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942A -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 Google Patents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942A
KR20150094942A KR1020140015870A KR20140015870A KR20150094942A KR 20150094942 A KR20150094942 A KR 20150094942A KR 1020140015870 A KR1020140015870 A KR 1020140015870A KR 20140015870 A KR20140015870 A KR 20140015870A KR 20150094942 A KR20150094942 A KR 20150094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oxygen supply
amount
transparent
ai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소영
이아람
이수민
윤선희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5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942A/ko
Publication of KR2015009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atomic physics or neucleoni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에 목부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 흉곽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기도를 통해 연결되는 두부와;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도와 산소 공급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폐부; 및 상기 산소 공급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기도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산소 공급 표시부를 포함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DUMMY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ACTICE}
본 발명은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미, 마네킹과 같은 인체모형은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 것으로, 의상실에서는 의복을 전시하는데 사용하기도 하고, 안전 시험에서는 인체 모형의 충돌로 인체에 미치는 손상 정도를 시험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환자를 응급처리해야 할 경우가 발생되곤 한다. 이러한 응급상황 시에 는 환자의 의식을 확인 후 맥박이 정상적으로 뛰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맥박이 뛰지 않는다면 즉시 흉부압박을 실시해야 하고, 시술자가 흉부 압박을 30회 실 시 한 후에는 기도를 열어 허파(폐) 까지 신선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인공호흡을 2회 실시한다 이러한 술기를 5회 반복하여 실시 한다. 그리고 이러한 술기를 총칭하여 심폐소생술(CPR , Cardiopu lmonary Resuscitation) 이라 한다.
이처럼 심폐소생술은 의식확인, 흉부압박, 기도확보, 인공호흡 등을 응급상황이 발생되면 수행해야 하지만, 마땅히 실습할 수 있는 모형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모형으로는 단지 인체의 형태만 있을 뿐 효과적으로 흉부압박,기 도확보, 인공호흡 등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산소의 공급이 요구되는 양으로 정상적 공급이 되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85078호 (2010.09.28.)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심폐소생 시술 훈련 마네킹을 이용한 심폐소생 시술 훈련시 실습상태와 정확도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 기도로부터 폐부에 이르는 산소 공급 라인에서 산소의 공급 또는 유동 산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단에 목부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 흉곽 몸체부와; 상기 목부와 기도를 통해 연결되는 두부와;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도와 산소 공급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폐부; 및 상기 산소 공급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기도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산소 공급 표시부를 포함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제공한다.
상기 산소 공급 표시부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와, 상기 산소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다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산소의 양을 전달 받아,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산소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를 따라 상기 다수의 측정센서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측정되는 산소의 양에 비례하는 조도를 이루어 발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투명의 튜브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튜명의 튜브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심폐 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 기도로부터 폐부에 이르는 산소 공급 라인에서 산소의 공급 또는 유동 산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부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1)는 크게, 투명 흉부 몸체부(100)와, 두부(200)와, 폐부(300)와, 산소 공급 표시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는 인체의 상체에 해당되는 부분을 모사할 수 있는 몸체이다.
따라서,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는 손으로 흉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인체의 목을 모사하는 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목부(110)의 내부에는 기도(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의 목부(110)에는 두부(200)가 연결된다.
상기 두부(200)는 인체의 머리를 모사하는 부분으로, 상기 기도(111)와 연결되는 입(210), 코(220) 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상기 기도(111)와 연결되는 폐부(300)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더미에서는 상기 기도(111)와 상기 폐부(300)를 연결하는 산소 공급 라인(a)이 형성된다.
상기 산소 공급 라인(a)은 기도를 통해 유입되는 산소가 상기 폐부(300)로 이동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투명 흉부 몸체부(100)는 투명의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산소 공급 라인(a)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산소 공급 표시부(400)는 기도(111)를 통해 유입되는 산소가 산소 공급 라인(a)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외부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산소 공급 표시부(400)는 크게 다수의 측정센서(410)와, 표시부(420)와, 제어부(43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측정센서(410)는 산소량을 측정하는 센서인 것이 좋다.
상기 측정 센서들(410)은 산소 공급 라인(a)을 따라 균등한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고, 설치된 위치에서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측정한 산소량을 제어부(43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 센서들(410)은 상기 산소 공급 라인(a)에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표시부(420)는, 설정된 조도 범위 내에서 발광되는 엘이디와 같은 발광 소자인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발광 소자들(440)은 상기 산소 공급 라인(a)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센서들(410)과 일대일 상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발광 소자들(440)은 제어부(43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어부(430)에는 산소량에 따라 비례되는 조도가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430)는 측정 센서들(410)로부터 측정되는 산소량을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430)는 각 측정 센서(410)로부터 전송 받은 산소량에 해당되는 조도를 이루도록 해당 발광 소자를 구동시킨다.
예컨대, 일정 산소량 기준으로 산소가 희박한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소자는 농후한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에 비해 낮은 조도를 이루어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심폐 소생술 연습자는 더미의 외부에서 산소 공급 라인에서의 산소량 또는 산소 공급량의 상태를 육안 즉,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구성을 통해,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사용자 또는 심폐 소생술 연습자는 두부(200)에 마련되는 입(210)을 통해 더미의 기도(111)로 산소를 강제로 불어 넣을 수 있다.
이때, 불어 넣어지는 산소는 기도(111)를 통해 산소 공급 라인(a)을 따라 유동되면서 폐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되는 산소량의 정도에 따라 정상적으로 산소 공급 라인(a)을 따라 폐부(300)까지 공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산소 공급 라인(a)에 설치되는 다수의 측정 센서들(410)은 해당 위치에서의 산소량을 측정하여 제어부(43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30)는 측정 센서들(410) 각각에서 측정되는 산소량에 해당되는 조도를 이루도록 각 발광 소자들(440)의 발광을 제어한다.
따라서, 일정 산소량 기준으로 산소가 희박한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소자는 농후한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에 비해 낮은 조도를 이루어 발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이를 지켜보는 연습자들은 더미의 내부에서 기도로부터 페부를 잇는 산소 공급 라인을 따라 산소가 어느 정도까지 또는 어느 정도의 산소량을 공급되고 있는지를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투명의 튜브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튜명의 튜브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가 이상 동작하는 경우, 발광 소자들 전체를 한 번에 교체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투명 흉부 몸체부
110 : 목부
200 : 두부
300 : 폐부
400 : 산소 공급 표시부
410 : 측정 센서
420 : 표시부(발광 소자)
430 : 제어부

