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080A - 스포츠웨어 - Google Patents

스포츠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080A
KR20150092080A KR1020157005759A KR20157005759A KR20150092080A KR 20150092080 A KR20150092080 A KR 20150092080A KR 1020157005759 A KR1020157005759 A KR 1020157005759A KR 20157005759 A KR20157005759 A KR 20157005759A KR 20150092080 A KR20150092080 A KR 2015009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direction
overlapped
wearer
waist
overlap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펄이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펄이즈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펄이즈미
Publication of KR2015009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41D1/084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for cycl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2Details of protective gar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1281
    • A41D13/0005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 A41D2600/104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상의 및 하의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상의와 하의의 간극으로부터의 바람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계지구에 의한 위화감이 없는 스포츠웨어를 제공한다.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중합부(3)를, 타방의 외측에 포개, 중합부(3)에 마련되는 계지구(4)로,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사이에 간극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계지구(4)가 중합부(3)가 되는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와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일이 없다. 또 계지구(4)의 분리 조작을,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되는 시동부(4a)로부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무리 없이 신속하게 상의(1)로부터 하의(2)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포츠웨어{SPORTSWEA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빕숏이나 빕슈트로 불리는 사이클링팬츠, 또는 원피스로 불리는 사이클링웨어, 혹은 기타 스포츠용 웨어나 스포츠용 언더웨어 등으로서 이용되는 스포츠웨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스포츠웨어로서, 팬츠 본체와, 1쌍의 어깨스트랩부와, 1쌍의 버클부를 구비하고, 팬츠 본체가 전웨스트부와, 후웨스트부와, 1쌍의 다리개구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가지는 사이클링팬츠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공보 2006-328573호
이와 같은 스포츠웨어는, 어깨스트랩부로 매달아 내리기 때문에, 웨스트 부분을 강하게 조이지 않아도, 운동 중에 흘러 내리는 일이 없고, 복부에 대한 압박감이 적기 때문에, 특히 사이클링용으로서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스포츠웨어에서는, 체온 조정용으로 겉옷을 입는 경우, 겉옷 아래에 어깨스트랩부가 있기 때문에, 화장실 등에서 탈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겉옷을 벗지 않으면, 팬츠 본체를 내릴 수 없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상의 및 하의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상의와 하의의 간극으로부터 바람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계지구(係止具)에 의한 위화감이 없는 스포츠웨어를 제공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어깨걸침부를 가지는 상의와,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랑이부를 가지는 하의와, 상기 상의의 옷단부 또는 상기 하의의 허리부 중 어느 일방에 타방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는 중합부와, 상기 중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의의 상기 옷단부 및 상기 하의의 상기 허리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계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구는, 상기 중합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상기 상의와 상기 하의의 분리 조작을 개시하기 위한 시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상의의 옷단부 또는 하의의 허리부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중합부를, 타방의 외측에 포개, 중합부에 마련되는 계지구로, 상의의 옷단부 및 하의의 허리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의의 옷단부와 하의의 허리부의 사이에 간극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계지구가 중합부가 되는 상의의 옷단부 및 하의의 허리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일이 없다. 또 계지구의 분리 조작을, 중합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되는 시동부로부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무리 없이 신속하게 상의로부터 하의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의 및 하의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행하기 쉽고, 또한 상의와 하의의 간극으로부터 바람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계지구에 의한 위화감이 없는 스포츠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겉옷을 벗지 않으면 팬츠 본체를 내릴 수 없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겉옷을 벗지 않아도 간단한 조작으로 상의로부터 하의를 내릴 수 있어, 화장실 등에서 매우 편리하고,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다.
