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076A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076A
KR20150093076A KR1020140016010A KR20140016010A KR20150093076A KR 20150093076 A KR20150093076 A KR 20150093076A KR 1020140016010 A KR1020140016010 A KR 1020140016010A KR 20140016010 A KR20140016010 A KR 20140016010A KR 20150093076 A KR20150093076 A KR 20150093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elay
interval
test mode
en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9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6Input/output [I/O] data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e.g. reading or writing circuits, I/O drivers or bit-line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11C11/4087Address decoders, e.g. bit - or word line decoders; Multiple lin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2015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comprising clock generation or timing circui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6Test trigger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ram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반도체 장치는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리드 동작 또는 라이트 동작 시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드레스 경로에는 로우어드레스에 의해 워드라인을 선택한 후 메모리 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센스앰프에 의해 증폭시키는 경로인 로우어드레스 경로와, 컬럼어드레스에 의해 다수의 컬럼선택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경로인 컬럼어드레스 경로 및 입출력라인 센스앰프 및 데이터 출력 버퍼를 통해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인 데이터 경로가 있다. 이 중 컬럼어드레스 경로에 관한 동작(이하, ‘컬럼동작’이라 지칭함)은 컬럼디코더로 구성된 컬럼 경로 회로에 의해 제어되는데, 컬럼 경로 회로는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다수의 컬럼선택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고, 인에이블된 컬럼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비트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입출력라인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디램 등의 반도체 장치는 동일 어드레스가 할당 된 메모리 셀들로 구성된 다수의 뱅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반도체 장치는 각각의 뱅크에 포함된 동일 어드레스의 메모리 셀들의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한다. 이를 위해 컬럼 경로 회로는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다수의 컬럼선택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시키고, 선택된 컬럼선택신호에 의해 각각의 뱅크에서 선택된 비트라인에 실린 데이터를 동시에 입출력라인으로 전송하는 컬럼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의 지연량을 조절하는 지연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류소모량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리드 동작 또는 라이트 동작 시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리드커맨드 또는 라이트커맨드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를 생성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리드커맨드 또는 라이트커맨드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생성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의 지연량을 조절하는 지연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 구간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 은 도 3에 도시된 구간신호생성부에 포함된 지연신호생성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는 도 3에 도시된 구간신호생성부에 포함된 선택신호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6 은 도 3에 도시된 구간신호생성부에 포함된 멀티플렉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10),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 구간신호생성부(30), 디코더(40) 및 내부회로(50)를 포함한다.
전치구간신호생성부(10)는 리드커맨드(RD) 또는 라이트커맨드(WT)가 입력되는 경우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생성한다. 여기서, 리드커맨드(RD)는 반도체 장치가 리드 동작에 진입하기 위해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고, 라이트커맨드(WT)는 반도체 장치가 라이트 동작에 진입하기 위해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이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제1 및 제2 테스트커맨드(TMCMD<1:2>)의 로직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테스트모드신호(TM<1:4>)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테스트커맨드(TMCMD<1:2>)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을 조절하기 위해 컨트롤러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이다.
구간신호생성부(30)는 제1 내지 제4 테스트모드신호(TM<1:4>)의 로직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구간신호(AYP)를 생성한다.
디코더(40)는 구간신호(AYP)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에 어드레스(ADD<1:N>)를 디코딩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한다.
내부회로(50)는 리드 동작에 진입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리셀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라이트 동작에 진입하는 경우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제1 및 제2 테스트커맨드(TMCMD<1:2>)의 로직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테스트모드신호(TM<1:4>)를 생성하는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는 경우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는 경우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는 경우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는 경우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을 참고하여 구간신호생성부(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간신호생성부(30)는 지연신호생성부(31), 선택신호생성부(32) 및 멀티플렉서(33)를 포함한다.
지연신호생성부(31)는 제1 내지 제4 테스트모드신호(TM<1:4>)의 로직레벨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제1 내지 제4 지연신호(APD<1:4>)를 생성한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제1 및 제2 테스트커맨드(TMCMD<1:2>)의 로직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를 생성한다.
멀티플렉서(33)는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의 로직레벨에 따라 제1 내지 제4 지연신호(APD<1:4>) 중 어느 하나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여 지연신호생성부(3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연신호생성부(31)는 제1 내지 제4 지연부(311 ~ 314)를 포함한다.
