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161A -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161A
KR20150096161A KR1020140017255A KR20140017255A KR20150096161A KR 20150096161 A KR20150096161 A KR 20150096161A KR 1020140017255 A KR1020140017255 A KR 1020140017255A KR 20140017255 A KR20140017255 A KR 20140017255A KR 20150096161 A KR20150096161 A KR 20150096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password
touch area
inpu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8072B1 (ko
Inventor
김세엽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4001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72B1/ko
Priority to JP2014242175A priority patent/JP6243828B2/ja
Priority to US14/555,751 priority patent/US9652097B2/en
Publication of KR2015009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72B1/ko
Priority to JP2016221500A priority patent/JP6251357B2/ja
Priority to US15/484,332 priority patent/US103313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는 암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상기 암호 입력창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 상기 기설정된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는 터치 면적이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TOUCH SCREEN INCLUDED DEVICE PERFORMING UNLOCKING BY USING TOUCH EXTENT}
본 발명은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면적의 크기, 터치 횟수, 터치 리듬(rhythm) 및/또는 터치 위치의 조합에 따라 잠금 해제가 가능한 이동식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버튼(button), 키(key), 조이스틱(joystick) 및 터치 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입력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쉽고 간편한 조작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쉽고 간편한 조작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이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터치 센서 패널(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 패널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스크린을 단순히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패널 상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접촉을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점차 고성능화되고 있고 사용자와 장치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이 용이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컴퓨팅 장치를 통해 이메일을 확인하거나 개인 일정을 관리하는 간단한 사생활 관련 업무뿐 아니라 금융 업무까지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잠금(lock) 기능을 사용하여 터치 스크린에 특정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이때, 보안성이 높으면서도 간단한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보안성이 높으면서도 간단한 암호화 기술 및 잠금 해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시 면적을 피드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는 암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상기 암호 입력창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 상기 기설정된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는 터치 면적이 설정되어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는 터치의 횟수 또는 터치 리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기 암호 입력창은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시, 터치 면적을 나타내는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암호 입력창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암호 입력창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 중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에서 보안성이 높으면서도 간단한 암호화 기술 및 잠금 해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시 면적을 피드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면적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의 크기에 따른 피드백 수단 및 방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100)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과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0)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터치를 통해 장치(100)에 대한 입력(input)이 수행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노트북(notebook)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는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smart television)과 같은 비 이동식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센서 패널(131)과 디스플레이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30)은 터치 센서 패널(131: touch sensor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감응 표면(touch-sensitive surface)을 구비한 투명한 패널일 수 있다.
터치 센서 패널(131)은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전면에 부착되어 터치-감응 표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32)의 보이는 면을 덮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2)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패널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32)에 대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구동부(display driver)(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은 사용자가 손가락과 같은 객체로 스크린을 접촉(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컴퓨팅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130)은 패널 상의 접촉 및 접촉 위치를 인식하고 컴퓨팅 시스템은 이러한 접촉을 해석함으로써 이에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 시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의 여부 및 터치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 시 터치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해 터치가 발생할 때 서로 간에 상호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시의 터치 면적에 따라 상기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 시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면적이 작을수록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작을 수 있고, 터치 면적이 클수록 정전용량의 변화량은 클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해 직접적으로 터치하지 않지만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킬 정도로 손가락과 같은 객체가 충분히 가깝게 터치 센서 패널(131)에 근접한 호버(hover)를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센서 패널(131)은 터치 센서 패널(131)의 표면으로부터 객체가 대략 2cm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근접한 호버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상기 객체 존재 여부와 함께 객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의미없는 객체의 움직임이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호버링으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호버링은 객체의 움직임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호버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객체가 정지된 상태에서 터치 센서 패널(131)의 소정 거리 이내에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객체의 존재가 호버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때, ‘객체가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해서 정지된 상태를 가진다’ 함은 터치 센서 패널(131)의 2차원 표면에 대해서 상대적인 2차원 움직임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움직임의 오차는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객체가 정지되는 소정 시간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객체의 움직임이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호버링으로 인식되기 위해서 호버링으로 인해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일반적인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오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객체의 호버링 동안에 발생하는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의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크기는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직접적인 터치의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 면적에 따른 암호화 및 잠금 해제 방법에서 터치는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호버링의 경우 터치 면적이 가장 작은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에서 프로세서(140)는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 터치에 따라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터치 센서 패널(131)에 대한 터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센서 터치 패널(131)에 터치되는 객체(10)의 면적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으로 터치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터치 패널(131)에 터치되는 객체(10)의 면적이 a일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90(=50+10+10+10+10)이다. 또한, 센서 터치 패널(131)에 터치되는 객체(10)의 면적이 b일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310(=50+45+45+45+45+20+20+20+20)이다.
