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916A -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916A
KR20150096916A KR1020140017803A KR20140017803A KR20150096916A KR 20150096916 A KR20150096916 A KR 20150096916A KR 1020140017803 A KR1020140017803 A KR 1020140017803A KR 20140017803 A KR20140017803 A KR 20140017803A KR 20150096916 A KR20150096916 A KR 20150096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lor filter
display panel
monomer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1482B1 (ko
Inventor
신형범
채기성
김동국
신동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4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7Cells with plural compartments or having plurality of liquid crystal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ne microcell per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감광 경화성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재료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양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고 실런트에 의한 실링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액정 표시장치의 베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광 경화특성의 모노머(monomer) 성분이 포함된 액정 재료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화소영역 각각을 온(on)/오프(off)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T)가 형성된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미도시)가 형성된 컬러필터기판(12)이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대향하고 있으며,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기판(1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실패턴(seal pattern : 20)을 통해 실링(봉지)되어 합착된다.
어레이기판에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과 비표시영역(NA)이 정의되는데, 통상 하부기판이라 불리는 어레이기판(11)의 표시영역(AA)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배선(GL)과 데이터배선(DL)이 교차하여 화소(pixel : P)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가 구비되어 각 화소(P)에 형성된 투명 화소전극(미도시)과 일대일 대응 연결되어 있다.
이때,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GL, DL)이 배치된 어레이기판(11) 일측의 비표시영역(NA)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GL, DL)과 각각 연결되는 게이트 및 데이터패드전극(미도시)이 형성된 패드부(DPA, GPA)가 형성되어,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GL, DL)을 외부 구동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미도시)과 연결시킨다.
한편, 상부기판 또는 제2기판이라 불리는 컬러필터기판(12) 내면으로는 각 화소(P)에 대응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B)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 : 미도시)가 배치되며, 이들 컬러필터 각각을 구분하도록 둘러싸면서 게이트배선(GL)과 데이터배선(DL) 그리고 박막 트랜지스터(T) 등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차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 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12)에는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 이외에,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 상부에 배치되어 픽셀에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투명 공통전극(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어레이기판(11)과 컬러필터기판(12)의 합착은 기판(11, 12)들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UV(자외선) 경화성 또는 열경화성 실런트를 도포한 상태로 기판(11, 12)들 간을 압착시키고, 실런트에 적정한 파장을 갖는 지외선광(UV광)을 일정 시간동안 조사하거나 또는 적정온도로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여 실런트를 경화하면 경화된 실런트가 실패턴(20)을 형성함으로써 양 기판이 서로 합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패턴(20)은 표시영역(AA)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비표시영역(NA)에 형성되어, 봉지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공정단축 내지는 수율향상의 효과를 위하여 복수의 셀 영역이 포지션별로 구분된 제 1 및 제 2 대면적 기판(bare or mother glass)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때, 제 1 또는 제 2 대면적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셀 영역에 각각 합착을 위한 실패턴(20)을 형성한 다음 액정층(미도시)을 사이에 두고 양 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후 각각의 셀 영역 별로 절단해서 복수의 액정패널(10)을 얻는다.
이중 특히 셀 공정의 절단공정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셀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해서 선 모양의 흠집을 내는 스크라이빙공정 후, 브레이크바(break bar)를 이용하여 충격을 주어 실질적으로 기판을 절단하는 브레이크 또는 커팅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또는 표시패널의 경우, 양 기판의 합착을 위한 실패턴(20)이 일정 크기 이상의 폭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표시패널의 내로우 베젤(Narrow Bezel) 달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 표시패널의 외곽부 비표시영역인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성 단량체(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재료를 이용하여 표시영역내의 셀구분 격벽 및/또는 비표시영역의 외곽 지지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감광성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재료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의 테두리 영역에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고, 종래의 실링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지는 표시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각 단위 표시패널 가장자리 영역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실런트 도포 영역 내부의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감광 경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 혼합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실런트를 경화하여 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실런트 경화 단계와, 상기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되는 모노머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실링 영역 내측에서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 지지부인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는 모노머 경화단계, 및 상기 실링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거되도록 절단하여 외곽 지지 격벽을 포함하는 단위 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과 합착되는 컬러필터 기판, 및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서 양 기판에 합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된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외곽 지지 격벽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감광 경화성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재료를 이용하여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양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고 실런트에 의한 실링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함으로써, 액정 표시장치의 베젤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감광성 모노머(monomer)를 포함하는 액정재료를 2개의 기판 사이에 주입한 후, 소정의 차광 패턴이 배치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여 감광성 모노머를 경화시켜, 셀구분용 격벽과 함께 패널 외곽에 실링기능을 가지는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표시패널의 베젤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곽 지지 격벽 외부의 실링영역 중 일부를 패널 내에 잔존시킴으로써 기판간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패널의 사양, 필요한 기판 접착력, 베젤의 크기 등의 요구조건에 따라, 폴리머 형태의 외곽 지지 격벽 이외에, 셀구분 격벽 및 패널내의 잔존 실링영역의 존재여부, 크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정 표시패널의 생산에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반적인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단위 액정표시패널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 제조과정에서의 표시패널 단면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단위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격벽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마스크가 사용되는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패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다.
