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322A - 저온 지방 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저온 지방 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322A
KR20150094322A KR1020140015462A KR20140015462A KR20150094322A KR 20150094322 A KR20150094322 A KR 20150094322A KR 1020140015462 A KR1020140015462 A KR 1020140015462A KR 20140015462 A KR20140015462 A KR 20140015462A KR 20150094322 A KR20150094322 A KR 2015009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coupled
present
fa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603B1 (ko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이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성 filed Critical 이준성
Priority to KR102014001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6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18/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with open-end cryogenic probe, e.g. for spraying fluid directly on tissue or via a tissue-contacting porous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지방 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복부 이외의 국소적인 부위의 지방도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넓은 영역의 지방 분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피하 지방 조직에만 냉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피부나 심부 근육에 불필요한 냉기 전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가 접히면서 압박되어 홍반이나 피하 출혈 등이 발생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저온 지방 분해 장치{APPARATUS FOR RESOLVING SUBCUTANEOUS FAT OF HUMAN BODY USING LOW TEMPERATURE}
본 발명은 지방 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피하 지방 조직을 저온으로 처리하여 지방세포가 자가세포 사멸(Apoptosis) 작용에 의해 자연 괴사 진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비만 등에 의한 피하 지방 조직을 분해하고 감소시키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피하 지방 조직은 셀룰라이트(cellulite)로 둘러싸인 과립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하 지방 조직은 잘 분해되지 않는 특성을 보이는 데, 이는 체내의 지방분해 효소가 셀룰라이트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프로브의 끝단에 설치된 두 개의 전극을 사용하여 일정 온도 수준으로 냉각을 시키며, 이를 피부 표면에 접촉시켜 표피/진피의 보호와 통증 감소를 도모함은 물론 RF 가열을 위한 전극으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RF 가열 방식도 시술 대상자마다 비만 정도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에 표피, 진피, 지방 조직 등의 위치가 달라 목표로 하는 지방 조직까지 도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다수의 선행기술들이 존재하는데, 도 1과 도 2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5334를 선행기술의 일례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프로브 내로 흡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프로브 내로 흡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지방 분해 장치(100)는 프로브(120), 열전 소자(140) 및 진공 흡입부(160)를 포함한다.
프로브(12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소켓 형상을 갖는다. 프로브(120)의 밑면은 표적 부위(T)와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프로브(120)는 인체의 피부 조직(1)과 맞닿도록 설계되는 부분이므로, 생체적합 재질, 일 예로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다.
RF 열전 전극(140)은 프로브(120)의 마주보는 양측 내벽에 각각 장착되며, [0021] 고주파 발생부(미도시)로부터의 RF 신호에 응답하여 RF 고주파를 발생시키고, 냉각 수단을 구비한다. 고주파 발생부는 제어부(180)와 이격된 일측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어부(180)에 내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RF 열전 전극(140)은 n형 열전 반도체 및 p형 열전 반도체로 이루어지며, n형 및 p형 열전 반도체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그리고 열적으로는 병렬로 연결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RF 열전 전극(140)은 전원이 공급될 경우 n형 열전 반도체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p형 열전 반도체에서는 방열이 일어나는 펠티에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써, 전원의 극성 변화에 따라 표적 부위(T)를 가열 및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 흡입부(160)는 프로브(120)의 내측 천장과 연통되며, 상기 RF 열전 전극(140)에 접촉되도록 표적 부위(T)를 진공압으로 흡착시킨다. 이러한 진공 흡입부(160)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 유닛(162) 및 진공 발생 유닛(162)으로부터의 진공압을 제공받는 진공 홀(164)을 구비한다. 이때, 진공 홀(164)은 진공 흡입부(160)의 내측 천장과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프로브(120)의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빈 공간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진공 흡입부(160)는 일정 수준의 진공압을 진공 홀(164)로 제공함으로써 표적 부위(T)를 프로부(120)의 내측으로 진공 흡착하는 것을 통하여 표적 부위(T)를 선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80)는 RF 열전 전극(140) 및 진공 흡입부(160)를 각각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어부(180)는 전원공급유닛으로부터의 전원을 RF 열전 전극(140) 및 진공 흡입부(160)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제어용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는 전산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방 분해 장치(100)는 표적 부위(T)를 진공 흡입부(160)를 이용하여 프로브(120)의 내부로 진공 흡입함으로써, 프로브(120)의 내측으로 표적 부위(T)를 끌어 올리게 된다. 