또한, 상의 및 하의의 연결 상태에서는, 빕숏이나 빕슈트 또는 원피스 등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상의와 하의의 간극으로부터 바람이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사이클링 등과 같이 외기 중을 가로지르는 스포츠에서는, 착용자의 체온이 급격하게 내려가지 않아, 장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또, 계지구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쾌적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계지구와의 스침 등에 의한 상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포츠웨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가 분리 상태의 정면도, (b)가 결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포츠웨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가 분리 상태의 정면도, (b)가 결합 상태의 정면도이다. (a), (b)에 있어서 주요부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스포츠웨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a)가 분리 상태의 정면도, (b)가 결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포츠웨어(A)는, 도 1~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빕숏이나 빕슈트로 불리는 사이클링팬츠나, 또는 원피스로 불리는 사이클링웨어, 사이클링 이외의 스포츠용 웨어, 스포츠용 언더웨어 등으로서 이용되는, 상의(1)와 하의(2)가 웨스트 위치에서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것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포츠웨어(A)는,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어깨걸침부(1a)를 가지는 상의(1)와,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랑이부(2a)를 가지는 하의(2)와,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 중 어느 일방에 타방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는 중합부(3)와, 중합부(3)에 걸쳐 마련되어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계지구(4)를 주요한 구성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상의(1)는, 신축성이나 통기성 등이 뛰어난, 예를 들면 나일론(등록상표)이나 폴리에스터 등의 스트레치 소재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또는 기타 섬유로, 적어도 어깨걸침부(1a)를 가지는 민소매, 반소매, 팔꿈치를 덮는 7부 소매, 긴 소매, 노 칼라, 칼라 등의 셔츠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도 4 및 도 6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가 민소매이자 또한 노칼라 형상, 즉 런닝셔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흉부에 개폐부(1c)로서 파스너(자크) 등을 부분적으로 마련하여, 상의(1)의 탈의를 용이하게 함과 함께, 착용자(도시하지 않음)가 간단하게 온도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상의(1)로서, 어깨걸침부(1a)를 어깨스트랩으로 변경하거나, 상의(1)의 형상을 반소매 형상, 팔꿈치를 덮는 7부 소매 형상, 긴 소매 형상, 칼라 셔츠 형상으로 변경하는 등, 상의(1)를 도시예와는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의 흉부에 개폐부(1c)를 마련하지 않아 흉부가 상시 닫혀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의 옷기장 전체에 걸쳐 개폐부(1c’)로서 파스너(자크) 등을 마련하거나 하는 등,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의(2)는, 신축성이나 통기성 등이 뛰어난, 예를 들면 나일론(등록상표)이나 폴리에스터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또는 기타 섬유로, 적어도 가랑이부(2a)를 가지는 팬츠나 타이츠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도 7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하의(2)가 반바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하의(2)로서, 무릎을 덮는 7부 길이, 긴 바지, 무릎까지 오지 않는 짧은 팬츠 등, 하의(2)를 도시예와는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합부(3)는,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 중 어느 일방이 타방의 외측과 포개지도록 연장하여 배치됨으로써,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를 따라 둘레방향으로 환형상으로 형성된다. 중합부(3)는,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가 포개진 개소를 착용자의 허리 둘레 부위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켜, 허리 둘레 부위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서로 면 접촉시키거나, 또는 허리 둘레 부위의 일부를 제외한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서로 면 접촉시키고 있다. 중합부(3)의 둘레방향이란, 상의(1)의 옷단부(1b)에 있어서 하의(2)의 허리부(2b)와 포개진 개소의 옷단 둘레방향이며,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상의(1)의 옷단부(1b)와 포개진 개소의 허리 둘레방향이기도 하다.
도 1~도 7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의 옷단부(1b)를 하의(2)의 허리부(2b)를 향하여 연장하여 중합부(3)가 일체 형성되어, 중합부(3)의 이면이 하의(2)의 허리부(2b)의 외측을 전체 둘레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덮도록 포개진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하의(2)의 허리부(2b)를 연장하여 중합부(3)가 일체 형성되어, 중합부(3)의 이면이 상의(1)의 옷단부(1b)의 외측을 전체 둘레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덮도록 포개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중합부(3)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일부에는, 도 1~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더욱 돌출되는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부위(3a)의 선단에는, 후술하는 계지구(4)의 시동부(4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지구(4)는, 중합부(3)를 구성하는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에 걸쳐 마련되고,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이나, 또는 전체 둘레나, 혹은 대략 전체 둘레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지구(4)는, 상의(1) 및 하의(2)를 착용했을 때에,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분리 조작을 개시하기 위한 시동부(4a)를 가지고 있다.