도 2의 (a)와 같이, 일반적으로 액정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와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어레이 기판으로서의 제1기판(11)을 형성한 후, 실 디스펜서(Seal Dispenser)를 이용하여 그 상부에 단위 표시패널별로 구분하기 위한 실런트(Sealant; 20)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도 2의 (b)과 같이 표시패널 내부에 액정을 주입한 후 그 위에 컬러필터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12)을 정렬하여 합착하고, 가열 또는 자외광(UV) 조사 등을 이용하여 실런트를 경화시킨다. 즉, 실런트 재료가 광경화성 재료이면 전술한 실런트 경화 단계에서는 자외선 광과 같은 빛을 조사하고, 실런트 재료가 열경화성 재료이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실런트 영역을 가열하게 된다.
이후, 실런트 영역 주위의 기판을 스크라이빙(Scribing)하고 브레이킹(Breaking)함으로써 단위 표시패널별로 절단하게 된다. (도 2의 (c))
도 3은 일반적인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단위 액정표시패널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과 같이, 도 2와 같은 공정으로 완성된 단위 액정표시패널은 하부기판으로서의 어레이기판(310)과 상부기판으로서의 컬러필터 기판(340)이 합착되어 형성된다.
양 기판은 표시패널의 외곽부에 형성된 실링영역(330)에 의하여 합착되어 있으며, 양 기판 사이에는 액정재료가 주입된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레이기판(310)과 컬러필터기판(340)의 일부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어레이기판(310) 상의 표시영역의 내면으로는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데이터배선(미도시)이 교차하여 화소(P)가 정의되는데, 이들 각 화소(P)에는 화소전극(324)이 형성된다.
또한 이들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데이터배선(미도시)의 교차지점에는 게이트전극(312), 게이트절연막(314), 반도체층(316), 소스 및 드레인전극(318, 320), 보호층(322)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반도체층(316)은 순수 비정질 실리콘의 액티브층과 불순물을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의 오믹콘택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박막트랜지스터(T)는 도면에서는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을 예로써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써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을 포함하여 탑 게이트(top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컬러필터기판(340)과 동일 또는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어레이기판(310)의 비표시영역(NA)에는 게이트 및 데이터배선(미도시)과 연결되는 게이트링크배선(362) 및 데이터링크배선(미도시)과 게이트 패드 전극(364) 및 데이터 패드 전극, 게이트 및 데이터 패드 단자 전극 등이 구비되는 게이트 및 데이터패드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어레이기판(310)과 마주보는 컬러필터기판(340)의 내면으로는 박막트랜지스터(T) 및 게이트배선(미도시)과 데이터배선(미도시)을 비롯하여 화소전극(324)의 가장자리와 같이 액정구동과 무관한 비표시영역을 가리면서 화소전극(324) 만을 노출시키도록 화소(P)를 둘러싸는 격자 형상의 차광막으로서의 블랙 매트릭스(342)가 구비된다.
