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36A -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 Google Patents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36A
KR20150094236A KR1020140015279A KR20140015279A KR20150094236A KR 20150094236 A KR20150094236 A KR 20150094236A KR 1020140015279 A KR1020140015279 A KR 1020140015279A KR 20140015279 A KR20140015279 A KR 20140015279A KR 20150094236 A KR20150094236 A KR 20150094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fferdam
tank
pip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236A/ko
Publication of KR2015009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082Arrangements for minimizing pollution by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63J2/14Heating; Cooling of liquid-freight-carry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된 오일을 수송하는 수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오일 탱크, 상기 선체의 외판과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송 파이프로부터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코퍼댐,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탱크 연결 파이프 및 공기 배출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코퍼댐과 상기 탱크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선체 내부에 배치된 코퍼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THE SHIP INSTALL MULTIPLEX AVAILABLE COFFERDAM}
본 발명은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 내부에 배치된 코퍼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기관실은 벙커 탱크 및 코퍼댐이 배치된다. 벙커 탱크는 선박 운행시 필요한 HFO(Heavy Fuel Oil)가 저장되어 있다. 코퍼댐은 선박 충돌시 벙커 탱크 내부에 있는 HFO가 해상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빈 공간으로, 선체로부터 벙커 탱크를 분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1731호는 스팀히터로부터 배출되는 글리콜 워터의 출구온도를 측정하여 스팀히터로 인입되는 스팀유량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멤브레인 LNG운반선 코퍼댐 온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코퍼댐 온도 제어 장치는 글리콜 워터의 오버히팅을 방지하여 코퍼댐 온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00968호는 LPG 저장탱크와 응축물 저장탱크 사이를 구획하기 위하여 코퍼댐을 설치한 구획용 코퍼댐을 갖는 해양 구조물을 개시한다. 이러한 해양 구조물은 코퍼댐에 의해 LPG 저장탱크와 응축물 저장탱크 사이를 안전하게 분리하여 LPG 저장탱크와 응축물 저장탱크의 점검, 유지보수 및 고장시 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벙커 탱크는 HFO의 사용으로 인해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내부 압력을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구(Air Vent)가 오버플로우 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연결을 위한 파이프로 인해 기관실 내부 공간을 차지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1731호 한국공개특허 10-2012-000096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 내부에 배치된 코퍼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퍼댐 내부에 히팅 장치를 설치하여 코퍼댐 내부에 있는 오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코퍼댐과 공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코퍼댐 내부에 생성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은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된 오일을 수송하는 수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오일 탱크, 상기 선체의 외판과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송 파이프로부터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코퍼댐,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탱크 연결 파이프 및 공기 배출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코퍼댐과 상기 탱크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 파이프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 하단부에서 상기 코퍼댐의 상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코퍼댐은 상기 수용된 오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퍼댐은 상기 수용된 오일의 양을 계측하는 오일 계측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 연결 파이프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 상단부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 밸브는 상기 코퍼댐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압력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은 선체 내부에 배치된 코퍼댐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은 코퍼댐 내부에 히팅 장치를 설치하여 코퍼댐 내부에 있는 오일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은 코퍼댐과 공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코퍼댐 내부에 생성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기존의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선박은 선체(10)의 외판과 한 쌍의 오일 탱크(110) 사이에 코퍼댐(120)을 배치하여 코퍼댐(120)을 통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한 쌍의 오일 탱크(110)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오일 탱크(110)는 탱크 연결 파이프(13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선체(10)의 하단부에 배치된 오버플로우 탱크(20)와 제1 및 제2 파이프(20-1, 20-3)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파이프(20-1, 20-3)는 특정 오일 탱크(110)에 저장된 오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특정 오일 탱크(110)에 저장된 오일이 오버플로우 탱크(20)로 수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버플로우 탱크(20)는 특정 오일 탱크(110)에 저장된 오일의 일부를 수용해야 하기 때문에 방대한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탱크 연결 파이프(130)는 제3 파이프(20-2)를 통해 오버플로우 탱크(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파이프(20-2)는 배출 밸브(20-4)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 밸브(20-4)는 한 쌍의 오일 탱크(110)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압력이 탱크 연결 파이프(130)를 통해 제3 파이프(20-2)로 수송되면 압력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100)은 오일 탱크(110), 코퍼댐(120), 탱크 연결 파이프(130) 및 배출 파이프(140)를 포함한다.
오일 탱크(110)는 선박 운항시 필요한 오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은 HFO(Heavy Fuel Oil)에 포함할 수 있다.
오일 탱크(110)는 선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된 오일을 수송하는 수송 파이프(111)를 포함한다. 수송 파이프(111)는 오일 탱크(110)의 하단부 측면에서 코퍼댐(120)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오일 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이 일정량 이상이면 오일을 코퍼댐(120)으로 수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송 파이프(111)는 일단에 압력 펌프가 연결되어 오일 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코퍼댐(120)으로 수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송 파이프(111)는 강철,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오일 탱크(110)는 코퍼댐(120)을 통해 선체(110)와 분리될 수 있다. 오일 탱크(110)는 코퍼댐(120)에 의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오일 탱크(110)는 탱크 연결 파이프(13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오일의 일부를 교환할 수 있다.
코퍼댐(120)은 선체(110)의 외판과 오일 탱크(110) 사이에 배치되어 수송 파이프(111)로부터 오일을 수용한다. 여기에서, 코퍼댐(120)은 오일 탱크(1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길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코퍼댐(120)은 선박 설계시 빈 공간으로 구현되고, 오일 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수송 파이프(111)를 통해 오일 탱크(110)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수용하거나 또는 오일 탱크(110)로부터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오일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퍼댐(120)은 수용된 오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부재(121)는 코퍼댐(120) 내부 하단부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는 오일의 온도에 따라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부재(121)는 탱크 오일 가열기로 구현되어 오일의 적정 점도(Viscosity)를 유지할 수 있다.
코퍼댐(120)은 수용된 오일의 양을 계측하는 오일 계측 부재(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일 계측 부재(122)는 코퍼댐(12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마다 코퍼댐(120)에 수용된 오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계측 부재(122)는 전자적 계측기 또는 눈금 계측기로 구현될 수 있다.
코퍼댐(120)은 상단부에서 배출 파이프(140)의 일단과 연결되어 내부에 생성되는 압력을 배출 파이프(140)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코퍼댐(120)은 배출 파이프(140)를 통해 탱크 연결 파이프(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퍼댐(120)은 배관(Pipe Arrangement)과 연결되어 이송 펌프(Transfer Pump)와 연결될 수 있다.
탱크 연결 파이프(130)는 한 쌍의 오일 탱크(110)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탱크 연결 파이프(130)는 한 쌍의 오일 탱크(110)의 상단부 각각에 연결되어 한 쌍의 오일 탱크(110)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 연결 파이프(130)는 강철,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40)는 공기 배출 밸브(141)가 배치되고 코퍼댐(120)과 탱크 연결 파이프(130)를 연결한다. 공기 배출 밸브(141)는 코퍼댐(120)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압력을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배출 밸브(141)는 코퍼댐(120)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개방되어 배출 파이프(140)를 통해 이동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고 코퍼댐(120)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 미만이면 폐쇄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40)는 선박 설계시 기관실에 설치되는 복수의 탱크들 및 파이프들의 배치 구조에 따라 선체의 우측 및 좌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 파이프(140)의 길이는 선박의 설계 구조에 따라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배출 파이프(140)는 강철, 알루미늄, 구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110: 오일 탱크
111: 수송 파이프
120: 코퍼댐
121: 가열 부재 122: 오일 계측 부재
130: 탱크 연결 파이프
140: 배출 파이프
141: 공기 배출 밸브
10: 선체 20: 오버플로우 탱크

