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653A -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653A
KR20150096653A KR1020157013964A KR20157013964A KR20150096653A KR 20150096653 A KR20150096653 A KR 20150096653A KR 1020157013964 A KR1020157013964 A KR 1020157013964A KR 20157013964 A KR20157013964 A KR 20157013964A KR 20150096653 A KR20150096653 A KR 2015009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arty
location
rout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홍범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8Rendez-vous, i.e. searching a destination where several users can meet, and the routes to this destination for these users; Ride sharing, i.e. searching a route such that at least two users can share a vehicle for at least part of the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1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CALCULATING ROUTE, AND METHOD OR DEVICE FOR OBTAINING ROUTE}
본 발명은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 경로를 획득하는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서버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 또는 그를 위한 단말과, 상기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또는 그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네비게이션 단말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의 연결을 통해 현재 위치, 즉 출발지를 검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여행의 목적지를 입력받아 단말기 자체에서 경로를 계산하는 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과 성능 향상으로 이동통신망에서 PNDs(Personal Navigation Devices)를 이용해 교통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경로 정보, 경로 관련 실시간 교통 정보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제공되는 가운데, OMA(Open Mobile Alliance) 표준화 단체에서는 기존의 방송형태로 정보가 제공되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망에서 TPEG(Traffic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망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서 실시간 교통 정보를 P2P(Peer-to-Peer)로 전달하는 다이내믹 네비게이션 인에이블러(Dynamic Navigation Enabler, DynNav)를 표준화하고 있다. 해당 표준에서는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단말과 서비스의 형태를 크게 두 가지로 보고 있다.
첫 번째는 복잡한 경로 계산을 스마트폰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지 않고, 교통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수행하고 해당 경로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형태이다. 두 번째는 스마트폰의 성능 향상으로 경로 계산을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수행하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모뎀을 장착한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경로 계산을 하는 경우로서 경로 정보를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가 전달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계산한 경로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면 상기 경로와 관련된 실시간 교통 정보만을 기존의 방송의 형태가 아닌 IP 기반의 P2P 로 상기 서버로부터 맞춤형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형태이다.
도 1 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한 구분을 나타내고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는 DMB 와 같은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TPEG 기반의 교통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는 형태(110), 이동통신망 또는 Wi-Fi 와 같이 IP 기반으로 교통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하는 형태(120), 그리고 다른 통신 매체와 연결 없이 GPS 와 연결을 통해 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130)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OMA LOC WG 에서 현재 표준화 중인 DynNav 는 위의 구분에서 IP 기반의 교통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120)에 속하며, 좀더 상세하게는 P2P 형태로 전달하는 구분에 속하며, DynNav 에서는 네비게이션 장치를 아래와 같이 2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스마트 ND(Smart ND, 122): 스스로 경로 계산이 가능하여, DynNav 서버를 통해서 경로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실시간 교통 정보만을 요청하는 장치
2. 경량 ND(Lightweight ND, 121): 스스로 경로 계산이 불가능하여, DynNav 서버를 통해 경로 정보를 포함한 모든 실시간 교통 정보를 요청하는 장치
종래의 DynNav 시스템에서는 해당 교통 정보를 요청하고 전달하는 과정을 RESTful 기반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경로 정보 형식을 사용하고, 각 정보 형식은 XSD(XML Schema Definition)으로 정의가 가능하다.
1) Trip Structure(트립 구조): 최초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경로 설정을 위한 전달된 정보로써 기본적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와 같은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정보를 서버에 전달한다. 트립 구조는 다수의 경로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2) Route Structure (경로 구조): 트립 구조를 통해 계산된 전체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경로 구조는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표현된다.
[표 2]
Figure pct00005
3) Segment Structure: 각 세그먼트를 표현하는 구조체로 각 세그먼트의 길이 뿐만 아니라 해당 세그먼트에 해당되는 실시간 교통 상황을 (TPEG)의 표현 기반으로 정의할 수 있다.
[표 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도 2 는 종래 DynNav 시스템에서 스마트 ND(Smart ND)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스마트 ND 는 단말 자체의 성능이 경로 계산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의한 여행(Trip) 정보를 기반으로 자체 경로 계산을 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대표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스마트 ND 가 Trip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
2. 스마트 ND 는 계산된 경로를 서버에 전달하고, 서버는 해당 경로의 실시간 교통 상황을 전달
3. 스마트 ND 는 서버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 통보(Notification)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전달한 경로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입
도 2 에 도시된 흐름도의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용자는 여행 파라미터(journey parameter)들을 정의하고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파라미터들을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생성된 "트립(trip)" 리소스의 위치로 응답한다(The server replies with the location of the created "trip" resource to the application).
a) 상기 서버는 생성된 "트립" 리소스의 표현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활용 경우에서 행동들은 동등하다(In this use case behaviors are equivalent).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 /{tripId}/ routes 에 상기 계산된 경로를 업로드한다. 상기 서버는 퍼포먼스 파라미터들 및 트래픽 이벤트들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하는, "경로(route)" 리소스의 표현으로 응답할 수 있다.
a) 상기 서버는 트래픽 정보(퍼포먼스 파라미터들 및 트래픽 이벤트들)로 응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추가적인 get 동작이 리소스의 내용을 검색(retrieve)하기 위해 필요하다.