블랙매트릭스(342)의 격자 내부에서 각 화소(P)에 대응되게 순차적으로 반복 배열되는 다수의 컬러필터(344)들, 더 구체적으로 R(red), G(green), B(blue) 컬러필터(133)이 배치되며, 이들 블랙매트릭스(342)와 컬러필터(344)를 덮으며 공통전극(34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레이기판(310)과 컬러필터기판(340)의 가장자리로는 실런트가 도포되어 액정층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실런트란 에폭시수지와 경화촉진제 등이 혼합된 고분자 혼합물로서, 가열 내지는 UV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두 기판(310, 340)의 합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접착제 역할의 실링영역(330)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양 기판의 합착을 위하여 표시패널 외곽의 비표시영역을 둘러싸는 실링영역(330)을 이용하게 되면, 도 3의 “S”와 같이 실링영역(330)이 비교적 넓게 형성되며 따라서 표시패널의 비표시 가장자리 영역인 베젤(bezel)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 모바일 기기등에 사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이나 대형 TV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등 모든 종류의 표시패널에서 가장자리 비표시 영역인 베젤의 크기가 작은 형태가 선호되고 있으며, 도 2 및 3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되는 표시패널의 경우 이러한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힘들어진다.
즉, 셀 외곽에 실런트를 도포하여 경화하는 방식은 실링 영역의 선폭으로 인하여 내로우 베젤 구현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실런트 도포시 퍼짐 현상이 발생하고, 양 기판을 합착할 때 실런트가 눌려서 퍼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므로 실링영역의 폭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으며, 상하 기판가 최소한의 접착력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최소한의 선폭을 가지는 실링영역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최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같이 휨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는 바,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유리와 같은 강성 재료의 기판 대신 플라스틱과 같은 휨 특성을 가지는 기판을 사용하게 되며, 이런 경우 종래의 고정식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기판 사이의 합착 방식이나 합착 강도에 대한 다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좁은 베젤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실런트 재료에 의한 기판 합착 방식을 대체하거나 그에 추가하여, 감광 경화 특성을 가지는 모노머(Monomer;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는 액정 혼합 재료를 양 기판 사이에 주입한 후 광경화시킴으로써 셀구분 격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양 기판의 합착기능을 가지는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과 그에 의하여 제조된 액정 표시패널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 제조방법은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410)와,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각 단위 표시패널 가장자리 영역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S420)와, 실런트 도포 영역 내부의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감광 경화 특성을 가지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 혼합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S430)와, 실런트를 경화하여 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실런트 경화 단계(S450)와,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되는 모노머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실링 영역 내측에서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 지지부를 형성하는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는 모노머 경화단계(S460)와, 실링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거되도록 절단하여 외곽 지지 격벽을 포함하는 단위 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S4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액정 혼합 재료는 일반 액정 재료 이외에 특정 광, 예를 들면 자외광(UV)에 노출시 경화되는 특성(감광 경화 특성)을 가지는 모노머(Monomer) 또는 단량체 성분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모노머가 액정 재료와 함께 중합 반응을 시작하기 위한 광개시제 또는 광촉매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액정 혼합 재료는 일반 액정 재료 80~90 중량%, 감광 경화 특성의 모노머 10~20중량% 및 광개시제(광촉매) 0.1~0.4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액정 재료에 대한 모노머의 조성비는 외곽 지지 격벽 형성의 면적비 및 격벽 형성 균일도 등에 따라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반 액정물질은 네마틱(Nematic) 액정 재료고, 감광 경화 모노머는 감광성 단량체(Reactive Mesogen)라 불리는 것으로서 일반 액정재료와 유사한 물질이면서, 빛에 반응하여 경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감광 경화 모노머는 액정물질과 상분리를 일으키면서 소정 주파수의 자외선 등에 노출된 경우 폴리머(중합체)화되어 경화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한 특정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불소치환된 아크릴말단, 스티렌말단 및 말레이미드 말단의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또는 그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감광 경화 모노머는 경화시 일정 정도 이상의 균일성(Uniformity), 강도(hardness), 가교도 및 접착력 특성을 가지는 물질인 한 특별한 제한은 없을 것이다.
