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365A -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365A
KR20200068365A KR1020180155254A KR20180155254A KR20200068365A KR 20200068365 A KR20200068365 A KR 20200068365A KR 1020180155254 A KR1020180155254 A KR 1020180155254A KR 20180155254 A KR20180155254 A KR 20180155254A KR 20200068365 A KR20200068365 A KR 20200068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blood
dummy
model
cpr
blood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800B1 (ko
Inventor
호해창
Original Assignee
인천광역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광역시 filed Critical 인천광역시
Priority to KR1020180155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8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상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몸체부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심장 모형, 몸체부의 머리 내부에 형성된 뇌 모형,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심장 모형과 뇌 모형을 연결하는 인공혈관, 몸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 및 몸체부 내부에 형성된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몸체부의 가슴 내부의 소정의 깊이까지 압력이 가해지면 발광장치가 켜짐으로 내부가 보이게 되고, 상기 심장 모형, 뇌 모형 및 인공혈관은 인공혈액 및 알갱이로 채워진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인공혈액의 순환과 폐의 팽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어 직관적으로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a dummy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raining}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시각적 효과를 통해 알려줄 수 있는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관한 것이다.
심폐소생술(CRP: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에게 가슴압박 및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응급조치이다. 심폐소생술은 정확하게 심장 부분을 압박하고, 폐까지 공기가 공급되도록 인공호흡을 실시하여야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구급요원, 군인, 학생, 일반인 등은 실습용 더미를 이용해 심폐소생술을 실습한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가슴부분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입부분은 실습자가 인공호흡을 시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는 불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 실습자는 적절한 위치에 가슴압박을 실시하는지,가슴 압박 시 압력이 적절한지를 알 수 없다.
또한, 실습자는 심폐소생술로 인한 혈액의 순환이나 폐의 팽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어,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5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인공혈액의 순환과 폐의 팽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는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의 상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심장 모형과, 상기 몸체부의 머리 내부에 형성된 뇌 모형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심장 모형과 뇌 모형을 연결하는 인공혈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압력센서와 발광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의 소정의 깊이까지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발광장치를 작동시켜 몸체부의 내부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심장 모형, 뇌 모형 및 인공혈관은 인공혈액 및 알갱이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알갱이는 형광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인공혈관은 동맥 인공혈관과 정맥 인공혈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맥 인공혈관에는 심장 모형에서 뇌 모형방향으로 인공혈액이 이동가능하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정맥 인공 혈관에는 뇌 모형에서 심장 모형방향으로 인공혈액이 이동가능하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는 몸체부의 턱부분이 들리도록 소정의 각도로 꺽이는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폐 모형과, 상기 폐 모형과 연결된 인공 기도와, 상기 인공 기도에 설치된 유동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폐 모형은 인공호흡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압력 센서 및 유동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 받은 통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공혈액의 순환과 폐의 팽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심폐소생술을 실습할 수 있어, 직관적으로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발광장치가 작동되어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력이 향상되어 심폐소생술의 실습효과가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인체의 상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투명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가슴 내부에 형성되는 심장 모형(200)과 상기 몸체부(100)의 머리 내부에 형성된 뇌 모형(300)과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심장 모형(200)과 뇌 모형(300)을 연결하는 인공혈관(400)과 몸체부(100)의 가슴 내부에 설치된 압력센서(210)와 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발광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는 가슴과 머리를 포함한 인체의 상체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는 실제 인체의 장기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심장 모형(200), 뇌 모형(300) 및 폐 모형(500) 등의 장기 모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PP(Polypropylene)이나 PEVA(Polyethylene vinyle acetate)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후술될 발광장치(600)가 작동되어 불이 켜지게 되면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의 목부분에는 몸체부(100)의 턱부분이 들리도록 소정의 각도로 꺽일 수 있는 관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러한 관절을 통해 몸체부(100) 턱부분을 들어올려 기도를 확보하는 학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절에는 꺽이는 각도를 감지할 수 있는 관절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턱부분을 들어올려 기도가 확보되는 각도로 관절이 꺽이게 되는 경우, 관절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센싱 정보를 후술될 제어부(70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전달받은 센싱 정보에 따라 발광장치(600)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기도가 확보된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심장 모형(200)과 뇌 모형(300)은 인공혈관(40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공혈관(400)은 인공혈액(410)과 알갱이(420)로 채워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가슴을 압박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심장 모형(200)이 압력을 받아 심장 모형에 채워져 있던 인공혈액(410)과 알갱이(420)가 인공혈관을 타고 뇌 모형(300)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심폐 소생술에 의한 인공혈액(410)의 순환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극대화된다.
