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159A -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159A
KR20150092159A KR1020157015133A KR20157015133A KR20150092159A KR 20150092159 A KR20150092159 A KR 20150092159A KR 1020157015133 A KR1020157015133 A KR 1020157015133A KR 20157015133 A KR20157015133 A KR 20157015133A KR 20150092159 A KR20150092159 A KR 2015009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pump
hot water
heat
circul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오타
아츠시 가키우치
준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2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8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40/00Characterizing positions, e.g. of sensors, inlets, outlets
    • F24D2240/26Vertically distributed at fixed positions, e.g. multiple sensors distributed over the height of a tank, or a vertical inlet distribution pipe having a plurality of orif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에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가 설치되고,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하류측이고 또한 히트펌프 열교환기(55)의 상류측의 난방 순환로(40)에 버퍼 탱크(49)가 설치된다. 컨트롤러(150)는 난방실행조건이 불성립으로 되고, 히트펌프(51)의 운전 정지로부터 소정 시간(M)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개방시켜서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속행시킨다.

Description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HEAT PUMP HEAT SUPPLY SYSTEM}
본 발명은 난방 단말이 접속된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열매체를 히트펌프에 의해서 가열하여 난방을 실시하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열매체로서 온수를 사용하며, 바닥 난방기 등의 난방 단말이 도중에 접속된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온수를 히트펌프에 의해서 가열함에 의해서 난방을 실시하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은, 급탕에 사용되는 저탕(貯湯) 탱크 내의 탕수를 순환시키는 탱크 순환로와 히트펌프 유니트의 히트펌프 순환로와 난방 순환로에 접속된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난방 순환펌프에 의해서 난방순환회로 내에 온수를 순환시킨 상태에서 히트펌프 유니트를 작동시킴에 의해서 난방 단말에 온수를 공급하여 난방을 실시하고 있다.
또, 난방 단말에 있어서의 방열량의 제어방법으로서, 온수식의 난방 단말이 접속된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온수를 가스 열원기에 의해서 가열하는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ON/OFF-duty 제어가 이용되고 있다. ON/OFF-duty 제어에서는 소정의 제어 사이클에 있어서의 난방 단말에 온수를 공급하는 기간(ON-duty 기간)과 온수 공급을 정지하는 기간(OFF-duty 기간)의 비율을 변경하여 각 제어 사이클에 있어서의 난방 단말에서의 방열량을 조절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저온 난방 수로에 바이패스 수로를 형성하고, 이 바이패스 수로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온수 공급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온수 공급 시스템에서는, 재가열 운전시에 바이패스 수로의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저온 난방 수로의 물이 저온 난방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9-299941호 공보
상기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ON/OFF-duty 제어를 실행하여 난방 단말에서의 방열량(단위 시간당의 방열량)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 열원기에서는 버너의 점화에 의해서 즉시 온수의 가열을 개시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히트펌프를 ON(운전상태)에서 OFF(정지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히트펌프의 특성상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이 시간 내에서는 히트펌프의 ONㆍOFF를 전환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히트펌프의 운전이 일단 개시되면, 적어도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히트펌프의 운전이 속행되게 된다. 이 경우, 난방 단말에서의 방열량을 억제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난방 단말 입구의 밸브를 폐쇄시키면, 히트펌프가 무부하 운전으로 됨으로써, 각 부분이 고온으로 되어 히트펌프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히트펌프가 무부하 운전으로 되어 히트펌프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은 "난방 단말이 접속된 난방 순환로와; 상기 난방 순환로 내에 난방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난방 순환펌프와; 히트펌프 순환로를 가지며,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히트펌프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난방 단말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사이에서 각각 상기 난방 순환로에 접속된 난방 바이패스로와; 상기 난방 바이패스로에 설치한 난방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와 상기 난방 순환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상기 히트펌프 열매체와 상기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난방 열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히트펌프 열교환기와; 상기 난방 바이패스로의 하류측이고 또한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상류측의 상기 난방 순환로에 설치한 버퍼부와;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상기 난방 순환펌프와 상기 히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난방 열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난방 단말에 의한 난방을 실시하는 난방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부와;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불성립으로 되고,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난방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켜서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을 속행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불성립으로 되더라도, 히트펌프의 특성상 히트펌프의 운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히트펌프의 운전을 속행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예를 들면 난방 단말 입구의 밸브를 폐쇄시키면, 히트펌프가 무부하 운전으로 됨으로써 히트펌프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방 바이패스로에 난방 바이패스 밸브를 설치한 구성으로 함과 아울러,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불성립인 경우에서도 히트펌프의 운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난방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켜서 히트펌프의 운전을 속행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서, 난방 순환로의 난방 열매체가 난방 바이패스로를 통해서 히트펌프에 유입되기 때문에, 히트펌프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난방 바이패스로의 하류측이고 또한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상류측의 난방 순환로에 버퍼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히트펌프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난방 바이패스 밸브는 유량 조정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난방 바이패스 밸브에 의해서 난방 바이패스로를 유통하는 난방 열매체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버퍼부의 저장 용량을 저감시켜 이 버퍼부에서 쓸데없이 방열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난방 운전의 플로차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은 저탕 유니트(10), 히트펌프 유니트(50), 가스 열원 유니트(80), 및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50)를 구비하고 있다.
