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445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445A
KR20150093445A KR1020140014231A KR20140014231A KR20150093445A KR 20150093445 A KR20150093445 A KR 20150093445A KR 1020140014231 A KR1020140014231 A KR 1020140014231A KR 20140014231 A KR20140014231 A KR 20140014231A KR 20150093445 A KR20150093445 A KR 20150093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alue
air temperature
calculat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454B1 (ko
Inventor
민세원
김영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4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uncomfortable feeling, e.g. sudden temperature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센서에서 입력된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및 온도조절 스위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과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설정온도 인자값과, 내기온도 인자값과, 외기온도 인자값과, 일사량 인자값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각 인자값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되, 내기온도 인자값은, 미리 내장된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와, 미리 내장된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상값 및, 사용자 설정온도와 내기온도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정값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산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제어방식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동제어방식으로 개선되고 있다.
자동제어방식 공조장치(이하, "공조장치"라 약칭함)는, 차실내의 온도제어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인자"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제어값"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제어값"에 따라 각 공조유닛들을 자동 제어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의 온도제어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인자", 예를 들면,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인카센서(3)의 "내기온도", 일사센서(5)의 "일사량" 및, 온도조절 스위치(7)의 "사용자 설정온도" 등이 입력되면, 각각의 "인자" 데이터들을 제어부(10)가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차실내외의 온도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통상적으로, 제어부(10)는, 각 센서(1, 3, 5)에서 입력된 "외기온도", "내기온도", "일사량"과, 온도조절 스위치(7)의 "사용자 설정온도"를 처리하여 "Td"(열량지수)를 산출하는 연산식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산식은 아래의 [연산식 1]과 같다.
[연산식 1]
Figure pat00001
(C는 상수값, K1은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K2는 내기온도 보상값, K3은 외기온도 보상값, K4는 일사량 보상값,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Tin은 내기온도)
여기서, Td(열량지수)는,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한 인자값(X1)과, 내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2)과, 외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3)과, 일사량에 대한 인자값(X4)과, 상수값(C)을 상기 [연산식 1]로 처리하여 산출한다.
이때,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한 인자값(X1)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K1"에, 사용자 설정온도 보정값 "(Tset-22)"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내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2)은, 미리 저장된 내기온도 보상값 "K2"에, 내기온도 보정값 "(Tset- Tin)"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외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3)은, 미리 저장된 외기온도 보상값(K3)을 그대로 사용한다. 그리고 일사량에 대한 인자값(X4)은, 미리 저장된 일사량 보상값(K4)를 그대로 사용한다.
이러한, [연산식 1]은, 사용자 설정온도에 대한 인자값(X1)과, 내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2)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인자값(X1, X2)들과, 외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3)과, 일사량에 대한 인자값(X4)과, 상수값(C)을 모두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를 산출한다.
이때, [연산식 1]은, 차실내 온도에 비해 차실외 온도가 높을 시에는, 열량지수(Td)를 낮게 산출하며, 차실내 온도에 비해 차실외 온도가 낮을 시에는, 열량지수(Td)를 높게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산식 1]의 산출결과에 따라, 제어부(10)는, 열량지수(Td)가 클수록 온풍통로(12a)의 개도량을 높여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풍비율을 높이고, 열량지수(Td)가 작을수록 냉풍통로(12b)의 개도량을 높여서 차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냉풍비율을 높인다.
따라서, 차실내 온도에 비해 차실외 온도가 높을 시에는, 차실내로 공급되는 냉풍비율을 높여 차실내를 냉방하고, 차실내 온도에 비해 차실외 온도가 낮을 시에는, 차실내로 공급되는 온풍비율을 높여 차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온도조절 스위치(7)를 조작하여 "최대냉방모드"(Max Cool Mode)를 선택하면, Td(열량지수)에 관계없이 무조건 템프도어(12)를 "최대냉방위치(A)"로 강제 제어한다.
따라서, 냉풍통로(12b)를 100% 개방한다. 이로써, 차실내에 대량의 냉풍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차실내의 냉방성능을 최대한 증가시킨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최대냉방모드"가 선택될 경우, 차실내외 온도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매우 더운 상태여서 다량의 냉풍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차실외의 온도가 차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조건하에서도, 차실내의 냉방을 위해 "최대냉방모드"로 선택할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최대냉방모드"를 해제시키고, "자동제어모드"로 전환시킬 경우, 제어부(10)는, 차실내에 난방이 필요한 것으로 오인하고, 이러한 오인에 따라 "Td"값을 높게 산출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온풍통로(12a)의 개도량이 급작스럽게 증가되면서 다량의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차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어 차실내의 탑승객이 불쾌감을 느낀다는 결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차실외의 온도가 차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차실내의 냉방을 원하여 "최대냉방모드"로 선택하였는데, 이러한 사용자의 의도에 관계없이 "자동제어모드"로 진입하자마자 다량의 온풍이 차실내로 공급되므로, 차실내의 탑승객은 심한 불쾌감을 느낀다는 결점이 있으며, 따라서, 차실내의 쾌적성이 현저하게 저감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Td(열량지수)의 연산로직을 개선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각 센서에서 입력된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및, 온도조절 스위치에서 입력된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의 개도위치를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과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설정온도 인자값과, 내기온도 인자값과, 외기온도 인자값과, 일사량 인자값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각 인자값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되, 상기 내기온도 인자값은, 미리 내장된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와, 미리 내장된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상값 및, 상기 사용자 설정온도와 내기온도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정값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기온도 인자값(X2)은, 아래의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Figure pat00002