3.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트립 및 경로에 대한 통지 서비스에 가입한다(subscribe).
4. 트래픽 이벤트들 및/또는 퍼포먼스 파라미터들의 변경들이 상기 가입된 경로(들)에 대해 발생한다; 통지 리소스가 생성된다.
5. 상기 서버는 갱신된 퍼포먼스 파라미터들 및 트래픽 정보를 포함한 트립 및 경로를 포함한, 상기 변경된 리소스들에 대한 링크들을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으로 통지 리소스를 전달한다.
6.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갱신된 리소스들에 액세스하고 상기 리소스들을 읽는다.
7.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경로를 계산하기로 결정한다.
8.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리소스 /{tripId}/routes 에 새롭게 계산된 경로를 업로드한다. 상기 서버는 경로 퍼포먼스들 및 이벤트들에 대한 링크들을 포함하는, "경로" 리소스의 표현으로 응답한다. 이 단계는 퍼포먼스 제약을 만족하는 경로가 찾아질 때까지 수회 반복될 수 있다.
9.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새롭게 가입된 경로에 대한 통지를 추가하는 가입 설정(subscription setting)을 변경하도록 요청한다.
도 3 은 도 2 에서 설명된 스마트 ND 의 동작을 목적지가 제 3 의 단말(즉, 목적 단말, 34)인 경우에 동작을 도시한다.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수행하기 전 실제로 네비게이션 단말(즉, 소스 단말, 31)과 위치 서버(33)간에 빠른 GPS 접속 및 추가 지원 정보를 위해 위치 정보 전달 프로토콜을 이용해 측위 도움 정보(A/D; Assistance Data)를 상기 소스 단말과 위치 서버간 공유한다.
S301: 소스 단말(31)이 목적 단말(34)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해당 과정에서 상기 목적 단말을 명시할 때는 목적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 ID)를 사용한다. 여기서 해당 식별자는 IPv4, IPv6, MSISDN, IMSI 등의 단말의 글로벌하게(globally) 고유한 값이 사용된다.
S302: 상기 소스 단말은 상기 명시한 목적 단말의 식별자 값을 전달하여 교통 정보 서버(32)에게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것임을 명시한다. 해당 과정에서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소스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게 전달한다.
S303: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 활용 및 서비스 진행에 대한 동의를 상기 목적 단말에게 문의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수락한다. 해당 과정에서 목적 단말이 요청을 수락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는 수행되지 않는다.
S304: S303 에서 상기 목적 단말이 서비스 수행을 수락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시작된다.
S305: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위치 서버(33)를 통해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
S306: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교통 정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S307: 위치 서버는 S306 에서 획득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한다.
S308: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S307 에서 획득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소스 단말에 전달한다. 이에 동시에 부분 교통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부분 교통 정보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상기 S302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이 전달한 상기 소스 단말의 위치와 S307 에서 상기 위치 서버가 전달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출발지 근처 (일정 반경 이내)에는 상세 교통 정보(Performance Parameter)와 상기 출발지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교통 이벤트 정보(Traffic Event)를 전달한다.
S309: S308 에서 수신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와 상기 부분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단말은 최적의 경로를 계산한다.
S310: 상기 소스 단말은 S309 에서 획득한 경로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등록한다.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등록하는 이유는, 상기 소스 단말이 등록된 경로를 기반으로 현재 교통 상황과 추가적으로 상기 등록된 경로를 기반으로 해당 경로의 교통 상황 변화(즉, 교통 정보 = 상세 교통 정보 + 교통 이벤트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기 위해서이다.
S311: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등록된 경로 정보에 현재 교통 상황을 상기 소스 단말에게 전달한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상기 소스 단말이 해당 경로에 대한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다. 기본적으로 S308 에서 경로 내 교통 사고나 공사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경로 재계산은 수행되지 않는다.
S312: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지정된 주기 (시간적인 주기)를 기반으로 추적하여 해당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이동한 거리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해당 방식은 서비스의 형태나 구현의 형태의 따라 상이할 수 있다.
S313: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수신된 목적 단말의 위치를 상기 소스 단말에 전달한다.
S314: 상기 소스 단말은 상기 수시된 목적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를 재-계산(또는 재-탐색)한다. 경로를 재-계산한 후에는 상기 S309 으로 돌아가 S309 내지 S314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도 2 및 도 3 과 관련하여 설명한 종래 DynNav 시스템의 스마트 ND 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지정된 주기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의 문제점
시간적 주기로 위치 서버가 목적 단말의 위치를 가져와서 해당 정보를 소스 단말에게 전달하는 경우, 예를 들어, 5 분 단위로 위치 서버가 목적 단말의 위치를 가져온다고 가정하고, 해당 5 분 동안 소스/목적 단말의 위치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고 가정하자. 이런 상황에서 5 분의 주기가 찾아와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상기 소스 단말이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를 재-계산하였을 때, 상기 재-계산된 경로는 기본적으로 기존 경로와 많이 바뀌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경로를 재-계산한 경우로서, 따라서, 데이터 처리 및 송수신에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2) 경로 재-계산을 소스 단말이 결정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
상기 소스 단말은 기본적으로 교통 상황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자신의 위치와 목적 단말의 위치만을 이용하여 경로 재-계산을 결정하며, 이러한 결정 과정은 실제 교통 상황을 좀더 상세히 반영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가 기존의 경로에 없는 경우, 상기 기존의 경로로부터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까지의 교통 상황 정보가 없으므로, 재-계산된 경로는 실제 교통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경로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에 제안된 서비스의 형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즉 경로 재-계산의 비효율성 및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방법은 위치 서버로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 서버로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로서,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 및/또는 목적지의 위치에 기반하여 경로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고,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해결방법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비게이션 장치(또는 응용 프로그램)와 서버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 및 전달을 줄이고,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 및/또는 사용자의 서비스 경험(QoE: Quality of Experience)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 은 네비게이션 장치에 대한 구분을 나타낸다.