Claims (4)

  1. 일단에 목부가 형성되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 흉곽 몸체부;
    상기 목부와 기도를 통해 연결되는 두부;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기도와 산소 공급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폐부; 및
    상기 산소 공급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기도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투명 흉곽 몸체부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산소 공급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공급 표시부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며,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다수의 측정센서와,
    상기 산소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다수의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산소의 양을 전달 받아,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산소의 양을 외부로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를 따라 상기 다수의 측정센서와 일대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측정되는 산소의 양에 비레하는 조도를 이루어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광 소자는, 투명의 튜브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튜명의 튜브는, 상기 산소 공급 유로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KR1020140015870A 2014-02-12 2014-02-12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KR20150094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70A KR20150094942A (ko) 2014-02-12 2014-02-12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870A KR20150094942A (ko) 2014-02-12 2014-02-12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942A true KR20150094942A (ko) 2015-08-20

Family

ID=5405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870A KR20150094942A (ko) 2014-02-12 2014-02-12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65A (ko) * 2018-12-05 2020-06-15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365A (ko) * 2018-12-05 2020-06-15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5563B2 (ja) 心肺蘇生訓練装置
CN105608974A (zh) 一种气动反应式心肺复苏教学模拟人
US9943249B2 (en) Respiratory gas monitor test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JP6693950B2 (ja) 有効な人工呼吸を教授、演習及び遂行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10096730A (ko) 심폐소생술 연습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3321B1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US20110250578A1 (en) Ventilator test lung and trigger assembly
ES2793236T3 (es) Simulador médico-quirúrgico y procedimiento de simulación médico-quirúrgica
KR101833128B1 (ko) 심폐 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장치
KR20160055624A (ko) 훈련 및 평가가 가능한 기도삽관 실습장치
CN109003497A (zh) 气道管理训练方法及系统
CN206134073U (zh) 护理教学用心肺复苏模型
KR20150094942A (ko)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US20200168125A1 (en) Expiratory breathing simulator device and method
WO2013143933A1 (en) Lung simulator
KR101554429B1 (ko) 자동제세동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US9750431B2 (en) Pulmonary compliance and air flow resistance
CN105788421A (zh) 新型吸痰训练模型
TW201719599A (zh) 互動式心肺復甦術教學輔具裝置及方法
US20220246062A1 (en) Emergency surgical airway surgery simulation device
JP7164147B2 (ja) 胸骨圧迫訓練モデル
WO2007129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ng a qcpr device
KR102179544B1 (ko) 응급훈련용 가상현실 시뮬레이터
KR2016000126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US11521518B1 (en) Airway sim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2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