또는 감광 경화 모노머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가지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 단량체 또는 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감광 경화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화합물일 수 있고, 일 예로서, EHA(ethylhexyl acrylate), 트라이메틸 아크릴레이트(trimethylhexyl acrylate), 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ethoxylethyl acrylate), 아이소부틸 아크릴레이트(isobutyl acrylate),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 아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isodecyl acrylate),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octadecyl acrylate), 터트 부틸 아크릴레이트(tert-buthyl acrylate) ,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hyl acrylate), 로울리 아크릴레이트(lauryl acrylate), 로울리 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펜타플루오로프로필 아크릴레이트(pentafluoropropyl acrylate), 헥사플루오로아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hexafluoroisopropyl acrylate), 트라이플루오로에틸 아크릴레이트(trifluoroethyl acrylate), 비스페놀 에이 다이메틸 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dimeth acrylate), 비스페놀 에이 프로폭실레이트 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propoxylate diacrylate), 트라이메틸프로판 프록실레이트 트라이아크릴레이트(trimethylpropane propoxylate triAcrylate), 트라이메틸헥실 아크릴레이트(trimethylhexyl acryl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광개시제(Photoinitiator) 또는 광촉매는 광반응하여 모노머의 상분리를 촉진하며 격벽의 중합도 및 반응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촉매물질로서, 광 개시제는, Darcour 4265(
Figure pat00001
), Darcour 1173(
Figure pat00002
), Darcour BP(
Figure pat00003
), Diphenyl(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 Darcour MBF(
Figure pat00004
), IRGACURE 907(
Figure pat00005
)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노머 경화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필터 중 일부를 덮는 차폐 패턴을 포함하는 추가 마스크(Mask)를 하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마스크는 컬러필터를 통하여 광이 일부 투과되어 격벽 이외의 공간에 불완전 경화체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에 대해서는 도 7을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런트는 종래의 일반적인 실런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광(UV)에 의하여 경화되는 감광성 경화물질일 수 있다. 또한 실런트 경화 단계를 위한 광 조사 공정은 주파수 약365nm의 자외선 광을 60~120mW/cm2의 강도로 30~50초 정도 조사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모노머 경화단계는 상분리 및 모노머 응집을 위한 1차 경화 단계와, 외곽 지지 격벽이 필요한 물성, 즉, 일정 정도 이상의 강도(Hardness), 가교력 또는 접착력 등의 물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한 2차 경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1차 경화 단계와 2차 경화 단계 사이에는 일정한 기간의 대기시간을 둘 수 있으며, 2차 경화 단계에서의 2차 광조사 강도 및 2차 광조사 시간이 상기 1차 경화 단계의 1차 광조사 강도 및 1차 광조사 시간보다 2배 이상 더 크도록 할 수 있다.
1차 및 2차 경화 단계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분리 및 모노머 응집을 위한 1차 경화 단계는 300~400nm의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약365nm 주파수의 자외선 광을 5~10 mW/cm2, 바람직하게는 8.5 mW/cm2의 1차 광조사 강도로, 7~12분, 바람직하게는 약10분의 1차 광조사 시간동안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1차 경화 단계 이후에 약9~15시간 정도의 대기시간이 경화한 후에 2차 경화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외곽 지지 격벽이 필요한 물성(강도, 가교력 또는 접착력) 완성을 위한 2차 경화 단계는 300~400nm의 주파수, 바람직하게는 약365nm 주파수의 자외선 광을 20~40 mW/cm2, 바람직하게는 약 30mW/cm2의 2차 광조사 강도로, 15~25분, 바람직하게는 약20분 정도의 2차 광조사 시간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2차 경화 단계에서 총 조사되는 광에너지가 30~40J(Joule)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머 경화 단계에서는 액정 혼합 재료 내에 포함된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되어 전술한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각 화소 또는 화소내의 색상별 서브화소를 구분하기 위한 셀구분 격벽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셀구분 격벽 또는 외곽 지지 격벽을 특정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모노머 경화를 위한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컬러필터 기판에 포함된 블랙매트릭스 패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마스크를 추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 제조과정에서의 표시패널 단면도를 시계열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a)는 도 4의 S410 내지 S450의 실런트 경화 단계까지 수행한 이후의 단면을 도시하는 바, 실런트 경화 단계까지 수행되고 나면 하부기판 또는 제1기판으로서의 어레이 기판(510)이 배치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블랙매트릭스 패턴(552, 554)과 다수의 컬러필터(556, 557, 558)를 포함하는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 기판(550)이 배치되며,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실런트가 경화되어 형성된 실링영역(590)이 배치된다.