도 2 는 종래 DynNav 시스템에서 스마트 ND(Smart ND)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추가로 경로의 목적지가 이동가능한 단말(즉, 목적 단말)인 경우의 스마트 ND(Smart ND)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인 IP 기반의 DynNav 시스템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5 는 TPEG 의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과 관련된 실시예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명세서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대신에 업무를 수행하는 잘-정의되었으나 표준화되지 않은 기능들의 세트의 구현을 의미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요소들 그리고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An implementation of a well-defined but not standardized set of functions that performs work on behalf of the user. It may consist of software and/or hardware elements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s.).
서버(Server)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서버는 요청들에 응답하여 클라이언트들에게 자원들을 제공하는 엔티티에 해당한다(An entity that provides resources to Clients in response to requests.).
클라이언트(Client)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클라이언트는 서비스의 수신자로서 동작하는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다른 엔티티에 해당한다(A device, user agent, or other entity that acts as the receiver of a service.)
DynNav 어플리케이션(DynNav Application)
본 명세서에서 DynNav 는 최적의 경로(들), 실-시간 및 미래에 예상되는 교통 정보 및 보조 데이터를 얻기 위해 DynNav 서버와 상호작용할 책임을 지닌 엔티티에 해당한다(An entity that is in charge of interacting with a DynNav Server to get optimal route(s), real-time and forecasted traffic information and complimentary data.). 따라서, 상기 DynNav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모바일 폰, 네이게이션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단말에 탑재되며,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상기 DynNav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과 상호교환 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DynNav 어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의 일종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DynNav 어플리케이션을 소스 단말 또는 목적 단말, 혹은 그냥 "단말" 이라고 명칭 한다. 소스 단말은 목적 단말 위치 기반 경로 설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을 목적 단말은 해당 서비스에서 목적지가 되는 개체를 의미한다.
DynNav 서버(DynNav Server)
본 명세서에서 DynNav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최적의 경로(들), 실-시간 및 미래에 예상되는 교통 정보 및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책임을 지닌 엔티티에 해당한다(An entity that is in charge of providing to the application optimal route(s), real-time and forecasted traffic information, and complimentary data.).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DynNav 서버는 상기 서버의 일종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DynNav 서버를 "교통 정보 서버" 또는 단순히 "서버" 로 지칭한다.
위치 URI(Location URI)
본 명세서에서, 위치 URI 는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가 특정 위치 서버로부터 획득되도록 하는 URI 에 해당한다(A URI that enables the current location of a device to be obtained from a particular location server using a particular dereferencing protocol.).
네비게이션 디바이스(Navigation Device (ND))
본 명세서에서,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올바른 경로를 보여주는 운전자를 보조하는 엔티티에 해당한다. 이 엔티티는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실-시간 및 예측된 교통 정보를 처리하고 최적의 경로를 동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An entity that, using GNSS service, assists the driver showing correct route to reach the final destination. This entity may process real-time and predicted traffic information and dynamically estimates the optimal route, according to user preferences.)
경량 ND(Lightweight ND)
본 명세서에서, 경량 ND 는 경로 계산을 위한 기능이 없으며, 서버로부터 계산된 경로를 요청 및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로컬 맵 데이터베이스가 이용 가능하지 않으면, 경로 예측 기능들을 위해 그리고 도로 모양(shape) 표현을 검색하기 위해 서버에 액세스하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해당한다(A navigation device that accesses to a server for route estimation functionalities and for retreiving roads shape representation, if not available in a local map database).
스마트 ND(Smart ND)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ND 는 디바이스 자체에서 이용 가능한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경로(들)를 계산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에 해당한다(A navigation device that is able to calculate the route(s), using a roads network database available on the device itself.).
관심 포인트(Point Of Interest; POI)
본 명세서에서, 관심 포인트는 이름, 카테고리, 고유 식별자 또는 시내 주소와 같은 위치들에 관한 정보를 설명한다(POI describes information about locations such as name, category, unique identifier, or civic address.).
세그먼트(Segment)
도로를 구분하는 단위로 일반 도로에서는 교차로와 교차로 사이의 연속된 도로를 세그먼트라 하고, 고속도로에서는 각 고속도로의 정책에 따라 도로를 나누어 세그먼트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세그먼트 단위로 교통의 정체나 통과 시간 등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그먼트를 도로 구간과 상호호환 가능하게 사용한다.
