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593A -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 Google Patents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593A
KR20150099593A KR1020157019925A KR20157019925A KR20150099593A KR 20150099593 A KR20150099593 A KR 20150099593A KR 1020157019925 A KR1020157019925 A KR 1020157019925A KR 20157019925 A KR20157019925 A KR 20157019925A KR 20150099593 A KR20150099593 A KR 2015009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us bar
bent
current sens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2Compensating for temperature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01R31/3624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01R31/369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압 검출 단자(42)가,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이어지는 연장편인,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가, 본 발명을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로서 제공된다.

Description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shunt resistance-type current sensor}
본 발명은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가 제안되어, 펄스 전류, 큰 AC 전류등을 검출하기 위해, 측정 대상 전류가 저항값이 알려진 션트 저항부를 흐르도록 하고 션트 저항부를 가로지르는 전압 강하를 검출하여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했다. 예를 들어, 버스바로 불리는 금속편이 자동차와 같은 탈것에서 전력 분배에 사용될 수 있는데, 전류 경로로서 기능하는 버스바의 부분이 션트저항부로 이용된다. 회로기판은 버스바 위에 배치된다. 버스바를 흐르는 측정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회로 기판에는 션트저항부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IC가 장착된다.
상기 방식의 션트저항식 전류 센서에서, 션트 저항부의 저항값은 온도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따라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는 션트 저항부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온도에 따라 저항값을 보정한다. 특히, 션트 저항부가 큰 온도 종속 계수를 가지는 경우, 션트 저항부의 온도를 올바르게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타 부품과 전압 강하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검출 IC가 장착된 회로 기판에 온도 센서도 장착된다(특허문헌 1 참조).
JP-A-2012-78328
한편, 온도 센서가 장착된 회로기판과 버스바 간의 거리가 긴 경우, 온도 센서의 검출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전압 검출 단자, 접지 단자등을 이용하는 회로 기판과 버스바가 서로 연결된, 종래 기술이 알려져 있는데, 단자와 버스바들은 서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회로 기판과 버스바는 단자 배치에 따라 너무 많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창안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센서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버스바가 서로 밀접하게 배치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대략 평판형 버스바, 버스바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 회로 기판과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버스바에 일체로 형성된 전압 검출 단자 쌍, 버스바를 흐르는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전압 검출 단자 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고 회로 기판상에 제공되는 전압 검출기, 및 회로 기판상에 제공되고 버스바의 온도를 검출하여 전압 검출기가 보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온도 검출기를 포함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를 제공한다. 각 전압 검출 단자가, 제 1 굴곡부, 제 2 굴곡부 및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굴곡부에서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제 2 굴곡부에서,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고, 접속부는,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고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이 되는 팁부를 가진다. 전압 검출 단자의 접속부의 팁부가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따라서 전압 검출 단자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 양태로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는 버스바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되는 접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지 단자는, 제 1 굴곡부, 제 2 굴곡부 및 접속부를 포함한다. 제 1 굴곡부에서,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제 2 굴곡부에서,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고, 접속부는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고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 되는 팁부를 구비하며, 접지 단자의 접속부의 팁부는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그로 인해 접지 단자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전압 검출 단자 각각은 버스바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으로, 제 2 굴곡부는 제 1 굴곡부가 없는 구조에서보다 (버스바의 측면에서) 회로기판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버스바와 회로 기판간의 공차가 감소되고 따라서 온도 센서(35)가 장착된 회로 기판(20)이 버스바에 더 밀접하게 설정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는 온도 센서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버스바가 더 밀접하게 배치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도식적인 상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도식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버스바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버스바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도 6은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가 이용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제 1 굴곡부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된 단자를 가지는 버스바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버스바(10)를 포함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를 도시한다.
도 9은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도식적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버스바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도 1은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도식적 상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도식적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면에서 아래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도식적 측면도이다.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는 배터리 단자로 이용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이고, 주로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는 배터리 단자로 이용되는 것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바(10)는 대략 평판형의 전도성 부재로 구리 망간 합금, 구리 니켈 합금 등으로 제조된다. 버스바(10)는 그 부분으로 션트 저항부(SR)를 가지고, 측정 대상 전류가 션트 저항부(SR)를 흐르게 된다. 버스바(10)는 평판형 스틸 재료를 가압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이 주어진다.