이때, 진공 흡입부(160)에 의하여 프로브(120)의 내측으로 흡착된 표적 부위(T)에 RF 고주파를 인가하여 표적 부위(T)의 지방 조직(30)을 분해시키고, 상기 RF 열전 전극(140)에 접촉되는 표적 부위(T), 특히 표피 및 진피(10, 20) 부분에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방 분해 장치는 그 부피와 크기가 크기 때문에 복부 이외의 국소적인 부위의 지방은 분해할 수 없고, 동시에 넓은 영역의 지방을 분해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하 지방 조직에만 냉기를 전달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피부나 심부 근육에 불필요한 냉기 전달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되고, 피부가 접히면서 압박된 상태로 냉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홍반이나 피하 출혈 등이 발생되는 부작용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복부 이외의 국소적인 부위의 지방도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넓은 영역의 지방 분해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지방 분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하 지방 조직에만 냉기를 전달하여 피부나 심부 근육에 불필요한 냉기 전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가 접히면서 압박되어 홍반이나 피하 출혈 등이 발생되는 부작용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일단이 피하(皮下)로 삽입되는 외부 프로브; 축방향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 프로브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 프로브가 피하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외부 프로브의 외부로 이동하여 피하로 침투되는 내부 프로브; 일단이 상기 내부 프로브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기 냉각기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내부에 저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부 이외의 국소적인 부위의 지방도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넓은 영역의 지방 분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피하 지방 조직에만 냉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피부나 심부 근육에 불필요한 냉기 전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가 접히면서 압박되어 홍반이나 피하 출혈 등이 발생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프로브 내로 흡입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방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표적 부위를 프로브 내로 흡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외부 프로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내부 프로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외부 프로브와 내부 프로브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외부 프로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내부 프로브를 나타내는 정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외부 프로브와 내부 프로브가 결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 중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는,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일단이 피하(皮下)로 삽입되는 외부 프로브(310); 축방향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 프로브(3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 프로브(310)가 피하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외부 프로브(310)의 외부로 이동하여 피하로 침투되는 내부 프로브(320); 일단이 상기 내부 프로브(3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기 냉각기(3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30); 내부에 저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연결부재(330)를 냉각시키는 냉각기(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저온 지방 분해 장치는 인체의 피하에 외부 프로브(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냉각기(340)에 의해 저온으로 냉각된 내부 프로브(320)가 외부 프로브(310)의 내주면을 따라서 움직이면서 피하로 넓게 침투됨으로써, 내부 프로브(320) 주위의 피하 지방 조직을 저온으로 처리하여 지방세포가 자가세포 사멸(Apoptosis)에 의해 피하 지방 조직을 분해하게 되어 있다.
일단이 피하(皮下)로 삽입되는 외부 프로브(310)는 열전도성이 낮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외경이 1.5mm, 내경이 1mm 정도의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내부 공간에 내부 프로브(320)가 삽입되어 결합되며, 내부 프로브(320)와의 접촉에 의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단열재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프로브(310)에 비해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내부 프로브(320)는 외부 프로브(3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축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게 되는데, 외부 프로브(310)가 피하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 프로브(320)의 일단이 외부 프로브(310)의 외부로 이동하여 피하로 깊숙이 침투되어 피하 지방조직을 저온으로 냉각하여 지방세포를 분해하게 한다.