세그먼트 시퀀스(Segment Sequence)
하나 이상의 연속된 세그먼트들의 집합을 지칭한다. 필요에 따라,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세그먼트 시퀀스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세그먼트 시퀀스는 첫 번째 세그먼트의 종료 포인트가 두 번째 세그먼트의 시작 포인트와 동일하다.
폴리라인(Polyline)
본 명세서에서, 폴리라인은 각 세그먼트의 끝 지점들을 특정함으로써 정의된, 하나 이상의 선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그래픽 컴퓨팅에 사용되는 연속 선에 해당한다(A continuous line used in graphic computing composed of one or more line segments, defined by specifying the endpoints of each segment).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 경로 정보는 정의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세그먼트의 집합 및 보조 데이터의 좌표들 정보에 해당한다(Information which coordinates of segment end points and complimentary data from the defined origin and the destination).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 교통 정보는 영역 또는 경로와 관련된 교통 이벤트들 및 네트워크 퍼포먼스 파라미터들로 구성된 정보에 해당한다(Information which consists of traffic events and network performance parameters related to an area or a route.). 또한, 상기 교통 정보는 현재 또는 앞으로 발생할, 즉 미래의 교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이벤트(Traffic Event)
본 명세서에서, 교통 이벤트는 도로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부과되거나 계획된 영역 또는 경로에 관련된 이벤트들(즉, 도로 폐쇄를 유발하는 도로 공사들) 또는 상기 네트워크 운영자의 제어 외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들(즉, 사고들)에 관한 정보에 해당한다(Information regarding events related to an area or a route that are either imposed or planned by the road network operator (i.e. road works leading to lane closures) or events that occur outside the control of the network operator (i.e. accidents)).
네트워크 퍼포먼스 파라미터(Network Performance Parameter)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퍼포먼스 파라미터는 영역 또는 경로에 존재하는 각 세그먼트들의 퍼포먼스 또는 교통 흐름(즉, 속도, 지연 및 소요 시간)에 관한 정보에 해당한다 (Information regarding the performances (i.e. speed, delay and travel time) of road segments related to an area or a route.).
전체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 in Full Format)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모든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경로 정보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경로 정보는 전체 경로를 의미한다.
요약 경로 정보(Route Information in Summarized Format)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모든 세그먼트 중 정보의 요약을 위해 선택된 세그먼트 (선택하는 방식은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는다)만을 포함하는 경로 정보의 한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실시간 교통 정보를 반영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네비게이션 장치가 스스로 경로 계산이 가능하고 이동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는 통신 모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최소한의 통신 대역폭을 사용하여, 실시간 교통 정보에 기반한 경로 계산 및/또는 계산된 경로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활발한 보급과 더불어 기존의 DMB 방송망을 이용하던 형식에서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OMA LOC WG 에서는 위와 같은 서비스를 DynNav(Dynamic Navigation)이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라 함은 경로 안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지칭하며,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는 스마트폰, 모바일폰, 모바일 디바이스, 랩톱, 태블릿 PC, 스마트패드 등 휴대 가능하거나 휴대 가능한 물체에 부착 가능한 모든 전자적 장치를 포함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인 IP 기반의 DynNav 시스템 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장치(Navigation Device, ND), 무선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망,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교통 정보 수집 장치 및 교통 정보 및 경로 정보 제공 서버(DynNav Server) 및 네비게이션 장치의 위치 획득을 위한 보조 데이터(Assistance Data)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위치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표현의 간략함을 위해서, 본 명세서에서 교통 정보 제공 서버 또는 DynNav 서버는 "서버"로 표현하고, 네비게이션 장치는 "단말", "ND" 또는 각 단말의 능력에 따른 "Smart ND"나 "Lightweight ND"라고 표현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위의 언급한 바와 같이 2 개의 단말 형태로 구분 가능함)은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동통신망 또는 Wi-Fi 등의 IP 망과 연결이 가능하며, 경로 안내를 위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접속하여 경로 안내 데이터와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별도로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경로 계산이 자체적으로 가능한 단말은 서버로부터 경로 안내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실시간 교통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간 교통 정보라 함은 DynNav 서버에서 계산되어 단말에 전달되는 최적의 경로 정보, 실시간 및 예측 교통 정보, POI(Point of Interest)와 날씨와 같은 교통과 연관된 부가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표현의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나 단말을 통합하여 단말이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단말", "ND", "Smart ND", "Lightweight ND"와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간 교통 정보는 ISO 표준화 단체에서 추진되고 있는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을 통해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TPEG 이란 디지털방송망을 통해 교통 및 여행정보를 전송하는 표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도 5 에 표현된 것과 같이 TPEG 의 계층 구조는 ISO/OSI Layer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제 3 계층)부터 어플리케이션 계층(제 7 계층)에 대응한다. 네트워크 계층은 TPEG 프레임 동기 및 라우팅을 정의하며, 제 4,5,6 계층의 패킷화 계층에서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스트림으로 병합되고, 각각의 메시지 규격은 응용계층인 제 7 계층에 해당한다. DynNav 에서는 상기 TPEG 의 실시간 교통 정보 표현 방식을 따라 실시간 교통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 될 수 있으며, 별도의 표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 에서 적용되는 단말은 스마트 ND 에 해당한다. 상기 스마트 ND 는 자체적으로 경로를 계산하기 전에 서버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최초 네비게이션 사용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와 같은 여행 구조(Trip Structure)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로를 계산하기 이전에 서버에게 여행 구조를 전송하여 관련 경로상의 교통 정보를 수신한다. 도 6 의 순서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수행하기 전 실제로 네비게이션 단말(즉, 소스 단말 31)과 위치 서버(33)간에 빠른 GPS 접속 및 추가 지원 정보를 위해 위치 정보 전달 프로토콜을 이용해 측위 도움 정보(A/D; Assistance Data)를 상기 소스 단말과 위치 서버간 공유한다.