실시예에서, 버스바(10)는 대략 U형상을 가지고, 예를 들어, 관통홀(11. 12)이 버스바(10)의 중앙에 위치한 션트 저항부(SR)의 양측상의 각각에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일 관통홀(11)은 배터리 포스트용 구멍으로 기능하고, 타 관통홀(12)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구멍으로 기능한다.
도 4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버스바(10)의 도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버스바(10)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는 양극과 음극에 각각 대응하는 전압 검출 단자(41,42) 쌍을 구비하고, 각 전압 검출 단자(41,42)는 전기적으로 회로기판(20)과 버스바(10)를 연결한다.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가, 배터리 단자(70)로 기능하는, 배터리(70)의 음극측 배터리 포스트(71)에 부착된 곳에서, 일 전압 검출 단자(41)는 양극측 전압 검출 단자에 해당하고, 타 전압 검출 단자(42)는 음극측 전압 검출 단자에 해당한다. 전압 검출 단자(41,42)는 션트 저항부의 양단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전압 검출 단자(41,42)의 쌍은 버스바(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예를 들면, 평판형 스틸 재료를 가압하여 버스바(10)와 동시에 형성된다.
전압 검출 단자(41,42) 각각은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편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 단자(4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42a)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제 1 굴곡부(42a)는, 관련 부분이 버스바(10)로부터 이어지는 위치에 바로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전압 검출 단자(42)에서, 제 1 굴곡부(42a)에서 다시 구부러져 이어지는 부분이 버스바(10)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전압 검출 단자(42)는 또한 제 1 굴곡부(42a)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로 기판(20)을 향해 약 90도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42b)를 가진다. 제 2 굴곡부(42b)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은 접속부(42c)로 기능한다. 접속부(42c)는 직선으로 이어지고 회로 기판(20)을 관통한다(도 2참조). 접속부(42c)의 팁부는 테이퍼링되어(두께 감소 공정), 두께는 위치가 끝을 향할 수록 감소된다. 테이퍼링은, 회로 기판(20)을 통해 형성된 작은 구멍을 관통하여, 전압 검출 단자(42)가 회로 기판(20)을 관통하게 하기 위한 사전 처리이다. 상기 사전 처리는 적어도 제 2 굴곡부(42b)에서 구부림 이전에 수행된다.
나머지 전압 검출 단자(41)는 상기 전압 검출 단자(42)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전압 검출 단자(41,42)는 서로 대향하는 버스바(10)의 각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에서 서로 평행하게 이어진다.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는 접지 단자(43)를 구비하여,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접지 단자(43)는, 전압 검출 단자(41,42)의 쌍보다 버스바(10)를 흐르는 측정 대상 전류의 전류 경로로부터(즉, 션트 저항부(SR)로부터) 더 멀리 위치한다. 실시예에서, 접지 단자(43)는 배터리 포스트용 관통홀(11)과 전압 검출 단자(42) 사이에 위치한다.
접지 단자(43)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편이다. 접지단자(43)는 전압 검출 단자(41,42)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고, 접속부의 팁부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한다(도 2 참조).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한다. 회로 기판(20)은 버스바와의 사이에 규정된 간격을 가지고 버스바(10)에 대향한다. 회로 패턴 쌍은 회로 기판(20)에 형성된다. 회로 패턴 쌍의 단부들은, 회로 기판(20)을 관통하는 전압 검출 단자(41,42) 접속부(42c)에 각각 연결된다. 전압 검출 단자(41,42)들은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각 회로 패턴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유사하게, 접지 패턴이 회로 기판(20)에 형성된다. 접지 패턴의 단부는 상면측으로 돌출하고 회로 기판(20)을 관통하는 접지 단자(43)의 접속부에 연결된다.
전압 검출 IC(30)는 회로 기판(20)에 장착되고 회로 기판(20)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연결된다. 주로 CPU, ROM, I/O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마이크로컴퓨터는 전압검출 IC(30)으로 이용될 수 있다. 버스바(10)를 흐르는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전압검출 IC(30)(전압 검출기)는 전압 검출 단자(41,42) 쌍을 통해 회로 기판(20)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검출 IC(30)는 버스바(10)의 션트 저항부(SR)를 가로지르는 전압 강하를 검출하고 전압 강하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한다.
