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850A -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850A
KR20150095850A KR1020157018723A KR20157018723A KR20150095850A KR 20150095850 A KR20150095850 A KR 20150095850A KR 1020157018723 A KR1020157018723 A KR 1020157018723A KR 20157018723 A KR20157018723 A KR 20157018723A KR 20150095850 A KR20150095850 A KR 20150095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mponent
transfer drum
tire
length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673B1 (ko
Inventor
헨크-얀 그롤레만
루크 반 티에넨
Original Assignee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브이엠아이 홀랜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95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5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s for the processing of ty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30/3007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by feeding a sheet perpendicular to the drum axis and joining the ends to form an annula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4Stretching or treating the layers before application on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30/46Cutting textile inserts to requi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38Handling tyre parts or semi-finished parts, excluding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16Handling tyres or parts thereof, e.g. supplying, storing, conveying
    • B29D2030/0044Handling tyre beads, e.g., storing, transporting, transferring and supplying to the toroidal support or to the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66Tyre quality control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2030/241Auxiliary drums used for temporary storage of the layers before application to the build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0Applying the layers; Guiding or stretching the layers during application
    • B29D2030/3064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3078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layers being applied being substantially continuous, i.e. not being cut before the applic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공급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트랜스퍼 드럼(5)에 의해 픽업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의 미리 결정된 길이를 권취하기 위해 제1 방향(R1)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 반대되는 제2 방향(R2)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트랜스퍼 드럼(5)을 컷팅 위치로 하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가 상기 트랜스퍼 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단계; 상기 권출된 부분을 컷팅하고, 이에 의해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단계; 및 트레일링 엔드에 이르기까지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권출된 부분을 귄취하기 위해 제1 방향(R1)으로 다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ICKING UP AND PLACING TIRE COMPONENTS ON A TRANSFER DRUM}
본 발명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타이어 컴포넌트가, 제1 컨베이어에 공급되고, 제1 롤러 컨베이어와 제2 롤러 컨베이어 사이에서 컷팅 시스템에서 컷팅되고, 후속하여 제2 롤러 컨베이어에 의해서 트랜스퍼 드럼을 향해서 또는 성형(building) 드럼을 향해서 이송된다. 하나의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다음의 롤러 컨베이어로, 또는 어느 한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드럼으로의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각각의 이행에 있어서, 타이어 컴포넌트는 순간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여, 의도되거나 이론적인 위치에 대하여 그 실제의 위치가 변동되어 버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한 롤러 컨베이어로부터 드럼으로의 이행시에, 롤러 컨베이어는 드럼의 둘레 표면으로까지 물리적으로 연장될 수 없고, 타이어 컴포넌트는, 드럼의 둘레 표면상에, 롤러 컨베이어의 마지막 롤로부터 남은 거리에 걸쳐서 떨어뜨려진다. 따라서, 타이어 컴포넌트의 직접적이고 신뢰성있는 이송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픽업과 배치 동안에 당해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위치에 있어서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픽업 및 배치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에 있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은, 그 상류 끝에서의 공급 시스템, 그 하류 끝에서의 컷팅 시스템, 둘레 표면을 구비한 트랜스퍼 드럼, 및 상기 둘레 표면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 요소(retaining)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컷팅 시스템을 향해서 하류 방향으로 상기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를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하류 방향으로 면하는 리딩 엔드(leading end)를 구비함 -와;
b)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연속하는 길이의 상기 리딩 엔드에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제1 픽업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 상기 리딩 엔드를 픽업하는 단계와;
c) 후속하여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 둘레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연속하는 길이 중 미리 결정된 길이를 권취하기 위해 제1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를 유지하는 단계와;
d) 반대되는 제2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컷팅 시스템에서 컷팅 위치 내로의 하류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가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컷팅 시스템상에 대해 상기 둘레 표면으로부터 권출됨 - 와;
e) 상기 컷팅 시스템에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권출된 부분을 컷팅하여 트레일링 엔드(trailing end)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컷-투-렝스(cut-to-length)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단계와;
f) 상기 트레일링 엔드에 이르기까지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권출된 부분을 권취하기 위해 상기 제1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트랜스퍼 드럼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의 리딩 엔드 및 리딩 엔드의 상류의 미리 결정된 길이를 픽업 및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공급 시스템으로부터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에 여전히 연결되어 있는 미리 결정된 길이는,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형성하기 위한 컷팅 시스템 상에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후속하여 권출되어 신뢰성있게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여전히 부분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성형 드럼으로의 이송을 위해 트랜스퍼 드럼에 신뢰성있게 재권취될 수 있다. 리딩 엔드의 초기의 픽업 후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당해 방법의 나머지에 걸쳐서 모든 시간에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및 배치 중 시프트의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은, 단계 b)에 있어서, 상기 리딩 엔드가 픽업되기에 앞서 당해 리딩 엔드와 직접 접촉된다. 