계지구(4)로서는, 중합부(3)를 구성하는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그 둘레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는 장척 잠금구(4b)와, 중합부(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그 일부에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점 형상 잠금구(4c) 등이 있다.
장척 잠금구(4b)란, 파스너나 지퍼(등록상표)나 자크 등으로 불리는, 잠그는 부분이 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기구(선 형상 잠금구)나, 면 파스너나 매직 테이프((상표)나 벨크로(상표) 파스너 등으로 불리는, 잠그는 부분이 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기구(띠 형상 잠금구) 등을 말한다. 장척 잠금구(4b)의 선 형상 잠금구는, 슬라이더(4b1)와,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에 각각 부착되어 톱니(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는 1쌍의 테이프(4b2)를 구비하고 있다. 선 형상 잠금구는, 테이프(4b2)를 따라 슬라이더(4b1)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테이프(4b2)의 엘리먼트끼리가 맞물려 테이프(4b2)가 폐쇄된다. 특히, 선 형상 잠금구로서는, 오픈 파스너 등으로 불리는, 테이프(4b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리(開離) 가능한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 형상 잠금구(4c)란, 후크나 단척의 면 파스너나 스냅(맞단추)이나 버클이나 클립이나 버튼 등, 잠그는 부분이 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기구를 말한다.
그리고, 계지구(4)의 배치예로서는, 장척 잠금구(4b) 또는 점 형상 잠금구(4c) 중 어느 한 종류나, 혹은 복수 종류가 배치된다.
계지구(4)의 구체예로서는, 장척 잠금구(4b)를 마련함과 함께, 시동부(4a)로서 점 형상 잠금구(4c)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척 잠금구(4b)로서는, 중합부(3)의 둘레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것을 이용하여, 하의(2)의 허리부(2b)에 장척 잠금구(4b)의 일부를 배치한 상태에서, 하의(2)의 탈의에 따라 하의(2)의 허리 둘레 부위가 충분히 신축 변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장척 잠금구(4b)가 가지는 신축성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하의(2)를 탈의할 때에 충분한 신축성을 갖게 하는 수법으로서, 중합부(3)를 구성하는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장척 잠금구(4b)를 둘레방향으로 C자형으로 배치함으로써,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장척 잠금구(4b)가 배치되지 않는 개소를, 둘레방향으로 신축 변형 가능한 신축부(2c)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도 5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계지구(4)로서, 파스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가,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이 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C자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이 되는 개소에 신축부(2c)가 형성되고, 그에 더하여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 점 형상 잠금구(4c)를 배치하고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4b)로서 파스너 등의 선 형상 잠금구 대신에, 면 파스너 등의 띠 형상 잠금구를, 중합부(3)의 정면이 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C자형이나, 또는 중합부(3)의 전체 둘레 혹은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하거나, 선 형상 잠금구와 띠 형상 잠금구를 조합하여, 중합부(3)의 정면이 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C자형이나 또는 중합부(3)의 전체 둘레 혹은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하거나, 복수의 점 형상 잠금구(4c)를 중합부(3)의 정면이 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C자형이나 또는 중합부(3)의 전체 둘레 혹은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각각 소정 간격마다 배치하는 등,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계지구(4)의 장척 잠금구(4b)로서 파스너 등의 선 형상 잠금구가 중합부(3)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를,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가 시동부(4a)가 된다.
중합부(3)에 대하여 계지구(4)로서 점 형상 잠금구(4c)를 배치한 경우에는,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된 것이, 시동부(4a)가 된다.
또, 장척 잠금구(4b)의 선 형상 잠금구로서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프(4b2)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되는 개리감삽부(4b3)의 삽입방향을, 상의(1)로부터 하의(2)를 향하여 중합부(3)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기 위하여, 개리감삽부(4b3)의 상자봉(4b4)에 대하여 접봉(蝶棒)(4b5)이 삽입되는 방향을, 상의(1)로부터 하의(2)를 향하도록 함과 함께, 중합부(3)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스포츠웨어(A)에 의하면,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된 중합부(3)를, 타방의 외측에 포개고, 중합부(3)에 걸쳐 마련되는 계지구(4)로,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사이에 간극이 벌어지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계지구(4)가 중합부(3)가 되는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와의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일이 없다.