저탕 유니트(10)는 저탕 탱크(11), 급수관(12), 급탕관(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저탕 탱크(11)는 내부에 탕수를 보온 저장하며, 높이 방향으로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탱크 온도센서(14∼17)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 탱크(11)의 저부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개방되는 배수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12)은, 일단이 급수구(30)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수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저탕 탱크(11)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저탕 탱크(11) 내의 하부에 물을 공급한다. 급수관(12)에는 저탕 탱크(11)의 내압이 과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감압밸브(19)와, 저탕 탱크(11)에서 급수관(12)으로의 탕수의 유출을 저지하기 위한 역지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12)은 탱크혼합밸브(21)를 통해서 급탕관(13)에 연통되어 있으며, 탱크혼합밸브(21)에 의해서 저탕 탱크(11)에서 급탕관(13)으로 공급되는 탕수와 급수관(12)에서 급탕관(13)으로 공급되는 물의 혼합비가 변경된다. 급수관(12)에는 급수관(12) 내의 물의 온도를 검출하는 수온 센서(22)와, 급수관(12)을 유통하는 물의 유량을 검출하는 수량 센서(23)와, 급탕관(13)에서 급수관(12)으로의 탕수의 유출을 저지하기 위한 역지밸브(24)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관(13)은, 일단이 급탕구(3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저탕 탱크(11)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저탕 탱크(11)의 상부에 저장된 탕수는 급탕구(31)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급탕전(부엌, 세면소, 욕실의 수도꼭지나 샤워 등)에 공급된다. 급탕관(13)에는, 급탕관(13)에서 저탕 탱크(11)로의 탕수의 유입을 저지하는 역지밸브(25)와, 급탕관(13) 내의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탕수 온도센서(26)와, 급탕관(13)을 유통하는 탕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탕수 유량센서(2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탕관(13)에는, 급수관(12)의 분기관과의 접속부보다도 하류측에서 가스 열원 유니트(80)에 접속된 바이패스관(33){바이패스 왕관(往管)(33a), 바이패스 복관(復管)(33b)}이 형성되어 있다. 급탕관(13)의 바이패스 왕관(33a)과의 접속부와 탱크혼합밸브(21)의 사이에는 탕수 온도센서(28)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관(13)의 바이패스 복관(33b)과의 접속부와 급탕구(31)의 사이에 혼합 탕수 온도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히트펌프 유니트(50)와 접속된 탱크 순환로(41)에는 저탕 탱크(11)에서 탱크 순환로(41)로 공급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탱크 하부 탕수 온도센서(34)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급탕관(13)의 바이패스 왕관(33a)과의 접속부와 바이패스 복관(33b)과의 접속부의 사이에, 바이패스 왕관(33a)으로 공급되는 탕수의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패스 제어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히트펌프 유니트(50) 및 가스 열원 유니트(80)와 접속된 난방 순환로(40)에는, 난방 순환로(40)에서 히트펌프 유니트(50)로 되돌아오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난방 히트펌프 복귀온수 온도센서(45)와, 히트펌프 유니트(50)에 의해서 가열되어 난방 순환로(40)로 출탕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난방 히트펌프 출탕온수 온도센서(46)와, 히트펌프 유니트(50)를 바이패스하는 히트펌프 바이패스로(42)와 난방 순환로(40)의 하류측의 접속개소의 직하 유로에 설치되어 난방 순환로(40)로부터의 온수와 히트펌프 바이패스로(42)로부터의 온수가 혼합된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난방 혼합온수 온도센서(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난방 순환로(40) 측으로 유통하는 온수와 히트펌프 바이패스로(42) 측으로 유통하는 온수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난방측 혼합밸브(48)가 설치되어 있다. 또, 난방 순환로(40)의 난방측 혼합밸브(48)와 히트펌프 열교환기(55)의 사이에 버퍼 탱크(49)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 유니트(10)에 구비된 각 센서의 검출신호는 컨트롤러(150)에 입력된다. 또, 컨트롤러(1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탱크혼합밸브(21), 바이패스 제어밸브(29) 및 난방측 혼합밸브(48)의 작동이 제어된다.