픽업에 앞서 트랜스퍼 드럼을 리딩 엔드와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픽업 중 리딩 엔드가 시프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가 단계 d)에서 상기 일부가 컷팅 시스템과 직접 접촉되어진 후에 리테이닝 요소로부터 점차적으로 해제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일부는, 그 일부가 컷팅 시스템과 점증적으로 접촉되어짐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해제되고, 이에 의해 트랜스퍼 드럼으로부터 컷팅 시스템으로의 상기 일부의 제어되지 않은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c)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픽업하기 위해 제1 픽업 위치로부터 당해 제1 픽업 위치 상류의 제2 픽업 위치로 동시적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트랜스퍼 드럼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가 움직이지 않은 채 유지되는 상태에서 당해 미리 결정된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픽업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c)에 있어서의 상류측 운동 중에,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상류로 이동한다. 트랜스퍼 드럼의 결합된 운동 및 회전의 결과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와의 접촉에서 둘레 표면의 상대 속도가 널(null)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가, 실질적인 시프팅, 스트레칭 또는 압축없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픽업되어 트랜스퍼 드럼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제2 픽업 위치에 도달한 후에, 미리 결정된 길이 중 나머지를 픽업하기 위해 제2 픽업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에 제1 둘레 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따라서, 트랜스퍼 드럼이 전체 둘레와 동등한 거리에 걸쳐 상류로 이동될 것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가 상대적으로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에는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롤러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이 컨베이어는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트랜스퍼 드럼으로 미리 결정된 길이 중 남은 부분의 공급을 지지 및/또는 가이드하도록 제2 픽업 위치에 배치된다. 이 컨베이어는 공급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의 트랜스퍼 드럼에 대한 위치 결정 및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의 롤러들은 트랜스퍼 드럼이 제2 픽업 위치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를 픽업하는 동안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를 지지 및 이송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d) 동안에,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하류로 이동한다. 다시, 접촉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둘레 표면의 상대 속도가 널로 감소될 수 있어서 시프팅, 스트레칭 또는 압축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f) 동안에 컷팅 위치로부터 상류로 동시적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f)에 있어서의 상류측 이동 중에,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상류로 이동한다. 다시, 접촉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둘레 표면의 상대 속도가 널로 감소될 수 있어서 시프팅, 스트레칭 또는 압축을 방지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 단계 a) 내지 f)를 반복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타이어 컴포넌트가 제1 타이어 컴포넌트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과 동일한 특징부들을 갖는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을 더 포함하고, 트랜스퍼 드럼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과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에서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단계 a) 내지 단계 f)가 반복된다.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은, 제조 라인들의 재구성에 대한 필요와 그에 따른 귀중한 시간 및/또는 재료의 손실없이, 상이한 제조 특성을 갖는 제1 및 제2 타이어 컴포넌트간의 용이하고 신속한 전환을 허용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단계 a) 내지 f)의 반복 동안에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 둘레에 유지되고,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반경 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 둘레에 유지된다. 이 방식으로, 트랜스퍼 드럼은, 후속하여 둘 이상의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하고 이들 타이어 컴포넌트를 그 둘레 표면 둘레에 라미네이트로 사전 조립할 수 있다. 이 라미네이트는 트랜스퍼 드럼으로부터 성형 드럼상으로 즉시 이송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와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체퍼(chafer)를 위한 컴포넌트들이다. 체퍼는, 성형 드럼으로 전체로서의 체퍼를 이송하기 전에 트랜스퍼 드럼 상에서 미리 조립될 수 있는, 특성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가 일정 각도하에서 컷팅되고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있어서의 컷팅 각도와는 반대되는 다른 각도하에서 컷팅된다. 트랜스퍼 드럼 상에서 사전 조립될 경우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와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리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가 엇갈린(crossed) 상태로 라미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어 컴포넌트에 있어서, 스틸 또는 텍스타일 보강재가 전형적으로 컷팅 각도에 대해 평행하게 뻗고, 따라서 엇갈린 보강재(crossed reinforcements)를 갖는 라미네이트가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타이어 컴포넌트들 중 일방이 타이어 컴포넌트들 중 타방에 앞서서 성형 드럼과 접촉되어야만 할 경우에, 성형 드럼으로의 최적의 이송을 위해 트랜스퍼 드럼 상의 사전 조립된 라미네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어 컴포넌트들이 상이한 각도하에서 컷팅되면, 그 시프팅이 리딩 엔드와 트레일링 엔드가 시프트되도록 허용하고, 따라서 그 에지들이 간섭하거나 오버랩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는 둘레 표면을 갖는 성형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g) 성형 드럼의 근방으로 컷-투-렝스 타이어 컴포넌트가 유지된 상태의 트랜스퍼 드럼을 이동시키는 단계;
h) 후속하여,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으로부터 성형 드럼의 둘레 표면상으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이송하기 위해 트랜스퍼 드럼과 성형 드럼을 상호 반대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트랜스퍼 드럼으로부터 성형 드럼으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이송시킴으로서, 성형 드럼으로의 이송에 이르기까지 상기 방법을 통해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방법 동안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시프팅이 방지될 수 있고, 따라서, 성형 드럼으로의 이송에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가 성형 드럼 상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리딩 엔드 또는 트레일링 엔드는, 단계 g)에 있어서, 성형 드럼의 둘레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트레일링 엔드가 리딩 엔드의 상부 위에 스플라이스될 수 있도록 리딩 엔드가 우선 성형 드럼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성형 드럼이 전적으로 평탄하지 않은 타이어 컴포넌트 어셈블리를 이미 구비하고 있고, 트레일링 엔드가 리딩 엔드보다 일찍 불균일한 타이어 컴포넌트 어셈블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트레일링 엔드가 먼저 이송되는 역 이송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한 제2 타이어 컴포넌트가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픽업될 경우에,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의 리딩 엔드 또는 트레일링 엔드가, 단계 g)에 있어서, 성형 드럼의 둘레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트랜스퍼 드럼 상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반경 방향 바깥쪽에 있으며 성형 드럼 상에 대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반경 방향 안쪽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다시, 리딩 엔드를 우선하는 이송과 트레일링 엔드를 우선하는 역 이송 사이에서의 선택이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가 트랜스퍼 드럼과 성형 드럼 사이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이송에 배치된 정렬 센서를 포함하고, 이 정렬 센서는, 단계 h) 동안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오정렬을 검출하고 성형 드럼에 대한 트랜스퍼 드럼의 위치를 제어하여 오정렬을 교정한다. 