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509A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509A
KR20150092509A KR1020140012964A KR20140012964A KR20150092509A KR 20150092509 A KR20150092509 A KR 20150092509A KR 1020140012964 A KR1020140012964 A KR 1020140012964A KR 20140012964 A KR20140012964 A KR 20140012964A KR 20150092509 A KR20150092509 A KR 2015009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dielectric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해상
김성진
이상훈
이지훈
고동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2509A/ko
Publication of KR2015009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5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으로 적합한 저유전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및 그 함량을 최적화하고, 상기에 투입하는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을 최적화한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구비하여 광학 및 점착물성과 더불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신뢰성을 만족하면서도 낮은 유전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을 터치패널 구조에서 적층되는 각 부재간 접합목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함으로써, 1 내지 500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로 터치 센싱이 우수한 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DIELECTR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FOR CAPACITIVE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및 그 함량을 최적화하고, 상기에 투입하는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을 최적화한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을 구비함으로써, 광학 및 점착물성과 더불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신뢰성을 만족하면서도 유전율을 제어하고, 저유전 특성과 유전정접이 우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학용 표시소자인 터치스크린 패널(이하, "터치패널"이라고 함)은 통상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FPD(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CRT(브라운관)의 표시면측에 형성되고, 액정 표시장치와 좌표축을 즉석에서 인식하여 입력을 실시하는 디바이스의 조합이고, 액정 표시장치 및 소프트웨어와 조합하는 것으로 다양한 조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터치패널에는 일반적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패널과 LCD 모듈로 구성되며, 터치(touch)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를 위해서는 터치센서가 포함되며 센서의 구현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이 존재하는데, 저항막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의 2가지의 방식이 주류이다.
그 중에서 화상 표시 방식의 트렌드로서, 터치패널이 주목 받고 있고, 특히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다시 표면형 정전용량 방식(Surface Capacitive)과 투영형 정전용량 방식(Projected Capacitive)으로 분류되고, 전자의 표면형은 4개의 기준점에서 전도성 필름 표면으로 일정 전류가 흐르면서 그 전류 값 변화를 읽는 방식이고, 후자의 투영형은 x-y의 격자상 구동 전극을 이용한 적산 산출법을 적용하여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읽는다.
이때,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다수의 부재를 적층시킨 구성을 가지며, 이들 부재들간의 접합 목적으로 점착필름(또는 감압 점착필름 및 시트)가 사용된다.
그 일례로는, 도전성 필름의 도전 표면과 직접 접합하거나, 커버 패널(글라스 또는 플라스틱)과 도전성 필름과의 접합, 도전성 필름과 배면(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편광판의 TAC 필름 등)과의 부착이 있다. 이외에도 전극 및 각종 데코(deco)를 위한 인쇄층과도 접합이 있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터치패널을 손가락 등의 전도체로 접촉했을 때 대응하는 위치의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그 정전용량의 변화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했을 경우, 검지(센싱)가 행해지는 구조이다. 커버 패널(글래스 또는 플라스틱)과 도전성 필름 (ITO 등이 코팅된 필름)간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터치패널에서는 패널을 손가락으로 접촉한 것에 의해 변화된 정전용량이 터치패널의 검지부(센싱부)에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점착필름은 일정한 값의 유전율이 요구되는데, 한편, 점착필름의 유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노이즈가 쉽게 검출되는 경향이 있고, 지나치게 낮으면 충분한 정전용량 값이 측정되지 않아 출력 신호가 변화되며, 신호의 전달 시간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어, 검지 감도(센싱 감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기서 정전용량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최근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의 박형화로 인한 전극 간격의 감소, 대형화에 따른 전극 면적의 증가, 전도성 필름이 전도도 증가 또는 저항값 감소로 터치패널의 충분 이상의 정전용량 값이 측정된다. 수학식 (1)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높아진 정전용량 값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점착필름의 비유전율을 낮추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 (1)
(C : 정전용량 [F], εo : 진공의 유전율[F/m], εr : 샘플의 비유전율 [-], A : 전극의 면적 (샘플의 면적)[㎡], d : 전극간의 거리 (샘플의 두께) [m]를 나타낸다.)