소스 단말(31)은 목적 단말(34)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서비스(즉, 제 3 자 위치 추적(the 3rd party tracking))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경로의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S601). 해당 과정에서 상기 목적 단말을 명시할 때는 목적 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identifier; ID)를 사용한다. 여기서 해당 식별자는 IPv4, IPv6, MSISDN, IMSI 등의 단말의 글로벌한 고유 값이 사용된다.
상기 소스 단말은 상기 명시한 목적 단말의 식별자 값을 전달하여 교통 정보 서버(32)에게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목적지로 설정하는 서비스를 수행할 것임을 명시할 수 있다(S602). 해당 과정에서 서비스를 위해 상기 소스 단말은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 활용 및 서비스 진행에 대한 동의를 상기 목적 단말에게 문의 요청하고 해당 요청을 수락하는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603). 해당 과정에서 상기 목적 단말이 요청을 수락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는 수행되지 않는다.
S603 에서 상기 목적 단말이 상기 요청을 수락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시작된다(S604).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위치 서버(33)를 통해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605).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교통 정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06). 상기 위치 서버는 S606 에서 획득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607).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S607 에서 획득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정보를 상기 소스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S608). 이와 동시에,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부분 교통 정보를 상기 소스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부분 교통 정보의 의미는 기본적으로 상기 S602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이 전달한 상기 소스 단말의 위치와 S607 에서 상기 위치 서버가 전달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기반으로 출발지 근처(예컨대 출발지에서 일정 반경 이내)에는 상세 교통 정보(Performance Parameter)와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교통 이벤트 정보(Traffic Event)를 전달한다.
S608 에서 수신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와 상기 부분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소스 단말은 최적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S609). 상기 소스 단말은 S609 에서 획득된 경로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S610).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등록하는 이유는, 상기 소스 단말이 등록된 경로를 기반으로 현재 교통 상황과 추가적으로 상기 등록된 경로를 기반으로 해당 경로의 교통 상황 변화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제공받기 위해서이다.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등록된 경로의 현재 교통 상황을 상기 소스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S611).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상기 소스 단말이 해당 경로에 대한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이다. 기본적으로 S608 에서 경로 내 교통 사고나 공사와 같은 정보가 전달되었기 때문에, S611 에 따른 경로 재-계산은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소스 단말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수행한 후, 일정 거리를 이동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612). 상기 소스 단말 스스로 상기 소스 단말이 탑재된 이동체(예컨대, 차량)가 이동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일정 거리를 이동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까지 본 단계를 반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소스 단말이 상기 일정 거리를 운행할 때마다, 본 단계를 포함한 그 이후의 단계들(즉, S613 내지 S618)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또 달리 말하면, S6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후술될 절차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절차일 수 있다.
일정 거리를 이동한 상기 소스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교통 정보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S613). 상기 소스 단말이 자신의 위치를 보고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이미 진행한 경로는 더 이상 관리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즉, S613 에서의 소스 단말의 위치 보고로 인해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서 관리 중인 경로의 크기를 줄여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의 크기를 줄임에 따라 그에 수반된 교통 상황 정보도 줄어들 수 있다.
2. 상기 소스 단말이 일정 거리를 이동하였으므로, 그에 따라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여 추가 경로의 계산과정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소스 단말이 일정 거리를 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목적 단말도 어느 정도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출발지와 목적지의 위치가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상기 소스 단말의 위치 또는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보고 또는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앞서 설명한 상기 소스 단말의 이동 대신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의 이동에 따른 이하의 동작을 고려해볼 수도 있다. 그러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받는 주체는 상기 소스 단말이고, 상기 목적 단말은 시간에 따라 이동을 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소스 단말이 이동하지 않았을 경우엔 적어도 변경되지 않은 상기 소스 단말의 위치에서 이전에 보고된 상기 목적 단말까지의 경로는 그대로 유효하므로, 상기 소스 단말의 이동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하의 동작을 트리거링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S613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위치 서버를 통해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614). 이는 경로 재-계산(재-탐색)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정보, 즉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를 얻기 위함이다. 후술될 것처럼,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앞서 S612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이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절차로서, 이미 S612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위치 이동은 확인되었으므로 경로 계산에 (목적지의 위치로서) 필요한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서버는 상기 교통 정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615). 상기 위치 서버는 S615 에서 획득된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상기 교통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616).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S613 에서 획득된 상기 소스 단말의 현재 위치와 S616 에서 획득된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 재-계산이 필요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S617).