이것은 전술한 방법에 의해 방지되지 못한 오정렬 또는 시프팅의 최종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팅 시스템은 중간 컷팅 서포트 및 이 중간 컷팅 서포트 직 하류의 하류 컷팅 서포트를 포함하고,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중간 컷팅 서포트에서 단계 e)에서 컷팅되고,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트레일링 엔드는 단계 f)에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트레일링 엔드가 픽업될 때까지 중간 컷팅 서포트 및/또는 하류 컷팅 서포트에 의해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컷팅 시스템은 중간 컷팅 서포트 직 상류의 상류 컷팅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단계 e)에서의 컷팅은 컷팅 시스템 상류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남은 연속하는 길이에 대해 새로운 리딩 엔드를 형성하고,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남은 연속하는 길이의 리딩 엔드는, 당해 방법의 다음 사이클 동안에 단계 b)에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픽업될 때까지 상류 컷팅 서포트 상에 유지된다. 따라서, 당해 방법 동안의 모든 시기에, 타이어 컴포넌트는 트랜스퍼 드럼 및/또는 컷팅 서포트에 의해 신뢰성있게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픽업 위치는 중간 컷팅 서포트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 근방에 위치된다. 중간 컷팅 서포트에서 컷팅이 이루어지므로, 바로 그 컷팅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트랜스퍼 드럼이 리딩 엔드를 픽업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리딩 엔드가 시프팅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팅 서포트들은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유지하기 위해 자성 요소들을 구비하거나, 또는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을 포함한다. 자성 요소들은 타이어 컴포넌트들 내의 금속 보강재를 자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고, 석션 개구들은 석션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고무 재료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테이닝 요소가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석과 진공 시스템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유지하기 위해 동시적으로 동작한다. 결합된 자석 인력과 석션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양방이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을 동작시키는데 요구되는 에너지량은 개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여러 양태 및 특징은, 가능한 모든 경우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들 개별적인 양태는, 특히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양태와 특징은, 분할 특허 출원의 요지를 형성할 수 있다.
개략적인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컴포넌트들의 픽업 및 배치를 위한 방법의 6개의 이어지는 단계 중의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의 6개의 추가적인 단계 중의 도 1a 내지 도 1f에 따른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 내지 도 2f에 따른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f,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타이어 컴포넌트(9)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제조하기 위한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과,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를 제조하기 위한 선택 사양적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을 포함하고 있다.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12)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서, 동일 평행 방향으로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12)들마다 타이어 컴포넌트(9)들의 픽업 및 배치가 일어날 수 있다. 라인(11, 12)들은 연장되고 상류 방향 U와 하류 방향 D를 갖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f에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 라인(11)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픽업, 배치 및 제조하기 위한 일 방법의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f에는, 제2 타이어 컴포넌트 라인(12)에서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를 픽업, 배치 및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선택적 추가적인 단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와, 컨베이어(2)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시스템(3)과,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컷팅하기 위한 컷팅 시스템(4)과,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을 따른 여러 위치에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트랜스퍼 드럼(5)을 포함하고 있다. 공급 시스템(3)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의 상류 방향 U에 위치되거나 상류 끝에 위치되고, 컷팅 시스템(4)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의 하류 방향 D에 위치되거나 하류 끝에 위치되고, 컨베이어(2)는 공급 시스템(3)과 컷팅 시스템(4) 사이에 위치된다.
도 1a 내지 도 1f,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및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은, 그들 라인(11, 12) 사이에 있어 길이 방향 미러면(도시하지 않음)에 관하여 경면 대칭적인 것에 더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일치한다. 따라서, 본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및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에 관한 이하의 설명은,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 및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에 대해서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에 있어서의 상응하는 특징과 동일한 특징을 갖는 컨베이어(102), 공급 시스템(103) 및 컷팅 시스템(104)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12) 양방에 대한 특징들을,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만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컨베이어(2)는 복수의 서포트 롤러(21)를 포함하는 롤러형 컨베이어이다. 서포트 롤러(21)들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한 평면에서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여 이송 방향 P로 타이어 컴포넌트(9)들을 지지하기 위한 컨베이어 표면(22)을 형성한다. 제1 이송 방향 P에 평행한, 컨베이어 표면(22)을 따라서, 컨베이어(2)는 2개의 가이드 롤러(23)들의 시리즈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23)들은, 이송 중에 컨베이어 표면(22)의 양 사이드 상에서 타이어 컴포넌트(9)들의 이동의 자유를 가이드 및 제한하기 위한 경계 또는 가이드를 형성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급 시스템(3)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길이의 공급(32)이 권취되어 있는 릴(31)을 포함한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공급 방향 S으로 릴(31)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급 시스템(3)으로부터 권출되거나 공급될 수 있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는, 대안적으로, 공급 컨베이어, 페스투너(festooner)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공급 수단 및/또는 직접적으로 익스트루더로부터 공급되어질 수 있다.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는, 컷팅 시스템(4)을 향해서, 이송 방향 P을 따라서, 하류 방향 D 내로 공급된다.
