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389A -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389A
KR20150092389A KR1020140012150A KR20140012150A KR20150092389A KR 20150092389 A KR20150092389 A KR 20150092389A KR 1020140012150 A KR1020140012150 A KR 1020140012150A KR 20140012150 A KR20140012150 A KR 20140012150A KR 20150092389 A KR20150092389 A KR 2015009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substrate
nozzle
period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5499B1 (en
Inventor
박귀현
홍필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499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4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2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materials containing microcapsules; Preparing or processing such materials, e.g. by pressure; 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G03F7/0022Devices or apparatus
    • G03F7/0025Devic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ating th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6Silver salts
    • G03F7/063Additives or means to improve the lithographic properties; Processing solutions characterised by such additives; Treatment after development or transfer, e.g. finishing, washing; Correction or deletion flu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042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from printing plates transported horizontally through the processing stations
    • G03F7/3064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from printing plates transported horizontally through the process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means or means for confining the different units, e.g. to avoid the overflow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device comprising: a transferring unit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to be treated in a first direction for a first period, transferring the same in a second direction opposed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second period following the first period, and transferring the same in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third period following the second period; and a first developing nozzle disposed on the transferring unit to be separated from the transferring unit, and discharging a developing liquid on the substrate to be treated.

Description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 방법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현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사진 식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사진 식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a photolithograph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elop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reliability, a photolithograph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로 나누어 진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first substrate,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상기 제1 기판은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lurality of data line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ate lines, a thin film transistor, a pixel electrode, and the like. The second substrate may include a color filter, a common electrode, and the like.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형성하기 위한 어레이 공정, 상기 액정층을 형성하기 위한 셀 공정 및 상기 표시 패널 및 구동부를 결합하기 위한 모듈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n array process for forming the gate line, the data line,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like on a transparent substrate such as glass, a cell process for forming the liquid crystal layer, Module process.

상기 어레이 공정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과 식각 공정을 포함한다. The array process includes a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an etching process.

상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물질과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PR)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는 코팅 공정,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유리 기판과 원하는 패턴 형상이 그려져 있는 마스크를 정렬시키고, 정렬된 마스크 위에 광원을 조사하여 PR을 감광시키는 노광(exposure) 공정 및 광원에 노광 된 PR을 현상액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녹이는 현상(develop) 공정을 포함한다.The photolithography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a pattern material to be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photoresist (PR) are co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 glass substrate coated with a photoresist, and a mask having a desired pattern shape An exposure process of aligning the photoresist to expose the photoresist by irradiating a light source onto the aligned photoresist, and a developing process of selectively exposing the photoresist exposed to the photoresist using a developing solution.

상기 식각 공정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포토레지스트의 패턴대로 상기 패턴 물질을 용해시킨다.The etching process dissolves the pattern material in the pattern of the photoresist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현상 공정에 있어서, 패턴의 밀도 차에 의한 현상액의 탁도 차이, 투명 기판의 진행 방향에 의한 현상액의 유동성 차이 및 현상액의 액버림 방향에 의한 현상액의 유동성 차이에 의해 현상액에 의한 현상 정도가 균일하게 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크리티컬 디멘션(critical dimension, CD)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developing step, the degree of development by the developer is uniformly controlled by the difference in turbidity of the developer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of the pattern, the difference in flowability of the developer due to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flowability of the developer due to the liquid- And the critical dimension (CD) is increased.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 공정에 있어서 크리티컬 디멘션을 감소시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elop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a critical dimension and improving reliability in a develop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현상 장치를 이용한 현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eloping method using the developing apparatus.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는 피처리 기판을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현상액을 토출하는 제1 현상 노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elop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first direction for a first period of time and for opposing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second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period, A transporting unit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in the first direction for a third period subsequent to the second period and a transporting unit for transporting the developing solution on the transporting unit, the transporting uni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transporting unit, 1 development nozz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제2 현상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eveloping nozzle that is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o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on the substrate in the second period The developing solution can be discharg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gradually increas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eveloper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현상 노즐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방향 길이의 4분의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be disposed at least one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 및 제2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include nozzles in the form of l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lip,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include a nozzle in the form of a sp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may discharge the developer to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may gradually increas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evelop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to which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롤러(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may include a roll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제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may remove the developer by inclin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fourth period following the third period.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방법은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처리 기판 상에 제1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현상액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eloping method including discharging a developer on a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a first direction using a first developing nozzle during a first period of time,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second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period,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for a third period subsequent to the second perio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ferring in the second direction comprises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처리 기판 상에 제2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다.The developer can be discharged using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on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현상 노즐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ejecting the developer using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gradually increase the ejection amount of the develop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onveyance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 및 제2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include nozzles in the form of li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lip,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may include a nozzle in the form of a spra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는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transferring in the second direction comprises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제1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다.The developing solution can be discharged on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by using the first developing nozz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may gradually increase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eveloper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developer by inclin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fourth period subsequent to the third period.