종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점착필름은 낮은 유전율을 가지면서 동시에 내구성 또는 신뢰성은 구현되나,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의 미세한 기포나 착색의 발생이나 고온 고습도 환경하에 있어서의 점착필름의 백탁이나 박리, 미세한 기포 발생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4215호에서는 1MHz에서의 유전율이 2 내지 8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이며, 1.0×106Hz에서의 유전율이 1.0×104Hz의 유전율의 60% 이상이며 유전정접의 차이가 0.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특정 주파수 1MHz에 대한 기술적 의미가 없으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 유전율 값의 변화에 따른 작동 오작동의 특성 변화에 대한 상관성 평가가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67305호에는 1MHz에서의 비유전율 (일반적으로 유전율은 비유전율을 의미하므로 유전율과 함께 동일하게 사용함)이 5 내지 10의 범위를 가지며, 글래스에 대하여 일정범위의 접착강도를 가지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전율은 임피던스 측정 주파주(Hz)에 따라 값이 변화되는데 점착필름과 같은 유전체는 주파수가 증가되면서 유전율이 감소된다. 1MHz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의 구동 주파수보다 높기 때문에 실제 정전용량 방식의 점착필름의 유전율은 1MHz에서의 5 내지 10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점착필름에 요구되는 값보다 크고, 이에 따른 노이즈가 쉽게 검출되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94869호에서는 100kHz의 비유전율이 4 이하이고 수분율(고온 고습하에서의 수분 흡수율)이 0.65% 이상인 특징을 보고하고 있으나, 실제 비유전율 4를 초과하는 것에 대해서도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부적절하며, 특정 주파수 100kHz에 대한 의미도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106368호에서는 유전율이 3 내지 6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측정 주파수에 대한 언급은 없으나, 실시예를 근거하면, 100MHz에서의 측정값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파수는 일반적인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와 상이하기 때문에 유효한 결과라고 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 우수한 점착필름을 적용하고자 점착필름의 유전상수를 제어하는 동시에 점착물성 및 신뢰성을 만족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및 점착물성과 더불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신뢰성을 만족하면서도 유전율의 제어가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성과 함량이 최적화된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부재간 접합목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하여, 입력장치의 고장 또는 오작동 유발을 최소화하고 고집적 박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되,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로 터치 센싱이 우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로서 박형화 요구를 충족하며, 점착제층이 유전 점착필름은 헤이즈 3% 이내, 전광선 투과율 90% 이상의 광학특성이 구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a)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80중량%,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30중량% 및 유전특성 단량체 10∼40중량%를 공중합한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0.1∼3 중량부 및 (c) 광중합 개시제 0.1∼1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이고,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의 중령평균분자량은 50만 내지 200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조성인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술포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및 포스페이트기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며, 유전특성 단량체는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질소 함유 (메타)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비닐 작용기가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c) 광중합 개시제는 벤조인 에테르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 광중합 개시제, α-케톨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광중합 개시제, 벤질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광중합 개시제, 케탈 광중합 개시제 및 티오크산톤 광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에 포함되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 공중합체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이루어진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광학 및 점착물성과 더불어, 고온 고습 하에서의 신뢰성을 만족하면서도 유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부재간 접합목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의 고장 또는 오작동 유발을 최소화하고 고집적 박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터치패널이 검지(센싱)시 가져야 하는 정전용량 값을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치패널 표시장치에 대한 개략적 단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이 부재들간 접합목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되,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로 터치 센싱이 우수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를 충족함으로써, 고집적 박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의 검지(센싱)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의 활용시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가락을 입력도구로 활용하며 인체의 전류를 통해서 전해지는 주파수를 기준으로 정전용량 제어장치가 이뤄지게 되며, 이때 유효한 주파수는 1 내지 500 kHz이다. 터치패널용 점착필름은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비유전율이 2 미만이면, 터치패널의 센싱에 필요한 정전용량 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노이즈 신호의 영향을 받기 쉬워져 센싱의 시그널과 노이즈의 비율이 저하하여 오작동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상기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비유전율이 5을 초과하면, 정전용량 값이 지나치게 커서 오작동이 발생되며 특히, 박형으로 구성된 터치패널을 통해서 중복입력이 되고, 시그널을 선별하거나 시그널이 전달되는데 시간 지연이 발생하기 쉬워져 센싱의 감도가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에서 유전정접은 복소수로 표현되는 유전율에서 유전손실 각의 탄젠트(tangent)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전손실이 커질수록 유전정접값은 커진다. 이에, 유전정접이 0.2를 초과하면, 일정량의 정전용량 값을 얻기 위한 전기 에너지 손실이 커져 패널 구동에 필요한 소비 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 하지 않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유전 점착필름은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5를 가지며, 유전정접이 0.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를 충족한다.