이어서, 히트펌프 유니트(50)는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를 탱크 순환로(41)를 통해서 순환시켜서 가열함과 동시에, 난방 순환로(40) 내를 유통하는 온수(본 발명의 '난방 열매체'에 상당한다)를 가열하는 것이다.
히트펌프 유니트(50)는 히트펌프 순환로(52)에 의해서 접속된 증발기(53), 압축기(54), 히트펌프 열교환기(55)(응축기) 및 팽창밸브(56)로 구성된 히트펌프(51)를 가지고 있다.
증발기(53)는 팬(60)의 회전에 의해서 공급되는 공기와 히트펌프 순환로(52) 내를 유통하는 열매체{하이드로 플루오로 카본(HFC) 등의 대체 프레온, 이산화탄소 등, 본 발명의 '히트펌프 열매체'에 상당한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한다. 압축기(54)는 증발기(53)에서 토출된 열매체를 압축하여 고압ㆍ고온으로 하고, 히트펌프 열교환기(55)로 송출한다. 팽창밸브(56)는 압축기(54)에 의해서 가압된 열매체의 압력을 개방한다.
서리제거밸브(61)는 팽창밸브(56)를 바이패스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54)에서 송출되는 열매체에 의해서 증발기(53)에서의 서리를 제거한다. 히트펌프 순환로(52)에는 히트펌프 순환로(52) 내를 유통하는 열매체의 온도를 검출하는 열매체 온도센서(62, 63, 64, 65)가 설치되어 있다.
또, 히트펌프 열교환기(55)에는 그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검출하는 분위기 온도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53)에는 이 증발기(53)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외기온도센서(67)가 설치되어 있다.
히트펌프 열교환기(55)는 탱크 순환로(41)와 접속되어 있으며, 압축기(54)에 의해서 고압ㆍ고온으로 된 열매체와 탱크 순환로(41) 내를 유통하는 탕수의 열교환에 의해서 탱크 순환로(41) 내를 유통하는 탕수를 가열한다. 탱크 순환로(41)에는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를 탱크 순환로(41)를 통해서 순환시키기 위한 탱크 순환펌프(66)가 설치되어 있다.
저탕 탱크(11) 내의 하부에 저장된 탕수는 탱크 순환펌프(66)에 의해서 탱크 순환로(41)로 유도되며, 히트펌프 열교환기(55)에 의해서 가열되어 저탕 탱크(11)의 상부로 되돌려진다. 또한, 탱크 순환로(41)의 히트펌프 열교환기(55)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탱크 순환로(41) 내를 유통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탕수 온도센서(68, 69)가 설치되어 있다.
또, 히트펌프 열교환기(55)는 난방 순환로(40)에 접속되어 있으며, 압축기(54)에 의해서 고압ㆍ고온으로 된 열매체와 난방 순환로(40) 내를 유통하는 온수의 열교환에 의해서 난방 순환로(40) 내를 유통하는 온수를 가열한다.
히트펌프 유니트(50)에 구비된 각 센서의 검출신호는 컨트롤러(150)에 입력된다. 또, 컨트롤러(1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압축기(54), 탱크 순환펌프(66), 팬(60)의 작동이 제어된다.
이어서, 가스 열원 유니트(80)는 바이패스관(33)에서 공급되는 탕수와 난방 순환로(40) 내를 유통하는 온수를 가열하는 것이다.
가스 열원 유니트(80)는 급탕용의 제 1 버너(71)와 이 제 1 버너(71)에 의해서 가열되는 제 1 열교환기(72)를 가지는 급탕 보조 열원기(70), 난방ㆍ재가열용의 제 2 버너(76)와 이 제 2 버너(76)에 의해서 가열되는 제 2 열교환기(77)를 가지는 난방 보조 열원기(75), 급수관(85), 급탕관(86) 및 재가열 열교환기(8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버너(71) 및 제 2 버너(76)는 도시하지 않은 가스 공급관으로부터 연료가스가 공급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연소 팬에 의해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컨트롤러(150)는 제 1 버너(71) 및 제 2 버너(7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와 연소용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제 1 버너(71) 및 제 2 버너(76)의 연소량을 제어한다.
