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588A -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588A
KR20150096588A KR1020140017436A KR20140017436A KR20150096588A KR 20150096588 A KR20150096588 A KR 20150096588A KR 1020140017436 A KR1020140017436 A KR 1020140017436A KR 20140017436 A KR20140017436 A KR 20140017436A KR 20150096588 A KR20150096588 A KR 20150096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erminal
user terminal
play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588A/ko
Priority to PCT/KR2014/012363 priority patent/WO2015122617A1/ko
Publication of KR2015009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를 상대방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Description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SYSTEM, SERVER AND USER TERMINAL FOR PROVIDING SERVICE OF ASSIGNING GAME PLAY TO ANOTHER USER TERMINAL, AND SERVICE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플레이 하던 게임을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플레이 하도록 하고, 게임의 설치 여부 및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적절한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통화 기능 이외에도 데이터 통신 기능 및 고성능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진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하고, 터치 스크린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 하던 중, 게임에 익숙하지 않아 플레이 요령을 익히고 싶거나, 난이도가 높아져 해당 스테이지를 통과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다른 사용자에게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고 싶어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경우, 이와 같이 다른 사용자에게 플레이 중인 게임을 위임하기 위해서는 RDP(Remote Desktop Protocol) 등의 원격 제어 기술을 사용해야만 했는데, RDP는 주로 데스크톱 PC(Desktop Personal Computer)에 적용되며 윈도우 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로써,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다른 단말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다. 다만, RDP 등 종래의 원격 제어 기술의 경우, 단말기 간에 IP 주소, ID 등을 통해 연결되는 바, 불특정 다수에게 게임 플레이를 대신해 줄 것을 요청해 줄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게임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다양한 게임의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네트워크 환경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가 게임을 설치 하였는지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상호 간에 게임 플레이 데이터가 적절히 교환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게임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게임의 설치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게임 플레이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다양한 게임의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하는 게임 플레이 요청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을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소정의 게임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된 게임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에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를 상대방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게임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서, 게임의 설치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게임 플레이에 관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다양한 게임의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를 포함하며, 상호 간에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게임 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지칭하고, 위임된 게임을 플레이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상대방 단말기(300)로 지칭하기로 한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에 대한 게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게임 서비스에 참여할 상대방 단말기(300)를 지정하기 위한 참여방을 개설하여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데스크톱 PC, 랩톱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해당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페이스부(110), 게임 플레이 요청부(120), 상태 확인부(13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40), 영상 데이터 제공부(150), 저장 데이터 제공부(160), 플레이데이터 제공부, 데이터베이스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 구성이 생략된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함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에 대한 게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게임 서비스에 참여할 상대방 단말기(300)를 지정하기 위한 참여방을 개설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 플레이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 요청부(12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40), 영상 데이터 제공부(150), 저장 데이터 제공부(160),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170) 등에서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10)를 거쳐 네트워크로 전송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에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위임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특정한 게임의 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게임 플레이 위임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게임 플레이 요청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300)로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참여방 개설 메뉴를 선택하면, 게임 플레이 요청부(120)는 복수의 상대방 단말기(300)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참여방을 개설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리스트 상에서 상대방 단말기(3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300)로 게임 플레이를 요청할 수 있다. 참여방의 리스트 상에 포함되는 복수의 상대방 단말기(30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 참여 메뉴를 선택한 상대방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데이터 제공부(160)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게임 플레이에 의해 생성된 게임 저장 데이터를 수신하고, 게임 저장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게임 저장 데이터는 통상의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세이브 파일에 해당하며, 저장 당시의 스테이지, 캐릭터 및 아이템의 상황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저장 데이터를 수신한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 저장 데이터에 기반하여 이 후의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대방 단말기(300)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의해 생성된 게임 플레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게임 플레이 데이터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300)에서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1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실시예의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을 플레이 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 데이터에 따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플레이 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터치 입력만을 수신하고, 상대방 단말기(300)의 터치 입력에 기초한 원격 제어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게임을 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 때, 상대방 단말기(300)에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영상 데이터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대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기(300)의 터치 입력은 사용자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전송되고,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터치 입력을 반영하여 게임을 플레이 하고, 게임 플레이에 따라 변화하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기(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가 상대방 단말기(300)에 반드시 전송될 필요는 없고, 상대방 단말기(300)는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하고,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와 게임 실행 데이터를 동기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실행 데이터는 아이템의 선택, 캐릭터의 이동 등 게임 내에서 