이와 같은 현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상 방법에 따르면, 현상 공정에 있어서의 크리티컬 디멘션 산포를 개선하여 현상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developing apparatus and a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ing process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the dispersion of the critical dimension in the developing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도 1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g는 도 4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hotolithograph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of Embodiment 1. Fig.
3A to 3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eveloping proces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G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developing processe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eveloping processe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토리소그래피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hotolithograph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장치는 코팅 장치(100), 노광 장치(200) 및 현상 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hotolithography apparatus includes a coating apparatus 100, an exposure apparatus 200, and a developing apparatus 300.

상기 코팅 장치(100)는 피처리 기판 상부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물질과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상기 패턴 물질은 상기 피처리 기판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패턴이 컬럼 스페이서와 같이 표시 패널의 기판 간의 갭 유지 이외에 전기적 기능 등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포토레지스트만이 도포되어 상기 포토레지스트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받으면 반응을 하는 일종의 감광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한다.The coating apparatus 100 applies a pattern material to be formed on a substrate to be processed and a photo resist (P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pattern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and the photoresist. If the pattern does not have an electrical function other than the maintenance of the gap between the substrates of the display panel like the column spacer, the photoresist alone may be applied to form a pattern with the photoresist. The photoresist includes a photosensitive polymer compound that reacts when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is received.

상기 노광 장치(200)는 상기 패턴 물질과 상기 포토레지스트 또는 상기포토레지스트만이 도포된 피처리 기판과 미리 정해진 패턴이 그려져 있는 마스크를 정렬시키고, 상기 정렬된 마스크 상에 광원을 비추어 상기 포토레지스트를 선택적으로 감광시킨다.The exposure apparatus 200 aligns the pattern material and the photoresist or the mask on which the predetermined pattern is drawn with the photoresist or the photoresist, and irradiates a light source on the aligned mask, Selectively sensitized.

상기 현상 장치(300)는 상기 마스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감광된 포토레지스트를 현상액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용해시킨다. 상기 현상 장치에 대해서는 도 2 이후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0 selectively dissolves the photoresist selectively photographed by the mask using a developer. The develop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포토리소그래피 장치는 세정기, 건조장치, 진공 건조기, 프리 베이커, 패턴 검사기, 오븐기 및 쿨링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lithograph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crubber, a drying device, a vacuum drier, a prebaker, a pattern inspector, an oven, and a cooling device.

상기 세정기는 상기 코팅 장치(100) 이전에 상기 포토리소그래피 장치에 투입된 기판을 세정한다.The cleaner cleans the substrate that has been put into the photolithography apparatus before the coating apparatus 100.

상기 건조장치는 상기 세정기에서 사용된 세정액을 열을 가하여 제거한다.The drying apparatus removes the cleaning liquid used in the cleaner by applying heat.

상기 진공 건조기는 상기 코팅 장치(100)와 상기 노광 장치(20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코팅 장치(100)로부터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된 피처리 기판을 건조시킨다.The vacuum dryer is positioned between the coating apparatus 100 and the exposure apparatus 200 to dry the target substrate coated with the photoresist from the coating apparatus 100.

상기 프리 베이커는 상기 노광 장치(200) 이전에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용제를 제거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의 용제는 솔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baker removes the solvent of the photoresist before the exposure apparatus 200. The solvent of the photoresist may include a solvent.

상기 패턴 검사기는 상기 현상 장치(300)에서 상기 피처리 기판이 현상된 후에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현상된 패턴을 검사한다.The pattern inspecting unit inspects the developed pattern on the substrate after the substrate is developed in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상기 오븐기는 현상된 상기 피처리 기판을 열처리한다.The oven unit heat-treats the developed substrate.