따라서, 프로세서(140)는 터치 센서 패널(131)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을 검출하여 터치 또는 호버링으로 인식될 정도의 터치가 있었는지 여부, 그리고 터치의 위치 및 터치 면적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면적은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의 구간에 따라 단계적인 면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이 0 내지 400 사이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할 경우, 가장 작은 값을 갖는 0 초과 내지 100 범위의 정전용량 변화량의 합에 대해서는 제1면적으로, 그 다음 큰 값을 갖는 100 초과 내지 200 범위의 정전용량 변화량의 합에 대해서는 제2면적으로, 그 다음 큰 값을 갖는 200 초과 내지 300 범위의 정전용량 변화량의 합에 대해서 제3면적으로, 그리고 가장 큰 값을 갖는 300 초과 내지 400 범위의 정전용량 변화량의 합에 대해서는 제4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센서 터치 패널(131)에 터치되는 객체(10)의 면적이 a일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90으로 제1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고, 센서 터치 패널(131)에 터치되는 객체(10)의 면적이 b일 경우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은 310으로 제4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예에 따라 제1면적은 호버링에 따른 면적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면적의 단계 구분은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호버링과 직접 터치만을 구별할 수도 있고 호버링을 포함하여 다양한 면적 단계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터치 면적은 정전용량의 변화량의 합에 비례하도록 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속적인 면적 값이 0 내지 400의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면, 예컨대 0 초과 내지 100의 범위에서 피드백, 100 초과 내지 200의 범위에서 피드백, 200 초과 내지 300의 범위에서의 피드백 그리고 300 초과 내지 400의 범위에서의 피드백이 서로 구분되도록 메모리(120)의 면적-피드백(121)이 작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130)을 포함하는 장치(100)는 제어기(110)와 메모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0)는 프로세서(140)에 의한 처리 결과에 따라 메모리(120)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터치 면적, 터치 횟수, 터치 리듬 및/또는 터치 위치가 기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120)는 예컨대 기설정된 암호(122)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기설정된 암호(122)는 장치(100)에 대해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거나 또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암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서,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또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잠금을 해제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특정 암호를 입력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암호가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메모리(120)에 저장될 수 있다. 기설정된 암호(122)에 대해서는 이하 도 3, 도 5,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기(110)는 비교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111)는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서 입력되는 암호와 메모리(120)의 기설정된 암호(122)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110)는 이에 따라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록, 비교부(111)가 제어기(110)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비교부(111)는 임의의 장소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4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120)는 또한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을 포함할 수 있다.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은 터치 스크린(130)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면적에 대한 피드백 수단 및/또는 피드백 방법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암호 입력창(200)은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잠금된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암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암호 입력창(200)에 소정 조합의 문자 및/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암호를 입력함으로써 잠금을 해제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에서는 높은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조작이 간단한 암호 설정 및 잠금 해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3에서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은 복수의 코드 입력 영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각각에 대해서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110)에 포함된 비교부(111)는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각각에 대한 터치 면적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면적과 모두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부(111)가 모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기(110)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중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면적과 다르게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암호가 틀렸음을 알리거나, 재차 암호를 입력할 기회를 주거나, 및/또는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제1영역(401)에는 제3면적, 제2영역(402)에는 제4면적, 제3영역(403)에는 제1면적, 제4영역(404)에는 제2면적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 코드 입력 영역의 위치와 함께 터치 면적이 암호 코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정해진 위치의 제1영역(401)을 제3면적으로 터치하고, 제2영역(402)을 제4면적, 제3영역(403)에는 제1면적, 그리고 제4영역(404)에는 제2면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순서는 반드시 제1영역(401)부터 제4영역(404)까지 순차적일 필요는 없다. 