변동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상의 각종 파라마터 값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입력 데이터와 게임 실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반영하여 게임을 플레이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대방 단말기(300)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즉, 앞서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실시예와는 달리, 영상 데이터만을 캡쳐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게임 어플리케이션과 무관하게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게임 영상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입력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 용량이 크므로, 게임 영상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서는 일정 이상의 전송 속도가 요구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시스템은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 게임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상태 확인부(130)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사용자 단말기(200)가 플레이를 요청한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300)에 해당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대방 단말기(300)가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다만 게임의 설치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상태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영상 데이터 제공부(150)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태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상대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170)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게임 영상 데이터를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태 확인부(130)의 확인 결과, 상대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170)는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에 따라 생성된 영상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 측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힘들기 때문에 보다 데이터 용량이 적은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80)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에 전송할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생성된 게임 저장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대한 평가를 입력한 평가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대방 단말기(3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단말기(300)는 디스플레이부(310), 데이터 송수신부(320), 저장부(330), 제어부(340), 영상 데이터 수신부(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 구성이 생략된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함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는 게임 플레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지칭하고, 상대방 단말기(300)는 위임된 게임을 플레이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지칭하며, 이하에서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나, 하드웨어 구성적 측면에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 역시 상대방 단말기(300)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데스크톱 PC, 랩톱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게임 영상 등을 포함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 공지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10)는 터치 패널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 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을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상대방 단말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부(320)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무선랜(Wi-fi) 등 공지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공지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소정의 게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330)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실행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수신부(350)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수신부(350)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저장부(330)에 게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플레이 위임을 통한 게임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의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된 게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저장부(330)에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 송수신부(320)를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제어부(340)는 저장부(330)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영상 데이터 수신부(350)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340)는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1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표시된 게임 영상을 통해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34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요청 받은 게임을 플레이 하면,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플레이 데이터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며, 게임 플레이 데이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40)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통해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게임 영상 데이터를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340)는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 이 때,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와 동기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실행 데이터는 아이템의 선택, 캐릭터의 이동 등 게임 내에서 변동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 상의 각종 파라마터 값을 의미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실시간으로 입력 데이터와 게임 실행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반영하여 게임을 플레이 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 측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힘들기 때문에 보다 데이터 용량이 적은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상대방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게임을 플레이 한다(S11). 이 후, 플레이 중인 게임을 저장하고(S12),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기 위해 미리 설치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13). 사용자 단말기(200)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한다(S14).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복수의 상대방 단말기(300)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참여방을 개설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S15). 사용자 단말기(200)가 개설된 참여방에서 어느 하나의 상대방 단말기(300)를 선택하여, 게임 플레이를 요청하면(S16),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해당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 플레이를 요청한다(S17). 상대방 단말기(300)가 게임 플레이를 수락하면(S18), 게임 플레이의 위임 절차가 개시된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기(300)에 요청된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9).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S20), 상대방 단말기(300)로 실시간 전송한다(S21). 상대방 단말기(300)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표시된 영상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S23). 이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의 터치 입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서 게임이 플레이 된다.
이와 달리,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이 설치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게임 영상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전송될 필요는 없고, 상대방 단말기(300)는 설치된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을 실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한다.
이 후,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게임 플레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하게 되며, 이 때 상대방 단말기(300)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에 따라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확인한다(S24).