또, 계지구(4)의 분리 조작을,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되는 시동부(4a)로부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무리 없이 신속하게 상의(1)로부터 하의(2)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의(1) 및 하의(2)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을 행하기 쉽게 하면서,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간극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바람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계지구(4)에 의한 위화감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겉옷을 벗지 않아도 간단한 조작으로 상의(1)로부터 팬츠나 타이츠 등의 하의(2)를 내릴 수 있어, 화장실 등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의(1) 및 하의(2)의 연결 상태에서는, 빕숏이나 빕슈트로 불리는 사이클링팬츠나 원피스로 불리는 사이클링웨어 등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상의(1)와 하의(2)의 간극으로부터 바람이 침입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사이클링 등과 같이 외기 중을 가로지르는 스포츠에서는, 착용자의 체온이 급격하게 내려가지 않아, 장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또, 계지구(4)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위화감이 없기 때문에, 쾌적하게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계지구(4)와의 스침 등에 의한 상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특히, 계지구(4)로서, 중합부(3)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장척 잠금구(4b)를 마련함과 함께, 시동부(4a)로서, 중합부(3)의 둘레방향으로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점 형상 잠금구(4c)를 마련한 경우에는, 장척 잠금구(4b)에 의하여 상의(1)의 옷단부(1b) 및 하의(2)의 허리부(2b)가 연결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격렬하게 운동해도, 상의(1)의 옷단부(1b)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사이에 있어서 그 둘레방향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착용자의 허리 둘레 부위와 대향하는 개소에 간극이 벌어지는 일이 없고, 또 시동부(4a)로서 중합부(3)의 정면측에 배치되는 점 형상 잠금구(4c)가 표식이 되어, 계지구(4)의 분리 조작을 헷갈리지 않고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의(1) 및 하의(2)의 연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상의(1)와 하의(2)의 분리 동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바람의 침입에 의한 체온의 저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보온성이 뛰어나고, 또한 화장실 등에서 하의(2)만을 확실히 내릴 수 있어 편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장척 잠금구(4b)가, 중합부(3)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장척 잠금구(4b)가 배치되지 않는 개소를, 둘레방향으로 신축 변형하는 신축부(2c)로 한 경우에는, 장척 잠금구(4b)에 있어서의 장척방향에 대한 신축성에 한계가 있었다고 해도,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신축부(2c)를 둘레방향으로 신축 변형시킴으로써, 하의(2)를 탈의할 때에 충분한 신축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하의(2)의 탈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장실 등에 있어서의 하의(2)의 탈의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은, 도 1(a), (b)~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합부(3)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일부에, 상의(1)의 옷단부(1b) 또는 하의(2)의 허리부(2b)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더욱 돌출되는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계지구(4)의 시동부(4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시동부(4a)로서 점 형상 잠금구(4c)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실시예 1에 관한 스포츠웨어(A)는, 빕숏으로 불리는 사이클링팬츠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의(1)가 어깨걸침부(1a)로서 띠 형상의 어깨스트랩을 가지고, 하의(2)의 가랑이부(2a)에 패트(2d)가 마련되어 있다.