상기 쿨링기는 상기 오븐기에서 열처리된 피처리 기판을 식혀준다.The cooling unit cools the substrate subjected to heat treatment in the oven.

이하에서는 상기 현상 장치(3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실시예 1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도 1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veloping apparatus of Embodiment 1. Fig. 3A to 3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eveloping proces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

도 1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 장치(300)는 이송부(310), 제1 현상 노즐(320) 및 제2 현상 노즐(330)을 포함한다.1 to 3D,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includes a transfer unit 310, a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a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상기 이송부(310)는 상기 노광 장치(200)를 거친 피처리 기판(10)을 안착 시키고 제1 방향(D1)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부(310)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롤러는 상기 제1 방향(D1)에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속하여 배열된다.The transfer unit 310 seats the target substrate 10 passed through the exposure apparatus 200 and transfers the target substrate 10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transfer uni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The plurality of rollers extend in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이송부(3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현상액을 토출한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이송부(310)에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투입되는 일단에서 상기 이송부(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이송부(310)의 일단에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s disposed on the transfer unit 310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may be formed on the transfer unit 310 at one end of the transfer unit 310 that is inserted into the substrate 10.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may be formed on the transfer unit 31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ne end of the transfer uni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내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may include a lip-shaped nozzle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through the slit.

상기 피처리 기판(10)은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에 반대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은 복수의 셀(cell)을 포함하며, 각각의 셀은 표시 패널의 기판을 형성한다.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includes a first end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end opposite to the first end.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includes a plurality of cells, and each cell forms a substrate of the display panel.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s moved from the first end to the second end of the target substrate 10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310) 상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로부터 상기 이송부(310)의 상기 제1 방향(D1) 길이의 4분의 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이송부(310)의 전체 길이의 25%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이송부(310)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2단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전체 현상 시간이 70초에 해당하는 경우 현상 시작 이후 20초 이후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is disposed on the transferring uni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n the first direction D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Or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30 may be disposed after 2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0. [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30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or later stage when the transferring unit 310 has four stages. Or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discharging the developer 20 seconds after the start of development if the total developing time corresponds to 70 seconds.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the same as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lternatively,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is mov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of the substrate 10 to the second end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vary. For example, the amount of develop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to the substrate 10 may increase as the developer flows from the first end toward the second end.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은 내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include a lip-shaped nozzle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through the slit.

상기 현상 장치(300)는 푸들(puddle) 방식으로 상기 피처리 기판(10)을 현상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처리 기판(10)은 상부에 상기 현상액이 토출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의 포토레지스트는 이송되는 동안 상기 현상액에 의해 현상된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0 develops the target substrate 10 in a puddle manner. For example,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is transferred in a state in which the developer is discharged onto the upper side. The photoresist on the substrate 10 is developed by the developer while being transferred.

상기 현상 장치(300)는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 후 상기 피처리 기판(1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버릴 수 있다.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may discard the developer by inclining the target substrate 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after the target substrate 10 is transferred in the first direction D1.

이하에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진행에 따른 상기 현상 장치(300)의 동작을 검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will be examined.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면,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이송부(31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a)을 토출한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을 통과하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동작을 멈춘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계속 이송되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30)과 상기 이송부(310)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한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한 현상액(30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용해되어 탁도가 높아진다. 탁도가 높아진 상기 현상액(30a)에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추가적으로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 상의 현상액의 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3A through 3D,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passes betwee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transferring unit 310,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operates, The developing solution 30a is discharged on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passes through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stops its operatio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the substrate 10 is continuously conveyed by the conveying unit and passes betwee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and the conveying unit 310. [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30b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er 30a discharged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dissolves the photoresist over time and increases the turbidit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additionally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30b to the developing solution 30a having increased turbidity, thereby lowering the turbidity of the developing solution on the substrate. The developing solution 30a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b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developing solution 30a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b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g는 도 4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to 5G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developing processe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301)는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비교하여 이송부(311) 및 제2 현상 노즐(331)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s. 2 to 3d in that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iffers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shown in Figs. 2 to 3d, except that the transfer section 311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are different. . Therefore, the same members as those of the developing apparatuses of Figs. 2 to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 도 4 내지 도 5g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 장치(301)는 이송부(311), 제1 현상 노즐(320) 및 제2 현상 노즐(33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o 5G,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includes a transfer section 311, a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a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상기 이송부(311)는 상기 노광 장치(200)를 거친 피처리 기판(10)을 안착 시키고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D1)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제2 방향(D2)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다시 제1 방향(D1)으로 이송한다. The transfer unit 311 seats the substrate 10 passed through the exposure apparatus 200 and transfers the substrate 10 in a first direction D1 for a first period of time, Direction D2 an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a third period subsequent to the second period.

