을 통해 상기 안내부재(14)와 연결되어 안내부재(14)와 함께 동반하여 횡방향 프레임(10A)을 따라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위치 조절봉(15b)의 조절 너트를 사용하여 안내부재(14)와 별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중첩된 시트들의 두께 및 양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a에 도시된 하나의 시트(Bc)를 사용하여 접이식 박스(B)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닐,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한 쌍의 시트(Ba)(Bb)를 사용하여 접이식 박스(B)를 제작할 수 있고, 특히 개별 공급 수단 및 정렬패널과 격판을 통해 도 1c에 도시된 이형(異形)의 시트들을 사용하여 접이식 박스(B)의 제작이 가능해 범용성 및 효용성이 뛰어나다.
이어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합지부(20)는 상기 시트공급부(1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벨트들(11A)(12A)로부터 이송되는 시트들이 안착하여 이송되는 제1이송벨트(20A)가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합지부(20)는 일측에 상기 제1이송벨트(20A)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이송벨트(20A)와 구동부 등의 구체 구성은 상기 시트공급부(10)의 구성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합지부(20)는 상기 시트공급부(10)에서 공급된 제1시트(Ba)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22)와, 상승된 제1시트(Ba)의 제1부착부(Ba2)와 상기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승강부재(22)는 상기 제1이송벨트(20A)들 중 중앙에 구비되는 제1이송벨트(20A)의 우측면에 축결합되어 상하 스윙 승하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며, 들어 올리는 제1시트(Ba)의 제1부착부(Ba2) 길이 및 무게를 감안하여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1)는 제1합지부(20)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데, 횡방향으로 인출입되는 이동봉을 구비한 실린더(21a)와 이동부재(21)가 결합되어 제1, 제2시트(Ba)(Bb)의 좌우 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시트들이 제1합지부(20) 중앙을 향하여 횡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상부 확대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2)에 의하여 상기 제1시트(Ba)의 제1부착부(Ba2)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21)가 작동하게 되면 시트들이 교차되도록 횡이동하게 되어 결국 제2시트(Bb)의 제2접착부(Bb1) 상측에 상기 제1시트(Ba)의 제1부착부(Ba2)가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2)가 하강되면 제2접착부(Bb1)와 제1부착부(Ba2)가 중첩하여 접착되면서 합지시트(B1; 도 1b, 도 1c 참고.)가 완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승강부재(22)를 통해 제1부착부(Ba2)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1, 제2시트(Ba)(Bb)가 중첩하여 접착되므로 종국적으로 상승 후 중첩이라는 제1합지공정을 통해 제1부착부(Ba2)가 상시적으로 박스의 내측면에 위치한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승 후 중첩이라는 개념은 상기 이동부재(21)에 의하여 시트들이 횡이동하기 전에 상승이 이루어진다는 개념뿐만 아니라, 횡이동 중 승강부재(22)가 작동함에 따라 종국적으로 제2접착부(Bb1)와 제1부착부(Ba2)가 중첩되는 위치일 때 제1부착부(Ba2)가 제2접착부(Bb1)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합지부(20)는 상부에 제1프레임(24b)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프레임(24b)에는 제1프레임(24b)을 따라 횡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압부재(2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4)는 상기 제1이송벨트(20A) 중 시트들의 접힘선(개별 시트(Ba)(Bb) 기준으로 중앙 접힘선, 합지시트(B1) 기준으로 중앙 접힘선 양측에 구비된 접힘선) 하부에 위치하는 제1이송벨트(20A)와 수직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구비되며,
상기 가압부재(24)는 상기 제1이송벨트(20A)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 케이싱 하측에 복수의 가이드롤러(24a)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24)는 시트들이 이송될 때 상기 가이드롤러(24a)가 시트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하측 제1이송벨트(20A)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부재(22)에 의하여 제1시트(Ba)가 상승될 때 제1접착부(Ba1) 방향의 제1시트(Ba)의 일부가 동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가압부재(24)를 통해 제1, 제2시트(Ba)(Bb)의 일부가 하측으로 가압, 고정된 상태이므로 승강부재(22) 및 이동부재(21)의 작동에 의하여 시트들이 위치가 변위되어 정확한 1차 합지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합지부(20)와 상기 제2합지부(30) 사이, 즉 상기 제1합지부(20) 전방 횡방향 프레임(20B)의 하부에는 이동되는 