도 1(a), (b)~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하의(2)의 허리부(2b)를 향하여 더욱 돌출되는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마련하여,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점 형상 잠금구(4c)를 배치하고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좌우 측면측이나 배면측이 되는 개소에, 단수 또는 복수의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마련하거나, 하의(2)의 허리부(2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만이나, 혹은 착용자의 좌우 측면측이나 배면측이 되는 개소에, 단수 또는 복수의 연장 부위(3a)를 부분적으로 마련하여, 이들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점 형상 잠금구(4c)를 각각 배치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a), (b)~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하의(2)의 허리부(2b)를 향하여 대략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연장 부위(3a)가 마련되어,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점 형상 잠금구(4c)를 하나만 배치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중합부(3)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계지구(4)로서, 장척 잠금구(4b)가,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이 되는 개소를 제외하고 둘레방향으로 C자형으로 배치됨으로써, 하의(2)의 허리부(2b)의 정면이 되는 개소에 신축부(2c)가 형성되고, 신축부(2c)의 외측을 덮도록 연장 부위(3a)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장척 잠금구(4b)로서, 파스너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 형상 잠금구의 테이프(4b2)를,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이면과, 하의(2)의 허리부(2b)의 표면에 각각 부착함으로써,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테이프(4b2)가 폐쇄된 상의(1) 및 하의(2) 허리부(2b)의 연결 상태에서는, 장척 잠금구(4b)가 중합부(3)와 하의(2)의 허리부(2b)의 사이에 끼워져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연장 부위(3a)의 형상을 대략 삼각 형상 대신에 예를 들면 대략 사다리꼴 등 다른 형상으로 일체 형성하거나,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복수의 점 형상 잠금구(4c)를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하거나, 장척 잠금구(4b)로서 선 형상 잠금구를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노출시켜 배치하거나, 장척 잠금구(4b)로서 면 파스너 등의 띠 형상 잠금구를 이용하는 등,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배치되는 점 형상 잠금구(4c)의 변형예를 도 1(a), (b)~도 4에 나타내고 있다.
도 1(a), (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점 형상 잠금구(4c)로서, 상의(1)의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후크(4c1)를, 이것과 대향하는 하의(2)의 개소에 후크(4c1)와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루프(4c1’)를 각각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는, 후크(4c1) 및 루프(4c1’)와,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가, 시동부(4a)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점 형상 잠금구(4c)로서, 상의(1)의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단척의 면 파스너(4c2)를, 이것과 대향하는 하의(2)의 개소에 단척의 면 파스너(4c2)와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단척의 면 파스너(4c2’)를 각각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는, 1쌍의 면 파스너(4c2, 4c2’)와,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가, 시동부(4a)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점 형상 잠금구(4c)로서, 상의(1)의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스냅(4c3)을, 이것과 대향하는 하의(2)의 개소에 스냅(4c3)과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스냅(4c3’)을 각각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는, 1쌍의 스냅(4c3, 4c3’)과,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가, 시동부(4a)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점 형상 잠금구(4c)로서, 상의(1)의 연장 부위(3a)의 선단(하단)에 버클(4c4)을, 이것과 대향하는 하의(2)의 개소에 버클(4c4)과 착탈 가능하게 계합하는 버클(4c4’)을 각각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는, 1쌍의 버클(4c4, 4c4’)과,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가, 시동부(4a)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스포츠웨어(A)에 의하면, 착용자가, 중합부(3)에 있어서의 연장 부위(3a)의 위치를 육안이나 손의 감촉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연장 부위(3a)의 선단에 마련되는 시동부(4a)의 위치도 인식하기 쉽고, 계지구(4)의 분리 조작을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의(1) 및 하의(2)의 분리 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장실 등에 있어서의 하의(2)의 탈의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도 1(a), (b)~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연장 부위(3a)를 형성한 경우에는, 연장 부위(3a) 및 시동부(4a)의 위치가 육안이나 손의 감촉으로 더욱 인식하기 쉽고, 계지구(4)의 분리 조작을 더욱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의(1) 및 하의(2)의 분리 동작을 더욱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장실 등에 있어서의 하의(2)의 탈의 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장 부위(3a)에 의하여 착용자의 복부가 이중구조가 되기 때문에, 복부의 보온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사이클링 등과 같이 외기가 닿음으로써 복부가 차가워지기 쉬운 스포츠에서는, 복부가 쉽게 차가워지지 않아, 장시간에 걸쳐 연속해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시예와 같이, 하의(2)의 허리부(2b)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형성된 신축부(2c)를 덮도록 연장 부위(3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중합부(3)의 정면이 되는 개소에 장척 잠금구(4b)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간극이 생기기 쉬운 구조가 되지만, 신축부(2c)를 연장 부위(3a)로 덮음으로써, 신축부(2c)와 연장 부위(3a)의 간극으로부터 바람이 침입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이클링 등과 같이 착용자의 정면측으로부터 바람이 닿는 스포츠에 적합하다는 이점도 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 2는,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가, 개리감삽부(4b3)를 가지는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이며, 개리감삽부(4b3)의 삽입방향을, 상의(1)로부터 하의(2)를 향하여 중합부(3)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한 구성이,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과는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란, 테이프(4b2)의 적어도 일단 부위에 개리감삽부(4b3)를 마련하여, 슬라이더(4b1)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테이프(4b2)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개리 가능한 오픈 파스너이다. 이 오픈 파스너에는, 도 5(a),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테이프(4b2)의 일단 부위에 마련되는 개리감삽부(4b3)로부터 1개의 슬라이더(4b1)를 테이프(4b2)의 타단 부위를 향하여 왕복 이동시키는 것과, 테이프(4b2)의 양단 부위에 마련되는 1쌍의 개리감삽부(4b3)에 걸쳐 2개의 슬라이더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역개방(양측 개방) 오픈 파스너(도시하지 않음) 등이 있다.