이때, 상기 인공혈액(410)은 사용자가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빨강, 파랑, 초록 등의 안료를 포함하는 액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알갱이(420)는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인공혈액(410)과 함께 순환하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쉽게 인공혈액(410)의 순환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갱이(410)는 구, 사면체, 육면체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공혈관(400)을 막지 않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갱이(410)는 사용자가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공혈액(410)과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알갱이(410)는 형광물질로 코팅될 수 있는데, 형광물질로 코팅된 알갱이(420)는 후술될 발광장치(600)로부터 빛을 받아 스스로 빛을 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인공혈액(410)의 순환을 시각적으로 강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효과가 상승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갱이(420)를 코팅하는 형광물질로는 황화아연, 황화아연카드뮴, 로다민, 오라민, 에오신, 우라닌, 호스핀, 올레인인산염, 스테아린산염, 소듐레드레이크, 로다민텅스테이트, 오라민텅스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혈관(400)에는 일방향 밸브(43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방향 밸브(430)는 유체를 한쪽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방향 밸브(430)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맥 인공혈관(400a)에는 심장 모형(200)에서 뇌 모형(300) 방향으로 인공혈액(410)이 흐를 수 있도록 일방향 밸브(430)가 설치되며, 상기 정맥 인공혈관(400b)에는 뇌 모형(300)에서 심장 모형(200) 방향으로 인공혈액(410)이 흐를 수 있도록 일방향 밸브(4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혈관(400)에 일방향 밸브가 설치된 경우에는, 한쪽방향으로만 인공혈액(410)이 흐르게 되어 심폐소생술에 의한 인공혈액(410)의 순환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폐 모형(500)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 기도(510)를 통해 몸체부(100)의 입(130)과 연결되는데,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입(130)을 통해 인공호홉을 실시할 경우, 사용자가 불어 넣은 공기로 인해 폐 모형(500)은 팽창하게 되고, 사용자는 팽창된 폐 모형(50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공기도(510)에는 유동 센서(52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는데, 유동 센서(520)는 사용자가 인공호흡을 실습할 경우, 인공 기도(510)를 통해 유입되는 단위 시간당 공기 압력 및 공기의 흐름을 감지하고, 감지한 센싱 정보를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압력 센서(210)는 몸체부(100)의 가슴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 및 압박의 깊이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흉부 압박 실습 시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 및 압박의 깊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가슴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몸체부(100)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심장 모형(20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유동 센서(520) 또는 압력 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센싱 정보에 따라 발광장치(600)를 작동시키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몸체부(100)의 가슴 내부의 소정의 깊이까지 압력을 가한 경우, 압력 센서(21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0)는 수신받은 압력 신호와 설정된 압력신호를 비교하여 설정된 압력보다 높을 경우 발광장치(60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발광장치(600)가 작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심폐 소생술을 수행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압력을 가하면, 발광장치(600)가 작동하게 되어 사용자는 인공혈액(410)이 순환되고 있는 몸체부(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몸체부(100)의 내부를 관찰한 사용자는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흥미 또한 유발되어 학습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에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경우, 인공기도(510)에 설치된 유동 센서(520)는 사용자가 불어넣는 공기의 흐름과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7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0)는 송신 받은 센싱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에 대응하는 경우 발광장치(600)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발광장치(600)가 작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내부의 팽창된 폐 모형(500)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인공호흡을 실시하여 충분한 공기를 불어 넣지 못하거나, 충분한 압력이나 깊이까지 가슴압박을 실시하지 못하여 정확한 심폐소생술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도 3(a)와 같이 발광장치(600)가 작동되지 않아,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내부를 관찰할 수 없게 된다(내부의 심장 모형(200), 뇌 모형(300) 및 폐모형(500)을 점선으로 표시).
반면, 사용자가 인공호흡을 실시하여 충분한 공기를 불어 넣거나, 충분한 압력이나 깊이까지 가슴압박을 가하여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유동 센서(520) 및 압력 센서(210)는 이를 감지하여, 도 3(b)와 같이 발광장치(600)가 작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를 사용하여 심폐소생술을 실습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지를 인지할 수 있고, 정확하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할 경우, 발광장치(600)가 작동되어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어 흥미가 유발되어 학습효과가 상승한다.
또한, 심폐소생술을 통한 인공혈액(410)의 순환과 폐(500)의 팽창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는 심폐소생술의 원리를 직관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광원으로 사용하는 발광장치(600)로는 발광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광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y)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부(100)의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부는 압력 센서(210) 및 유동 센서(520)로부터 전달받은 센싱 정보를 블루투스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송신받은 센싱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여 자신의 학습성과를 기록할 수 있고, 다시 교육을 받는 경우 저장된 지난 학습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100)의 머리부분의 내측에는 입(130)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 입(130) 주변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게 된다.
