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085A -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 Google Patents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085A
KR20150097085A KR1020140018220A KR20140018220A KR20150097085A KR 20150097085 A KR20150097085 A KR 20150097085A KR 1020140018220 A KR1020140018220 A KR 1020140018220A KR 20140018220 A KR20140018220 A KR 20140018220A KR 20150097085 A KR20150097085 A KR 20150097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 angle
sound
angle
sound sourc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1293B1 (ko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리시스
Priority to KR102014001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장치는 음향이 발생되면 음향 정보를 각각 센싱하는 음향 센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촬영 기기 및 상기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보안데이터 수집방법은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실행되는 보안데이터 수집방법에 있어서, 음향이 발생되면 복수의 음향센서가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함으로 불필요한 영상을 촬영하거나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보다 정확한 보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접한 이웃간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 데이터 수집장치 및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SECURITY DATA COLLECTION APPATATUSAND METHOD COLLE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이웃간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 불필요한 영상 촬영 기기의 작동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음향이 발생되면 음향 정보를 센싱하고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많이 왕래하는 오피스 빌딩이나 은행과 같은 각종 영업소 및 아파트의 엘리베이터나 주차장 등에는 그 지역의 진행상황을 파악하거나 안전을 위하여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감시하고 있다.
감시카메라는 하나의 영상입력부를 구비하여 지정된 장소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영상 출력장치인 모니터 등으로 전송하여 감시자로 하여금 촬영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는, 범죄가 발생했을 때, 범죄자를 색출해 내는 데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최근에는 현금 인출기 등에도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특정지역 예컨대, 경비실이나 또는 관리실, 파출소 등에 설치된 모니터로만 송출되어 출력됨에 따라, 일반 소비자들은 자신의 범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감시카메라에 촬영되어 타인이 모니터로 보는 것에 대해 매우 꺼림직하게 생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범죄자가 아닌 일반사람들까지도 감시카메라에 촬영되어 타인에게 자신의 생활을 노출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에 따라 개인 사생활 침해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더욱이 최근들어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는 가정에서도 안전 등을 위해 설치가 증가되는 추세여서 개인 사생활의 침해 논란은 더욱 가속되고 있다.
한편, 최근들어 감시카메라를 음향센서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기술을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음향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특정 장소에 감시카메라를 자동 제어하여 촬영되는 것은 가능하나 감시카메라의 상시 촬영을 진행하여야 하며, 가정 등에 설치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가정에 설치가 용이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영상 촬영이 진행되며 타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장치가 요구되어져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5279호(2010년 08월 3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2493호(2009년 04월 3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6822호(2012년 11월 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914호(2009년 01월 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1401호(2009년 12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음향 센서에 의해 감진된 음향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영상을 저장하거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접한 이웃간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는 음향이 발생되면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음향센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촬영 기기 및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방법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실행되는 보안 데이터 수집 방법은 음향이 발생되면 복수의 음향센서가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함으로 불필요한 영상을 촬영하거나 오작동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보안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향이 발생되면 음향 정보를 센싱하고 음향 정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접한 이웃에 발생한 음향을 감지하여 촬영을 사전에 예방하여 이웃간의 사생활 침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을 통틀어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실시예들이 실시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데이터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보안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 메인 서버(200) 및 사용자의 단말(300)을 포함한다.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이웃간 사생활 침해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안 데이터를 수집하여 메인 서버(200)에 보안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가정 주변의 보안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 가정의 도어벨 근처에 위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향이 발생되면 음향의 방향각을 센싱하고, 음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영상 촬영 기기가 온 상태로 변경되어 녹화를 시작한 경우, 녹화영상은 메인 서버(200)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메인 서버(200)는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로부터 보안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메인 서버(200)는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로부터 보안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00)는 보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객체의 종류(예를 들어, 사람, 기타 등), 행위 분석(예를 들어, 이상행위 감지, 군집, 지체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서버(200)는 이러한 분석된 정보를 내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200)는 일정 시간 단위 또는 음향이 센싱될 때마다 사용자의 단말(300)에 객체 종류 및 행위내용 알람 메시지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서버(200)는 지정된 이벤트 행위가 검색된 경우 사용자의 단말(300)에 객체 종류 및 행위내용을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메인 서버(200)는 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300)에 객체 종류 및 행위내용을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서버(200)는 객체가 일정시간 약 2초 정도 지체하거나 이상행위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300)에 객체 종류 및 행위내용을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향센서(110), 영상 촬영 기기(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음향센서(110)는 