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250A -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2250A
KR20210012250A KR1020190089636A KR20190089636A KR20210012250A KR 20210012250 A KR20210012250 A KR 20210012250A KR 1020190089636 A KR1020190089636 A KR 1020190089636A KR 20190089636 A KR20190089636 A KR 20190089636A KR 20210012250 A KR20210012250 A KR 20210012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hest compressio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nequin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숙
Original Assignee
신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숙 filed Critical 신현숙
Priority to KR102019008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2250A/ko
Publication of KR2021001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튜브관을 이용하여 실제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고, 흉부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흉부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EDUCATION MANNEQUIN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튜브관을 이용하여 실제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고, 흉부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흉부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폐소생술(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으로서, 심장이 마비된 상태에서 가슴 부위를 가압하여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이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심장마비를 목격한 사람이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게 되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심장마비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확률이 3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응급 상황에서 누구나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심폐소생 교육은 교육용 마네킹을 통해 진행되는데, 이러한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이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260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은, 인체의 형태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흉부압박시 압박도를 측정하는 압박센서; 상기 몸체의 설치되어 호흡량을 측정하는 풍속센서; 및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압박도와 호흡량을 체크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박센서는 흉부 압박위치의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흉부압박시 압박도 및 압박횟수를 측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풍속센서는 몸체의 입에서 목부위까지 연결된 관로에 설치되어 인공호흡시 호흡량과 호흡속도를 측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압박센서 및 상기 풍속센서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몸체의 외부에 인지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특허문헌 1은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몸체에 설치된 압박센서, 풍속센서 및 표시부를 통해 응급처치자가 정확한 압박위치, 압박강도, 압박횟수 및 인공호흡량을 실시간으로 인지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른시간내에 심폐소생술의 진행을 통해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흉부압박시 단순히 압력센서에 의해 가슴을 압박하는 정도가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여, 실제 흉부압박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 등에 대처하며 심폐소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2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관을 이용하여 실제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고, 흉부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흉부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이 가능한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심장 모형의 LED를 통해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범위만 발광되도록 구성하고,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심장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심장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될때까지 지속적으로 흉부압박을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이 가능한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은, 인체의 형태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사람의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흉부 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되는 튜브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심장 모형의 LED로 구성되어 흉부압박의 정확성에 따라 그 발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되,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범위만 발광되도록 구성되며,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심장 모형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튜브관을 이용하여 실제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고, 흉부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흉부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심장 모형의 LED를 통해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범위만 발광되도록 구성하고,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심장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심장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될때까지 지속적으로 흉부압박을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이격된 튜브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심장부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튜브관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이격된 튜브관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의 심장부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은, 몸체(100), 튜브관(200), 심장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인체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인체의 상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흉부압박시 압박도를 측정하는 압박센서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박센서는 흉부 압박위치의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흉부압박시 압박도 및 압박횟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튜브관(2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서 사람의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튜브관(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 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의 튜브관(200)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제1튜브관(210) 및 제튜브관(22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통상적으로 심폐소생을 위한 흉부 압박시에는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갈비뼈가 부러질 경우, 흉부 압박을 진행하는 구호자가 당황함에 따라 흉부압박을 멈추게 되어 원활한 심폐소생술이 진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흉부 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흉부 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상기 튜브관(200)을 통해 직관적으로 교육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상호 이격되는 제1튜브관(210) 및 제2튜브관(220)의 내측에는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400) 및 제2결합부(500)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제1결합부(400)의 끝단에는 제2결합부(50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돌기(410)가 구비되며, 제2결합부(500)의 끝단에는 상기 결합돌기(41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홈(5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400)와 제2결합부(500)는 와이어(600)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심폐소생술 교육 과정에서 제1결합부(400)와 제2결합부(500)가 이격된 상태에서 다음 교육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600)의 끝단부를 당겨줌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400)와 제2결합부(500)가 가까워지며 상기 결합돌기(410)와 결합홈(510)이 결합됨에 따라 제1튜브관(210)과 제2튜브관(220)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심장부(300)는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심장 모형의 LED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흉부압박의 정확성에 따라 그 발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데,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범위만 발광되도록 구성되며,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심장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심장부(300)는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튜브관(200)이 이격되더라도 즉,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심장부(300) 전체의 넓은 범위가 정상적으로 발광될때까지 지속적인 흉부압박을 시각적으로 유도함으로써,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관(200)을 이용하여 실제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고, 흉부압박시 제1튜브관(210) 및 제2튜브관(220)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흉부압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흉부압박을 계속 진행해야 함을 교육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심폐소생 교육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몸체 200: 튜브관
210: 제1튜브관 220: 제2튜브관
300: 심장부 400: 제1결합부
410: 결합돌기 500: 제2결합부
510: 결합홈 600: 와이어

Claims (1)

  1. 인체의 형태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사람의 갈비뼈와 동일한 형태를 구현하도록 다수개로 이루어지되, 흉부 압박시 어느 하나 이상이 상호 이격되며 갈비뼈가 부러지는 효과를 연출하도록 구성되는 튜브관;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심장 모형의 LED로 구성되어 흉부압박의 정확성에 따라 그 발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되,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좁은 범위만 발광되도록 구성되며, 흉부압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심장 모형 전체의 넓은 범위가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1020190089636A 2019-07-24 2019-07-24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20210012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36A KR20210012250A (ko) 2019-07-24 2019-07-24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636A KR20210012250A (ko) 2019-07-24 2019-07-24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250A true KR20210012250A (ko) 2021-02-03

Family

ID=7457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636A KR20210012250A (ko) 2019-07-24 2019-07-24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22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129A (ko) * 2021-09-29 2023-04-05 정재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튜브형 교보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60U (ko) 2014-10-07 2016-04-18 김진영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60U (ko) 2014-10-07 2016-04-18 김진영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129A (ko) * 2021-09-29 2023-04-05 정재은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튜브형 교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5563B2 (ja) 心肺蘇生訓練装置
US10959913B2 (en) Providing feedback for CPR treatment
US4850876A (en) Training device for practicing emergency life saving techniques
US10339834B2 (en) CPR patient training mannequin
KR101445978B1 (ko) 심폐소생술 교육시스템
KR20100031116A (ko) 소생술에서 구조자를 보조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204596298U (zh) 医用心肺复苏模拟机器人
CN106530922A (zh) 便携式心肺复苏训练模型
KR102133800B1 (ko) 심폐소생술 실습용 더미
KR102039218B1 (ko)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KR101833128B1 (ko) 심폐 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장치
KR20210012250A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CN106652708A (zh) 用于便携式心肺复苏训练模型的模拟显示方法及训练模型
KR20190139431A (ko) 초보자를 위한 심폐소생술 학습 교구
KR20190016700A (ko) 심폐소생술 실습장치
KR101972865B1 (ko) 심폐소생술 훈련 장치
KR20160001260U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20170024946A (ko) 모바일기기와 센서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207909398U (zh) 便携式心肺复苏训练模型
KR20150086207A (ko) 심폐소생 훈련장치
KR20160041440A (ko) 심폐소생 교육용 마네킹
KR102571004B1 (ko) 심폐소생술 교육을 위한 튜브형 교보재
US10699598B2 (en) CPR patient training mannequin
CN208225334U (zh) 一种人工呼吸训练模型
KR20170024947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훈련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