제1 지연부(311)는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래치하고, 래치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제1 지연신호(APD<1>)를 생성한다. 즉, 제1 지연신호(APD<1>)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의 지연량인 제1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제2 지연부(312)는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제1 지연신호(APD<1>)를 래치하고, 래치된 제1 지연신호(APD<1>)를 지연하여 제2 지연신호(APD<2>)를 생성한다. 즉, 제2 지연신호(APD<2>)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 및 제2 지연부(312)의 지연량의 합인 제2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제3 지연부(313)는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제2 지연신호(APD<2>)를 래치하고, 래치된 제2 지연신호(APD<2>)를 지연하여 제3 지연신호(APD<3>)를 생성한다. 즉, 제3 지연신호(APD<3>)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 제2 지연부(312) 및 제3 지연부(313)의 지연량의 합인 제3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제4 지연부(314)는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가 로직하이레벨로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제3 지연신호(APD<3>)를 래치하고, 래치된 제3 지연신호(APD<3>)를 지연하여 제4 지연신호(APD<4>)를 생성한다. 즉, 제4 지연신호(APD<4>)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 제2 지연부(312), 제3 지연부(313) 및 제4 지연부(314)의 지연량의 합인 제4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지연부(311 ~ 314)는 실시예에 따라 플립플롭 또는 래치회로를 포함하는 지연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여 제1 및 제2 테스트커맨드(TMCMD<1:2>)의 로직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내지 제4 선택신호(SEL<1:4>)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32)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로우레벨 'L'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한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가 로직하이레벨 'H'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로우레벨 'L'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하이레벨 'H'로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멀티플렉서(33)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멀티플렉서(33)는 제1 내지 제4 전달부(331 ~ 334)를 포함한다.
제1 전달부(331)는 제1 선택신호(SEL<1>)가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1 전달게이트(TS1)가 턴온되어 제1 지연신호(APD<1>)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2 전달부(332)는 제2 선택신호(SEL<2>)가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2 전달게이트(TS2)가 턴온되어 제2 지연신호(APD<2>)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3 전달부(333)는 제3 선택신호(SEL<3>)가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3 전달게이트(TS3)가 턴온되어 제3 지연신호(APD<3>)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4 전달부(334)는 제4 선택신호(SEL<4>)가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는 경우 제4 전달게이트(TS4)가 턴온되어 제4 지연신호(APD<4>)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되 반도체 장치가 라이트 동작에 진입하고,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이 제2 지연량에서 제1 지연량으로 감소하는 동작과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이 제2 지연량에서 제3 지연량으로 증가하는 동작을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이 제2 지연량인 경우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는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는 로직로우레벨로 입력된다.
전치구간신호생성부(10)는 라이트커맨드(WT)를 입력 받아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 및 로직로우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지연신호생성부(31)의 제1 지연부(311)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래치하며, 래치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제1 지연신호(APD<1>)를 생성한다. 제2 지연부(31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제1 지연신호(APD<1>)를 래치하며, 래치된 제1 지연신호(APD<1>)를 지연하여 제2 지연신호(APD<2>)를 생성한다. 제3 지연부(313)는 로직로우레벨의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제4 지연부(31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와 로직로우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멀티플렉서(33)의 제1 전달부(331)는 로직로우레벨의 제1 선택신호(SEL<1>)를 입력 받아 제1 전달게이트(TS1)가 턴오프되어 제1 지연신호(APD<1>)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2 전달부(33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2 선택신호(SEL<2>)를 입력 받아 제2 전달게이트(TS2)가 턴온되어 제2 지연신호(APD<2>)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3 전달부(333)는 로직로우레벨의 제3 선택신호(SEL<3>)를 입력 받아 제3 전달게이트(TS3)가 턴오프되어 제3 지연신호(APD<3>)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4 전달부(33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선택신호(SEL<4>)를 입력 받아 제4 전달게이트(TS4)가 턴오프되어 제4 지연신호(APD<4>)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즉,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은 제2 지연신호(APD<2>)의 지연량인 제2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디코더(40)는 구간신호(AYP)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에 어드레스(ADD<1:N>)를 디코딩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한다.