상기 본 발명의 유전 점착필름에서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점착필름과 기재 사이의 공기층을 메우기 어려우며, 100 ㎛ 초과하게 되면, 점착제층의 기포, 이물 등의 유입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필름은 헤이즈가 3% 이내, 전광선 투과율이 90% 이상의 특성을 충족한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에 포함되는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a)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80중량%,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30중량% 및 유전특성 단량체 10∼40중량%를 공중합한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0.1∼3 중량부 및 (c) 광중합 개시제 0.1∼1 중량부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저유전 단량체를 통해서 저유전 특성을 부여하고, 점착 수지 조성물 내의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 개시제를 통해서 점착물성 및 내구성을 높여 터치패널 특성 평가에서 우수한 물성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상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매트릭스 수지가 되며, 상기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만 내지 200만이다. 이때, 점착 수지의 조성물에서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미만이면, 자외선 중합 및 경화 후 점착필름의 구조 내에 사슬 구조가 단순하고,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신뢰성에서 기포 발생이나 내구성 저하에서 발생되는 변색의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반면에, 중량평균분자량이 200만을 초과하면, 점착필름 제조 시 점착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서 제조에 필요한 적정 점도를 맞추기 위해 다량의 단량체의 희석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외선 중합 및 경화시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거나 반응하지 않은 단량체가 잔류할 수 있다. 이는 신뢰성 평가시 기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만 내지 200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만 내지 100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30 내지 80중량%를 함유한다. 이때, 30중량% 미만이면, 박리력 등의 점착물성이 저하되어 기재간의 계면이 취약하게 되며, 80중량%를 초과하면 점착물성은 증가하나 내열성이 떨어지고 유전특성이 저하된다. 이에,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더욱 바람직한 함량은 40 내지 5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일례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운도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노나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a)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물 중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10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때, 10 중량% 미만이면, ITO와 같은 도전성 필름의 무기층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신뢰성 평가를 통과하지 못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극성으로 인한 저유전 특성이 저하한다.
상기에서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는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술포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및 포스페이트기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에,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비닐 알코올 및 알릴 알코올;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소듐 비닐술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술포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포스페이트기-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a)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물 중 유전특성 단량체는 10 내지 40 중량%를 함유하며, 이때, 10 중량% 미만이면, 저유전 특성을 구현하지 못하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점착물성의 저하를 가져와 패널의 신뢰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상기에서, 유전특성 단량체는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질소 함유 (메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시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이다.
또한, 상기 질소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미드기-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및 N-비닐이미다졸를 포함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 및 N-비닐기를 가지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로일 모르폴린을 포함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 및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단량체;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시아노기-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이미드기-함유 단량체; 및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의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상기에서 다관능이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비닐 작용기가 한 분자 내에 2개 이상인 아크릴레이트이며,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다관능 작용기를 통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경화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물에 단량체와의 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경화구조를 잘 형성하지 못하고 점착필름의 내부 응집력을 강하게 만들 수가 없다. 반면에,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필름 구조 내 경화가 지나치게 형성되어 점착특성에 저해되기 때문에 기재간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의 (c) 광중합 개시제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중량부를 포함하는데, 광 특히 자외선의 일정에너지 이상을 받으면 라디칼을 형성하여 중합 또는 경화의 시작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c) 광중합 개시제가 0.1 중량부 미만이면, 생성되는 라디칼의 수가 적어서 라디칼의 반응성을 지속시키기 위해 자외선 조사시간을 길게 해야 하며, 라디칼에 의해서 생성된 구조물은 충분한 사슬의 길이와 경화구조를 형성하나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c) 광중합 개시제가 1.0 중량부를 초과 함유되면, 다량의 라디칼이 생성되어 내구성이 좋은 긴 사슬과 경화구조를 형성시키지 못하며, 라디칼이 잔류하게 되어 점착필름을 변색시키거나 미반응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신뢰성에서 기포가 발생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c) 광중합 개시제의 바람직한 일례로는 벤조인 에테르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 광중합 개시제, α-케톨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광중합 개시제, 벤질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광중합 개시제, 케탈 광중합 개시제 및 티오크산톤 광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본 발명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는 전도성 유ㆍ무기입자, 유ㆍ무기염 또는 이온성 물질에서 선택되는 대전방지제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비유전율을 달리하여 동일 두께에서 정전용량의 값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점착신뢰성과 비유전율 제어를 향상시키기 위해 아크릴계 점착제의 단량체 이외에도 통상 첨가제로서 점착력 부여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소포제, 보강제, 조색제, 충진재로 사용되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된 화합물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전 점착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은 통상적인 점착필름 제조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은 25℃에서의 점도가 2000 cps 내지 8000 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cps 내지 5000 cps일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의 점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제어함으로써, 공정 효율성 및 경화 후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한편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2000 cps 미만이면, 도포성은 양호하나, 후막을 형성하기 용이하지 않으며, 8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의 도포성이 불량하여 균일한 막을 형성하기 어렵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아크릴 공중합체의 수지 제조
교반기, 환류 냉각기, 온도계 및 질소 주입장치가 구비된 500㎖의 화학 반응기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55중량%;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0중량%; 및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25중량%를 투입하고 그를 100 중량부로 할 때,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184 (Ciba specialty chemicals) 0.1 중량부를 넣고 5분간 광중합 후, 반응기에 공기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료하여 부분 중합시킴으로써 점도가 3000 cps인 수지 시럽을 얻었다. 상기 부분 중합된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80만이었다.