(K2_amb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Tin은 내기온도)
그리고 상기 Td(열량지수)는, 아래의 [식 2]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2]
Figure pat00003
(C는 상수값, K1은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K2_amb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Tin은 내기온도, K3은 외기온도 보상값, K4는 일사량 보상값)
그리고 상기 내기온도 보상값(X2a)은, 0∼0.1범위 크기의 값으로 산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Td(열량지수)의 연산로직을 개선함으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최적의 Td(열량지수)를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대냉방모드"로부터 "자동제어모드"로 복귀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자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본다.
자동제어방식의 공조장치는, 차실내의 온도제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 예를 들면, 외기센서(1)의 "외기온도", 인카센서(3)의 "내기온도", 일사센서(5)의 "일사량" 및, 온도조절 스위치(7)의 "사용자 설정온도" 등이 입력되면, 각각의 "인자" 데이터들을 제어부(10)가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차실내외의 온도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차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제어부(1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10)는, 연산부(20)를 구비한다.
연산부(20)는, 일종의 연산 프로그램으로서, 각 센서(1, 3, 5)에서 입력된 "인자 데이터"들과, 온도조절 스위치(7)의 "사용자 설정온도"를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를 산출하는 연산식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연산식은, 아래의 [연산식 2]와 같다.
[연산식 2]
Figure pat00004
(C는 상수값, K1은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K2_amb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K3은 외기온도 보상값, K4는 일사량 보상값,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Tin은 내기온도)
여기서, 내기온도에 대한 인자값(X2)은,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X2a) "K2_amb"에,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X2b) "weight_K2"를 곱하여 "내기온도 보상값(X2a)"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내기온도 보상값(X2a)"에, 내기온도 보정값(X2b) "(Tset- Tin)"를 곱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사용자 설정온도 인자값(X1)과, 외기온도 인자값(X3) 및, 일사량 인자값(X4)의 산출방법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연산식 2]의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K1"과,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K2_amb"와,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와, 외기온도 보상값 "K3" 및, 일사량 보상값 "K4"는 메모리부(30)에 모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부(20)는, 각 센서(1, 3, 5)들과 온도조절 스위치(7)로부터 온도제어 "인자"데이터들이 모두 입력되면, 입력된 "인자"에 대응되는 "보상값"과 "가중치" 등을 메모리부(30)에서 각각 검출한 다음, 검출된 "보상값"과 "가중치"들을 연산처리하여, 사용자 설정온도 인자값(X1)과, 내기온도 인자값(X2)을 미리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인자값(X1, X2)들과, 외기온도 인자값(X3)과, 일사량 인자값(X4)과, 상수값(C)을 모두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K2_amb"와,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0∼0.3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K2_amb"와,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를 서로 곱하여 "내기온도 보상값"을 산출할 시에, 산출된 "내기온도 보상값"이 0∼0.1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내기온도 보상값"을 0∼0.1범위의 크기로 제한한 이유는, "내기온도 보상값"을 가능한 작게 제어하여, [연산식 2]를 통해 "Td(열량지수)"의 산출할 시에, 산출된 "Td(열량지수)"가 가능한 작은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Td(열량지수)"를 가능한 작게 제한한 이유는,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최대냉방위치(A)"에 배치되어 있던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온풍통로()의 개도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차실외의 온도가 차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조건하에서, "최대냉방모드"로부터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되더라도,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한다.
이로써,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쾌적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가 "자동제어모드"로 진입한 조건이고(S101), 사용자가 "최대냉방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S103), 사용자가 "최대냉방모드"를 해제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5).
판단 결과, 사용자가 "최대냉방모드"를 해제하였으면, 제어부(10)는, "자동제어모드"로 복귀하면서(S107), 각 센서(1, 3, 5)들에서 입력된 "인자 데이터", 예를 들면, "외기온도", "내기온도", "일사량" 및 "사용자 설정온도" 등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상값"과 "가중치" 등을 메모리부(30)에서 각각 검출한다(S109).
그리고 각 "인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보상값"과 "가중치" 등의 검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0)는, 검출된 "보상값"과 "가중치"들을 연산부(20)의 [연산식 2]로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를 산출한다(S111).
그리고 "Td(열량지수)"의 산출이 완료되면,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한다(S113).
그러면,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차실내외의 온도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된다. 이로써,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온도가 항상 쾌적하게 유지된다.
한편, [연산식 2]에 의해 산출된 "Td(열량지수)"는, 비교적 작은 값을 유지한다. 따라서, "최대냉방모드"에서 해제되어 "자동제어모드"로 복귀하더라도, "최대냉방위치(A)"에 배치되어 있던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는다.
특히, 차실외의 온도가 차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조건하에서, "최대냉방모드"로부터 "자동제어모드"로 복귀되더라도, "최대냉방위치(A)"에 배치되어 있던 템프도어(12)가 온풍통로(12a)의 개도량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실외의 온도가 차실내의 온도 보다 낮은 조건하에서, "최대냉방모드"로부터 "자동제어모드"로 복귀되더라도,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되지 않는다.
그 결과, "최대냉방모드"에서 "자동제어모드"로 전환될 시에, 토출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인한 탑승객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차실내외의 온도조건과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차실내의 온도는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 외기센서(Sensor) 3: 인카센서(In-car Sensor)
5: 일사센서 7: 온도조절 스위치(Switch)
10: 제어부 12: 템프도어(Temp. Door)
20: 연산부 30: 메모리부