내부회로(50)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의 지연량 및 제2 지연부(312)의 지연량의 합인 제2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이때, 제3 지연부(313) 및 제4 지연부(314)는 활성화 되지 않아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이 제2 지연량에서 제1 지연량으로 감소하는 경우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는 로직로우레벨로 입력되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는 로직로우레벨로 입력된다.
전치구간신호생성부(10)는 라이트커맨드(WT)를 입력 받아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을 감소하기 위한 로직로우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 및 로직로우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지연신호생성부(31)의 제1 지연부(311)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래치하며, 래치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제1 지연신호(APD<1>)를 생성한다. 제2 지연부(31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제3 지연부(313)는 로직로우레벨의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제4 지연부(31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와 로직로우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멀티플렉서(33)의 제1 전달부(331)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선택신호(SEL<1>)를 입력 받아 제1 전달게이트(TS1)가 턴온되어 제1 지연신호(APD<1>)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2 전달부(33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2 선택신호(SEL<2>)를 입력 받아 제2 전달게이트(TS2)가 턴오프되어 제2 지연신호(APD<2>)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3 전달부(333)는 로직로우레벨의 제3 선택신호(SEL<3>)를 입력 받아 제3 전달게이트(TS3)가 턴오프되어 제3 지연신호(APD<3>)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4 전달부(33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선택신호(SEL<4>)를 입력 받아 제4 전달게이트(TS4)가 턴오프되어 제4 지연신호(APD<4>)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디코더(40)는 구간신호(AYP)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에 어드레스(ADD<1:N>)를 디코딩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한다.
내부회로(50)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의 지연량인 제1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2 지연량보다 지연량이 감소한다. 이때, 제2 내지 제4 지연부(312 ~ 314)는 활성화 되지 않아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이 제2 지연량에서 제3 지연량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는 로직로우레벨이고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는 로직하이레벨로 입력된다.
전치구간신호생성부(10)는 라이트커맨드(WT)를 입력 받아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생성한다.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20)는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을 증가하기 위한 로직로우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1>) 및 로직하이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며,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지연신호생성부(31)의 제1 지연부(311)는 로직하이레벨의 제1 테스트모드신호(TM<1>)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래치하며, 래치된 전치구간신호(AYP_PRE)를 지연하여 제1 지연신호(APD<1>)를 생성한다. 제2 지연부(312)는 로직하이레벨의 제2 테스트모드신호(TM<2>)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제1 지연신호(APD<1>)를 래치하며, 래치된 제1 지연신호(APD<1>)를 지연하여 제2 지연신호(APD<2>)를 생성한다. 제3 지연부(313)는 로직하이레벨의 제3 테스트모드신호(TM<3>)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고, 제2 지연신호(APD<2>)를 래치하며, 래치된 제2 지연신호(APD<2>)를 지연하여 제3 지연신호(APD<3>)를 생성한다. 제4 지연부(31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테스트모드신호(TM<4>)를 입력 받아 활성화되지 않는다.
선택신호생성부(3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1 테스트커맨드(TMCMD<1>)와 로직하이레벨의 제2 테스트커맨드(TMCMD<2>)를 입력 받아 제1 선택신호(SEL<1>)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고, 제2 선택신호(SEL<2>)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하며, 제3 선택신호(SEL<3>)를 로직하이레벨로 생성하고, 제4 선택신호(SEL<4>)를 로직로우레벨로 생성한다.
멀티플렉서(33)의 제1 전달부(331)는 로직로우레벨의 제1 선택신호(SEL<1>)를 입력 받아 제1 전달게이트(TS1)가 턴오프되어 제1 지연신호(APD<1>)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2 전달부(332)는 로직로우레벨의 제2 선택신호(SEL<2>)를 입력 받아 제2 전달게이트(TS2)가 턴오프되어 제2 지연신호(APD<2>)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제3 전달부(333)는 로직하이레벨의 제3 선택신호(SEL<3>)를 입력 받아 제3 전달게이트(TS3)가 턴온되어 제3 지연신호(APD<3>)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한다. 제4 전달부(334)는 로직로우레벨의 제4 선택신호(SEL<4>)를 입력 받아 제4 전달게이트(TS4)가 턴오프되어 제4 지연신호(APD<4>)를 구간신호(AYP)로 전달하지 않는다.
디코더(40)는 구간신호(AYP)의 펄스가 입력되는 시점에 어드레스(ADD<1:N>)를 디코딩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한다.