제 1 열교환기(72)는 급수관(85) 및 급탕관(86)에 연통되어 있으며, 제 1 버너(71)의 연소열에 의해서 급수관(85)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급탕관(86)으로 출탕한다. 급수관(85)은 그 일단이 저탕 유니트(10)의 바이패스 왕관(33a)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왕관(33a)을 통해서 물이 공급된다. 급탕관(86)은 그 일단이 저탕 유니트(10)의 바이패스 복관(33b)에 접속되어 있으며, 바이패스 복관(33b)을 통해서 급탕구(31)에 탕수를 공급한다.
급수관(85)에는 상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지수밸브(93)와 수량센서(88)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85)과 급탕관(86)은 바이패스관(89)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으며, 바이패스관(89)에는 이 바이패스관(89)의 개방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밸브(90)가 설치되어 있다. 급탕관(86)의 제 1 열교환기(72)의 하류측 및 바이패스관(89)과의 접속부분의 하류측에는 급탕관(86) 내를 유통하는 탕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급탕 온도센서(91, 9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 저탕 탱크(11)에서 급탕관(13)으로 공급되는 탕수의 온도가 설정급탕온도보다도 낮을 때(탕수부족상태)에, 바이패스 왕관(33a)을 통해서 급수관(85)으로 공급되는 물이 제 1 열교환기(72)에 의해서 가열되어 탕수가 되고, 바이패스관(89)으로부터의 물과 혼합되어 급탕관(86) 및 바이패스 복관(33b)을 통해서 급탕구(3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 급탕관(86)은 탕수공급관(100)에 의해서 욕조(101)에 접속된 욕조 순환로(102)에 연통되어 있다. 탕수공급관(100)에는 이 탕수공급관(100)을 개폐하는 탕수공급밸브(103)와, 욕조 순환로(102)에서 급탕관(86)으로의 탕수의 유입을 저지하는 역지밸브(104)가 설치되어 있다. 탕수공급밸브(103)를 개방함으로써, 급탕관(86)에서 탕수공급관(100) 및 욕조 순환로(102)를 통해서 욕조(101)에 탕수를 공급할 수 있다.
욕조 순환로(102)에는 욕조(101) 내의 탕수를 욕조 순환로(102)를 통해서 순환시키는 욕조 순환펌프(105)와 재가열 열교환기(87)가 설치되어 있다. 재가열 열교환기(87)는 재가열 왕관(107) 및 재가열 복관(108)을 통해서 난방 순환로(40)에 접속되어 있다. 재가열 왕관(107)에는 이 재가열 왕관(107)을 개폐하는 재가열 밸브(109)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150)는 욕조 순환펌프(105)를 작동시켜서 욕조(101) 내의 탕수를 욕조 순환로(102)를 통해서 순환시킨 상태에서 재가열 밸브(109)를 개방하고, 후술하는 난방 순환펌프(111)을 작동시켜서 난방 순환로(40)에서 재가열 왕관(107) 및 재가열 복관(108)을 통해서 재가열 열교환기(87)로 온수를 순환 공급함에 의해서 욕조(101) 내의 탕수를 재가열한다.
제 2 열교환기(77)는 난방 순환로(40)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버너(76)의 연소열에 의해서 난방 순환로(40) 내를 유통하는 온수를 가열한다. 난방 순환로(40)는 바닥 난방기(200)(본 발명의 '난방 단말'에 상당한다) 및 온풍 난방기(210)와 접속되어 온수에 의한 열을 공급한다.
난방 순환로(40)에는 상기한 히트펌프 열교환기(55) 및 난방 보조 열원기(75)의 제 2 열교환기(77)와 시스턴(110)과 난방 순환펌프(111)가 설치되어 있다. 또, 난방 순환로(40)는 난방 순환펌프(111)와 제 2 열교환기(77)의 사이의 개소에서 저온 난방로(112)와 고온 난방로(130)로 분기되어 있다.