컷팅 시스템(4)은 중간 컷팅 서포트(41)와, 중간 컷팅 서포트(41)의 직 상류에 위치된 상류 컷팅 서포트(42)와, 중간 컷팅 서포트(41)의 직 하류에 위치된 하류 컷팅 서포트(43)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컷팅 서포트(41내지43)가 자성 요소 또는 자석을 포함하여, 금속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 컴포넌트(9)들이 컷팅 서포트(41내지43) 상에 유지될 수 있다. 혹은, 컷팅 서포트(41내지43)는 석션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9)들을 유지하기 위한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컷팅 서포트(41내지43)는, 당해 컷팅 서포트(41내지43)가 컨베이어 표면(22)과 평탄하게 되는 어퍼 위치와, 당해 컷팅 서포트(41내지43)가 컨베이어 표면(22) 하방으로 후퇴되거나 철회되는 로워 위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d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 시스템(4)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미리 결정된 길이로 중간 컷팅 서포트(41)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를 컷팅하기 위해 배치된 컷터 또는 나이프(44)를 더 포함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는 하류 방향으로 면하는 리딩 엔드(92)와, 제1 이송 방향 P에 대해 상류 방향으로 면하는 트레일링 엔드(93)를 갖는다. 나이프(44)는, 컨베이어 표면(22)과 제1 컷팅 각도하에(도 1d 참조), 그리고 제1 이송 방향 P에 대해 제2 컷팅 각도하에(도 3 참조) 배치되어서,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타이어 성형 프로세스 중 다른 단계에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리딩 엔드(92)와 트레일링 엔드(93)가 서로 스플라이스될 수 있고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퀄리티 스플라이스(splice)를 형성한다.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의 경면 대칭의 컷팅 시스템(104)에 있어서, 제2 컷팅 각도는 상호 반대되거나 엇갈린 리딩 에지(92, 95)(도 3 참조)를 갖는 타이어 컴포넌트(9)들을 얻기 위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에서의 컷팅 시스템(4)의 제2 컷팅 각도에 반대되거나 경면 대칭이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퍼 드럼(5)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측벽(51), 둘레 표면(52), 및 둘레 표면(52)에 관해 동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축(53)을 포함한다. 트랜스퍼 드럼(5)은 이동가능한 서포트 구조체(도시하지 않음)의 액슬에 의해 그 회전축(53)에서 지지된다. 서포트 구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트랜스퍼 드럼(5)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 및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을 따라서, 그리고 라인(11, 12) 사이에서 여러 위치 A, B, C로 이동되고 위치될 수 있다(도 3의 화살표 X 참조).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는, 그 회전축(53)을 중심으로, 제1 둘레 방향으로 그리고 반대되는 제2 둘레 방향으로 트랜스퍼 드럼(5)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를 구비한다. 트랜스퍼 드럼(5)은 그 둘레 표면(52) 둘레에 또는 그 둘레 표면에 대항하여 타이어 컴포넌트(9)를 픽업하여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 요소(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이들 리테이닝 요소는, 예를 들어, 금속 보강재를 갖는 타이어 컴포넌트(9)를 자성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타이어 컴포넌트(9)를 석션에 의해 유지하기 위한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이 될 수 있다. 양방의 리테이닝 요소들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선택적으로는, 트랜스퍼 드럼(5)이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의 양방을 모두 구비하여 여러 형태의 타이어 컴포넌트(9)들을 픽업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의 양방 모두가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허용하여,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의 결합된 유지력이 타이어 컴포넌트(9)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면서 그 양방이 보다 낮은 레벨로 작동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전술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의 사용에 의해 타이어 컴포넌트(9)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의 6개의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은,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픽업 및 배치와 관련된다.
도 1a에서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가 공급 시스템(3)으로부터 공급되어 컨베이어(2) 상에 배치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는 중간 컷팅 서포트(41)까지 연장되고 본 방법의 이전의 사이클 중에 컷팅 시스템(4)에 의해 컷팅되어 있다. 그 결과,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가 리딩 엔드(92)를 갖고 있다. 중간 컷팅 서포트(41) 및 상류 컷팅 서포트(42)는 컨베이어 표면(22)과 동일 평면상의 어퍼 또는 상승된 위치에 있고, 그 자석 또는 진공 시스템이 리딩 엔드(92)를 유지하고 있다. 하류 컷팅 서포트(43)는 철회 위치로 하강(E1)되어 있다.
트랜스퍼 드럼(5)은 컷팅 시스템(4)의 중간 컷팅 서포트(41)에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리딩 엔드(92)를 픽업하기 위한 제1 픽업 위치 A로 그 서포트 구조체에 의해 이동(M1)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트랜스퍼 드럼(5)은, 그 둘레 표면(52)이, 제1 픽업 위치 A를 향한 이동(M1) 중에 트랜스퍼 드럼(5)이 이동되는 속력 또는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전 속력 또는 원주 속도를 갖는 상태로, 제1 둘레 방향 또는 권취 방향으로 이미 회전(R1)되고 있다.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이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리딩 엔드(92)와 직접 접촉하게 되고 트랜스퍼 드럼(5)의 리테이닝 요소들이 상기 리딩 엔드(92)를 픽업하고 유지하도록 활성화된다.
도 1b에는, 트랜스퍼 드럼(5)이 제1 픽업 위치 A 상류의 제2 픽업 위치 B를 향해서 그 서포트 구조체에 의해 더욱 이동(M2)되어진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제2 픽업 위치 B는 컨베이어(2)에 위치되어 있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리딩 엔드(92)는 중간 컷팅 서포트(41)로부터 픽업되었다. 리딩 엔드(92)가 중간 컷팅 서포트(41)로부터 픽업되어진 후, 중간 컷팅 서포트(41)의 진공 시스템 또는 자석이 비활성화되고 중간 컷팅 서포트(41)가 컨베이어 표면(22)에 대해 후퇴된 위치로 하강(E2)되고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이전에 유지된 연속하는 길이를 해제한다.