한편,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의 형성단계(S410), 단위 표시패널로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S420), 감광 경화 모노머 포함 액저어 혼합 재료 주입 공정(S430), 기판 합착(S440) 및 실런트 경화 단계(S450) 등은 기존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레이 기판(510)과 컬러필터 기판(550) 및 실링영역(590)으로 둘러싸인 밀폐 영역에는 감광 경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 혼합 재료층(570)이 형성된다.
한편, 어레이 기판(510)에는 각 화소 또는 각 화소에 포함되는 컬러별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배선 등과 같은 불투명 금속 패턴(512)이 형성되며, 컬러필터 기판(550)에는 화소 또는 서브화소를 구분하여 빛샘을 방지하기 위한 광차단 패턴으로서 다수의 블랙매트릭스 패턴이 포함되어 있다.
블랙 매트릭스 패턴은 각 (서브) 화소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셀구분 블랙매트릭스 패턴(554)과 표시패널의 최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비표시영역에 배치되는 최외곽 블랙매트릭스(55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랙매트릭스 패턴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서브 화소별로 특정 색상의 컬러 필터(556~558)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필터는 예를 들면 R(Red) 컬러필터, G(Green) 컬러필터, B(blue) 컬러필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설명에서는 R 컬러필터(556), G 컬러필터(557), B 컬러필터(558)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한편, 블랙매트릭스 패턴들(552, 554)에는 아래 설명되는 모노머 경화를 위한 광이 투과할 수 있는 개구 슬롯부(553, 553’)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 슬롯부를 통해 입사된 광에 의하여 모노머(단량체)가 폴리머(Polymer; 중합체)로 경화됨으로써 셀구분 격벽(5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552)은 실링영역(590)까지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실링영역(590) 및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552) 사이로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외곽 지지 격벽(580)이 형성된다.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기 위하여 모노머 경화단계가 도 5의 (b)에 도시된다.
도 5의 (b)와 같은 모노머 경화단계에서는 컬러필터 기판 방향에서 전술한 1차 경화 단계 및 2차 경화 단계에 따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며, 셀구분 격벽(572) 및 외곽 지지 격벽(580)을 형성하기 위하여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들(552, 554)을 광차단 패턴으로 이용하는 것에 추가하여, 컬러필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별도의 마스크(560)를 이용할 수 있다.
마스크(560)는 기판(562)과 기판 상에 형성된 광차단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차단 패턴은 컬러필터 기판(550) 상의 블랙매트릭스 패턴들(552, 554)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되, 컬러필터 기판의 컬러필터 영역을 광차단하는 컬러필터 차단패턴도 동시에 형성된다.
즉, 마스크(560)는 컬러필터 기판(550)의 최외곽 블랙매트릭스(552)와 대응되는 영역을 차폐하는 제1차폐부(564)와, 컬러필터 기판의 셀구분 블랙매트릭스(554)의 일부와 컬러필터(556~558) 영역을 동시에 차폐하는 제2차폐부(56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차폐부와 제2차폐부 사이에는 셀구분 격벽(572) 형성을 위한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컬러필터 기판(550)의 개구 슬롯부(553)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노머 경화를 위하여 자외선 광을 선별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들 이외에 별도의 마스크(560)를 이용하는 것은, 컬러필터 영역이 색상에 따라서 일부 광을 투과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격벽 이외에 불필요한 불완전 경화체가 액정 층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컬러필터 기판(550)의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552) 및 별도 마스크(560)의 제1차폐부(564)가 실링영역(590)까지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실링영역(590) 및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552) 사이로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외곽 지지 격벽(58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과 마스크(560)의 차폐부에 형성된 개구 슬롯부(553) 및 개구부를 통하여 입사되는 자외선 광에 의하여 모노머가 경화됨으로써 셀구분 격벽(572)가 형성된다.