상기 이송부(311)는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 후 상기 피처리 기판(1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버릴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311 transfers the substrate 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after the substrate 10 is transferr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a fourth period following the third period ) To discard the developer.

상기 이송부(311)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롤러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속하여 배열된다. The transfer unit 3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The plurality of rollers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이송부(311)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현상액을 토출한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s disposed on the conveying unit 311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s moved from the first end of the target substrate 10 to the second end of the target substrate 10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the first period. Thereby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the end direction.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311) 상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로부터 상기 이송부(311)의 상기 제1 방향(D1) 길이의 4분의 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이송부(311)의 전체 길이의 25%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이송부(311)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2단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전체 현상 시간이 70초에 해당하는 경우 현상 시작 이후 20초 이후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is disposed on the conveying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31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s 320 by at least a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D1.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31 may be disposed after 2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1.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31 may be disposed after the second stage when the conveying unit 311 has four stages.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discharging the developer 20 seconds after the start of development if the total developing time corresponds to 70 seconds.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be the same as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The developer to be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be different from the developer to be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2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is moved from the second end of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10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10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uring the second period. Thereby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the end direction.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be variable. For example, the amount of the develop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to the substrate 10 may increase as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advances from the second end to the first end.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내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include a lip-shaped nozzle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through the slit.

이하에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진행에 따른 상기 현상 장치(301)의 동작을 검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bstrate 10 will be examined.

도 5a 내지 도 5g를 참조하면,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1)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5d 및 도 5e는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1)의 동작을 나타내면, 도 5f 및 도 5g는 상기 제3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1)의 동작을 나타낸다.5A to 5C show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in the first period, and Figs. 5D and 5E show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in the second period. Fig. 5F and 5G show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in the third period.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이송부(311)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a)을 토출한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을 통과하면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은 동작을 멈춘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이송부(311)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계속 이송되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31)과 상기 이송부(311) 사이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통과할 때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동작하지 않는다.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operates when the to-be-processed substrate 10 passes betwee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transfer unit 311 during the first period,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a is discharged onto the developing roller 30a.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passes through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stops its operation. The target substrate 10 is continuously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transporting unit 311 and is transported betwee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and the transporting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does not operate.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2 현상 노즐(331)과 상기 이송부(311) 사이를 상기 제2 방향(D2)으로 통과할 때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한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한 현상액(30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용해되어 탁도가 높아진다. 탁도가 높아진 상기 현상액(30a)에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이 추가적으로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 상의 현상액의 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33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is operated when the to-be-processed substrate 10 passes betwee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and the conveying unit 311 in the second direction D2 during the second period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30b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er 30a discharged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dissolves the photoresist over time and increases the turbidit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may further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30b to the developing solution 30a having increased turbidity, thereby lowering the turbidity of the developing solution on the substrate. The developing solution 30a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b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The developing solution 30a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b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현상 노즐(320)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331)은 동작하지 않는다.During the third period,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31 do not operate during the third perio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302)는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비교하여 제2 현상 노즐(340)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d의 현상 장치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s. 2 to 3d except that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is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s. 2 to 3d . Therefore, the same members as those of the developing apparatuses of Figs. 2 to 3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 장치(302)는 이송부(310), 제1 현상 노즐(320) 및 제2 현상 노즐(340)을 포함한다.1 and 6, the developing apparatus 302 includes a transfer unit 310, a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a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310) 상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로부터 상기 이송부(310)의 상기 제1 방향(D1) 길이의 4분의 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이송부(310)의 전체 길이의 25%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이송부(310)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2단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전체 현상 시간이 70초에 해당하는 경우 현상 시작 이후 20초 이후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is disposed on the transferring par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 respect to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40 may b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s 320 by at least a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0 in the first direction D1.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40 may be disposed after 2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transporting unit 310.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40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stage after the conveying unit 310 has four stages.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discharging the developer 20 seconds after the start of development if the entire development time corresponds to 70 seconds.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may be the same as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lternatively,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may be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is moved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end of the substrate 10 to the second end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may be variable. For example, the amount of developer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onto the substrate 10 may increase as the developer flows from the first end toward the second end.