Claims (4)

  1. 각 센서(1, 3, 5)에서 입력된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 및, 온도조절 스위치(7)에서 입력된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연산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Td(열량지수)값에 따라 템프도어(12)의 개도위치를 제어하여 차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외기온도와 내기온도와 일사량과 사용자 설정온도를 미리 내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사용자 설정온도 인자값(X1)과, 내기온도 인자값(X2)과, 외기온도 인자값(X3)과, 일사량 인자값(X4)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각 인자값(X1, X2, X3, X4)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Td(열량지수)값을 산출하되,
    상기 내기온도 인자값(X2)은, 미리 내장된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K2_amb)와, 미리 내장된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weight_K2)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상값(X2a) 및,
    상기 사용자 설정온도(Tset)와 내기온도(Tin)를 고려한 내기온도 보정값(X2b)을 미리 저장된 연산식으로 처리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온도 인자값(X2)은, 아래의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식 1]
    Figure pat00005

    (K2_amb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Tin은 내기온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d(열량지수)는, 아래의 [식 2]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식 2]
    Figure pat00006
    (C는 상수값, K1은 사용자 설정온도 보상값, Tset은 사용자 설정온도, K2_amb는 외기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weight_K2는 사용자 설정온도별 내기온도 가중치, Tin은 내기온도, K3은 외기온도 보상값, K4는 일사량 보상값)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온도 보상값(X2a)은, 0∼0.1범위 크기의 값으로 산출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40014231A 2014-02-07 2014-02-0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7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31A KR101677454B1 (ko) 2014-02-07 2014-02-0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231A KR101677454B1 (ko) 2014-02-07 2014-02-0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445A true KR20150093445A (ko) 2015-08-18
KR101677454B1 KR101677454B1 (ko) 2016-11-18

Family

ID=5405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231A KR101677454B1 (ko) 2014-02-07 2014-02-0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813A (zh) * 2017-10-19 2018-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节能控温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946B1 (ko) 2018-10-26 2024-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장치와 연계된 사용자 체온 보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217B2 (ja) * 1992-12-25 2002-04-30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自動車用空調装置の空調制御方法
JP2008143406A (ja) * 2006-12-12 2008-06-26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オートエアコン制御装置
KR100868271B1 (ko) * 2002-09-17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KR20100043601A (ko) * 2008-10-20 2010-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217B2 (ja) * 1992-12-25 2002-04-30 株式会社日本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ズ 自動車用空調装置の空調制御方法
KR100868271B1 (ko) * 2002-09-17 2008-11-1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의 주정차시 조향조작 상태에 따른 공조제어방법
JP2008143406A (ja) * 2006-12-12 2008-06-26 Fuji Heavy Ind Ltd 自動車のオートエアコン制御装置
KR20100043601A (ko) * 2008-10-20 2010-04-29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813A (zh) * 2017-10-19 2018-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节能控温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CN107763813B (zh) * 2017-10-19 2020-04-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节能控温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454B1 (ko) 2016-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8147B2 (en) Vehicle microclimat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428035B2 (en) Vehicle HVAC noise control system
JP3872480B2 (ja) 熱流束解析を利用した2ゾーン自動環境制御アルゴリズム
JP2778213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US20140083672A1 (en) Automatic Recirculation Control for Vehicular HVAC System
JP2007185496A (ja) 車両シートの熱調節の制御方法
KR1016774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0729B1 (ko) 자동차의 내부 온도의 멀티존 조절 방법 및 관련 에어­컨디셔닝 시스템
US1047916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hermal comfort control system for ride share vehicles
KR100645154B1 (ko) 일사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공조 제어방법
JP2005329929A (ja) 車両用温度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101683918B1 (ko) 실내 및 시트 통합공조 방법과 그 장치
JP2007308096A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070137850A1 (en) Vehicle heating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method for regulating heating and/or air conditioning in vehicles
KR1017748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20071688A (ko) 차량용 시트워머의 자동제어방법
KR100735661B1 (ko) 차량의 온도 제어 시스템
JP2010540350A (ja) オートマチックモードを有する改良型車両空調システム
KR20160035639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319420A (zh) 用于车辆的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600931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방법
KR1020372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34106B1 (ko) 난방기동제어 표시 시스템
GB2562250A (en) Vehicle climate system
KR20160098647A (ko) 차량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풍량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