고온 난방로(130)에는 온풍 난방기(210)가 접속되어 있고, 저온 난방로(112)에는 바닥 난방기(200)가 접속되어 있다. 고온 난방로(130)와 저온 난방로(112)는 온풍 난방기(210) 및 바닥 난방기(200)의 하류측에서 합류되어 있다. 고온 난방로(130)의 온풍 난방기(210)의 접속부와 제 2 열교환기(77)의 사이의 개소에서 고온 난방로(130)로부터 분기되어 시스턴(110)에 연통되는 난방 바이패스로(113)가 형성되고, 난방 바이패스로(113)에는 이 난방 바이패스로(113)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난방 바이패스 조절밸브(114)가 설치되어 있다.
난방 순환로(40)의 난방 순환펌프(111)의 출구 부근에는 난방 순환펌프(111)에서 송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복귀 온수 온도센서(115)가 설치되어 있다. 또, 난방 순환로(40)의 제 2 열교환기(77)의 출구 부근에는 제 2 열교환기(77)에서 송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공급 온수 온도센서(116)가 설치되어 있다.
저온 난방로(112)는 열동밸브(120)를 통해서 바닥 난방기(200)에 접속되어 있으며, 열동밸브(120)의 개폐에 의해서 저온 난방로(112)에서 바닥 난방기(200)로의 온수의 공급과 정지가 전환된다. 또, 고온 난방로(130)에서 온풍 난방기(210)로의 온수의 공급과 정지는 온풍 난방기(210)에 구비된 열동밸브(211)의 개폐에 의해서 실행된다. 바닥 난방기(200)를 조작하기 위한 바닥 난방 리모컨(201)에는 바닥 난방기(200)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실온센서(202)가 접속되어 있다.
바닥 난방기(200) 및 온풍 난방기(210)의 복귀구(復歸口)에는 난방 복귀로(117)가 접속되어 있으며, 난방 복귀로(117)의 하류단은 난방측 혼합밸브(48)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저온 난방로(112)에는 열동밸브(120)의 상류측과 바닥 난방기(200)의 하류측의 사이의 개소를 접속하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본 발명의 '난방 바이패스로'에 상당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에는 이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본 발명의 '난방 바이패스 밸브'에 상당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난방 리모컨(201)과 컨트롤러(150)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바닥 난방 리모컨(201)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난방온도의 데이터와 실온센서(202)에 의한 검출온도의 데이터가 컨트롤러(150)에 송신된다.
열원 리모컨(160)은 컨트롤러(15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열원 리모컨(160)에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운전상태나 운전조건의 설정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161)와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운전조건 등을 설정하는 조작부(162)가 구비되어 있다.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사용자는 열원 리모컨(160)의 조작부(162)를 조작함에 의해서,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의 비등지시, 급탕구(31)에서의 급탕온도(설정급탕온도), 욕조(101)에 대한 급탕온도(설정탕수공급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가스 열원 유니트(80)에 구비된 각 센서의 검출신호는 컨트롤러(150)에 입력된다. 또, 컨트롤러(15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 1 버너(71), 제 2 버너(76), 수량조절밸브(90), 지수밸브(93), 탕수공급밸브(103), 욕조 순환펌프(105), 재가열밸브(109), 난방 순환펌프(111), 난방 바이패스 조절밸브(114),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 및 열동밸브(120)의 작동이 제어된다.
컨트롤러(150)는 도시하지 않은 CPU, 메모리 등에 의해서 구성된 전자 회로 유니트이다. 컨트롤러(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제어용 프로그램을 CPU에서 실행함으로써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다하며, 난방 제어부(151) 및 탱크 제어부(152)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난방 제어부(151) 및 탱크 제어부(152)로서 기능하는 컨트롤러(150)는 본 발명의 제어부 및 이 제어부의 제어결과를 보정하는 제어 보정부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난방 제어부(151)는 온풍 난방기(210) 및 바닥 난방기(200)의 난방운전을 실행한다. 탱크 제어부(152)는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를 열원 리모컨(160)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급탕온도(설정급탕온도 또는 설정탕수공급온도)에 대응한 비등온도까지 가열하는 비등운전을 실행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50)에는 타이머(153)가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도 2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따라서 난방 제어부(151)에 의한 바닥 난방기(200)의 난방운전(바닥난방운전)의 실행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1에서, 탱크 제어부(152)는 실온센서(202)가 검출한 '실내 온도'에서 바닥 난방 리모컨(201)에 의해서 설정된 '목표난방온도'를 빼서 얻은 온도차(ΔT)로부터 열동밸브(120)의 ON/OFF의 듀티(duty)비를 구한다. 이 ON/OFF-duty는 컨트롤러(150)의 메모리에 격납된 '온도차(ΔT)'와 '난방 순환로(40)로의 온수 공급량'에 대응한 듀티비를 나타내는 맵으로부터 구한다.