상기 제2 현상 노즐(340)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전 영역에 분무형태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0 may include a spray-type nozzle for spraying the developer in a spray form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진행에 따른 상기 현상 장치(302)의 동작은 도 3a 내지 도 3d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300)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2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303)는 도 4 내지 도 5g의 현상 장치와 비교하여 제2 현상 노즐(341)이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 내지 도 5g의 현상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g의 현상 장치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30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s. 4 to 5G except that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is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of Figs. 4 to 5G . Therefore, the same members as those of the developing apparatuses of Figs. 4 to 5G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can be omitted.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현상 장치(303)는 이송부(311), 제1 현상 노즐(320) 및 제2 현상 노즐(341)을 포함한다.1 and 7, the developing apparatus 303 includes a transfer section 311, a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nd a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311) 상에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로부터 상기 이송부(311)의 상기 제1 방향(D1) 길이의 4분의 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이송부(311)의 전체 길이의 25%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이송부(311)가 4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2단 이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전체 현상 시간이 70초에 해당하는 경우 현상 시작 이후 20초 이후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is disposed on the conveying unit 31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disposed at a distance of at least a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1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disposed after 25% of the entire length of the conveying unit 311.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341 may be disposed at the second stage after the conveying unit 311 has four stages. Alternativel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discharging the developer 20 seconds after the start of development if the total developing time corresponds to 70 seconds.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이 토출하는 현상액은 상기 제1 현상 노즐(320)이 토출하는 현상액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the same as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In contrast,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different from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0.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2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is moved from the second end of the to-be-processed substrate 10 to the first end of the first substrate W1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during the second period, Thereby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the end direction.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be variable. For example, the amount of develop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to the substrate 10 may increase as the developer flows from the second end toward the first end.

상기 제2 현상 노즐(341)은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전 영역에 분무형태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eveloping nozzle 341 may include a nozzle in the form of a spray for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a spray form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진행에 따른 상기 현상 장치(303)의 동작은 도 5a 내지 도 5g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301)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3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can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1 described in Figs. 5A to 5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현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9d는 도 8의 현상 장치의 현상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9A to 9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eveloping processes of the developing apparatus in Fig.

도 1, 도 8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 장치(304)는 이송부(312) 및 제1 현상 노즐(321)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8 to 9D, the developing apparatus 304 includes a transfer section 312 and a first developing nozzle 321. [

상기 이송부(312)는 상기 노광 장치(200)를 거친 피처리 기판(10)을 안착 시키고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D1)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제2 방향(D2)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다시 제1 방향(D1)으로 이송한다. The transfer unit 312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substrate 1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osure apparatus 200 and transfer the substrate 10 in a first direction D1 for a first period of time and for a second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period, Direction D2 an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a third period subsequent to the second period.

상기 이송부(312)는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 후 상기 피처리 기판(10)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버릴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312 transfers the substrate 10 in the second direction D2 after the substrate 10 is transferr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a fourth period following the third period ) To discard the developer.

상기 이송부(312)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롤러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속하여 배열된다. The transfer unit 3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llers. The plurality of rollers exten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1.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상기 이송부(312) 상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현상액을 토출한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is disposed on the conveying unit 312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is moved from the first end of the target substrate 10 to the second end of the target substrate 10 as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during the first period, Thereby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the end direction.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송됨에 따라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상기 제2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상기 현상액을 토출한다.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is moved from the second end of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10 to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10 during the second period as the substrate 10 is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Thereby discharging the developer in the end direction.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에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의 양은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1 단부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증가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may be variable. For example, the amount of developer discharged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to the substrate 10 during the second period may increase as the developer proceeds from the second end toward the first end.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내부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may include a lip-shaped nozzle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to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through the slit.