이때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가 위치와 터치 면적의 조합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순서에 상관없이 터치 위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일치한다면 암호가 해제될 수 있다. 만약,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가 터치 위치와 터치 면적뿐 아니라 터치 순서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정해진 터치 순서에 따라 제1 내지 제4영역(401, 402, 403, 404)을 터치하는 경우에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장치(100)의 메모리(120)는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0) 각각에 대한 위치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0) 중 임의의 영역(401)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진 때 제어기(110)의 비교기(111)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프로세서(140)의 처리 결과로서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어느 영역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0)을 터치할 때 자신이 어떠한 면적으로 터치 스크린(130)을 터치하는지에 대해서 스스로 자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 입력 시에 오류 발생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30)을 터치 시에 터치하는 면적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각각에 대해서 터치를 수행할 때 터치하는 면적을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면적을 선택함으로써 각 영역(401, 402, 403, 404)에 대한 터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 입력창(200)은 텍스트 입력창(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입력창은 제1 내지 제4영역(401, 402, 403, 404) 사이 또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입력창의 형태는 제1 내지 제4영역(401, 402, 403, 404)과 동일하게 또는 다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입력창에는 하나 이상의 문자, 숫자, 부호 등을 포함하는 텍스트가 입력될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창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상에 표시될 수 있는 키패드(key pad: 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기(110)는 복수의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각각에 대한 터치 면적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면적과 모두 일치하고, 그리고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텍스트와 일치할 때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 입력창(200)은 하나의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은 반드시 명시적으로 표시될 필요는 없으며 암호 입력창(200) 자체가 암호 코드 입력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해서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의 횟수, 터치의 리듬 및/또는 터치 면적으로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한 터치의 횟수 및 터치의 리듬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에 5회의 구분되는 터치가 이루어지되, 5회의 터치는 “장-단-장-장-단”의 리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터치 사이에는 객체가 터치 스크린(130)으로부터 분리되는 시간 구간이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장”은 “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터치가 수행됨을 나타낼 수 있다. “장”은 2초 동안의 터치 그리고 “단”은 1초 동안의 터치 등으로 실제 터치 시간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함께 저장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이러한 터치 시간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확인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연속된 터치의 상대적인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장” 및 “단”을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5회의 연속적인 터치 중 첫 번째 터치의 터치 지속 시간을 기준으로 첫 번째 터치의 터치 지속 시간에 대한 소정 오차 범위 내에 터치와 나머지 터치들의 터치 지속 시간을 구분한 후, 나머지 터치들이 첫 번째 터치보다 긴지 짧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머지 터치들이 첫 번째 터치보다 긴 경우에는 나머지 터치들이 “장” 그리고 첫 번째 터치와 오차 범위 내의 터치들이 “단”으로 인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터치들이 첫 번째 터치보다 짧을 경우에는 나머지 터치들이 “단” 그리고 첫 번째 터치와 오차 범위 내의 터치들이 “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장” 및 “단” 구분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적인 시간 길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장-단-장-장-단”의 리듬은 터치와 터치 사이의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 구간끼리의 상대적인 길이일 수 있다. 