시트들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1스토퍼(23)가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23)는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부재로써, 상기 제1합지부(20)와 제2합지부(3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제1스토퍼(23)의 후방에는 시트들이 지나가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센서의 감지에 따라 상기 제1스토퍼(23)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시트(Ba)(Bb)가 제1이송벨트(20A)에 의하여 계속하여 이송되는 중에 센서가 시트들이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1스토퍼(23)가 상승하여 시트들이 제2합지부(3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시트들의 전단부가 상기 제1스토퍼(23)에 접촉하면서 일렬로 정렬된 상태가 되므로 후에 상기 승강부재(22) 및 이동부재(21)를 통한 1차 합지 공정이 진행될 때 정확한 접착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스토퍼(23)는 상기 승강부재(22)와 이동부재(21)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제1스토퍼(23)의 작동이 완료된 후 1차 합지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2접착부(Bb1)와 제1부착부(Ba2)가 접착되는 부분을 압착하여 접착이 견고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착수단(F)을 포함하는데, 본 발명의 압착수단(F)으로써, 도 5의 하부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합지부(20)의 전방 횡방향 프레임(20B)에는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압착부재(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압착부재(25)는 전방 횡방향 프레임에 축결합된 제1회동축(25b)과, 상기 제1회동축 끝단부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압착롤러(25a)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압착부재(25)는 1차 합지공정을 위하여 제1회동축이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로 대기하며, 1차 합지 공정이 완료되면 제1회동축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데, 상기 제1회동축과 제1압착롤러(25a)들이 구비된 케이싱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제1회동축의 회동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압착롤러들이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로 하측 방향을 향하여 가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압착부재(25)가 하향 회동 작동된 후에 제1스토퍼(23)가 하강하여 합지시트(B1)의 이송이 재개되면 상기 제1압착롤러(25a) 하부를 지나가는 합지시트(B1)의 접착된 부위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접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합지부(20)는 상기 제1스토퍼(23)에 의하여 제2합지부(3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므로 이송되는 합지시트(B1)가 이탈하지 않도록 전방에 제1이송롤러(26)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롤러(26)들은 횡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며, 상하 이열로 배열되어 상하측 제1이송롤러(26)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사이로 합지시트(B1)가 제2합지부(30)로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합지부(20)의 전방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제1합지부(20)의 횡방향 프레임(20B)에서 상기 제1시트(Ba)의 제1접착부(Ba1)가 지나가는 위치에는 본 발명의 도포유닛(50)으로써, 제1접착부(Ba1)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제2도포유닛(52)이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 및 도 5의 사시도에서는 제2도포유닛(52)을 생략하였으며, 제2도포유닛(52)의 구체구성은 제1도포유닛(51)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합지부(30)는 상기 제1합지부(20)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롤러(26)들로부터 이송되는 합지시트(B1)가 안착하여 이송되는 제2이송벨트(30A)들이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합지부(30)는 일측에 상기 제2이송벨트(30A)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9)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이송벨트(30A)와 구동부의 구체 구성은 상기 시트공급부(10) 및 제1합지부(20)의 구성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합지부(30)는 상기 제1합지부(20)에서 이송된 합지시트(B1)의 양측을 접어서 상기 제1시트(Ba)의 제1접착부(Ba1)와 상기 제2시트(Bb)의 제2부착부(Bb2)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접이수단(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이수단(31)은 상기 합지시트(B1)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어 접힘 방향으로 상향 스윙하는 한 쌍의 스윙부재(32)와, 상기 