한편, 이때 어레이 기판(510) 상에 형성된 불투명 금속 패턴(512)은 블랙매트릭스의 개구 슬롯부(553)의 직하방에 형성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셀구분 격벽(572)이 불투명 금속 패턴(5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불투명 금속 패턴(512)이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으로부터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블랙매트릭스에 형성된 개구 슬롯부(553)을 통한 상부로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b)의 모노너 경화 과정을 통해서 셀구분 격벽(572) 및 외곽 지지 격벽(580)이 형성된 이후, 도 5의 (c)와 같이 실링영역(590)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을 스크라이빙(Scribing) 및 브레이킹(Breaking)하여 절단(Cutting)하여 제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 때, 도 5의 (c)와 같이, 실링영역(590)의 전부가 제거되도록 절단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영역(590)의 일부분이 표시패널 내에 잔존할 수 있도록, 실링영역 내부에 커팅 라인(Cutting Line)을 둘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모노머 경화 과정에 의하여 폴리머 격벽형태로 형성된 외곽 지지 격벽(580)은 각 단위 표시패널의 상하 기판 사이의 지지체 역할 및 접착구조 역할을 함으로써 실링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결과적으로 내로우 베젤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함께 형성되는 셀구분 격벽(572)은 각 화소 또는 각 서브화소 영역을 구분하는 기능을 가짐은 물론, 양 기판의 지지체 및 접착구조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외곽 지지 격벽의 폭을 최소화하더라도 충분한 기판간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물론, 외곽 지지 격벽 외부의 실링영역(590) 전부를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의 실링영역을 잔존시킴으로써 기판간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패널의 사양, 필요한 기판 접착력, 베젤의 크기 등의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실링영역(590) 및 외곽 지지 격벽(580)의 존재여부, 크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정 표시패널의 생산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단위 표시패널의 단면도이다.
단위 표시패널은 어레이기판(510) 및 컬러필터기판(550)과, 그 사이에 형성된 기판간 지지체 및 접합구조로서의 외곽 지지 격벽(580)을 포함하며, 이러한 외곽 지지 격벽은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된 감광 경화 모노머의 경화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패널은 다수의 화소영역과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510)과, 블랙매트릭스(552, 554) 및 다수의 컬러필터(556, 557, 558)를 포함하고 어레이 기판(510)과 합착되는 컬러필터 기판(550)과,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감광 경화 모노머 포함 액정 재료층(570)과,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서 양 기판에 합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외곽 지지 격벽(5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곽 지지 격벽(580) 이외에 역시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된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셀구분 격벽(57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들(552, 554)에는 셀구분 지지 격벽(572) 형성을 위하여 모노머 경화용 자외선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된 1 이상의 개구 슬롯부(5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의하여 제조된 단위 표시패널은 패널의 가장자리에 얇은 폭을 가지는 외곽 지지 격벽(580)이 형성되어 양 기판 사이의 지지력 및 접착력을 유지하게 되고, 추가로 표시영역에도 모노머가 경화된 셀구분 지지 격벽(572)이 양 기판 사이의 지지력을 증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표시패널의 내로우 베젤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격벽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마스크가 사용되는 매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어레이기판(510)과 컬러필터 기판(550) 및 그 사이의 실링영역(590)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감광 경화 모노머가 포함된 액정 혼합 재료를 주입한 후,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들만을 모노머 경화용 광차단부로 이용하여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즉, 도 7의 (a)는 별도의 마스크(560) 없이 모노머 경화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은 각 컬러필터 영역에서는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모노머 경화용 자외광(UV)이 컬러필터 영역, 즉 R 컬러필터(556), G 컬러필터(557) 및 B 컬러필터(558)에도 조사된다.
그런데, 컬러필터는 광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광을 투과하게 되며, 색상별로 광투과율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적색(R) 및 청색(B) 컬러필터의 경우 녹색(G) 컬러필터에 비해서 광투과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더 많은 광을 통과시키게 되는데, 통상 365nm의 자외광에 대한 R, G, B 컬러필터의 광투과율은 각각 약8.38%, 약0.55%, 약7.38%정도이다.