도 1b에서의 추가의 이동(M2) 중에, 트랜스퍼 드럼(5)은, 제1 픽업 위치 A로부터 제2 픽업 위치 B를 향하는 동안에 트랜스퍼 드럼(5)이 이동하는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속도를 그 둘레 표면(52)이 갖는 상태로 권취 방향으로 동시적으로 회전(R1)된다. 트랜스퍼 드럼(5)의 이동(M2)과 회전(R1)의 결합의 결과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와의 접촉에서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의 상대 속도는 널이다. 따라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가, 실질적인 시프팅, 스트레칭 또는 압축없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트랜스퍼 드럼(5)에 의해 픽업되어 당해 트랜스퍼 드럼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b는, 그 리딩 엔드(92)가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 둘레에 픽업되어지고 유지된 후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일부의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컨베이어(2)에서 제2 픽업 위치 B에 트랜스퍼 드럼(5)이 도달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상류 컷팅 서포트(42)의 자석 또는 진공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고 컨베이어 표면(22) 하방으로 상류 컷팅 서포트(42)가 하강(E3)되어 이전에 유지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를 해제한다. 트랜스퍼 드럼(5)은, 컨베이어(2)에 관한 상류 또는 하류로의 추가의 이동에 대항하여 제2 픽업 위치 B에 고정된다. 그러나, 트랜스퍼 드럼(5)은, 그 둘레 표면(52) 둘레에 제1 연속하는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추가의 길이를 픽업하고 권취하도록 권취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R1)을 계속한다. 릴(31)을 공급 방향 S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공급 시스템(3)의 공급부(32)로부터 제1 연속하는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추가의 길이가 공급된다. 공급 방향 S으로의 릴(31)에 의한 회전은, 트랜스퍼 드럼(5)의 회전 R1과 동기하여 구동되는 드라이브(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트랜스퍼 드럼(5)의 회전 R1 동안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 상에서 트랜스퍼 드럼(5)의 끌어당김의 결과일 수 있다. 컨베이어(2)의 서포트 롤러(21)들은 공급 시스템(3)으로부터 트랜스퍼 드럼(5)을 향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추가의 길이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며, 가이드 롤러(23)들은 상기 추가의 길이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한다.
트랜스퍼 드럼(5)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 중 미리 결정된 길이가 픽업되고 그 둘레 표면(52) 둘레에 유지되어질 때까지 회전된다(R1). 본 예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는, 리딩 엔드(92)와 미리 결정된 위치 또는 트레일링 엔드(93)에 대한 컷팅이 이루어지는 컷팅 영역 사이의 길이보다도 크다.
도 1d에는 컷팅 서포트(41내지43)가 컨베이어 표면(22)과 동일 평면상의, 그들의 어퍼 위치로 상승(E4, E5, E6)된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컷팅 서포트(41내지43)의 자석 또는 진공 시스템이 재활성화된다. 트랜스퍼 드럼(5)은, 그 서포트 구조체에 의해, 제2 픽업 위치 B로부터 컷팅 시스템(4)의 하류 끝에서의, 특히 중간 컷팅 서포트(41)의 직 하류의 컷팅 서포트(43) 하류에서의 컷팅 위치 C측으로 이동된다(M3). 하류측 이동(M3)과 동시에, 트랜스퍼 드럼(5)은 반대되는 제2 둘레 방향 또는 권출 방향으로 트랜스퍼 드럼(5)이 컷팅 위치 C측으로 이동(M3)하는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속도로 회전(R2)된다.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에서의 리테이닝 요소는, 트랜스퍼 드럼(5)이 컷팅 위치 C쪽으로 컷팅 시스템(4) 위로 이동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컷팅 서포트(41내지43)와 접촉하게 되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를 점진적으로 해제시킨다.
그 결과, 도 1a 내지 도 1c에서 픽업되어 유지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미리 결정된 길이가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으로부터 제어되는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권출되고 컷팅 시스템(4)의 컷팅 서포트(41내지43)에 대해 이송된다. 후속하여, 컷팅 서포트(41내지43)의 자석 또는 진공 시스템이 컷팅 시스템(4)에서 상기 권출된 부분을 유지하도록 활성화된다. 다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권출에서 컷팅 서포트(41내지43)에 대한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의 상대 속도는 널이다. 따라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인 시프팅, 스트레칭 또는 압축없이 제어되는 방식으로 트랜스퍼 드럼(5)으로부터 컷팅 서포트(41내지43)로 직접 이송될 수 있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의 미리 결정된 길이는, 트레일링 엔드(93)의 형성을 위한 컷팅 영역 또는 미리 결정된 장소가 중간 컷팅 서포트(41) 바로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유지될 때까지 권출된다. 후속하여, 컷팅 시스템(4)의 나이프(44)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를 컷팅하기 위한 상기 영역과 접촉된다.
도 1e는 컷팅이 이루어져서 중간 컷팅 서포트(41)의 상류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미리 결정된 길이에 대해 트레일링 엔드(93)가 형성된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는 하류 컷팅 서포트(43) 위에 부분적으로 유지되고 또한 트랜스퍼 드럼(4)의 둘레 표면(52) 둘레에 부분적으로 유지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이다. 동시에, 상류 컷팅 서포트(42) 상에 남아있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에 대해 리딩 엔드(92)가 형성되었다. 컷팅 후, 중간 컷팅 서포트(41) 및 상류 컷팅 서포트(42)는 컨베이어 표면(22) 하방의 그들의 로워 위치들로 하강(E7, E8)된다. 트랜스퍼 드럼(5)은 제1 픽업 위치 A를 향해 상류로 이동(M4)되고, 동시에, 트레일링 엔드(93)에 이르기까지(를 포함하여),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미권취 부분을 되감음, 픽업 또는 유지하도록 제1 둘레 방향 또는 권취 방향으로 회전(R3)된다.