합지시트(B1)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어 합지시트(B1)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부재(33)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스윙부재(32)는 제2합지부(30)의 양측 제2이송벨트(30A)들 사이 하부에 종방향으로 구비된 종방향 회전축(32a)과, 상기 종방향 회전축(32a)과 연결되어 상하 회전하는 회전암(32b)과, 상기 회전암(32b)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동반 회전하는 지지편(32c) 및 상기 지지편(32c) 상부에 종방향으로 결합된 접촉편(32d)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암(32b)은 하나 이상이 상기 종방향 회전축(32a)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개의 회전암(32b)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편(32c) 상부에 하나 이상(도면에서는 두 개)의 접촉편(32d)이 종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암(32b)은 상기 종방향 회전축(32a)이 상기 제2이송벨트(30A)보다 하측에 구비되므로, 상승 회전 완료 시 상기 접촉편(32d)이 제2이송벨트(30A)의 상측에 위치하여야 합지시트(B1)의 접힘 동작이 완료될 수 있는 바, 상기 회전암(32b)은 종방향 회전축(32a)에서 하측으로 형성되고 끝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절곡부(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합지시트(B1)가 제2합지부(30)로의 이송이 완료된 후, 상기 종방향 회전축(32a)이 회전하면, 상기 접촉편(32d)이 합지시트(B1)의 양측 하면에 접촉하면서 양측부를 들어 올려 합지시트(B1)의 양측이 접히게 되고, 따라서 스윙부재(32)의 스윙 회전이 완료되면 합지시트(B1)의 좌우측 시트 일부가 180도 접히면서 제1시트(Ba)의 제1접착부(Ba1)와 제2시트(Bb)의 제2부착부(Bb2)가 중첩하여 접착된다.
또 상기 종방향 회전축(32a)은 인접한 제2이송벨트(30A)에 결합되어 제2이송벨트(30A)의 횡방향 위치조절 시 동반 조절되어 시트의 폭에 대응하여 접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윙부재(32)를 통한 합지시트(B1)의 접힘 동작 시 접힘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합지시트(B1)의 중앙 부위가 동반하여 상승되면서 접히게 되면 정확한 2차 합지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33)를 통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고정부재(33)를 위하여 제2합지부(30) 상부에는 상기 제1합지부(20)의 제1프레임(24b)과 동일한 구성의 제2프레임(33b)이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프레임(33b)에는 제2프레임(33b)을 따라 횡이동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고정부재(3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3)는 상기 가압부재(24)와 종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구비되고, 구체 구성에 있어서 가압부재(24)와 동일하되, 상기 가압부재(24)와 달리 상기 제2이송벨트(30A)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편(3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편(33a)은 얇은 두께를 갖는 장방형 부재로써,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3)는 가이드편(33a)이 제2이송벨트(30A)의 상면보다 소정 간격 상측으로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이송되는 합지시트(B1)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스윙부재(32)에 의하여 합지시트(B1)의 양측 일부가 접힐 때 나머지 중앙 다른 일부가 상승하지 못하게 고정함으로써, 스윙부재(32)를 통한 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합지시트(B1)의 중앙 일부가 하측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스윙부재(32)의 작동에 의하여 합지시트(B1)의 위치가 변위되어 정확한 2차 접착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윙부재(32)를 통해 합지시트(B1)의 양측이 접힌 다음 제1접착부(Ba1)와 제2부착부(Bb2)가 중첩하여 접착되면서 박스본체(B2)가 완성되는데, 이때 상기 박스본체(B2) 내측에 상기 가이드편(33a)이 삽입된 상태이다.(도 6의 상부 확대 정면도 참고.)
이에 따라 박스본체(B2)가 완성된 후 제2이송벨트(30A)를 통해 박스본체(B2)가 후술하는 박스배출부(40)로 이송될 때 상기 가이드편(33a)은 얇은 두께의 장방형 부재로 구비되어 박스본체(B2)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스윙부재(32)를 이용하여 제2부착부(Bb2)가 제1접착부(Ba1) 하측, 즉 박스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스윙부재(32)들의 작동이 시간차를 두고 개별 작동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합지부(30) 전방에는 상술한 제1합지부(20)의 제1스토퍼(23)와 동일한 구성의 제2스토퍼(37)가 구비되어 합지시트(B1)가 제2합지부(30) 전방에 구비된 센서(미도시)를 지나가서 이송 완료 위치에 도달하면 스토퍼가 상승하여 합지시트(B1)의 전단부가 접촉되면서 일렬로 정렬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2차 합지공정을 보장하며, 제2스토퍼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은 접착된 부위를 압착하는 압착수단(F)으로써, 상기 제2합지부(30)의 전방 횡방향 프레임에는 후방을 향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압착부재(35)가 구비된다.