또, 전압 검출 IC(30)는 온도 센서(35, 추후 기술)의 검출 결과에 따라 보정을 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검출 IC(30)는 온도 변동에 의해 야기되는 저항 변동의 영향으로 인해 잘못된 전류값을 검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검출 결과에 따라 션트 저항부(SR)의 저항값을 보정한다.
온도 센서(35)는 버스바(10)의 션트 저항부(SR)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20)의 표면상에 장착된다.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35)는 전압 검출 IC(30)가 장착된 표면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20)의 표면상에 장착된다. 그로 인해, 온도 센서(35)는, 그 자체와는 대향하는, 버스바(10)(션트 저항부,SR)의 부분의 온도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35)는 전류 흐름 방향에서, 션트 저항부(SR)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설정된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가(1)가 이용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버스바(10)는 배터리 단자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버스바(10)의 관통홀(11)은 볼트(72)를 이용하여 배터리(70)의 음극측 배터리 포스트(71)에 접속되고, 타 관통홀(12)은 와이어 하네스 고정 스크류(73)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W)에 접속된다.
기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전압 검출 단자(41,4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편이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 단자(4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42a), 제1굴곡부(42a)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기판(20)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42b) 및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고 팁부가 테이퍼링되는(두께 감소 공정) 접속부(42c)를 구비한다. 접속부(42c)의 팁부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하여, 전압검출단자(41,42)는 전기적으로 회로 기판(20)에 접속된다.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시가 이하 기술된다.
도 7은 제 1 굴곡부(42a)를 가지지 않도록 형성된 단자를 가지는 버스바(10)를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버스바(10)를 포함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접지 단자(43) 및 전압 검출 단자(41,42)의 쌍 대신에 접지 단자(53) 및 전압 검출 단자(51,52) 쌍을 채택한 구조를 도시한다. 단자(51,52,53)들은 동일 형상을 가진다. 전압 검출 단자(52)의 형상은 이하 예시로서 기술된다.
전압 검출 단자(5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연장편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검출 단자(5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로기판(20)을 향해 약 90도 기울어진 제 2 굴곡부(52b)를 가진다. 제 2 굴곡부(52b)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접속부(52c)로 기능한다. 접속부(52c)의 팁부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한다. 팁부를 더 가늘게 하기 위해, 접속부(52c)는 테이퍼링(두께 감소 공정, 프레스 공정)된다.
접속부(52c)의 팁부가 테이퍼링될 때, 테이퍼링 공정 대상이 된 부분은 가공 경화로 인해 경화되고 팁부를 구부리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 2 굴곡부(42b)를 형성하기 위해, 테이퍼링 공정 대상이 된 부분 외측인 전압 검출 단자(52)의 위치에서 구부림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는, 팁부(테이퍼링될 부분)와 제 2 굴곡부(52b)사이 접속부(52c)에서 테이퍼링이 되지 않는 광역부가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접속부(52c)가 관통하는 회로 기판(20)은 테이퍼링 되지 않는, 접속부(52c)의 상기 광역부에 도달할 정도로 버스바(10)에 더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림이 테이퍼링되는 부분의 외측인 위치에서 수행되므로, 접속부(52c)의 광역부의 높이에 대응하는 공차가 회로기판(20)과 버스바(10)사이에 존재한다. 이는 버스바(10)와 온도 센서(35)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실시예에서, 전압 검출 단자(42)는 버스바(10)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42a)를 가진다. 그 결과, 제 2 굴곡부(42b)는 제 1 굴곡부(42a)가 없는 구조에서보다, (버스바(10) 측에서) 회로기판(20)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간의 공차가 감소되고, 즉, 온도 센서(35)가 장착된 회로 기판(20)은 버스바(10)에 더 가깝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 센서(35)의 온도 검출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다.
테이퍼링되는 접속부(42c)의 부분, 즉 그 팁부의 높이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정확도만 있다면(회로기판(20)에 대해),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간의 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긴 팁부가 확보된다. 이경우, 가공에 의해 생상되는 얇은 형태로 인해, 열이 덜 소실되고 납땜이 촉진된다. 그 결과, 공정 효율이 증가되어, 제조 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따라서 제조 비용도 줄일수 있다. 게다가, 버스바(10)와 회로기판(20) 사이에 열팽창 정도에서의 차이가 발생할 때, 얇은 팁부의 변형은 접속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일 수 있고, 납땜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자 형상을 가지고, 전압검출 단자(41) 및 접지 단자(43) 각각은 전압 검출 단자(42)와 동일한 공정 및 효과를 제공할 것이 예상된다.