예컨대, 6번의 실질적인 터치가 이루어지고 6번의 터치 사이에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지 않는 5번의 시간 구간의 상대적인 길이가 “장-단-장-장-단”과 같은 리듬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시간 구간과 터치와 터치 사이의 시간 구간 사이의 상대적인 길이에 대한 리듬이 암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제어기(110)에 포함된 비교부(111)는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에 대한 터치 횟수와 터치 리듬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 횟수와 터치 리듬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부(111)가 모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기(110)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리듬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한 터치의 횟수 및 터치 면적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해 소정 시간 동안에 5회의 구분되는 터치가 이루어지되, 5회의 터치 시 “대-소-대-대-소”의 리듬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대(大)”는 “소(小)”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터치가 수행됨을 나타낼 수 있다. “대”는 제2면적 그리고 “소”는 제1면적 등으로 실제 터치 면적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함께 저장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이러한 터치 면적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추가의 확인 절차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 연속된 터치의 상대적인 면적을 비교함으로써 “대” 및 “소”를 구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5회의 연속적인 터치 중 첫 번째 터치 면적을 기준으로 첫 번째 터치 면적에 대한 소정 오차 범위 내에 터치와 나머지 터치들을 구분한 후, 나머지 터치들의 면적이 첫 번째 터치 면적보다 넓은지 좁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머지 터치 면적들이 첫 번째 터치 면적보다 넓은 경우에는 나머지 터치들이 “대” 그리고 첫 번째 터치와 오차 범위 내의 터치들이 “소”로 인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터치 면적들이 첫 번째 터치 면적보다 좁은 경우에는 나머지 터치들이 “소” 그리고 첫 번째 터치와 오차 범위 내의 터치들이 “대”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대” 및 “소” 구분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상대적인 면적을 비교할 수 있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터치 시간에 따른 리듬과 터치 면적에 따른 리듬의 조합이 잠금 해제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기(110)에 포함된 비교부(111)는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에 대한 터치 횟수와 터치 면적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 횟수와 터치 리듬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부(111)가 모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기(110)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터치 횟수, 터치 면적 및 터치 리듬의 조합이 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방법을 나타낸다.
도 4a에서는 하나의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0)을 손가락(500)으로 터치 시에 터치되는 면적이 도 1에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 면적은 임의의 모양 또는 수단을 통해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될 수 있으나, 도 4a에서는 디지털 바(600;digital bar) 형식으로 터치 영역(400)에 대한 터치 면적이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되는 것이 예시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터치 영역(400)을 터치할 때의 터치 면적을 터치 스크린(130)에 표시된 디지털 바(600)를 확인함으로써 터치된 터치 면적을 알 수 있다.
도 4a에서는 손가락(500)이 터치 영역(400)을 제4면적으로 누르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바(600)는 제1면적 내지 제4면적의 4가지 상태를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디지털바(600)는 터치 영역(400)을 터치하는 면적이 제1면적인 때 제1바(601)를 음영으로 표시하고, 제2면적인 때 제1바(601) 및 제2바(602)를 음영으로 표시하고, 제3면적인 때는 제1 내지 제3바(601, 602, 603)를 음영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제4면적인 때는 제1 내지 제4바(601, 602, 603, 604)를 음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a에서 디지털바(600)는 제1 내지 제4바(601, 602, 603, 604)가 음영으로 표시되어, 손가락(500)으로 제4면적으로 터치 영역(400)을 터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디지털바(600)는 예컨대 터치 영역(400)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진 때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바(600)를 통해 터치 영역(400)을 터치하는 면적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터치 면적을 최종 선택하기 전까지 터치 면적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디지털바(600)를 통해 터치 면적을 확인한 후 원하는 터치 면적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원하는 터치 면적으로 터치 영역(400)을 터치한 후 터치 스크린(130)으로부터 손가락(500)을 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400)이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호버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머무는 경우 제어기(120)는 아직 터치 면적을 확인하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면적으로 터치 스크린(130)의 터치 영역(400)을 누른 후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호버링으로 인식될 수 있는 위치를 벗어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면적이 제4면적인 때, 사용자는 터치 영역(400)을 누르는 면적이 제4면적임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바(600)를 통해 확인한 후 손가락(500)을 터치 스크린(130)으로부터 뗌으로써 제4면적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손가락을 떼는 경우 터치 영역(400)에 대한 터치 면적은 제4면적으로부터 제3면적 내지 제1면적을 지나 면적이 없는 상태에 도달할 것이다. 이때, 각 면적으로 머무는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을 때는 해당 면적으로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기를 설정함으로써 손을 뗄 때 잘못된 면적으로 선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가락을 떼는 경우와 같이 급격히 면적이 변화하는 때 의 잘못된 선택이 이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4면적을 선택하고 손가락(500)을 떼는 경우 마지막 면적인 제1면적으로 선택되는 오류가 방지될 수 있다.