여기서, 내부 프로브(320)는 외부 프로브(310)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직선 운동하는 몸체(321)와, 몸체(321)의 단부에 형성되되 외부 프로브(310)의 외부로 이동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심축에서 방사상의 외측으로 벌어지며 피하로 침투되는 탄성지지부(323)를 구비할 수 있는데, 탄성지지부(323)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피하 지방 조직의 보다 넓은 부위까지 저온 냉각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프로브(320)를 외부 프로브(310)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탄성지지부(323)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고 복원되는 작동을 하게 되는데,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도상에서 내부 프로브(3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탄성지지부(323)가 대략 반경이 1cm 정도의 영역까지 벌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외부 프로브(31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피하에 삽입되는 본체(311)의 일단에 내부 공간(315)이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절개면(313)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부 프로브(320)는 외부 프로브(310)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직선 운동하는 몸체(321)와, 몸체(321)의 단부에 형성되되 외부 프로브(310)의 외부로 이동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경사절개면(313)을 통해 외측으로 벌어지며 피하로 침투되는 탄성지지부(323)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탄성지지부(323)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방사상의 영역 중 외부 프로브(310)의 경사절개면(313)이 형성된 영역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는데, 도 4와 도 5에서는 일례로 탄성지지부(323) 세개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지방 분해 시술시 외부 프로브(310)가 경사절개면(313)을 통해 피하로의 삽입이 용이해지고, 외부 프로브(310)의 삽입 후 특정 방향의 부위에만 내부 프로브(320)의 탄성지지부(323)가 침투될 수 있게 되어 지방 분해 시술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지지부(323)가 외부 프로브(3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부 프로브(310)를 피하에 삽입하고 내부 프로브(320)를 누르면 탄성지지부(323)가 벌어지면서 피하에 침투되어 보다 광범위한 부위의 지방 조직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단이 내부 프로브(3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냉각기(340)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3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실내 온도와 유사한 온도를 갖는 내부 프로브(320)의 온도를 냉각기(340)쪽으로 전도시켜 내부 프로브(320)를 냉각시키게 된다.
내부에 저온 상태를 유지하여 연결부재(330)를 통해 내부 프로브(320)를 냉각시키는 냉각기(340)는 여러 방식의 냉각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대기 압력 하에서 대략 -196℃의 액체로 존재하는 액체 질소를 냉각 수단으로 이용하는 냉각기와, 의료용 냉장고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는 냉각기, 이들을 혼용한 형태로 액체 질소를 냉각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상온에서 보관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서 저온 고압으로 보관할 수 있는 냉각기를 이용한다.
도 7에서는 일례로 액체 질소를 상온에서 보관하지 않고 전기에너지를 이용해서 저온 고압으로 보관하는 냉각기(340)를 도시하였는데, 액체 질소 탱크가 내장된 냉각기 본체(347)에 연결부재(330)가 결합되는 결합부(341)와, 액체 질소 탱크의 온도와 압력을 조정하는 계기판(345), 액체 질소를 주입하는 주입구를 밀봉하는 주입구마개(343) 등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냉각기(340)도 전기에너지의 공급 없이 단순히 탱크 내의 액체 질소만 냉각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부재(330)가 결합되는 내부 프로브(320)의 타단에는 연결부재(330)가 결합되는 외주면에 단턱부(32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30)는 일단에 내부 프로브(320)의 단턱부(325)에 결합되는 체결부(333)가 구비된 수개의 연결부(337)와, 이들 연결부(337)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부(339), 냉각기(340)에 고정되는 고정부(33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333)는 내부 프로브(320)의 단턱부(325) 외주면을 양쪽에서 감싸며 결합되는 한쌍의 파지부(333a, 333b)와 파지부(333a, 333b)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고 복귀되도록 결합되는 탄성부재(335)가 구비되어 있어서, 파지부(333a, 333b)의 삽입홈(331)이 내부 프로브(320)의 단턱부(325)에 결합된 상태로 시술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 프로브(320)와 열전달되는 체결부(333)를 제외한 연결부(337)와 지지부(339), 고정부(338) 등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로 코팅 처리되거나 단열재 테이프로 피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기(340)와 연결된 연결부재(330)는 냉각기(340)로부터 냉각된 체결부(333)를 통해 내부 프로브(320)에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내부 프로브(320)의 탄성지지부(323)에 의해 피하 지방을 냉각시켜 분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부 이외의 국소적인 부위의 지방도 분해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넓은 영역의 지방 분해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하여 피하 지방 조직에만 냉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되어, 피부나 심부 근육에 불필요한 냉기 전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가 접히면서 압박되어 홍반이나 피하 출혈 등이 발생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 외부 프로브 313: 경사절개면
320: 내부 프로브 321: 몸체
323: 탄성지지부 325: 단턱부
330: 연결부재 333: 체결부
337: 연결부 338: 고정부
339: 지지부 340: 냉각기

Claims (9)

  1.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일단이 피하(皮下)로 삽입되는 외부 프로브;
    축방향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부 프로브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외부 프로브가 피하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외부 프로브의 외부로 이동하여 피하로 침투되는 내부 프로브;
    일단이 상기 내부 프로브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기 냉각기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내부에 저온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연결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로브는 상기 외부 프로브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직선 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 프로브의 외부로 이동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심축에서 방사상의 외측으로 벌어지며 피하로 침투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로브는 일단의 내부 공간이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축방향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절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로브는 상기 외부 프로브의 내주면에 지지되며 직선 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 프로브의 외부로 이동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경사절개면을 통해 외측으로 벌어지며 피하로 침투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는 방사상의 영역 중 상기 외부 프로브의 경사절개면이 형성된 영역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로브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외주면에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에 상기 단턱부에 결합되는 체결부가 구비된 수개의 연결부와, 이들 연결부를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냉각기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단턱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는 한쌍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가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고 복귀되도록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지방 분해 장치.