(실시예2)
도 9는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개략적인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의 버스바(1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1)는 단자들(41,42,43) 각각의 형태에서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와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은 상기 차이점에 대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공통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단자들(41,42,43)은 동일 형상을 가진다. 전압 검출 단자(42)의 형상은 이하 예시로서 기술된다.
실시예에서 채택된 전압 검출 단자(42)는 버스바(10)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너지는 부분이 회로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42a)를 가진다. 제 1 굴곡부(42a)에서의 구부림 방식은 제 1 실시예에서보다 완만하다. 전압 검출 단자(42)에서, 제 1 굴곡부(42a)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기울어져 버스바(10)로부터 서서히 멀어진다. 전압 검출 단자(42)는 또한 제 1 굴곡부(42a)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회로기판(20)을 향해 약 90도 기울어지는 제 2 굴곡부(42b)를 가진다. 제 2 굴곡부(42b)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접속부(42c)이고 회로 기판(20)을 관통하고 직선으로 이어진다(도 2 참조). 접속부(42c)의 부분(팁부)는 테이퍼링된다(두께 감소 공정, 프레스 공정).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전압 검출 단자(42)는 버스바(10)의 측면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42a)를 가진다. 이 방법으로, 제 2 굴곡부(42b)는 제 1 굴곡부(42a)가 없는 구조에서보다, (버스바(10) 측에서) 회로 기판(20)으로부터 더 원거리 위치에 위치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간의 공차가 감소되고, 즉, 온도 센서(35)가 장착되는 회로 기판(20)은 버스바(10)에 더 근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온도 센서(35)의 온도 검출 정확도가 향상된다.
또, 테이퍼링되는 접속부(42c)의 부분, 즉 팁부의 높이는, 회로 기판(20)을 관통할 정도의(회로 기판에 대해) 정확도만 있으면,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간의 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긴 팁부가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 가공에 의해 생성되는 얇은 형태로 인해, 열은 덜 소실되고 따라서 납땜이 촉진된다. 그 결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어, 제조 시간 단축과 제조 비용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또, 버스바(10)와 회로 기판(20)간의 열팽창 정도에서 차이가 발생할 때, 얇은 팁부의 변형이 접속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줄여 납땜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상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가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도,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가능하다.
실시예를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특징은 이하 항목 [1]과 [2]와 같이 간략하게 요약될 수 있다.
[1]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로서,
거의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버스바;
버스바에 대향하는 회로기판;
버스바에 일체로 형성되고 버스바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압 검출 단자의 쌍;
회로 기판에 제공되고, 버스바를 흐르는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전압 검출 단자의 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기; 및
회로 기판에 제공되고, 버스바의 온도를 검출하여 전압 검출기가 보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온도 검출기를 포함하고,
전압 검출 단자 각각은,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 및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되는 팁부를 가지고,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전압 검출 단자의 접속부의 상기 팁부는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전압검출 단자는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2] 항목[1]을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로서,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되어 버스바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 및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되는 팁부를 가지고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접지 단자의 접속부의 팁부는 회로 기판을 관통하고 접지 단자는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영역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나 변경이 가능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본 출원은 2013년 1월 23일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13-10027에 기초한 것으로, 그 개시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는 온도 센서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버스바가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의 분야에서 유용하다.