메모리(120)에 포함된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은 터치 영역(400)에 대한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수단 및/또는 방법이 각각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기(110)는 터치 영역(400)을 터치하는 면적에 따라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을 참조하여 해당 면적을 나타내는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서, 제2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32)을 통해 디지털바(600)를 표시하고 디지털바(600)의 제1 내지 제4바(601, 602, 603, 604)를 음영 처리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130)의 디스플레이 패널(132)을 통해서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터치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디지털바(600)에 제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디지털바(600)와 같이 통일된 수단이 도시된 후 터치 면적에 따라 차등적으로 음영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터치 면적을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터치 면적에 따라 전혀 상관 관계가 없는 서로 다른 도형, 아이콘(icon) 등이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미리 이러한 도형, 아이콘 등이 나타내는 면적을 숙지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1면적에 대해서는 고양이가 도시되고, 제2면적에 대해서는 강아지가 도시되고, 제3면적에 대해서는 소가 도시되고, 그리고 제4면적에 대해서는 사자가 도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도형 변화에 따라 자신의 터치 면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터치 면적의 확인 및 선택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1, 402, 403, 404) 각각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피드백 방법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피드백 방법과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b에서는 하나의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0)을 손가락(500)으로 터치 시에 터치되는 면적이 스피커(300: speaker)를 통해 소리(310)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터치 면적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가 서로 구분되어 메모리(120)의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면적에 따라 출력되는 소리(310)의 주파수, 크기, 길이, 종류, 멜로디 및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면적에 대해서는 1회의 종소리, 제2면적에 대해서는 2회의 종소리, 제3면적에 대해서는 3회의 종소리 또는 제4면적에 대해서는 4회의 종소리 등으로 구분하여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1면적에 대해서는 고양이 소리, 제2면적에 대해서는 염소 소리, 제3면적에 대해서는 강아지 소리, 그리고 제4면적에 대해서는 송아지 소리 등으로 구분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방법이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c에서는 하나의 암호 코드 입력 영역(400)을 손가락(500)으로 터치 시에 터치되는 면적이 진동 소자(미도시)를 통해 진동(710)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터치 면적에 따라 출력되는 진동(710)이 서로 구분되어 메모리(120)의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면적에 따라 출력되는 진동(710) 주파수, 세기, 길이, 멜로디 및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1면적에 대해서는 1회의 진동, 제2면적에 대해서는 2회의 진동, 제3면적에 대해서는 3회의 진동 또는 제4면적에 대해서는 4회의 진동 등으로 구분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방법이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710)의 세기라 함은 진동 소자를 구동하는 파워(power)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피드백 수단 및 방법 이외에도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피드백 수단 및 방법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수단 또한 메모리(120)의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진동, 소리 및 화면 표시 중 어느 피드백 수단에 따라 면적에 따른 피드백을 수행할지에 대한 정보가 면적-피드백 테이블(121)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터치 면적에 따른 피드백 기술은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2 내지 제4실시 예는 도 3을 참조한 제1실시 예와 유사하며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5에서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에는 동시에 다수의 터치가 입력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서, 제어기(110)에 포함된 비교부(111)는 암호 