내부회로(50)는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Yi<1:2N>)에 따라 선택되는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은 제1 지연부(311)의 지연량과 제2 지연부(312)의 지연량 및 제3 지연부(314)의 지연량의 합인 제3 지연량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제2 지연량보다 지연량이 증가한다. 이때, 제4 지연부(314)는 활성화 되지 않아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컬럼선택신호(Yi<1:2N>)를 생성하기 위한 구간신호(AYP)의 지연량을 조절하는 지연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류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10. 전치구간신호생성부 20.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
30. 구간신호생성부 31. 지연신호생성부
32. 선택신호생성부 33. 멀티플렉서
40. 디코더 50. 내부회로
311. 제1 지연부 312. 제2 지연부
313. 제3 지연부 314. 제4 지연부
331. 제1 전달부 332. 제2 전달부
333. 제3 전달부 334. 제4 전달부

Claims (20)

  1.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리드 동작 또는 라이트 동작 시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1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2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제1 및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상기 제1 지연신호 및 제2 지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 및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지연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7.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순차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1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2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제1 및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상기 제1 지연신호 및 제2 지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 및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지연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리드커맨드 또는 라이트커맨드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생성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4. 외부에서 입력되는 리드커맨드 또는 라이트커맨드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전치구간신호를 생성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상기 구간신호의 펄스가 발생되는 시점에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내부회로에 포함된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컬럼선택신호를 생성하는 디코더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1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는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전치구간신호가 제2 지연량으로 지연되어 생성되는 신호인 반도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제1 및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신호생성부;
    상기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 선택신호를 생성하는 선택신호생성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택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상기 제1 지연신호 및 제2 지연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신호생성부는
    상기 제1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1 지연부; 및
    상기 제2 테스트모드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상기 제1 지연신호를 래치하고, 래치된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생성하는 제2 지연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플렉서는
    상기 제1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선택신호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연신호를 상기 구간신호로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0. 테스트커맨드의 로직레벨에 따라 인에이블되는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를 생성하는 테스트모드신호생성부;
    상기 제1 및 제2 테스트모드신호의 레벨조합에 따라 설정되는 지연량으로 전치구간신호를 지연하여 구간신호를 생성하는 구간신호생성부;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리드커맨드 또는 라이트커맨드에 응답하여 발생하는 펄스를 포함하는 상기 전치구간신호를 생성하는 전치구간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40016010A 2014-02-06 2014-02-12 반도체 장치 KR20150093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74,647 2014-02-06
US14/174,647 US9190140B2 (en) 2014-02-06 2014-02-06 Semiconductor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076A true KR20150093076A (ko) 2015-08-17

Family

ID=5375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010A KR20150093076A (ko) 2014-02-06 2014-02-12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0140B2 (ko)
KR (1) KR201500930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8960B2 (en) * 2019-12-31 2022-10-11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selective command delay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562B2 (en) * 2001-11-01 2005-04-19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seudo 2-port RAM functionality using a 1-port memory cell
JP2004171742A (ja) * 2002-11-08 2004-06-17 Hitachi Ltd 半導体装置
KR100545704B1 (ko) 2003-11-21 2006-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컬럼선택신호 펄스폭 조절 회로
US8423851B2 (en) 2010-09-16 2013-04-16 Nanya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d device and test system utiliz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1359A1 (en) 2015-08-06
US9190140B2 (en)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9759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943109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8917570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036439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60001948A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US9953688B1 (en) Precharge control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4264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55180B2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936817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ceiving multiple commands simultaneously and memory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762935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9741411B2 (en) Bank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data access with limited bandwidth for commands
KR20150064452A (ko) 내장형 셀프 테스트 회로 및 이를 포함한 반도체 장치
US8908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reof
KR20150093076A (ko) 반도체 장치
US10983728B2 (en) Semiconductor devices
KR101082106B1 (ko) 뱅크액티브신호생성회로
US7715270B2 (en) Address synchronous circuit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DRAM
US7652933B2 (en) Voltage generating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KR101013459B1 (ko) 어드레스를 비교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US8767503B2 (en) Clock transfer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10158033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412427B2 (en) Precharge circuit and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40025013A (ko) 반도체메모리장치
US20150286417A1 (en) Memory system and semiconduc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