하나 이상의 음향센서(110)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음향센서(110)로부터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센서(110)는 음향이 발생되면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여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이때 음향센서(110)은 영상촬영기기(13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기 방향각을 미리 설정하여 입력하게 되는데, 이렇게 기 설정된 방향각(θ)은 밑면 부분은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의 범위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음향센서(110)는 현관문의 도어벨 상에 위치하여 도어벨이 울리면 도어벨의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센서(110)는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대상 객체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센서(110)의 설치 방향도 영상 촬영 기기(120)의 작동을 위한 필요한 장소에 따라 임의적으로 조정하게 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기 설정된 각(θ)과 음원 방향에 따라 센싱된 방향각과 비교하여 영상 촬영 기기(120)의 작동 여부가 판단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음원 방향을 감지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914호 '음원위치-지연시간차 상관관계 역 추정에 의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 및 방법'(2009년 01월 05일)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1401호 '스펙트럼 왜곡을 유발하는 인공귀 및 이를 이용한 음원방향 검지 방법' (2009년 12월 03일) 등에서 상용화되었거나 공지된 알고리즘을 차용하여 사용하면 되는바 별도로 상세한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음향센서(110)는 현관문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음향센서(110)에 기 설정된 각(θ)을 기준으로 음원이 감지된 방향에 따라 센신된 방향각을 비교하여 영상 촬영기기(1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경되어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 기기(120)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촬영 가능한 모든 기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카메라,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어 영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어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촬영 기기(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각도로 회전되어 해당 위치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촬영 기기 (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180°로 회전되어 해당 위치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음향센서(110)로부터 수신된 음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영상 촬영 기기(12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방향각은 영상 촬영 기기(120)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각도이며, 영상 촬영 기기(12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대상 객체(예를 들어, 도어문 및 마당)와 음향센서(110)의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θ)에 포함되면 영상 촬영 기기(120)의 상태가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센서(110)에 기 설정된 방향각이 90°인 경우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 90°에 포함된 방향각에서 센싱된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 촬영 기기(120)의 상태가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θ)에 포함되지 않으면 영상 촬영 기기(12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센서(110)에 기 설정된 방향각이 90°인 경우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 90°포함되지 않은 방향각에서 센싱된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 촬영 기기(120)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데이터 수집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향이 발생되면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한다(단계 S310).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0). 여기에서, 기 설정된 방향각은 영상 촬영 기기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각도이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대상 객체와 센서 사이의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면(단계 S330),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340).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는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지 않으면 오프 상태를 유지하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도 1, 100a)는 각각의 가정집의 현관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가정집의 현관문의 도어벨이 타인에 의해 푸쉬되면, 도어벨의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가정집 A와 가정집 B 각각에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a, 100b)가 설치되어 있다. 가정집 A에 방문객이 방문하여 도어벨을 푸쉬한 경우, 도어벨에서는 음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가정집 A의 현관문의 상단에 위치한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a)에 위치한 음향센서(110a)는 도어벨의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게 하게되며,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a)의 제어부(130a)는 음향센서(110a)에 의해 센싱된 도어벨의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θ1)과 비교하여 기 설정된 방향각(θ1)에 포함되면 영상 촬영 기기(130a)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예에서, 가정집 B의 현관문의 상단에 위치한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b)에 포함된 음향센서(110b)는 가정집 A에서 발생된 도어벨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한다. 이때 가정집 B에 설치된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100b)의 제어부(130b)는 가정집 A에서 발생된 도어벨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기설정된 방향각(θ2)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영상 촬영기기(130b)의 동작 상태가 온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
110: 음향센서
120: 영상 촬영 기기
130: 제어부
200: 메인 서버
300: 사용자의 단말

Claims (10)

  1. 음향이 발생되면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복수의 음향센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촬영 기기; 및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안데이터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대상 객체와 상기 센서 사이의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촬영 대상 객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상태가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6. 보안 데이터 수집 장치에서 실행되는 보안 데이터 수집 방법에 있어서,
    음향이 발생되면 복수의 음향센서가 음원 방향의 방향각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과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데이터 수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상태를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은 상기 영상 촬영 기기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대상 객체와 상기 센서 사이의 경계면의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데이터 수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촬영 대상 객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방향의 방향각이 상기 기 설정된 방향각에 포함되면 상기 영상 촬영 기기의 상태가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데이터 수집방법.