실제 경로 재-계산 동작은 상기 소스 단말에서 실행 되지만(상기 소스 단말은 앞서 가정했듯이 스마트 ND 이므로 자체적으로 경로를 탐색/계산함),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경로 재-계산이 필요한지를 파악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수반한다.
상기 소스 단말은 경로를 탐색/계산할 수 있는 성능(capability)는 있지만, 상기 경로에 대한 교통 상황을 알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교통 정보 서버가 상기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1)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 2) 진행된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기준을 가지고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를 전달할 때, 상기 소스 단말의 빠른 추가 경로 정보 획득을 위해서 필요한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S617 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 재-계산이 필요한지를 구분한다.
조건 1. 상기 목적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조건 2. 상기 소스 단말과 상기 목적 단말의 거리가 일정 거리 미만으로 좁혀진 경우
상기 조건 1 과 2 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될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재-계산은 다음과 같은 특정 조건들 하에서 필요하다: (1) 제 3 자(즉, 상기 목적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목적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으나 상기 소스 단말과 상기 목적 단말 사이의 거리가 임계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The re-routing is required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1) the 3rd party moves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previously reported position of the 3rd party or (2) the 3rd party does not move a certain distance but the distance between DynNav application and the 3rd party is closer than a threshold value.)
추가적으로는,
조건 3. 상기 소스 단말과 상기 목적 단말 사이의 경로에 교통 상황에 큰 변화가 생긴 경우
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S617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경로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소스 단말로 상기 목적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와 현재 진행 중인 경로(즉, 이전 경로)에 대한 갱신된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618). 해당 절차를 모두 수행하면, 다시 S619 단계로 가서 상기 소스 단말이 상기 목적 단말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해당 서비스 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교통 상황에 대한 정보는 상기 소스 단말부터 상기 목적 단말까지의 필요한 상세한 교통 정보 (Performance Parameter) 또는 상세하지 않은 교통 정보 (Traffic Event)를 모두 포함한다. 포함하는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지 않고,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교통 정보 서버가 S617 에서 상기 소스 단말의 경로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612 로 돌아가 다시 상기 소스 단말이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한다.
도 7 은 도 6 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좀더 상세한 동작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710)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DynNav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며,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과 관련된 설명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단말"로 지칭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720)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DynNav 서버에 해당한다.
1. POST: create trip description
상기 단말(710)은 POST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여행 파라미터들, 즉 출발지, 목적지 또는 별도의 정보를 통해 여행 디스크립션(trip description)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720)는 상기 여행 디스크립션에 대응하는 여행을 생성하고 그에 대한 식별자(ID)와 정의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2. POST: create area description
상기 단말은 상기 여행의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상기 여행과 관련된 교통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POST 명령을 이용하여 영역 디스크립션(area description)을 생성할 수 있다. 대역폭 및 동작의 최적화를 위해, 상기 서버는 두 개의 유형의 교통 정보를 응답할 수 있다.
a) 상기 출발지 인근에 심각한 혼잡이 있는 경우에 상기 출발지 인근의 퍼포먼스 파라미터들; 다시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퍼포먼스 파라미터는 영역 또는 경로를 나타내는 세그먼트의 퍼포먼스 또는 교통 흐름(즉, 속도, 지연 및 소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상기 "2. POST: create area description"에서 상기 서버에 의해 응답되는 것은 상기 출발지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영역 또는 경로 내의 퍼포먼스 파라미터들이고, 이 퍼포먼스 파라미터들은 상기 일정 반경 내의 영역 또는 경로 내에 일정 수준 이상의 혼잡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b) 상기 여행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교통 이벤트들
3. GET: request the traffic information
상기 단말은 GET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된 교통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이 교통 정보는 (사고들, 공사 또는 도로 혼잡들에 의해 영향받는) 중요한 도로 구간들을 회피하려고 노력하면서 상기 정의된 여행에 대한 경로를 추정 또는 계산하기 위해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4. POST: create a route calculated by application
상기 단말은 POST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단말에 의해 계산된 경로들 중에서 선택된) 추정된 경로를 업로드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퍼포먼스 파라미터들과 교통 이벤트들로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경로" 자원의 표현으로 응답할 수 있다.
5. POST: subscription to the trip
상기 단말은 POST 명령을 이용하여 단계 2 에서 선택된 영역에 대한 그리고 단계 3 에서 정의된 여행에 대한 통지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선택된 영역 및 상기 여행에 대해 업로드된 모든 경로와 관련된 퍼포먼스 파라미터들 및 교통 이벤트들에 대한 신규 정보를 서버로부터 통지 받을 수 있을 것이다.
6. PUT: update the trip parameter
상기 단말은 여행 리소스의 출발지 파라미터를 수정하기 위해 PUT 명령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동작은 상기 단말이 부착된 차량이 이전의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한 경우에 트리거링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경로(들) 정보로부터 이미 운행된 도로 구간을 삭제하기 위해 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만약 목적지가 제 3 자의 위치(즉, 목적 단말의 위치)로 설정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재-계산은 위에서 설명된 조건들 중 하나, 즉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 이상 이동하지 않았으나 상기 단말과 상기 제 3 자의 거리가 임계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또는 상기 단말과 상기 제 3 자 사이의 경로의 교통 상황에 큰 변화가 생긴 경우 중 하나가 만족되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다.