상기 제2압착부재(35)는 도 6의 하부 원내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착부재(25)와 동일한 구성으로써, 전방 횡방향 프레임에 축결합된 제2회동축과, 상기 제2회동축 끝단부에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2압착롤러(35a)들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제2압착부재(35)는 상기 제1압착부재(25)와 달리, 상하로 배열된 접착된 부위 2개소를 동시에 압착해야하므로, 제1압착부재(25)의 구성들보다 크기 및 하중이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며, 제2회동축에 의한 하측 회동 시 더 높은 압력으로 박스본체(B2)의 접착 부위를 압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합지부(30)는 박스배출부(4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므로 이송되는 박스본체(B2)가 이탈하지 않도록 전방에 제2이송롤러(36)들이 구비된다.
그 외 제2압착부재(35) 및 제2이송롤러(36)들의 다른 구체 구성은 상기 제1압착부재(25) 및 제1이송롤러(26)들과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합지부(30)에서 이송된 박스본체(B2)를 배출하는 박스배출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박스배출부(40)는 배출프레임(41)을 따라 다수의 배출봉(42)이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박스본체(B2)가 이송 완료되면 상기 배출봉(42)을 따라 박스본체(B2)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 배출봉(42)은 모터를 통한 자동 회전 방식 또는 박스본체(B2)가 배출봉(42) 상으로 배출 완료된 후 작업자가 수동으로 박스본체(B2)를 일측으로 밀어서 배출되는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박스본체(B2)의 출하 시 소정 개수로 포장되어 배출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상기 박스배출부(40)는 다수의 박스본체(B2)가 중첩되어 대기하도록 하는 받침부재(43)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43)는 상기 배출봉(42) 하부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면서 횡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판상의 부재로써, 배출봉(42)들 사이로 통과될 수 있도록 받침부재(4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절개부(43a)가 형성되어 배출봉(42) 사이로 받침부재(43)가 통과하여 박스배출부(40)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연속하여 이송되는 박스본체(B2)가 상기 받침부재(43)에 의하여 접촉되면서 하측에서부터 정렬되면서 쌓이게 되고 소정 개수만큼 박스본체(B2)의 이송이 완료되면, 자동 또는 수동 방식으로 박스본체(B2) 묶음이 일측으로 배출봉(42)을 타고 최종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출봉(42)이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2합지부(30)와 연동하여 제조 완료되는 박스본체(B2)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일정 개수의 박스본체(B2)가 완성되면 자동으로 배출봉(42)이 작동하여 박스본체(B2) 묶음이 최종 배출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압착수단(F)으로써, 제1압착부재(25)와 제2압착부재(35) 또는 제1이송롤러(26)와 제2이송롤러(36) 등에는 별도로 접착용 수지가 접착된 부위를 냉각하여 보다 빠른 고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각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일 형태의 시트들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시트들을 이용하여 박스의 제조가 가능하고, 하나의 시트를 사용하여 박스를 제조할 경우, 상기 격판(18)만을 제거하고, 제1합지부(10)의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제2합지부(20)만을 이용해 박스 제조가 가능하여, 모든 종류의 접이식 박스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박스 Ba : 제1시트
Bb : 제2시트 B1 : 합지시트
B2 : 박스본체 F : 압착수단
10 : 시트공급부 11 : 제1안착부
12 : 제2안착부 11A, 11B : 공급벨트
13 : 개별 공급 수단 13A, 13B : 구동부
14 : 안내부재 15 : 정렬부재
16 : 승강롤러 17 : 정렬패널
18 : 격판
20 : 제1합지부 21 : 이동부재
22 : 승강부재 23 : 제1스토퍼
24 : 가압부재 25 : 제1압착부재
26 : 제1이송롤러
30 : 제2합지부 31 : 접이수단
32 : 스윙부재 33 : 고정부재
35 : 제2압착부재 36 : 제2이송롤러
37 : 제2스토퍼 40 : 박스배출부
50 : 도포유닛 51 : 제1도포유닛
52 : 제2도포유닛

Claims (4)

  1. 박스 제작을 위하여 전개된 제1 및 제2시트를 나란히 배치하여 공급하는 시트공급부;
    상기 시트공급부에서 공급된 제1시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승된 제1시트의 제1부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접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시트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구비한 제1합지부;
    상기 제1합지부에서 이송된 합지시트의 양측을 접어서 상기 제1시트의 제1접착부와 상기 제2시트의 제2부착부가 중첩하여 접착되도록 하는 접이수단을 구비한 제2합지부;