Claims (6)

  1.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저장된 오일을 수송하는 수송 파이프를 포함하는 한 쌍의 오일 탱크;
    상기 선체의 외판과 상기 오일 탱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송 파이프로부터 상기 오일을 수용하는 코퍼댐;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탱크 연결 파이프; 및
    공기 배출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코퍼댐과 상기 탱크 연결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파이프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 하단부에서 상기 코퍼댐의 상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퍼댐은
    상기 수용된 오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가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퍼댐은
    상기 수용된 오일의 양을 계측하는 오일 계측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연결 파이프는
    상기 한 쌍의 오일 탱크 상단부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 밸브는
    상기 코퍼댐 내부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압력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KR1020140015279A 2014-02-11 2014-02-11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KR20150094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79A KR20150094236A (ko) 2014-02-11 2014-02-11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79A KR20150094236A (ko) 2014-02-11 2014-02-11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36A true KR20150094236A (ko) 2015-08-19

Family

ID=5405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79A KR20150094236A (ko) 2014-02-11 2014-02-11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2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111A (zh) * 2019-03-29 2019-06-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除硫收集舱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111A (zh) * 2019-03-29 2019-06-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除硫收集舱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046B1 (ko) 환경 친화형 선박 열교환장치 및 방법
US8297213B2 (en) Sea water system and floating vessel comprising such system
CN105697129B (zh) 用于液体冷却的内燃机的冷却液的平衡容器
CN108202843B (zh) 燃料油移送装置
KR20150076703A (ko) 발라스트 결빙 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02309A1 (en) Ship having reduced frictional resistance
KR20150094236A (ko) 다중 이용 가능한 코퍼댐이 설치된 선박
KR20150145445A (ko) 선박 연료유 히팅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선박 연료유 히팅 장치
KR102031507B1 (ko) 파이프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상의 손상 제한
KR102317609B1 (ko) 액체 냉각제를 위한 구획화된 헤더 탱크, 다중 엔진 헤더 탱크 배열체 및 이러한 다중 엔진 헤더 탱크 배열체를 장착한 발전소 및 해양 선박
US9093872B2 (en) Seal oil feeding apparatus of rotating electrical machine
KR101797539B1 (ko) 선박용 포터블 탱크
EP2698584B1 (en) Pressureless accumulator for district heating systems
KR20110069241A (ko) 선박의 연료유 탱크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KR20140079901A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가스 벤트 장치
JP5873464B2 (ja) ドレン回収装置
KR101762772B1 (ko) 연료저장탱크구조체
JP5878541B2 (ja) 重油燃料を収容するタンクから油を供給するための手段
KR20110130135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
JP6410325B2 (ja) 燃料油移送装置
KR20170000078A (ko) 보일러의 온수탱크
US20240074119A1 (en) Immersion cooling system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271328B2 (ja) 原油タンカー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2020474B1 (ko) 연료유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