입력창(200)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모두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부(111)가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모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기(110)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암호 입력창(200)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 중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과 다르게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암호가 틀렸음을 알리거나, 재차 암호를 입력할 기회를 주거나, 및/또는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서는 동시에 다수의 터치가 암호 입력창(200)에 대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터치 면적을 피드백에 따라서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서는 예컨대 단순히 터치 스크린(130)에 대한 직접 터치와 호버링만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면적과 제2면적만이 구분될 수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대”의 터치 면적과 “소”의 터치 면적만이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암호 입력창(200)에 대해서 동시에 4개의 터치가 이루어져야 하고 상기 4개의 터치 중 2개는 직접 터치이고 나머지 2개는 호버링이어야 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4개의 터치 중 2개의 상대적으로 “대”의 터치 면적이고 나머지 2개는 “소”의 터치 면적일 수 있다. 즉, 제2실시 예에서는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이 암호 코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1손가락(510) 내지 제4손가락(540)으로 암호 입력창(200)을 동시에 터치하되, 제1손가락(510)과 제2손가락(520)으로는 직접 터치(예컨대, 제2면적)를 수행하고 제3손가락(530)과 제4손가락(540)으로는 호버링(예컨대, 제1면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5손가락(550)은 암호 입력창(200)에 대해서 터치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암호 입력창(200)은 복수개의 구분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구분 영역은 N개의 열 및 M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그리드 셀(grid cell: 1X1 내지 NXM으로 표시)로 표시되어 있다. 이때, 암호 코드로는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이상에서 설명된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 개수와 터치 면적뿐 아니라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기설정된 암호(122)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제2면적은 3X1 및 4X1 그리드 셀 위치에서 터치되어야 하고 2개의 제1면적은 2X2 및 2X3 그리드 셀 위치에서 터치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더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암호를 해제하기 위해서 동시에 터치되는 개수 및 터치 면적뿐 아니라 터치 위치까지 기설정된 암호(122)와 동일하게 암호 입력창(200)에 대해서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6에서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은 복수개의 노드(401 내지 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시 예에서, 제어기(110)에 포함된 비교부(111)는 암호 입력창(200)에 표시된 복수개의 노드 중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과 모두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교부(111)가 모두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암호 입력창(200)에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 중 어느 하나라도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터치 노드와 터치 면적의 조합과 다르게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암호가 틀렸음을 알리거나, 재차 암호를 입력할 기회를 주거나, 및/또는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노드(401, 404, 405, 406, 408, 411 및 415)에 대해서 터치가 이루어져야 하고, 노드(405 및 411)에 대해서는 제1면적, 노드(406 및 415)에 대해서는 제2면적, 노드(404)에 대해서는 제3면적 그리고 노드(401 및 408)에 대해서는 제4면적으로 터치가 이루어져야 함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3실시 예에서는 터치되는 노드와 터치 면적이 암호 코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노드(401, 404, 405, 406, 408, 411 및 415)에 대해서 터치를 수행하되, 노드(405 및 411)에 대해서는 제1면적, 노드(406 및 415)에 대해서는 제2면적, 노드(404)에 대해서는 제3면적, 그리고 노드(401 및 408)에 대해서는 제4면적으로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노드(401 내지 415)에 대한 터치 순서는 노드 번호에 따라 순차적일 필요는 없다. 이때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는 터치되는 노드와 터치 면적의 조합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치 순서에 상관없이 터치되는 노드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일치한다면 암호가 해제될 수 있다.