단계 2: 점착필름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수득된 기본 수지인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인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 중량부를 투입하고,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혼합해서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액을 이형처리된 75㎛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점착제층의 두께 100㎛ 되도록 코팅한 후 별도로 이형처리된 75㎛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두께의 변화가 없고 균일도를 해치지 않도록 라미네이션하였다. 이후 UV 경화기를 이용하여 5분간 조사하여 경화된 유전 점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인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제조공정에서, 2-HEA 50중량%; HEA 15중량%; 및 IBOA 35중량%로 공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인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제조공정에서, 2-HEA 55중량%; HEA 20중량%; 및 ACMO 25중량%로 공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인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제조공정에서, 2-HEA 55중량%; HEA 20중량%; 및 DMAA 25중량%로 공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인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제조공정에서, 2-HEA 65중량%; HEA 30중량%; 및 IBOA 5중량% 공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인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제조공정에서, 2-HEA 40중량%; HEA 15중량%; 및 IBOA 45중량%로 공중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인 점착필름의 제조공정에서,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인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4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인 점착필름의 제조공정에서, (c)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651 (Ciba specialty chemicals) 1.3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03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1. 비유전율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을 1 내지 500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비유전율을 JIS K 6911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정전용량법을 활용하고, 기기는 임피던스 분석기 4294A와 유전율 측정지그는 지름 15mm인 16453A(애질런트 테크롤로지즈(Agilent Technologies))를 사용하였다.
2. 박리력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에서 경박리 시트를 제거하고, 100㎛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합지한 후, 상온에서 1시간을 방치한 다음 폭 25mm, 길이 150mm의 박리력 측정시편을 제작하였다.
박리력 측정에 사용될 글래스는 에틸아세테이트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상기 제작된 시편의 중박리 시트를 제거하여 2㎏의 롤러로 부착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때, 측정은 180°각도 및 0.3m/분 박리속도로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측정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에서 글래스에 합지하여 글래스와 점착필름의 구조에서 분광광도계(니뽄덴쇼쿠 제품, NDH2000 모델)를 사용하여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다.
4. 내구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에서 일면에 ITO 도전층이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이하 ITO필름)에 부착하고, 다른 쪽 면에는 커버 글래스가 부착되도록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85℃ 및 85% 상대습도의 항온항습기에 5일간 방치 후, 기포, 들뜸 또는 박리발생 여부를 육안관찰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하기 기준은 육안관찰시 상대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평가결과이다.
(내구성 평가 기준)
○: 들뜸, 박리 또는 기포의 발생이 없음
△: 들뜸, 박리 또는 기포의 발생이 소량 있음
×: 들뜸, 박리 또는 기포의 발생이 많이 있음
5. 터치패널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 50㎛, 75㎛의 2매를 사용하여 도 1과 같이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패널에 사용되는 ITO 필름을 활용하여 글래스로 이루어진 커버 페널층(1)/점착제층(2)/ITO 도전성 코팅층(3)/ 점착제층(2)/ ITO 도전성 코팅층(3)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상기 시편을 x-y 좌표 감도를 측정하여 기존에 설정된 IC인식 범위에서 적정한지를 확인한 후 85℃ 및 85% 상대습도의 항온항습기에 5일간 방치하고 x-y 좌표 감도의 변화를 확인한다.
(터치패널 특성 평가 기준)
○: x-y 좌표 감도가 초기와 항온항습 이후의 변화가 크지 않으며 IC 인식범위를 벗어나지 않았음.
×: x-y 좌표 감도가 초기와 항온항습 이후의 변화가 크며, IC 인식범위를 벗어남.
Figure pat00004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EHA),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HEA), 유전특성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 개시제 함량별로 제조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의 유전 점착필름의 물성을 비교한 결과, 1 내지 500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의 특성을 만족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을 안출하였다.