즉, G 컬러필터(557)의 경우에는 자외선 광을 거의 차단하는 반면, R 컬러필터(556) 및 B 컬러필터(558)의 경우 자외선 광의 일부가 액정 층으로 투과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G 컬러필터(557) 하부 액정 층과는 달리, R 컬러필터(556) 및 B 컬러필터(558)의 하부 액정 층에는 일부 모노머가 불완전하게 경화된 불완전 경화체(574)가 다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불완전 경화체는 액정 표시장치의 개구율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의 (b)와 같이 컬러필터 기판(550) 상부에 추가적인 마스크(560)를 배치한 후 모노머 경화를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마스크(560)는 기본적으로 모든 화소의 컬러필터 영역을 차단하는 차폐패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b)에서는 마스크(560)가 컬러필터 영역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566)와 컬러필터 기판(550)의 최외곽 블랙매트릭스(552)에 대응되는 영역을 차폐하는 제1차폐부(56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마스크(560)가 이러한 제1 및 제2차폐부를 모두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컬러필터 영역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는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며, 특히 제2차폐부(566)는 모든 색상의 컬러필터 영역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광투과율이 일정 값 이상인 컬러필터 영역, 예를 들면, R 컬러필터 및 B 컬러필터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컬러필터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하는 추가적인 마스크(560)를 이용하게 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모노머 경화 과정에서 불완전 경화체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모노머 경화 과정 이후에, 커팅 과정에서 외곽 지지 격벽(580) 외측에 형성된 실링영역(590)을 모두 제거하였으나,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실링영역(590)의 일부 영역을 잔존하도록 한다.
즉, 도 8의 (a)에서와 같이, 모노머 경화 단계를 거친 후 단위 표시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대기판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커팅 라인을 실링영역(59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실링영역 중 일부인 제1실링영역(590’)은 표시패널에 잔존하도록 하고, 제2실링영역(590”)을 제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서는, 도 8의 (b)와 같이, 제조된 단위 표시패널이 맨 가장자리에는 얇은 폭의 제1실링영역(590’)이 있고, 그 내측으로 모노머가 경화되어 형성된 외곽 지지 격벽(580)이 배치된다. 이로써, 양 기판 사이의 지지력 또는 접착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곽 지지 격벽 외부의 실링영역(590)의 일부가 잔존하도록 절단함으로써 기판간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패널의 사양, 필요한 기판 접착력, 베젤의 크기 등의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실링영역(590) 및 외곽 지지 격벽(580)의 존재여부, 크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정 표시패널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도시한다.
이전까지의 실시예에서는 모두 외곽 지지 격벽(580) 이외에 각 화소 또는 서브화소 사이에 형성되는 셀구분 격벽(572)를 포함하지만,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셀구분 격벽 없이 표시패널 가장자리의 외곽 지지 격벽(580)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각 화소 또는 서브화소 사이에 형성되는 셀구분 격벽(572)이 양 기판 사이의 지지력 또는 접착력을 증대시키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만일 양 기판사이에 요구되는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외곽 지지 격벽(580)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컬러필터 기판(550)의 블랙매트릭스 패턴에 형성되는 개구 슬롯부(도 6의 553)가 없으며, 추가적인 마스크(560)에도 셀구분 격벽 형성을 위한 슬롯부 또는 개구부가 없이 컬러필터 영역 전체를 차폐하는 차폐부(568)가 넓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9의 (a) 참고)
또한, 도 9의 (b)와 같이 마스크(560)의 차폐부(568)가 컬러필터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고, 광투과율이 높아서 불완전 경화체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는 컬러필터 영역에만 차폐부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의 (b)에서는 상대적으로 광투과율이 높은 R 컬러필터 및 B 컬러필터 영역에만 차폐부(568)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 경화 특성을 가지는 모노머가 포함된 액정 혼합 재료를 이용하고, 일정 조건 및 특정 영역에 대한 자외선 광 조사를 통한 모노머 경화 과정에 의하여 폴리머 격벽형태로 형성된 외곽 지지 격벽을 표시패널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단위 표시패널의 상하 기판 사이의 지지체 역할 및 접착구조 역할을 함으로써 실링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거하여 결과적으로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외곽 지지 격벽과 함께 셀구분 격벽을 추가로 형성하여 양 기판의 지지체 및 접착구조로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외곽 지지 격벽의 폭을 최소화하더라도 충분한 기판간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외곽 지지 격벽 외부의 실링영역 중 일부를 패널 내에 잔존시킴으로써 기판간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패널의 사양, 필요한 기판 접착력, 베젤의 크기 등의 요구조건에 따라, 폴리머 형태의 외곽 지지 격벽 이외에, 셀구분 격벽 및 패널내의 잔존 실링영역의 존재여부, 크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액정 표시패널의 생산에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10 : 어레이 기판 512 : 불투명 금속 패턴
550 : 컬러필터 기판 552, 554 : 블랙매트릭스 (패턴)
553 : 개구 슬롯부 556, 557, 558 : 컬러필터(C/F)
560 : 마스크(mask) 564, 566 : 제1, 2 차폐부
570 : 감광 경화 모노머 포함 액정 재료층
572 : 셀구분 격벽 580 : 외곽 지지 격벽
590 : 실링영역

Claims (10)

  1.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각 단위 표시패널 가장자리 영역에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도포 영역 내부의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감광 경화 모노머를 포함하는 액정 혼합 재료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를 경화하여 실링영역을 형성하는 실런트 경화 단계;
    상기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되는 모노머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실링 영역 내측에서 비표시영역의 가장자리 지지부인 외곽 지지 격벽을 형성하는 모노머 경화단계;