도 1f에는, 하류 컷팅 서포트(43)에 있어서의 자석 또는 진공 시스템이 비활성화되고 하류 컷팅 서포트(43)가 컨베이어 표면(22) 하방의 그 로워 위치로 하강(E9)되어진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는, 그 리딩 엔드(92)와 그 트레일링 엔드(93)를 포함하여, 이제,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으로 완전히 이송되어 있다. 트랜스퍼 드럼(5)이 성형 드럼(99)에 이웃한 트랜스퍼 위치로 이동(M5)되고, 후속하여 성형 드럼(99)과 반대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자체로서 알려진 방식으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를 성형 드럼(99)에 대해 이송한다. 본 예에 있어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는 리딩 엔드(92)를 우선하여 성형 드럼(99)에 대해 이송된다. 필요하다면, 트레일링 엔드(93)가 먼저 이송될 수 있는데, 이것은 트랜스퍼 드럼(5) 및 성형 드럼(99) 양방으로부터 반대되는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을 요구한다. 이러한 역 이송은, 예를 들어, 성형 드럼(99)에 이미 제공된 타이어 컴포넌트 어셈블리가 완전히 평탄하지가 않고, 트레일링 엔드(93)가 리딩 엔드(92)보다 일찌기 불균일한 타이어 컴포넌트 어셈블리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 역 이송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위치가 미규정되는 시간이나 길이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전술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를 사용하여 타이어 컴포넌트(9)를 픽업 및 배치하는 방법의 6개의 추가적인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단계들은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의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에서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픽업 및 배치와 관련된다. 상기 6개의 추가적인 단계들은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단계들에 이어진다.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는, 본 방법의 말미에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로 대체된다.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의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에서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의 단계들은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단계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1a 내지 도 1f에 있어서와 유사한 도 2a 내지 도 2f에서의 이동 및 회전에는 동일한 화살표와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상기 단계들에 대해서 간략하게만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 도달하기 위해서, 트랜스퍼 드럼(5)은, 도 1e의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가 그 둘레 표면(52) 둘레에 유지된 채로,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1)으로부터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12)으로 이동된다. 제2 라인(12)에서, 본 방법의 이전 사이클로부터의 리딩 엔드(95)를 갖는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연속하는 길이가 도 1a에서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연속하는 길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미 존재하고 있다.
도 2a에는, 도 1a에서의 상황과 유사한 상황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러나,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가 이미 존재하고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 둘레에 유지되어 있다. 트랜스퍼 드럼(5)의 회전(R1)은,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리딩 엔드(92)가,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리딩 엔드(95)와 트랜스퍼 드럼(5)의 접촉에서, 상류 방향 U으로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리딩 엔드(95)를 지나서 연장하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리딩 엔드(92)가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리딩 엔드(95)를 지나 연장하는 길이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가 리딩 엔드(92)에서 컷팅되어진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크다.
후속하여, 도 2b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이 수행되어,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연속하는 길이를 픽업하고, 유지하고, 부분적으로 권출하고, 배치하고 리딩 엔드(95) 및 트레일링 엔드(96)를 갖는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로 컷팅한다.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트레일링 엔드(96)는,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리딩 엔드(92)가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의 리딩 엔드(95)를 지나서 연장하는 거리와 동일한 거리에 걸쳐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의 트레일링 엔드(93)를 지나서 하류 방향 D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는 트랜스퍼 드럼(5)의 권출 방향 또는 제2 둘레 방향으로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에 대해 시프트된다.
도 1a 내지 도 1e와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의 결과로,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 및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가 트랜스퍼 드럼(5)의 둘레 표면(52) 둘레에 픽업되어 유지되고,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가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에 대해 반경 방향 바깥 위치에 있는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유사한 방식으로, 후속하는 제3 또는 추가의 타이어 컴포넌트(도시하지 않음)가 보다 복잡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도록 픽업될 수 있다.
도 2f는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도시하는데, 그러나 2개의 타이어 컴포넌트(91, 94)는 하나씩인 것에 대신하여 동시에 이송된다. 특히, 성형 드럼(99)으로의 타이어 컴포넌트(91, 94)의 라미네이트의 이송 중에, 트랜스퍼 드럼(5) 상의 반경 방향 바깥의 제2 타이어 컴포넌트(94)가 성형 드럼(99)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 층으로서 이송되고, 트랜스퍼 드럼(5) 상의 반경 방향 안쪽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91)는 성형 드럼(99)에 대해 반경 방향 바깥쪽 층으로서 이송된다.