이하에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진행에 따른 상기 현상 장치(304)의 동작을 검토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4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substrate 10 will be examined.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도 9a는 상기 제1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4)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9b 및 도 9c는 상기 제2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4)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9d는 상기 제3 기간에서의 상기 현상 장치(304)의 동작을 나타낸다.9A to 9D show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4 in the first period and FIGS. 9B and 9C show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4 in the second period And Fig. 9D shows the operation of the developing apparatus 304 in the third period.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1)과 상기 이송부(312) 사이를 통과할 때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a)을 토출한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을 통과하면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동작을 멈춘다.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이송부(312)에 의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계속 이송되는 동안 현상이 진행 된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operates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passes betwee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and the transferring part 312 during the first period so that the to-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a is discharged onto the developing roller 30a. Whe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10 passes through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stops operating. The development proceeds while the substrate 10 is continuously transported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transporting unit 312. [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이 상기 제1 현상 노즐(321)과 상기 이송부(312) 사이를 상기 제2 방향(D2)으로 통과할 때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다시 동작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10) 상에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한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토출한 현상액(30a)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상기 포토레지스트가 용해되어 탁도가 높아진다. 탁도가 높아진 상기 현상액(30a)에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추가적으로 상기 현상액(30b)을 토출하여 상기 피처리 기판 상의 현상액의 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이 토출하는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현상액(30b)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is moved back in the second direction D2 betwee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and the transferring unit 312 during the second perio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30b onto the substrate 10 to be processed. The developer 30a discharged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dissolves the photoresist over time and has a higher turbidit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may further discharge the developing solution 30b to the developing solution 30a having increased turbidity, thereby lowering the turbidity of the developing solution on the substrate. The developing solution 30a and the developing solution 30b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The developer 30a and the developer 30b discharged by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10)은 다시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 현상 노즐(321)은 동작하지 않는다.During the third period, the substrate 10 is transported again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first developing nozzle 321 does not operate during the third period.

상기 이송부(312)는 상기 제1 기간 내지 상기 제3 기간의 시간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피처리 기판(10)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방향(D1) 이송 속도, 상기 제2 기간 동안의 상기 제2 방향(D2) 이송 속도 및 상기 제3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방향(D1) 이송 속도를 상기 현상액(30a) 및 상기 현상액(30b)의 현상 정도에 대응하여 서로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transfer unit 312 may adjust the transfer speed of the substrate 10 to adjust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irst period and the third period. For example, the first direction (D1) conveyance speed during the first period, the second direction (D2) conveyance speed during the second period, and the first direction (D1) conveyance speed during the third period Can be adjust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developer 30a and the developer 30b.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상액의 추가 공급으로 인해 추가 현상액 공급 시에는 노광 영역 중에서 현상액 탁도 증가에 의해 미현상된 부분만을 용해하기 때문에 크리티컬 디멘션(critical dimension, CD) 산포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추가 현상액 공급 시 노즐에서 토출되는 현상액의 양을 다르게 하는 것과 피처리 기판을 반대 방향으로 반송 시키며 현상액을 공급함으로써 피처리 기판의 선단부와 말단부간의 CD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상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ritical dimension (CD) scattering can be improved because only the undeveloped portion is dissolved by the increase in developer turbidity in the exposure area when the additional developer is supplied due to the additional supply of developer .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D difference between the distal end portion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by changing the amount of the developing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nozzles when supplying the additional developing solution, transporting the target subst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upplying the developing solu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eveloping proc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 장치는 모바일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의 기판 또는 텔레비전, 데스크톱 모니터와 같은 고정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디셔너와 같은 일반 가전제품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의 기판 현상에도 사용될 수 있다.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in general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n air conditioner as well as a fixed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a desktop monitor of a portable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notebook computer, And can also be used for substrate development of a display device.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 피처리 기판 30a, 30b: 현상액
100: 코팅 장치 200: 노광 장치
300: 현상 장치 310, 311, 312: 이송부
320, 321: 제1 현상 노즐 330, 331, 340, 341: 제2 현상 노즐
10: substrate to be processed 30a, 30b: developer
100: Coating device 200: Exposure device
300: developing apparatus 310, 311, 312:
320, 321: first developing nozzles 330, 331, 340, 341: second developing nozzles

Claims (20)