따라서, 실습과정에서 인공호흡시 입(130)에 직접 실습자의 입이 접촉되기 때문에 입(130) 주변에 타액이 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세균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으로 살균함으로써, 보다 위생적으로 인공호흡을 실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0 : 몸체부 130 : 입
200 : 심장 모형 210 : 압력센서
300 : 뇌 모형 400 : 인공혈관
400a: 동맥 인공혈관 400b : 정맥 인공 혈관
410 : 인공혈액 420 : 알갱이
430 : 일방향 밸브 500 : 폐 모형
510 : 인공기도 520 : 유동센서
600 : 발광장치 700 : 제어부

Claims (8)

  1. 인체의 상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심장 모형과,
    상기 몸체부의 머리 내부에 형성된 뇌 모형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심장 모형과 뇌 모형을 연결하는 인공혈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는 압력센서와 발광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의 소정의 깊이까지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발광장치를 작동시켜 몸체부의 내부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장 모형, 뇌 모형 및 인공혈관은 인공혈액 및 알갱이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갱이는 형광물질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혈관은 동맥 인공혈관과 정맥 인공혈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맥 인공혈관에는 심장 모형에서 뇌 모형방향으로 인공혈액이 이동가능하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정맥 인공 혈관에는 뇌 모형에서 심장 모형방향으로 인공혈액이 이동가능하도록 일방향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몸체부의 턱부분이 들리도록 소정의 각도로 꺽이는 관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가슴 내부에 형성된 폐 모형과,
    상기 폐 모형과 연결된 인공 기도와,
    상기 인공 기도에 설치된 유동 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폐 모형은 인공호흡시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압력 센서 및 유동 센서로부터 센싱 정보를 전달 받은 통신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 소생술 실습용 더미.
KR1020180155254A 2018-12-05 2018-12-05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KR10213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54A KR102133800B1 (ko) 2018-12-05 2018-12-05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54A KR102133800B1 (ko) 2018-12-05 2018-12-05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65A true KR20200068365A (ko) 2020-06-15
KR102133800B1 KR102133800B1 (ko) 2020-07-14

Family

ID=7108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254A KR102133800B1 (ko) 2018-12-05 2018-12-05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8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8728A (zh) * 2020-07-26 2020-10-20 挪度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一种新生儿心肺复苏模型
CN113496642A (zh) * 2021-08-10 2021-10-12 叶建蓉 心肺复苏按压深度训练模型
CN116994484A (zh) * 2023-09-25 2023-11-03 吉林大学 一种交互式心肺复苏培训教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130A (ja) * 2006-03-03 2009-06-04 Univ Waseda 冠動脈バイパス手術用の訓練評価システム
KR20140118563A (ko) 2013-03-29 2014-10-08 이재민 투명흉곽몸체부를 구비한 더미
KR20150094942A (ko) * 2014-02-12 2015-08-20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KR101856203B1 (ko) * 2017-07-04 2018-05-10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2130A (ja) * 2006-03-03 2009-06-04 Univ Waseda 冠動脈バイパス手術用の訓練評価システム
KR20140118563A (ko) 2013-03-29 2014-10-08 이재민 투명흉곽몸체부를 구비한 더미
KR20150094942A (ko) * 2014-02-12 2015-08-20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산소 공급 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심폐 소생술 연습용 더미
KR101856203B1 (ko) * 2017-07-04 2018-05-10 주식회사 이노소니언 심폐소생술 훈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98728A (zh) * 2020-07-26 2020-10-20 挪度医疗器械(苏州)有限公司 一种新生儿心肺复苏模型
CN113496642A (zh) * 2021-08-10 2021-10-12 叶建蓉 心肺复苏按压深度训练模型
CN116994484A (zh) * 2023-09-25 2023-11-03 吉林大学 一种交互式心肺复苏培训教具
CN116994484B (zh) * 2023-09-25 2023-12-15 吉林大学 一种交互式心肺复苏培训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800B1 (ko)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0257B2 (en) Automated resuscitation device with ventilation sensing and prompting
JP6305563B2 (ja) 心肺蘇生訓練装置
KR102133800B1 (ko)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CN109166433B (zh) 一种医疗模拟人系统
HU203420B (en) Training apparatus for teqching a process of emergency reviving
KR20100031116A (ko) 소생술에서 구조자를 보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20220108631A1 (en) System for simulation training of extra corporeal life support therapies
JP7177246B2 (ja) 蘇生法ファントム
KR101298488B1 (ko)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20170135045A (ko) 심폐 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장치
CN109147526A (zh) 拔罐器、拔罐训练装置及方法
KR20230084663A (ko) 복합 응급처치 교육용 인체모형 교보재
KR20210012250A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102571004B1 (ko)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튜브형 교보재
RU2057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ботов-тренажеров для безопасного обучения навыкам сердечно-легочной реанимации
KR20140118563A (ko) 투명흉곽몸체부를 구비한 더미
BR202019009778U2 (pt) Disposição aplicada em simulador de paciente
Perkins et al. 20 Training manikins
CN118135882A (zh) 患者模拟器及相关设备、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