전술한 방법은 텍스타일 또는 나일론 체퍼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체퍼는 종래 컨베이어 상에서 제조되고나서 차례로 성형 드럼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체퍼가 트랜스퍼 드럼(5) 상에서 사전-조립될 수 있고 성형 드럼(99)에 대해 동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1)는 트랜스퍼 드럼(5)과 성형 드럼(99) 사이에 타이어 컴포넌트(9)들의 이송시에 타이어 컴포넌트(9)들의 오정렬을 검출하고 트랜스퍼 드럼(5)의 서포트 구조체에 교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배치된 정렬 센서(101)를 구비한다. 서포트 구조체 및 이에 지지되는 트랜스퍼 드럼(5)은 이송 중 오정렬을 교정하기 위해 교정 신호에 응답하여 성형 드럼(99)과 상대 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포함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변형이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숙련된 기술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공급된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트랜스퍼 드럼으로 픽업하는 단계와,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 중 미리 결정된 길이를 권취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는 단계와,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컷팅 위치 내로 하류로 트랜스퍼 드럼을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가 트랜스퍼 드럼으로부터 권출되는 단계와, 권출된 부분을 컷팅하여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단계와, 트레일링 엔드까지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권출된 부분을 권취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트랜스퍼 드럼을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Claims (25)

  1.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의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에 있어서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 및 배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은, 그 상류 끝에서의 공급 시스템, 그 하류 끝에서의 컷팅 시스템, 둘레 표면을 구비한 트랜스퍼 드럼, 및 상기 둘레 표면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픽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리테이닝(retaining)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a) 상기 컷팅 시스템을 향해서 하류 방향으로 상기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연속하는 길이를 공급하는 단계 -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하류 방향으로 면하는 리딩 엔드(leading end)를 구비함 - 와;
    b)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연속하는 길이의 상기 리딩 엔드에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제1 픽업 위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 상기 리딩 엔드를 픽업하는 단계와;
    c) 후속하여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 둘레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연속하는 길이 중 미리 결정된 길이를 권취하기 위해 제1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를 유지하는 단계와;
    d) 반대되는 제2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컷팅 시스템에서 컷팅 위치 내로의 하류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일부가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컷팅 시스템상에 대해 상기 둘레 표면으로부터 권출됨 - 와;
    e) 상기 컷팅 시스템에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미리 결정된 길이 중 권출된 부분을 컷팅하여 트레일링 엔드(trailing end)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컷-투-렝스(cut-to-length)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단계와;
    f) 상기 트레일링 엔드에 이르기까지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권출된 부분을 권취하기 위해 상기 제1 둘레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은, 단계 b)에 있어서, 상기 리딩 엔드가 픽업되기 전에 상기 리딩 엔드와 적접 접촉하게 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 중 상기 일부는, 단계 d)에 있어서, 상기 일부가 상기 컷팅 시스템과 직접 접촉된 후에 상기 리테이닝 요소로부터 점차적으로 해제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c)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픽업하기 위해 상기 제1 픽업 위치로부터 상기 제1 픽업 위치 상류의 제2 픽업 위치로 동시적으로 이동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c)에 있어서 상류측으로의 이동 중에,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상류로 이동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상기 트랜스퍼 드럼이 상기 제2 픽업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의 잔여부를 픽업하기 위해 상기 제2 픽업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1 둘레 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에는 컨베이어, 바람직하게는 롤러 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는 상기 공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드럼으로 상기 미리 결정된 길이의 상기 잔여부의 공급을 지지 및/또는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2 픽업 위치에 배치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d) 중에,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하류로 이동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f) 중에 상기 컷팅 위치로부터 상류로 동시적으로 이동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단계 f)에 있어서의 상류측 이동 중에,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의 원주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상류로 이동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 단계 a) 내지 단계 f)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는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과 동일한 특징부들을 갖는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드럼은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과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 제조 라인에서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단계 a) 내지 단계 f)가 반복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단계 a) 내지 f)의 반복 동안에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 둘레에 유지되고,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한 반경 방향 바깥쪽 위치에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 둘레에 유지되는, 방법.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와 상기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체퍼(chafer)를 위한 컴포넌트인,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소정 각도하에서 컷팅되고, 상기 제2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에서의 컷팅 각도와 반대되는 다른 각도하에서 컷팅되는,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에 대해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는 둘레 표면을 갖는 성형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g) 상기 성형 드럼의 근방으로 상기 컷-투-렝스 타이어 컴포넌트가 유지된 상태의 상기 트랜스퍼 드럼을 이동시키는 단계;
    h) 후속하여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둘레 표면으로부터 상기 성형 드럼의 둘레 표면상으로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퍼 드럼과 상기 성형 드럼을 상호 반대되는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리딩 엔드 또는 상기 트레일링 엔드는, 단계 g)에 있어서, 상기 성형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종속될 때,
    상기 컷-투-렝스 제2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리딩 엔드 또는 상기 트레일링 엔드는, 단계 g)에 있어서, 상기 성형 드럼의 상기 둘레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성형 어셈블리는, 상기 트랜스퍼 드럼과 상기 성형 드럼 사이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이송에 배치된 정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센서는, 단계 h) 동안에,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오정렬을 검출하고 상기 성형 드럼에 대한 상기 트랜스퍼 드럼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오정렬을 교정하는, 방법.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시스템은 중간 컷팅 서포트 및 상기 중간 컷팅 서포트 직 하류의 하류 컷팅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는 상기 중간 컷팅 서포트에서 단계 e)에서 컷팅되고, 상기 컷-투-렝스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트레일링 엔드는 단계 f)에서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상기 트레일링 엔드가 픽업될 때까지 상기 중간 컷팅 서포트 및/또는 상기 하류 컷팅 서포트에 의해 유지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컷팅 시스템은 상기 중간 컷팅 서포트 직 상류의 상류 컷팅 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단계 e)에서의 상기 컷팅은 상기 컷팅 시스템 상류의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남은 연속하는 길이에 대해 새로운 리딩 엔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의 상기 남은 연속하는 길이의 상기 리딩 엔드는, 상기 방법의 다음 사이클 동안에 단계 b)에서 상기 트랜스퍼 드럼에 의해 픽업될 때까지 상기 상류 컷팅 서포트 상에 유지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업 위치는 상기 중간 컷팅 서포트에 위치되거나 그 근방에 위치되는, 방법.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컷팅 서포트들에 자성 요소들이 제공되거나, 상기 컷팅 서포트들이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을 포함하는, 방법.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들은 자석 및 진공 시스템의 석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진공 시스템은 상기 제1 타이어 컴포넌트를 유지하기 위해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방법.
KR1020157018723A 2013-10-02 2014-07-03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 KR101739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1541 2013-10-02
NL2011541A NL2011541C2 (en) 2013-10-02 2013-10-02 Method for picking up and placing tire components.