7. POST: notification under CallBackNotifURL
제안된 경로들을 따라 교통 이벤트들 및/또는 심각한 혼잡이 상기 서버에 의해 검출된 경우 또는 목적지가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에 상기 재-계산 이 필요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로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에 의해 특정되는 링크를 통해 POST 명령을 사용하여 현재 경로에 대한 업데이트된 교통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제 3 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위치가 변경되었으면 상기 단말이 상기 변경된 제 3 자의 위치에 기반한 대안 경로를 추정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는 추가적인 교통 정보(예컨대, 상기 변경된 제 3 자의 위치와 이전에 보고된 상기 제 3 자의 위치 사이의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8. GET: request the traffic info based on the notification
상기 단말은 GET 명령을 이용하여 위에서 통지된 경로와 관련된 업데이트 교통 정보(교통 이벤트들 및 퍼포먼스 파라미터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9. PUT/POST: modify/create calculated route
상기 단말은 아래의 조건들 하에서 새로운 경로를 재-계산하기를 결정할 수 있다:
a) 상기 단말이 상기 단계 8 에서 업데이트된 교통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목적지를 수신
b) 상기 단말이 정의된 경로로부터 벗어나거나 우회한 것을 검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이전의 경로를 유효하게 유지하는 것을 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존재하는 경로에 대해 PUT 명령 또는 신규 등록되는 경로에 대해 POST 명령을 이용하여 새롭게 계산된 경로를 상기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서버는 퍼포먼스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경로" 자원의 표현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단계는 재-계산된 경로의 성능, 즉 소요 시간 등이 이전의 경로들보다 양호할 때까지 몇 번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과정이 루프(loop)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단계 2 및 3 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동작으로 반복된 요청이 발생한 영역에서 교통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새로운 영역 디스크립션을 정의할 수 있다.
대역폭 최적화를 위해, 상기 단말은 이미 정의된 기준 경로에 대하여 변경된 세그먼트들만을 업로드하는, 부분 경로 방식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
10. DELETE: response the previous route resource
상기 단말은 DELETE 명령을 이용하여 제안된 일 세트의 경로들로부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이전의 경로들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상기 새로운 경로의 성능이 사용 중인 경로보다 나쁜 경우 상기 제안된 일 세트의 경로들로부터 새롭게 계산된 경로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DELETE 를 사용하여 통지 서비스로부터 상기 이전의 경로들을 가입 해제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단말과 서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기 단말(810)은 상기 서버(82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811);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교통 정보를 통해 상기 경로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820)는 상기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821);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와 같은 여행과 관련된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경로를 계산하거나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과 관련하여 설명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단말(810)이 스마트 ND 인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812)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812)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는 교통 정보를 관리/제공하는 상기 서버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12)는 상기 수신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812)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의 프로세서(822)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822)는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조건과 관련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프로세서(812)와 관련하여 설명한 부분을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822)는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822)는 위치 서버로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822)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 또는 상기 서버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고, 실시예(들) 중 일부를 조합 또는 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서버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16)

  1.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고,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위치 서버로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6.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단말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계산 방법.
  9.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버로서,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이면,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획득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위치 서버로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교통 정보(traffic information)를 이용하여 출발지와 목적지로 식별되는 여행(trip)의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단말로서,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및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 및/또는 목적지의 위치에 기반하여 경로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이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서버로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를 전송하고,
    상기 목적지가 제 3 자의 식별자(identifier; ID)로 정의되는 상기 제 3 자의 위치인 경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특정 조건에 따라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특정 조건은:
    (1) 상기 제 3 자가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 또는
    (2) 상기 제 3 자가 상기 이전에 보고된 위치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았고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와 상기 제 3 자의 현재 위치 사이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고,
    상기 특정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제 3 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진행 중인 경로에 관한 갱신된 교통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경로를 재-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재-계산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7013964A 2012-12-13 2013-12-13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6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7074P 2012-12-13 2012-12-13
US61/737,074 2012-12-13
US201361902798P 2013-11-12 2013-11-12
US61/902,798 2013-11-12
US201361905262P 2013-11-17 2013-11-17
US61/905,262 2013-11-17
PCT/KR2013/011592 WO2014092504A1 (ko) 2012-12-13 2013-12-13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53A true KR20150096653A (ko) 2015-08-25

Family

ID=5093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964A KR20150096653A (ko) 2012-12-13 2013-12-13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4887B2 (ko)
EP (1) EP2933606A4 (ko)
JP (1) JP6105747B2 (ko)
KR (1) KR20150096653A (ko)
CN (1) CN104919281B (ko)
WO (1) WO20140925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96A (ko) * 2019-04-22 2020-11-02 (주)휴빌론 도보 네트워크 및 측위 db 확장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1784B2 (ja) * 2011-11-08 2015-11-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移動体端末、及び移動体端末へ情報を提供する方法
CN105335413B (zh) * 2014-07-31 2019-10-22 国际商业机器公司 生成查询索引以及基于该查询索引进行查询的方法和装置