피처리 기판을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상기 제1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와 이격되어 상기 이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현상액을 토출하는 제1 현상 노즐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
The substrate is transported in a first direction for a first period and transport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for a second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period and during a third period subsequent to the second period A transporting unit for transporting the substrat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d a first developing nozzle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unit and disposed on the conveying unit, for discharging the developer o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제2 현상 노즐을 더 포함하는 현상 장치.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eveloping nozzle which is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and discharges the developer on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eveloping nozzle discharges the develop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first period,
And said second developing nozzle discharges said developer onto said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said second peri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gradually increase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evelop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onveyance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현상 노즐로부터 상기 이송부의 상기 제1 방향 길이의 4분의1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3. 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s are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s by at least a quarter of the length of the convey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3. The develop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include nozzles in the form of li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lip,
Wherei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comprises a nozzle in the form of a sp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에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discharges the developer to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first period and the second peri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에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gradually increases the discharge amount of the develop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ransfer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econd peri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롤러(ro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portion includes a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2. The develop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ring portion tilts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fourth period subsequent to the third period to remove the developer. 제1 기간 동안 제1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처리 기판 상에 제1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현상액을 토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에 후속하는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에 후속하는 제3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 방법.
Discharging a developer on a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a first direction during a first period using a first developing nozzle;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second period subsequent to the first period; And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for a third period following the second peri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제2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ransferring in the second direction comprises:
And the developing solution is discharged using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on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상기 제1 현상 노즐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14. The develop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 the first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단계는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ep of ejecting the developer using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gradually increases the ejection amount of the developer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onveyance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 및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14. The develop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and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include nozzles in the form of a lip.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립(lip)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현상 노즐은 스프레이(spray) 형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lip,
Wherein the second developing nozzle includes a nozzle in the form of a spra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피처리 기판 상에 상기 제1 현상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현상액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ransferring in the second direction comprises:
And the developing solution is discharged using the first developing nozzle onto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현상 노즐은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송되는 정도에 따라서 상기 현상액의 토출양을 점점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19. The developing method as claimed in claim 18, wherein the first developing nozzle gradually increases the amount of developer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transfer of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간에 후속하는 제4 기간 동안 상기 피처리 기판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기울여 상기 현상액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방법.
13. The develop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moving the developer by inclining the substrate to be proces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uring a fourth period subsequent to the third period .
KR1020140012150A 2014-02-03 2014-02-03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245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50A KR102245499B1 (en) 2014-02-03 2014-02-03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150A KR102245499B1 (en) 2014-02-03 2014-02-03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389A true KR20150092389A (en) 2015-08-13
KR102245499B1 KR102245499B1 (en) 2021-04-29

Family

ID=5405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150A KR102245499B1 (en) 2014-02-03 2014-02-03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49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557A (en) * 2000-08-25 2002-03-04 히가시 데쓰로 Developing processing apparatus and develo ping processing method
KR20020093631A (en) * 2001-06-07 2002-12-16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Developing apparatus
JP2004040002A (en) *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device
KR20060007187A (en)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10013548A (en) * 2004-04-16 2011-02-0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Developing processing apparatus and developing processing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557A (en) * 2000-08-25 2002-03-04 히가시 데쓰로 Developing processing apparatus and develo ping processing method
KR20020093631A (en) * 2001-06-07 2002-12-16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Developing apparatus
JP2004040002A (en) * 2002-07-08 2004-02-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device
KR20110013548A (en) * 2004-04-16 2011-02-09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Developing processing apparatus and developing processing method
KR20060007187A (en) * 2004-07-19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499B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763B1 (en) Substrate cooling device and substrate cooling method
KR20060051463A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KR20060045531A (en) Coating film forming apparatus
CN105116695B (en) Developing apparatus and lithographic equipment
US10520819B2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eating substrate
KR102245499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develop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08172104A (en) Reflow processing system and reflow processing method
KR1022566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JP2007235025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21152685A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substrat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30020069A (en) In-line apparatus for developing having a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WO2018216612A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JP2005252045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pplication film
JP2007324249A (en) Processing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ubstrate
JP7204788B2 (en) Substrate transport device,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KR1022018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TWI824281B (en) Developing device and developing method
JP7237670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07117994A (en)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KR100719316B1 (en) Coating processing method and coating processing apparatus
JP2007273567A (en) Substrate-treating device, substrate treatmen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JP5175666B2 (en) Development processing equipment
US9372415B2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vent and photolithograph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22068194A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04200613A (en)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