또한, 탱크 제어부(152)는 난방 히트펌프 복귀온수 온도센서(45)의 검출온도(복귀온수 온도)(Tr)의 설정값(복귀온수 설정온도)(Trs)을 컨트롤러(150)의 메모리에 격납된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60℃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2에서, 난방 제어부(151) 및 탱크 제어부(152)는 스텝 1에서 구한 듀티비에 의거하여 저탕 유니트(10), 히트펌프 유니트(50) 및 가스 열원 유니트(80)의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3에서, 탱크 제어부(152)는 ON 기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ON 기간인 경우(스텝 3: YES)에는 스텝 4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열동밸브(120)를 ON(개방)함과 동시에 난방 순환펌프(111)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스텝 5에서, 탱크 제어부(152)는 탕수 온도센서(68)가 검출한 탕수의 온도(히트펌프 입구온도)(Ti)가 히트펌프 작동 설정온도(Ts)보다 높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히트펌프 작동 설정온도(Ts)는 컨트롤러(150)의 메모리에 격납된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35℃이다.
히트펌프 입구온도(Ti)가 히트펌프 작동 설정온도(Ts)보다 높은 경우(스텝 5: YES)에는 스텝 6으로 진행하며, 난방 제어부(151)는 난방 보조 열원기(75)를 운전시킨다.
한편, 히트펌프 입구온도(Ti)가 히트펌프 작동 설정온도(Ts) 이하인 경우(스텝 5: NO)에는 스텝 7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히트펌프(51)를 운전시킨다. 또한, 복귀온수 온도(Tr)가 복귀온수 설정온도(Trs)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경우에는 스텝 7에서, 난방 제어부(151)는 급탕 보조 열원기(70)를 운전시켜도 좋다.
또, 후술하는 스텝 11 또는 스텝 14에서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켰을 때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지 않은 경우, 타이머(153)가 타임업한 후에 히트펌프(51)의 운전을 개시시킨다.
그리고, 히트펌프(51)를 운전시켰을 때, 타이머(153)를 스타트시킨다. 또한, 스텝 3으로 되돌아가서 스텝 4, 5를 통해서 스텝 7에 이르렀을 때, 타이머(153)는 그대로 속행시킨다.
그리고 스텝 8에서, 탱크 제어부(152)는 복귀온수 온도(Tr)가 복귀온수 설정온도(Trs)보다 낮은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복귀온수 온도(Tr)가 복귀온수 설정온도(Trs)보다 낮은 경우(스텝 8: YES)에는 스텝 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복귀온수 온도(Tr)가 복귀온수 설정온도(Trs) 이상인 경우(스텝 8: NO)에는 스텝 9로 진행하며, 난방 보조 열원기(75) 또는 급탕 보조 열원기(70)가 운전중인 경우에는, 난방 제어부(151)는 이것들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스텝 10으로 진행하여, 히트펌프(51)의 운전 개시시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소정 시간(M)(예를 들면 3분)을 타임업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타이머(153)가 타임업한 경우(스텝 10: YES)에는 스텝 11로 진행하며, 히트펌프(51)가 운전중인 경우, 탱크 제어부(152)는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켰을 때, 타이머(153)를 리셋한 후 다시 스타트시킨다.
한편, 히트펌프(51)의 운전 개시시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지 않은 경우(스텝 10: NO)에는, 타임업한 후에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히트펌프(51)의 운전을 계속시킨다. 이것은 히트펌프(51)의 특성상 운전 개시 후 운전을 정지할 경우 및 운전 정지 후 운전을 재개할 경우에 소정 시간(M)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한편, OFF 기간인 경우(스텝 3: NO)에는 스텝 12로 진행하며, 난방 보조 열원기(75) 또는 급탕 보조 열원기(70)가 운전중인 경우에는, 난방 제어부(151)는 이것들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또한, 탱크 제어부(152)는 열동밸브(120)를 OFF(폐쇄)시킨다.
그리고 스텝 13에서, 탱크 제어부(152)는 히트펌프(51)의 운전 개시시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였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였을 경우(스텝 13: YES)에는 스텝 14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타이머(153)를 리셋한 후 다시 스타트시킨다.