KR1020140015462A 2014-02-11 2014-02-11 저온 지방 분해 장치 KR10159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62A KR101598603B1 (ko) 2014-02-11 2014-02-11 저온 지방 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62A KR101598603B1 (ko) 2014-02-11 2014-02-11 저온 지방 분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22A true KR20150094322A (ko) 2015-08-19
KR101598603B1 KR101598603B1 (ko) 2016-02-29

Family

ID=5405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462A KR101598603B1 (ko) 2014-02-11 2014-02-11 저온 지방 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6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3B2 (ja) * 1989-07-08 1994-02-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氷式陳列台
KR20050014732A (ko) * 2003-07-31 2005-02-07 크라이오코르, 인코포레이티드 냉동절제 시스템과 방법
JP2009519059A (ja) * 2005-12-16 2009-05-14 エルベ エレクトロメディジ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ソケット及び凍結深針のプラグから形成される探針結合部を有する凍結外科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7813B2 (ja) * 2006-04-27 2011-01-05 株式会社デージーエス・コンピュータ 凍結医療器具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13B2 (ja) * 1989-07-08 1994-02-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氷式陳列台
KR20050014732A (ko) * 2003-07-31 2005-02-07 크라이오코르, 인코포레이티드 냉동절제 시스템과 방법
JP2009519059A (ja) * 2005-12-16 2009-05-14 エルベ エレクトロメディジ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ソケット及び凍結深針のプラグから形成される探針結合部を有する凍結外科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603B1 (ko) 2016-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4673B2 (ja) ペルチェモジュールによる凍結治療装置
KR101451891B1 (ko) 금속 냉온 감압 피부 관리 장치
JP6464230B2 (ja) 柔軟な流体冷却シャフトを備えたエネルギー伝達装置、それ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流入/流出接合部およ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
JP6587669B2 (ja) 柔軟な流体冷却シャフトを備えたエネルギー伝達装置、それ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流入/流出接合部およ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
JP6195694B2 (ja) 柔軟な流体冷却シャフトを備えたエネルギー伝達装置、それ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流入/流出接合部およ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
ES2522299T3 (es) Sistemas para crear un efecto sobre un tejido especificado usando energía de microondas
US20150265492A1 (en) Large area body shaping applicator
US20150157870A1 (en) Shape conforming flexibl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generators
JP6072409B2 (ja) 柔軟な流体冷却シャフトを備えたエネルギー伝達装置、それと共に使用するのに適した流入/流出接合部およびそれらを含むシステム
KR102472301B1 (ko) 동축 케이블을 구비한 전달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
ATE530137T1 (de) Kryochirurgisches gerät
US1077988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tissue using microwave energy
KR20140003174A (ko) 감압 피부 관리 장치
WO2014097288A2 (en) Large area body shaping applicator
EP4338793A1 (en) High-frequency treatment handpiece
KR101290606B1 (ko) 피부 조직의 치료를 위한 자극 장치
KR101598603B1 (ko) 저온 지방 분해 장치
EP3219279A1 (en) Skin treatment apparatus
JP4160906B2 (ja) 宇宙船のコンポーネント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
CN204698679U (zh) 一种纳秒脉冲肿瘤消融负压电极
GB2583492A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non-liquid thermal transfer
KR101521551B1 (ko) 지방 분해용 핸드피스
US20240165420A1 (en) Energy-Based Tissue Treatment and Chilling
WO2023209713A1 (en) A device for skin and fat treatment
KR20140133659A (ko) 지방 분해용 핸드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