만약,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가 터치되는 노드와 터치 면적뿐 아니라 터치 순서를 포함하는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정해진 터치 순서에 따라 노드(401, 404, 405, 406, 408, 411 및 415)를 터치하는 경우에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노드에 대한 터치 순서는 노드(401), 노드(408), 노드(406), 노드(405), 노드(404), 노드(411) 및 노드(415)인 것이 예시된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터치 노드의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되는 노드 사이를 잇는 선은 손가락 등을 통해 터치되거나 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서는 손가락이 노드 401을 소정 면적으로 터치한 후 노드(408)로 이동 시 선(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암호 입력창(200)을 터치하면서 이동하거나 터치하지 않고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노드 사이를 터치하면서 손가락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터치 면적은 구별되지 않고 단지 직접 터치만을 인정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직접 터치와 호버링만을 구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의 예시이다. 도 7에서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200)이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4실시 예는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 예와 유사하게, 암호 입력창(200)에는 복수개의 노드(401 내지 4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실시 예는 전술한 제3실시 예와 유사하지만, 제4실시 예의 경우에는 제3실시 예와 달리 노드(401 내지 405)가 명백하게 그 위치 및 형상이 암호 입력창(200)에 도시되지 않는다. 제4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노드(401 내지 405)가 암호 입력창(200)에서 은폐되어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노드(401 내지 405)가 특정 도형(토끼 그림)에 숨겨져 있어 각각의 노드가 눈에 띄지 않게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노드(401 내지 405)를 암호 입력창(200)에 도시된 도형 등에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드(401 내지 405)가 미리 지정된 도형이 암호 입력창(200)에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잠금 해제 방법은 제3실시 예와 관련해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즉, 복수의 노드(401 내지 405) 중 터치되는 노드, 터치 면적 및/또는 터치 순서의 조합이 암호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실시 예의 경우에도 각각의 노드(401)에 대해서 터치의 횟수, 터치의 리듬 및/또는 터치 면적의 조합이 또한 암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 각각에 대한 터치 사이에도 터치의 리듬이 암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암호 입력창에 대한 잠금 해제 과정은 터치 스크린(130)에 디스플레이된 암호 입력창(200)에 특정 패턴에 따라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미도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암호로 이용될 패턴을 터치 스크린(130)에 그려 암호로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로서 하트 형태의 패턴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기 설정된 하트 형태의 패턴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패턴을 그리는 시작점 및/또는 그리는 순서 또한 암호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암호로서 저장되는 특정 패턴은 임의의 도형 또는 그림일 수 있다. 또한, 암호로서 저장되는 특정 패턴은 문자, 숫자 그리고 임의의 심볼들을 포함하는 텍스트(text)일 수 있다. 이때, 텍스트는 텍스트로서 인식되거나 도형으로 인식될 수 있다.
비교부(111)는 입력되는 패턴과 기설정된 암호(122)로서 저장된 특정 패턴의 비교에 따라 유사도가 소정 값 이상인 경우 잠금이 해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특정 패턴이 그려지는 위치가 암호로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 암호 입력창(200)의 임의의 위치에 해당 패턴에 따른 터치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패턴으로 인식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암호 입력창(200)에 대한 터치에 따라 입력되는 암호 패턴이 터치 스크린(130)에 도시되거나 도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130)에 특정 패턴을 그리기 위한 터치는 직접 터치뿐 아니라 호버링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패턴을 그리기 위한 터치는 직접 터치와 호버링의 조합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패턴의 소정 구간은 직접 터치에 따라 수행되되 나머지 구간은 호버링을 통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터치 면적 또한 암호로서 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110: 제어기
111: 비교부
120: 메모리
121: 면적-피드백
130: 터치 스크린
131: 터치 센서 패널
132: 디스플레이 패널
140: 프로세서

Claims (15)

  1. 암호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상기 암호 입력창에 대한 터치가 기설정된 암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
    상기 기설정된 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는 터치 면적이 설정되어 있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는 터치의 횟수 또는 터치 리듬 중 적어도 하나가 더 설정되어 있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창은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시, 터치 면적을 나타내는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화면 출력, 스피커를 통한 음향 출력 및 진동소자를 통한 진동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면적과 모두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횟수 및 터치 리듬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횟수 및 터치 리듬과 모두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 횟수 및 터치 면적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해당 영역의 터치 횟수 및 터치 면적과 모두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창은 텍스트 입력창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코드 입력 영역 각각에 대한 터치가 상기 기설정된 암호와 모두 일치하고, 그리고 상기 텍스트 입력창에 입력된 텍스트가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텍스트와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암호 입력창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와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창은 복수개의 구분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암호 입력창에 동시에 터치되는 터치의 개수, 상기 복수개의 구분된 영역 중 터치 위치 및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의 개수, 상기 복수개의 구분된 영역 중 터치 위치 및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창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 중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되는 노드 및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입력창은 복수개의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 중 터치되는 노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노드의 순서 및 터치 면적의 조합이 상기 기설정된 암호로서 저장된 터치되는 노드,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노드의 순서 및 터치 면적의 조합과 일치하는 때 상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개의 노드 각각에 대한 터치 시 터치 면적을 나타내는 제2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을 수행하도록 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화면 출력, 스피커를 통한 음향 출력 및 진동소자를 통한 진동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호버링을 포함하는,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장치.