한편,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지 않은 경우(스텝 13: NO)에는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는 바닥 난방기(200)의 난방 부하가 낮을 때에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는 스텝 15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저온 난방로(112)의 온수가 바닥 난방기(200)를 유통하지 않으므로, 바닥 난방기(200)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스텝 16으로 진행하고,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였을 경우(스텝 16: YES)에는 스텝 17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폐쇄시킨다. 그 후 스텝 14로 더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타이머(153)를 리셋한 후 스타트시킨다.
한편, 히트펌프(51)의 운전 개시시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아직 타임업하지 않은 경우(스텝 16: NO)에는 스텝 18로 진행하며, 탱크 제어부(152)는 OFF 기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OFF 기간인 경우(스텝 18: YES)에는 타이머(153)가 타임업할때까지(스텝 16: YES) 대기하고, 스텝 17로 진행한다.
한편, OFF 기간이 아니고 ON 기간으로 된 경우(스텝 18: NO)에는 히트펌프(51)의 운전을 계속한 채 스텝 4로 진행한다.
또한, 도 2의 플로차트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닥 난방 리모컨(201)으로부터 바닥 난방을 정지시키는 취지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 또는 열원 리모컨(160)으로부터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취지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 등도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도 히트펌프(51)의 운전 개시시에 스타트시킨 타이머(153)가 타임업한 후에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타이머(153)가 타임업하지 않은 경우, 히트펌프(51)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스텝 12와 마찬가지로 열동밸브(12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스텝 15와 마찬가지로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타이머(153)가 타임업하고 나서 스텝 17과 마찬가지로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폐쇄시키고, 그 후 히트펌프(51)의 운전을 정지시킨다.
단지 열동밸브(120)만을 폐쇄시키는 것에서는 히트펌프(51)가 무부하 운전으로 되어 히트펌프(51)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12에서 열동밸브(120)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스텝 15에서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를 개방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저온 난방로(112)의 온수는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를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히트펌프(51)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게다가,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하류측이고 또한 히트펌프 열교환기(55)의 상류측의 난방 순환로(40)에 버퍼 탱크(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히트펌프(51)가 고장 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히트펌프(51)가 무부하 운전을 확실하게 회피하도록 버퍼 탱크(49)의 저장 용량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히트펌프(51)의 최소 출력이 16.7㎉/분이고, 히트펌프(51)의 최소 운전시간, 즉 상기 소정 시간(M)이 3분이라 하면, 스텝 18에 도달할 때까지의 히트펌프(51)의 최소 운전시간 내에 발생하는 출력의 최대값은 16.7×3=50.1㎉이다.
그리고, 복귀온수 설정온도(Trs)가 35℃ 이하의 온도로 설정되어 있고, 바닥 난방 리모컨(201)에서의 설정온도는 일반적으로 40℃가 하한값이고 허용 범위가 ±5℃이기 때문에 45℃(=40℃+5℃)까지 가열 가능하므로, 최저 10℃의 온도 상승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 탱크(49)의 저장 용량은 50.1/10 = 약 5.0L 이상으로 설정하면 좋다. 또한, 이 용량은 버퍼 탱크(49) 단독의 저장 용량이어도 좋고,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하류측에서부터 히트펌프 열교환기(55) 입구까지의, 저온 난방로(112)를 포함하는 난방 순환로(40)의 관로 용적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퍼 탱크(49) 및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하류측에서부터 히트펌프 열교환기(55) 입구까지의 난방 순환로(40)가 본 발명의 '버퍼부'에 상당한다. 다만, 관로가 길어질수록 방열이 증가하기 때문에, 버퍼 탱크(49)의 저장 용량을 크게 하여 난방 순환로(40)의 관로를 짧게 하는 편이 에너지 절약의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의 전환이 가능한 것이라면 좋으며, 개폐밸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는 유량 제어 밸브이어도 좋으며, 이 경우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119)에 의해서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를 유통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버퍼 탱크(49)의 저장 용량을 저감시켜 이 버퍼 탱크(49)에서 쓸데없이 방열되는 열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퍼 탱크(49)를 난방측 혼합밸브(48)와 히트펌프 열교환기(55) 입구의 사이의 난방 순환로(40)에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버퍼 탱크(49)를 예를 들면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118)의 하류측과 난방측 혼합밸브(48)의 사이의 난방 순환로(40)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를 히트펌프(51)에 의해서 가열하는 구성과, 저탕 탱크(11) 내의 탕수가 부족하게 되었을 때에 급탕 보조 열원기(70)에 의해서 가열하는 구성을 구비한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급탕용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난방 단말에 공급되는 온수를 히트펌프에 의해서 가열하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이라면,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난방 단말로서 바닥 난방기(200)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온풍 난방기(210)를 본 발명의 난방 단말로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10 - 저탕 유니트 11 - 저탕 탱크