PCT/NL2014/050443 WO2015050437A1 (en) 2013-10-02 2014-07-03 Method for picking up and placing tire components on a transfer dr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850A true KR20150095850A (ko) 2015-08-21
KR101739673B1 KR101739673B1 (ko) 2017-05-24

Family

ID=5048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723A KR101739673B1 (ko) 2013-10-02 2014-07-03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31103B2 (ko)
EP (1) EP3052310B1 (ko)
JP (1) JP6254266B2 (ko)
KR (1) KR101739673B1 (ko)
CN (1) CN105593008B (ko)
BR (1) BR112016006805B1 (ko)
HU (1) HUE038484T2 (ko)
NL (1) NL2011541C2 (ko)
RU (1) RU2655148C2 (ko)
WO (1) WO2015050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8674B1 (en) * 2017-04-10 2018-10-19 Vmi Holland Bv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ire components from a container to a servicer
JP7099939B2 (ja) * 2018-11-26 2022-07-12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部材成型装置、タイヤ部材の検査方法およびタイヤ部材の製造方法
FR3105079B1 (fr) * 2019-12-20 2021-11-19 Michelin & Cie Procédé de fabrication et de transfert d’un stratifié multi-nappes, applicable a la fabrication de renforts annulaires pour pneumatiques
FR3113382B1 (fr) * 2020-08-13 2022-07-15 Michelin & Cie Gestion d’Enroulage et de Coupe des Nappes de Produits Caoutchouteux dans Une Installation pour la Fabrication des Pneumatique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4263A (fr) * 1969-08-06 1971-02-01 Uniroyal Englebert France Machine pour la fabrication de bandages pneumatiques
DE2740609C2 (de) * 1977-09-09 1982-05-13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orrichtung zum Aufbauen von Luftreifen oder deren Teilen
US4276104A (en) * 1980-01-11 1981-06-3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ransfer drum application of narrow strip components to a tire being built on a tire building drum
SU1243957A1 (ru) * 1984-11-19 1986-07-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404 Агрегат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протекторов покрышек пневматических шин
CN1019079B (zh) * 1988-05-26 1992-11-18 尤尼罗亚尔·谷德里奇轮胎公司 第二级轮胎装配床及方法
SU1565721A1 (ru) * 1988-09-22 1990-05-23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По Оборудованию Для Ши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 центрировани движущегос полос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JP2665682B2 (ja) * 1989-04-13 1997-10-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帯状部材の貼付方法及びその装置
US5248374A (en) * 1990-08-08 1993-09-28 Toyo Tire & Rubber Co., Ltd. Strip winder for a tire building machine
JP3202312B2 (ja) * 1992-03-16 2001-08-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状部材の貼付け装置
JP3390273B2 (ja) * 1994-11-30 2003-03-24 横浜ゴム株式会社 帯状材料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US5667610A (en) * 1994-11-30 1997-09-16 The Yokohama Rubber Co., Ltd. Method of supplying sheet materials
JP3662375B2 (ja) * 1996-11-26 2005-06-22 横浜ゴム株式会社 帯状材料の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DE19938149C2 (de) * 1999-08-16 2002-07-18 Continental Ag Zuführungseinrichtung für streifenförmige Reifenbauteile
JP4470303B2 (ja) * 2000-09-14 2010-06-02 横浜ゴム株式会社 定尺切断シート状材料の移載方法及びその装置
CN1329180C (zh) * 2001-01-12 2007-08-01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结构构件制造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装置
WO2002102579A1 (fr) * 2001-06-19 2002-12-27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de de formation d'un element constitutif de pneu
NL1027846C2 (nl) * 2004-12-22 2006-06-23 Vmi Epe Holland Inrichting voor het opnemen, verplaatsen en plaatsen van strips of stroken flexibel materiaal.
EP1985561A1 (de) * 2007-04-23 2008-10-29 Harburg-Freundenberg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streifenförmigen Werkstü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55148C2 (ru) 2018-05-23
EP3052310B1 (en) 2017-12-20
RU2016116795A3 (ko) 2018-03-19
KR101739673B1 (ko) 2017-05-24
BR112016006805A2 (pt) 2017-08-01
BR112016006805B1 (pt) 2021-02-09
JP6254266B2 (ja) 2017-12-27
US20160229139A1 (en) 2016-08-11
CN105593008B (zh) 2017-08-08
NL2011541C2 (en) 2015-04-07
CN105593008A (zh) 2016-05-18
RU2016116795A (ru) 2017-11-13
EP3052310A1 (en) 2016-08-10
WO2015050437A1 (en) 2015-04-09
JP2016531767A (ja) 2016-10-13
HUE038484T2 (hu) 2018-10-29
US10131103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9673B1 (ko) 트랜스퍼 드럼 상에 타이어 컴포넌트들을 픽업하고 배치하기 위한 방법
EP2731791B3 (en) Metho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2013082173A (ja) タイヤ構成部材の成型方法及び成型装置
EP2720858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yres for vehicle wheels
JP6872377B2 (ja) フィラー付きビ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16531767A5 (ko)
JP2014218065A (ja) 一定長さにカットされた部材の巻付体への巻付方法及び巻付体への部材の巻付装置
JP5006767B2 (ja) ゴム状シートの搬送巻取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H04241408A (ja) 鉄心窓の周りに巻かれたアモルファス鋼帯から成る変圧器鉄心の製造方法
JP5483321B2 (ja) タイヤの製造装置
JP6196930B2 (ja) ゴム部材の搬送方法及び搬送装置
US11479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edges of reels of web material
CN113573998B (zh) 用于替换退绕机中的卷筒的装置以及相关方法
JP6324819B2 (ja) 環状部材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JP5414474B2 (ja) タイヤの製造装置
JP4570275B2 (ja) 線状体の巻き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019055578A (ja) タイヤ形成方法
JP5028156B2 (ja) タイヤ構成用コードの移送装置およびタイヤ構成用コードの移送方法
CN111376508A (zh) 轮胎构成部件的制造装置及轮胎构成部件的制造方法
JP2019009302A (ja) 巻鉄心の製造装置、巻鉄心の製造方法
JP2007297144A (ja) シート状ゴム材料の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