확인 결과,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S25),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6). 이 때,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대방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게임 영상 데이터를 끊김 없이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도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확인 결과, 상대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S27),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8). 이 때,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수신한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게임을 실행시키고, 실행된 게임에 따라 생성된 영상을 표시한다.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 측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힘들기 때문에 보다 데이터 용량이 적은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게임 플레이 데이터에 따라 게임 플레이를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방 단말기(300)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구현하는 바, 도 4에서 S20 단계 내지 S29 단계의 적어도 일부는 동시간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가 종료되고(S30),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S3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300)로 상기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한다(S51).
상대방 단말기(300)가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락한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에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대방 단말기(300)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2).
이 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S53).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S54).
이 때, 상대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대방 단말기(300)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대방 단말기(300)로부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게임의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에 해당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게임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게임 설치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를 고려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및 게임 실행 방식을 결정하므로, 다양한 환경에서 최적의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게임의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대방 단말기에 해당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게임 플레이를 위임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결과,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게임 플레이 요청부 130: 상태 확인부
14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150: 영상 데이터 제공부`
160: 저장 데이터 제공부 170: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
180: 데이터베이스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상대방 단말기 310: 디스플레이부
320: 데이터 송수신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350: 영상 데이터 수신부

Claims (17)

  1.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기 및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하는 게임 플레이 요청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상태 확인부; 및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 데이터 제공부는,
    상기 상태 확인부의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에 기반하여 게임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게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8.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랜을 통해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소정의 게임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및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요청된 게임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에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네트워크 전송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게임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된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게임을 플레이 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사용자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3.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로 상기 게임의 플레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행된 게임에 의해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상대방 단말기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미만인 경우,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상기 게임 플레이에 따른 게임 실행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7. 게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게임에 대한 게임 플레이를 상대방 단말기에 요청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기에 의한 게임 플레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상대방 단말기에 상기 게임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 및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네트워크 전송 속도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터치 입력에 기반한 입력 데이터 또는 상대방 단말기의 게임 플레이에 따라 생성된 게임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요청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상기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상대방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게임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17436A 2014-02-14 2014-02-14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50096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36A KR20150096588A (ko) 2014-02-14 2014-02-14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CT/KR2014/012363 WO2015122617A1 (ko) 2014-02-14 2014-12-15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36A KR20150096588A (ko) 2014-02-14 2014-02-14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588A true KR20150096588A (ko) 2015-08-25

Family

ID=5405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436A KR20150096588A (ko) 2014-02-14 2014-02-14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5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656B2 (en) Latency compensation for interface type in emulation
RU2679242C2 (ru) Продолжение задач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2264600B1 (ko) 적응적 통지 네트워크용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63139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to a mobile device, gateway for providing content and mobile device
CN103051865B (zh) 画面控制的方法及终端、视频会议装置
EP3169086A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aster device, control terminal, and system
EP3606013B1 (en) Interoperability of discovery and connection protocols between client devices and first screen devices
JP2015513815A (ja) 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11962853B2 (en) Computing device upgrading system over a wireless network
US9483997B2 (en) Proximity detection of candidate companion display device in same room as primary display using infrared signaling
US20240089538A1 (en)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KR102396392B1 (ko) 통신 세션상의 참가자들 중 일부를 위한 가상의 통신 세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838589B2 (en) Port-connected television upgrader device
US10565158B2 (en) Multi-device synchronization for immersive experiences
KR101749891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자원 상황 기반 프레임 레이트 조절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9901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KR20200137908A (ko)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3617020B (zh) 游戏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服务器以及终端
KR20150096588A (ko)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U2020210375A1 (en) Voice chat device, voice chat method, and program
KR20150096587A (ko)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게임 플레이를 위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US11013994B2 (en) Method for playing back applications from a cloud,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streaming and for replaying applications (APPs) via a specific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use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for streaming and replaying applications (APPs)
KR101668284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9431A (ko) 게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매체
KR20120080432A (ko) 게임 실행 중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