1 :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10 : 버스바
11 : 관통홀
12 : 관통홀
20 : 회로 기판
30 : 전압 검출 IC
41 : 전압 검출 단자
42 : 전압 검출 단자
42a : 제 1 굴곡부
42b : 제 2 굴곡부
42c : 접속부
43 : 접지 단자
70 : 배터리
71 : 배터리 포스트
72 : 볼트
73 : 와이어 하네스 고정 스크류
SR : 션트 저항부
W : 와이어 하네스

Claims (2)

  1.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로서,
    거의 평판형의 버스바;
    버스바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버스바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압 검출 단자의 쌍;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되고,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측정 대상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기 위해, 전압 검출 단자 쌍을 통해 회로 기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기; 및
    회로 기판상에 제공되고, 버스바의 온도를 검출하여 전압 검출기가 보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온도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검출 단자 각각은,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 및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되는 팁부를 가지고,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전압 검출 단자의 접속부의 상기 팁부는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전압 검출 단자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버스바와 일체로 형성되고, 버스바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버스바의 측면 모서리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제 1 굴곡부;
    제 1 굴곡부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이 회로 기판을 향해 구부러지는 제 2 굴곡부; 및
    두께 감소를 위해 테이퍼링되는 팁부를 구비하고, 제 2 굴곡부로부터 직선으로 이어지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접지 단자의 접속부의 팁부는, 회로 기판을 관통하여, 접지 단자가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KR1020157019925A 2013-01-23 2014-01-21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KR201500995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0027A JP6010468B2 (ja) 2013-01-23 2013-01-23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JP-P-2013-010027 2013-01-23
PCT/JP2014/051122 WO2014115724A1 (ja) 2013-01-23 2014-01-21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593A true KR20150099593A (ko) 2015-08-31

Family

ID=5122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9925A KR20150099593A (ko) 2013-01-23 2014-01-21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4949B2 (ko)
EP (1) EP2933643B1 (ko)
JP (1) JP6010468B2 (ko)
KR (1) KR20150099593A (ko)
CN (1) CN105324673B (ko)
WO (1) WO20141157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97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통합 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824B1 (ko) * 2014-11-19 2021-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Ibs 장치
GB201608491D0 (en) 2016-05-13 2016-06-29 Dukosi Ltd Electric batteries
JP6910762B2 (ja) * 2016-06-27 2021-07-28 Koa株式会社 電流測定装置
CN107589291A (zh) * 2016-07-06 2018-01-16 深圳市沃特玛电池有限公司 电动汽车电流检测系统及方法
JP6832103B2 (ja) * 2016-09-20 2021-02-24 Koa株式会社 電流測定装置
KR102287317B1 (ko) * 2017-06-07 2021-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류센서
EP3678295B1 (en) * 2017-08-30 2022-03-09 Yazaki Corporation Semiconductor relay and vehicle current detection device
JP7152160B2 (ja) * 2018-01-26 2022-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固定構造
DE102019108541A1 (de) * 2019-04-02 2020-10-08 Eberspächer Controls Landau Gmbh & Co. Kg Strommessbaugruppe
US20230003765A1 (en) * 2019-11-27 2023-01-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usbar as current sensor
JP2022001843A (ja) * 2020-06-22 2022-01-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0067D0 (en) * 2000-01-06 2000-02-23 Delta Electrical Limited Current detector and current measurement apparatus including such detector with temparature compensation
JP2002015805A (ja) * 2000-06-28 2002-01-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接続構造及び方法
JP4029049B2 (ja) * 2003-01-10 2008-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流検出用抵抗器
JP4442660B2 (ja) * 2007-08-10 2010-03-3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システム
JP2009071071A (ja) * 2007-09-13 2009-04-02 Denso Corp 電子回路部品実装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9888558B2 (en) * 2010-06-03 2018-02-06 Yazaki Corporation Wiring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73626B2 (ja) 2010-10-06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温度を正確に測定できる電流検出装置
JP5926495B2 (ja) * 2011-04-05 2016-05-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97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통합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4673B (zh) 2018-05-01
EP2933643A4 (en) 2016-10-26
CN105324673A (zh) 2016-02-10
JP6010468B2 (ja) 2016-10-19
US9404949B2 (en) 2016-08-02
WO2014115724A1 (ja) 2014-07-31
EP2933643B1 (en) 2020-09-23
US20150355244A1 (en) 2015-12-10
EP2933643A1 (en) 2015-10-21
JP2014142226A (ja)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9593A (ko)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JP5873315B2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US9784767B2 (en) Shunt resistance type current sensor
US9618537B2 (en) Shunt resistance type current sensor
JP5926495B2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US9995771B2 (en) Shunt resistor
JP5298336B2 (ja) シャント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19663B2 (ja) シャント抵抗器の接続端子、及び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US10969408B2 (en) Current measuring device
JP2014016297A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US10267824B2 (en) Shunt resistor
EP2872909A1 (en) Shunt resistance type current sensor
KR20140133937A (ko) 션트 저항식 전류 센서
US20170162302A1 (en) Current detection resistor
US20150192622A1 (en) Shunt Resistance Type Current Sensor
JP2015021816A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6925871B2 (ja) 電流センサ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5918023B2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6709584B2 (ja) 抵抗値測定用導電材、導電材の抵抗値測定装置、および電流検出装置
JP2014142224A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JP2014062810A (ja) シャント抵抗式電流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