KR1020140017255A 2013-11-29 2014-02-14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KR10165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55A KR101658072B1 (ko) 2014-02-14 2014-02-14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JP2014242175A JP6243828B2 (ja) 2013-11-29 2014-11-28 タッチレベルに伴う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
US14/555,751 US9652097B2 (en) 2013-11-29 2014-11-28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JP2016221500A JP6251357B2 (ja) 2013-11-29 2016-11-14 タッチレベルに伴う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
US15/484,332 US10331337B2 (en) 2013-11-29 2017-04-11 Feedback method according to touch level and touch input device perform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255A KR101658072B1 (ko) 2014-02-14 2014-02-14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161A true KR20150096161A (ko) 2015-08-24
KR101658072B1 KR101658072B1 (ko) 2016-09-20

Family

ID=5414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255A KR101658072B1 (ko) 2013-11-29 2014-02-14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2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2665A (ko) * 2017-01-09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1182796A1 (ko) * 2020-03-10 2021-09-16 (주)포인트엔지니어링 터치 센서
WO2024044834A1 (en) * 2022-08-31 2024-03-07 Auger Theotim Method and device for password gene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900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JP2013131186A (ja) * 2011-12-22 2013-07-04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17371A (ko) * 2012-04-17 2013-10-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두드리기를 이용한 스크린 잠금 해제 및 비밀 작업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2900A (ko) * 2008-12-02 2010-06-10 (주)지란지교소프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잠금상태 해제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전자장치
JP2013131186A (ja) * 2011-12-22 2013-07-04 Kyocera Corp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17371A (ko) * 2012-04-17 2013-10-2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손가락 두드리기를 이용한 스크린 잠금 해제 및 비밀 작업 수행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5052A (ko) * 2015-12-02 2017-06-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2665A (ko) * 2017-01-09 2018-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1182796A1 (ko) * 2020-03-10 2021-09-16 (주)포인트엔지니어링 터치 센서
WO2024044834A1 (en) * 2022-08-31 2024-03-07 Auger Theotim Method and device for password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72B1 (ko)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1357B2 (ja) タッチレベルに伴うフィードバック方法、及びこれを行うタッチ入力装置
KR101191035B1 (ko) 전자단말기에서의 비밀번호 입력 방법
US20130229367A1 (en) Dynamic Patterns for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US20130139248A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password and portable device thereof
CN103529951B (zh) 字符输入方法及系统
JP572862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1658072B1 (ko) 터치 면적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JP6746361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16115A (ja) 情報処理端末のロック解除方法
JP2009169516A (ja)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CN104598783A (zh) 一种智能终端的解锁方法及装置
US20130086673A1 (en) Techniques for securely unlocking a touch screen user device
TW201706892A (zh) 電子設備及其密碼輸入方法
CN105144028B (zh) 触觉效果信号交换解锁
CN105159557A (zh) 一种解锁密码的生成方法及移动终端
KR101518786B1 (ko) 터치의 압력 레벨에 따른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CN104808899A (zh) 一种终端
KR101307952B1 (ko) 디지털 장치 및 잠금 상태 해제 방법
CN105138220B (zh) 一种图案解锁方法及装置
KR101577937B1 (ko) 터치 압력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US10223519B2 (en) Beat assisted temporal pressure password
JP6042753B2 (ja) 端末装置及び操作ロック解除方法
CN107423644B (zh) 一种防偷窥触觉反馈密码输入系统和方法
KR101571301B1 (ko) 터치 레벨에 따른 피드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장치
JP6018123B2 (ja) パスワード入力装置、パスワード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