40 - 난방 순환로(버퍼부) 41 - 탱크 순환로
42 - 히트펌프 바이패스로 48 - 난방측 혼합밸브
49 - 버퍼 탱크(버퍼부) 50 - 히트펌프 유니트
51 - 히트펌프 52 - 히트펌프 순환로
55 - 히트펌프 열교환기 70 - 급탕 보조 열원기
75 - 난방 보조 열원기 80 - 가스 열원 유니트
111 - 난방 순환펌프 112 - 저온 난방로(버퍼부)
118 - 저온 난방 바이패스로(난방 바이패스로)
119 - 저온 난방 바이패스 밸브(난방 바이패스 밸브)
150 - 컨트롤러(제어부, 제어 보정부) 151 - 난방 제어부
152 - 탱크 제어부 153 - 타이머
200 - 바닥 난방기

Claims (2)

  1. 난방 단말이 접속된 난방 순환로와,
    상기 난방 순환로 내에 난방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난방 순환펌프와,
    히트펌프 순환로를 가지며,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히트펌프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난방 단말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사이에서 각각 상기 난방 순환로에 접속된 난방 바이패스로와,
    상기 난방 바이패스로에 설치한 난방 바이패스 밸브와,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와 상기 난방 순환로의 도중에 설치되며, 상기 히트펌프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상기 히트펌프 열매체와 상기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난방 열매체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실시하는 히트펌프 열교환기와,
    상기 난방 바이패스로의 하류측이고 또한 히트펌프 열교환기의 상류측의 상기 난방 순환로에 설치한 버퍼부와,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성립되었을 때에 상기 난방 순환펌프와 상기 히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난방 순환로 내를 순환하는 난방 열매체를 가열하여 상기 난방 단말에 의한 난방을 실시하는 난방 운전을 실행하는 제어부와,
    소정의 난방실행조건이 불성립으로 되고,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상기 난방 바이패스 밸브를 개방시켜서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을 속행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히트펌프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제어 보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방 바이패스 밸브가 유량 조정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1020157015133A 2012-12-04 2013-08-06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201500921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5831 2012-12-04
JP2012265831A JP5712196B2 (ja) 2012-12-04 2012-12-04 ヒートポンプ暖房システム
PCT/JP2013/071244 WO2014087699A1 (ja) 2012-12-04 2013-08-06 ヒートポンプ熱源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159A true KR20150092159A (ko) 2015-08-12

Family

ID=5088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133A KR20150092159A (ko) 2012-12-04 2013-08-06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12196B2 (ko)
KR (1) KR20150092159A (ko)
CN (1) CN104822993A (ko)
WO (1) WO2014087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9912B2 (ja) 2015-10-16 2017-06-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加熱装置
JP6198796B2 (ja) * 2015-10-16 2017-09-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加熱装置
JP7259458B2 (ja) * 2019-03-25 2023-04-18 株式会社ノーリツ 給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848A (ja) * 1996-12-13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床暖冷房構造
JP4378900B2 (ja) * 2001-08-03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JP4246257B2 (ja) * 2007-06-22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1526241B (zh) * 2008-03-04 2012-04-18 钱伟民 双向热泵太阳能供热系统
JP5063486B2 (ja) * 2008-05-30 2012-10-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温水暖房システム
JP5115418B2 (ja) * 2008-09-17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暖房システム
JP5303291B2 (ja) * 2009-01-30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液体循環式暖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7699A1 (ja) 2014-06-12
JP2014109429A (ja) 2014-06-12
CN104822993A (zh) 2015-08-05
JP5712196B2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21B1 (ko) 저탕식 급탕장치
KR101393170B1 (ko) 저탕식 급탕장치
KR102057367B1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101436241B1 (ko) 히트 펌프 열원 시스템
KR101471291B1 (ko) 저탕식 급탕 시스템
JP5866226B2 (ja) 給湯装置
KR20150092159A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101482844B1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101514896B1 (ko) 히트펌프 난방시스템
JP6628643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8004128A (ja) 給湯システム
JP2010175209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6625813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436247B1 (ko) 히트 펌프 열원 시스템
JP6628642B2 (ja) 給湯システム
JP2013170742A (ja) 給湯装置
JP4670862B2 (ja) 給湯システム
JP6192473B2 (ja) 風呂追焚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