    상기 실링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가 제거되도록 절단하여 외곽 지지 격벽을 포함하는 단위 표시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경화단계는 상분리 및 모노머 응집을 위한 1차 경화 단계와, 외곽 지지 격벽의 물성을 완성하기 위한 2차 경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경화 단계에서의 2차 광조사 강도 및 2차 광조사 시간이 상기 1차 경화 단계의 1차 광조사 강도 및 1차 광조사 시간보다 2배 이상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 경화단계 이전에 상기 컬러필터 중 일부 영역을 광차단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추가 마스크(Mask)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 기판의 블랙매트릭스는 각 화소를 구분하기 위한 셀구분 블랙매트릭스 패턴과 상기 외곽 지지 격벽 형성을 위한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셀구분 블랙매트릭스 패턴에는 셀구분 격벽 형성을 위한 개구 슬롯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은 상기 실링영역까지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실링영역 및 상기 최외곽 블랙매트릭스 패턴 사이로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상기 외곽 지지 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8. 상기 액정 혼합 재료는 일반 액정 재료 80~90 중량%, 감광 경화 특성의 모노머 10~20 중량% 및 광개시제(광촉매) 0.1~0.4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패널 제조방법.
  9. 다수의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블랙매트릭스 및 다수의 컬러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기판과 합착되는 컬러필터 기판; 및,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에서 양 기판에 합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 혼합 재료에 포함된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외곽 지지 격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는 각 화소 또는 셀 사이에 있는 감광 경화 모노머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되는 셀구분 격벽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패널.
KR1020140017803A 2014-02-17 2014-02-17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51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03A KR102151482B1 (ko) 2014-02-17 2014-02-17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03A KR102151482B1 (ko) 2014-02-17 2014-02-17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916A true KR20150096916A (ko) 2015-08-26
KR102151482B1 KR102151482B1 (ko) 2020-09-03

Family

ID=5405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03A KR102151482B1 (ko) 2014-02-17 2014-02-17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916A (ko) * 2015-08-31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WO2018033131A1 (zh) * 2016-08-19 2018-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5061315A (zh) * 2022-06-30 2022-09-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917885B2 (en) 2020-05-11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isplay device including quantum dot filter layer for improved color purit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928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928A (ko) * 2002-11-20 2004-05-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916A (ko) * 2015-08-31 2017-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WO2018033131A1 (zh) * 2016-08-19 2018-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US10551683B2 (en) 2016-08-19 2020-02-0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917885B2 (en) 2020-05-11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isplay device including quantum dot filter layer for improved color purit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061315A (zh) * 2022-06-30 2022-09-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061315B (zh) * 2022-06-30 2024-01-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482B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897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15232656A (ja) 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9081234B2 (en) Liquid crystal panel
JP2005202352A (ja)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JP2010186068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7838196B2 (en) Resist for soft mold and 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2151482B1 (ko) 액정 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2164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676543A (zh) 用于制造液晶显示设备的方法
US10139683B2 (en) Method of cut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6526999B (zh) 一种液晶显示面板、基板及液晶显示器
US20120281170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producing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1051626A1 (zh) 液晶显示面板及制造方法
JP200813955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90230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CN110196508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891322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92773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WO2017038670A1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
KR20150084566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204787B1 (ko) 고강도 컬럼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JP2007264102A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218884A1 (zh) 液晶面板及其制造方法、液晶显示器
KR102029436B1 (ko) 접착제,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5432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