KR1020140018220A 2014-02-18 2014-02-18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KR10158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20A KR101581293B1 (ko) 2014-02-18 2014-02-18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220A KR101581293B1 (ko) 2014-02-18 2014-02-18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085A true KR20150097085A (ko) 2015-08-26
KR101581293B1 KR101581293B1 (ko) 2015-12-31

Family

ID=5405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220A KR101581293B1 (ko) 2014-02-18 2014-02-18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14B1 (ko) 2007-01-25 2009-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음원위치-지연시간차 상관관계 역 추정에 의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2493A (ko) 2007-10-26 2009-04-30 조준경 음향 센서를 이용한 치안 유지 usn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치안 유지 방법
KR100931401B1 (ko) 2007-11-14 2009-1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펙트럼 왜곡을 유발하는 인공귀 및 이를 이용한 음원방향 검지 방법
KR100932117B1 (ko) * 2008-04-22 2009-12-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20100095279A (ko) 2009-02-20 2010-08-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음향 센서를 이용한 치안 유지 usn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안 유지 방법
KR2010012108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싸이시스 음원인식을 이용한 촬영영상 추적 ptz 카메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6822B1 (ko) 2011-10-18 2012-11-30 국방과학연구소 보안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5552A (ko) * 2012-05-09 2013-11-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추적을 이용한 협업 감시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914B1 (ko) 2007-01-25 2009-0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음원위치-지연시간차 상관관계 역 추정에 의한 음원 방향검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2493A (ko) 2007-10-26 2009-04-30 조준경 음향 센서를 이용한 치안 유지 usn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치안 유지 방법
KR100931401B1 (ko) 2007-11-14 2009-12-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펙트럼 왜곡을 유발하는 인공귀 및 이를 이용한 음원방향 검지 방법
KR100932117B1 (ko) * 2008-04-22 2009-12-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20100095279A (ko) 2009-02-20 2010-08-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음향 센서를 이용한 치안 유지 usn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안 유지 방법
KR20100121086A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싸이시스 음원인식을 이용한 촬영영상 추적 ptz 카메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6822B1 (ko) 2011-10-18 2012-11-30 국방과학연구소 보안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25552A (ko) * 2012-05-09 2013-11-1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음원 추적을 이용한 협업 감시카메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293B1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39B1 (ko) 보안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및 장치
KR101248054B1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008107B2 (en)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ng unwanted intrusio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devices
KR101425505B1 (ko) 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경계 시스템의 감시 방법
US8451329B2 (en) PTZ presets control analytics configuration
WO2016150045A1 (zh) 一种非法入室告警方法及装置
US20100033575A1 (en) Event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using network camera
KR20120140518A (ko) 스마트폰 기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WO2017161880A1 (zh) 一种区域监控报警系统及报警方法
US20180167585A1 (en) Networked Camera
KR101014842B1 (ko) Rfid 리더를 사용하는 보안용 영상 감시 시스템 및방법
KR102078265B1 (ko) 출현 객체를 식별하여 객체에 따라 차등적으로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 영상 제공 방법
KR100932117B1 (ko)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102183903B1 (ko)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KR20170140954A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187645A (ja) 監視システム、撮像装置、サーバ装置、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29921B1 (ko) 유비퀴터스 일체형 보안영상장치 및 시스템
KR102333803B1 (ko) 영상 감시 영역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25403B1 (ko) 보안 시스템
KR101581293B1 (ko) 보안데이터 수집장치 및 그 수집방법
KR100982342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778863B1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