    상기 제2합지부에서 이송된 박스본체가 배출되는 박스배출부; 및
    상기 제1 및 제2시트의 중첩된 부위들이 상호 접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접착부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지부와, 상기 제2합지부에는 이송된 시트들이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합지부는 접착용 수지가 도포된 부위를 압착하여 시트들이 접착되도록 하는 압착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수단은 상기 합지시트의 양측 하부에 구비되어 접힘 방향으로 상향 스윙하는 스윙부재와, 상기 합지시트의 중앙 상부에 구비되어 합지시트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KR1020140021249A 2014-02-24 2014-02-24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KR20150099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49A KR20150099996A (ko) 2014-02-24 2014-02-24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249A KR20150099996A (ko) 2014-02-24 2014-02-24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996A true KR20150099996A (ko) 2015-09-02

Family

ID=5424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249A KR20150099996A (ko) 2014-02-24 2014-02-24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999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907A (ja) * 1992-06-16 1994-07-05 M I C:Kk 包装容器の製造装置
JP2000177028A (ja) * 1998-12-17 2000-06-27 Hoyu Sangyo Kk ブランクシート貼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23283A (ko) * 2001-08-22 2002-03-28 김재옥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100801110B1 (ko) * 2007-09-19 2008-02-05 이맹현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된 박스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907A (ja) * 1992-06-16 1994-07-05 M I C:Kk 包装容器の製造装置
JP2000177028A (ja) * 1998-12-17 2000-06-27 Hoyu Sangyo Kk ブランクシート貼合わ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23283A (ko) * 2001-08-22 2002-03-28 김재옥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100801110B1 (ko) * 2007-09-19 2008-02-05 이맹현 작업의 연속성이 확보된 박스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974B2 (en) Film laminating apparatus
US10759133B2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ustomized packaging items
US201100537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ags
US20170088380A1 (en) Splicing device
WO2019116579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SE529920C2 (sv) Enhet och förfarande för att vika wellpappark
JP7109473B2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US9394069B2 (en) Corner protector placement system and method and related pallet wrapping system and method
WO2019116580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KR100852257B1 (ko) 다중 원단 접합을 위한 정렬장치 및 그 방법
WO2018039392A1 (en) Adjustable tables for use in package form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322824B1 (ko) 고속 골프공 종이 상자함 제조장치
CN105058858A (zh) 高速全自动胶盒粘盒机
KR101567466B1 (ko) 접이식 박스 제조용 시트의 개별 공급 장치
WO2019117286A1 (ja) 段ボール箱の分割装置及び段ボール箱の製造装置
KR20150099996A (ko) 접이식 박스 자동 제조 장치
KR101648879B1 (ko) 가열압착부를 갖는 롤형 이음김 제조장치
US201601220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a folio ream of paper
JP5874191B2 (ja) 包装システム
JP5791483B2 (ja) 段ボールシートのバッチ分割装置、およびバッチ分割機能を備えたカウンタエジェクタ
JP5452150B2 (ja) 包装機におけるフィルム自動接合方法及びスプライサー
KR102313204B1 (ko) 제함기의 포장박스 밴딩장치
EP1198400B1 (en) Article align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P3530578B1 (en) Packaging machine and related operating method
KR20150098127A (ko) 골판지 자동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