즉, 이상의 결과로부터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기본 수지로 함유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80중량%,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30중량% 및 유전특성 단량체 10∼40중량%로 제어함으로써, 1 내지 500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과 유전정접의 바람직한 물성을 제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유전특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비유전율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다만 유전특성 단량체가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비교예 2)에는 점착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광 특성이 저해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점착 수지 조성물 중 (b) 다관능 (메타) 아크릴레이트 0.1∼3 중량부와 (c) 광중합 개시제 0.1∼1.0 중량부 제어에 따라, 점착물성 및 내구성을 만족하고, 내구성과 센싱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점착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즉,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에서 구조 내 경화를 유도하는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나 (c) 광중합 개시제 함량에 따라, 특히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의 경우, 점착필름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특성인 내구성과 박리력으로 대표되는 점착물성 또는 광특성(전광선 투과율, Haze)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a) 아크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및 그 함량을 최적화하고, 상기에 투입하는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c)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을 제어하여, 광학 및 점착물성과 더불어, 고온 고습하에서의 신뢰성을 만족하면서도 유전율을 제어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이상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터치패널 구조에서 적층되는 각 부재간 접합목적으로 적어도 1개 이상 포함함으로써, 입력장치의 고장 또는 오작동 유발을 최소화하고 고집적 박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유전 점착필름을 제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커버 패널층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
2: 점착제층
3: ITO의 도전성 코팅층

Claims (13)

  1.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어도 1개 이상 포함되되,
    1 내지 500 kHz의 주파수에서 비유전율이 2 내지 5이고, 유전정접이 0.2 이하의 물성이 구현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포함되어 헤이즈 3% 이내, 전광선 투과율 90% 이상의 광학특성이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이
    (a)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30∼80중량%,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 10∼30중량% 및 유전특성 단량체 10∼40중량%를 공중합한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0.1∼3 중량부 및
    (c) 광중합 개시제 0.1∼1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 점착 수지 조성물의 중량평균분자량이 50만 내지 200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성 중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또는 분지형 (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운도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딜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노나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성 중 극성기 함유 (메타)아크릴계 단량체가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히드록실기-함유 단량체; 비닐 알코올 및 알릴 알코올;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에폭시기-함유 단량체; 소듐 비닐술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술포네이트기-함유 단량체;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포스페이트기-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 공중합체의 조성 중 유전특성 단량체가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질소 함유 (메타) 아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시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및 N-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미드기-함유 단량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및 N-비닐이미다졸를 포함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타)아크릴로일 모르폴린을 포함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 단량체에서 선택되는 질소-함유 헤테로 고리를 함유하는 단량체; 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t-부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하는 시아노기-함유 단량체;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이미드기-함유 단량체; 및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광중합 개시제가 벤조인 에테르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 광중합 개시제, α-케톨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 클로라이드 광중합 개시제, 광활성 옥심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 광중합 개시제, 벤질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 광중합 개시제, 케탈 광중합 개시제 및 티오크산톤 광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KR1020140012964A 2014-02-05 2014-02-05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KR201500925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64A KR20150092509A (ko) 2014-02-05 2014-02-05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964A KR20150092509A (ko) 2014-02-05 2014-02-05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509A true KR20150092509A (ko) 2015-08-13

Family

ID=5405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964A KR20150092509A (ko) 2014-02-05 2014-02-05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25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876A (ko) * 2015-12-23 2017-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5136A (ko) * 2016-04-04 201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필름
KR20180032132A (ko) * 2016-09-21 2018-03-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90089725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백 그라인딩 테이프
WO2022019261A1 (ja) * 2020-07-22 2022-01-27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876A (ko) * 2015-12-23 2017-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15136A (ko) * 2016-04-04 2017-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필름
KR20180032132A (ko) * 2016-09-21 2018-03-2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20190089725A (ko) * 2018-01-22 2019-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백 그라인딩 테이프
WO2022019261A1 (ja) * 2020-07-22 2022-01-27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4675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1768718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374374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부재
KR101588429B1 (ko) 정전 용량 터치 패널
KR101566061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KR101938894B1 (ko) 광학 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 부재용 점착 테이프
US9873821B2 (en) Adhesive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801409B2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716543B1 (ko)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TWI795355B (zh) 黏著劑組成物及黏著片
KR101780542B1 (ko)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72010B1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저유전 점착필름
JPWO2014061611A1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77518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50092509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용 유전 점착필름
CN106795397B (zh) 用于触摸屏面板的粘合剂组合物、光学粘合膜和触摸屏面板
KR20170074509A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용 프리폴리머 조성물, 그를 이용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복합막 및 액정 소자
JP2014224179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9182928A (ja)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KR20120056175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623771B1 (ko) 저유전율을 갖는 터치스크린 패널용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필름
JP2018083851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粘着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906637B1 (ko) 점착제 조성물, 광학용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600327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6035027A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2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15

Effective date: 20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