JP6510969B2 (ja) * 2015-12-22 2019-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ーバおよび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
US10530934B1 (en) * 2016-05-04 2020-01-07 8X8, Inc. Endpoint location determination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1076051B1 (en) 2016-05-04 2021-07-27 8X8, Inc. Endpoint location update control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0326888B1 (en) 2016-05-04 2019-06-18 8X8, Inc. Location updates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0542150B1 (en) 2016-05-04 2020-01-21 8X8, Inc. Server generated timing of location updates for call routing decisions
CN106017473B (zh) * 2016-05-19 2019-04-23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室内社交导航系统
CN106197446B (zh) * 2016-06-30 2019-12-1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导航路线规划方法及装置
US10501054B2 (en) 2016-06-30 2019-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On-demand driver systems and methods
US10635981B2 (en) * 2017-01-18 2020-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omated movement orchestration
US10305697B2 (en) * 2017-06-27 2019-05-28 Iheartmedia Management Services, Inc. Handling excess travel-related information
CN107798420B (zh) * 2017-09-28 2021-11-05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信息显示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2429497B1 (ko) * 2017-10-30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바일 기기 연동 기반 차량 경로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05766B2 (en) * 2017-11-01 2020-10-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mobile-communication-based navigation service supporting emergency rescue and service server using the same
CN109922483B (zh) * 2017-12-12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资源的调整方法及相关设备
CN110220530B (zh) * 2019-06-17 2022-03-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导航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686693A (zh) * 2019-10-14 2020-01-14 泰牛汽车技术(苏州)有限公司 封闭场景内路网信息的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528A (ja) * 2002-03-08 2003-09-19 Sanyo Electric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6940451B2 (en) 2003-02-19 2005-09-06 Nokia Corporation Provi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KR100541524B1 (ko) * 2003-10-07 2006-01-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050056699A (ko) * 2003-12-10 2005-06-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통보 방법
US7680596B2 (en) * 2004-04-06 2010-03-16 Honda Motor Co., Ltd. Route calculation method for a vehicle navigation system
KR100789381B1 (ko) 2005-12-08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객체의 식별자를 이용한 목적지 설정 방법 및 그를위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EP1795867A3 (en) * 2005-12-08 2007-08-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tting destination based on identifier of moving object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KR101190746B1 (ko) 2006-02-10 2012-10-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 목적지에 대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DE102007033425A1 (de) 2007-07-18 2009-01-2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Zieleingabe an einem Navigationsgerät und Navigationsgerät
KR20100064937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안내방법
KR20100068606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셀런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위치 추적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KR20100071676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행차량의 위치정보 표시방법 및 그 시스템
US8145417B1 (en) * 2008-12-31 2012-03-27 Cellco Partnership Enabling a first mobile device to navigate to a location associated with a second mobile device
KR20100118201A (ko) 2009-04-28 2010-11-05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63537B2 (en) * 2009-06-03 2013-06-11 Motorola Solutions, Inc. Navigating to a moving destination
US20120239584A1 (en) 2011-03-20 2012-09-20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on to dynamic endpoint
US9494431B2 (en) * 2011-12-18 2016-11-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cquiring or providing update information for route to third party and apparatus for same
US9026367B2 (en) * 2012-06-27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destination navigation system
KR101375219B1 (ko) * 2012-09-07 2014-03-20 록앤올 주식회사 교통량 변화를 감지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통신형 내비게이션 시스템
US8825377B2 (en) 2012-10-19 2014-09-0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navigation to a moving destin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896A (ko) * 2019-04-22 2020-11-02 (주)휴빌론 도보 네트워크 및 측위 db 확장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74887B2 (en) 2017-02-21
EP2933606A4 (en) 2016-11-23
WO2014092504A1 (ko) 2014-06-19
EP2933606A1 (en) 2015-10-21
CN104919281A (zh) 2015-09-16
CN104919281B (zh) 2018-06-15
JP6105747B2 (ja) 2017-03-29
US20160216125A1 (en) 2016-07-28
JP2016502096A (ja)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653A (ko) 경로 계산 방법, 경로 획득 방법 또는 이를 위한 장치
US9903721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route and device therefor
JP6140312B2 (ja) 複数の経由地を含む最適経路伝達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JP5755812B2 (ja) 期待されるルートに基づくモバイルデバイスへのワイヤレス送信機アルマナック情報の提供
US9983017B2 (en) Route calculating method, route acquisition method or terminal for same
JP543023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494431B2 (en) Method for acquiring or providing update information for route to third party and apparatus for same
EP26582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oading of data to a user's mobile device which is travelling along a travel route
EP2103168B1 (en) Accession of position-related data
US11029169B2 (en) Navigation service method for providing unusable route information related to emergency area and server apparatus for the same
KR101508136B1 (ko)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그 유효표본 보정 장치 및 유효표본 보정 방법
US9638541B2 (en) Method for calculating paths, method for obtaining paths as well as terminal for same
WO2008120164A2 (en) Data transmission
KR101190746B1 (ko) 이동 목적지에 대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2139A (ko) 개인 교통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29212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그 유효 표본 보정 장치 및 속도 측정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EP4116676A1 (en) Electronic horizon for adas function
JP202317999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40081549A (ko) 경로 생성 장치 및 방법
CN115699884A (zh) 用于改进通信系统中客户端设备移动性分析的网络节点
KR20190049447A (ko) 재난 지역의 사용불가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 및 서버장치
JP20131902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