개리감삽부(4b3)의 구체예로서는, 상자봉(4b4)과, 상자봉(4b4)에 접촉하도록 슬라이더(4b1)가 이동한 상태에서 상자봉(4b4)을 따라 삽입 가능한 접봉(4b5) 등을 가지고 있다.
즉,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의 테이프(4b2)에 있어서, 개리감삽부(4b3)가 마련되는 적어도 일단 부위를,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더(4b1)가 접촉한 상자봉(4b4)에 대하여 접봉(4b5)을 삽입하는 방향이, 상의(1)로부터 하의(2)를 향함에 따라 중합부(3)의 둘레방향(상의(1)의 옷단부(1b)의 옷단 둘레방향이나 하의(2)의 허리부(2b)의 허리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의(1) 및 하의(2)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으로 상자봉(4b4)과 접봉(4b5)을 잡고 삽입 동작을 행하는 경우, 상의(1) 및 하의(2)의 정면측에 있어서 착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을 가장 움직이기 쉬운 방향은, 전후 가로방향(Y방향)이나 전후 세로방향(Z방향)이며, 좌우 가로방향(X방향)으로는 양손의 손가락을 움직이기 어렵다.
그러나,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가 되는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4b2)를 중합부(3)의 둘레방향으로 뻗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시동부(4a)가 되는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를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들 조건을 충족하려면, 도 1~도 4에 나타난 예와 같이, 상자봉(4b4)에 대한 접봉(4b5)의 삽입방향이 좌우 가로방향(X방향)이 되어 버린다. 상자봉(4b4)과 접봉(4b5)을 잡고 좌우 가로방향(X방향)으로 삽입하는 동작은 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의 테이프(4b2)에 있어서, 개리감삽부(4b3)가 마련되는 일단 부위 또는 양단 부위를, 좌우 가로방향(X방향)으로부터 전후 세로방향(Z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하여,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더(4b1)가 접촉한 상자봉(4b4)에 대하여 접봉(4b5)을 삽입하는 방향이, 하의(2)의 정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심선을 향하여 대각선 하향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착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으로 상자봉(4b4)과 접봉(4b5)을 잡고 삽입하는 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a), (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의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테이프(4b2)의 일단 부위에는 개리감삽부(4b3)가 되는 상자봉(4b4)에 접봉(4b5)을 감삽하기 위한 상자체(4b6)가 연달아 형성되고, 또한 테이프(4b2)의 타단 부위에는 고정부(4b7)가 마련되며, 이들 개리감삽부(4b3)와 고정부(4b7)에 걸쳐 1개의 슬라이더(4b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한 오픈 파스너가 이용되고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개리감삽부(4b3)의 상자봉(4b4) 및 상자체(4b6)를 가지는 테이프(4b2)의 일단 부위와, 고정부(4b7)를 가지는 테이프(4b2)의 타단 부위가, 각각 하의(2)의 좌우 중심선을 향하여 대각선 하향으로 또한 좌우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개리감삽부(4b3)의 상자봉(4b4) 및 상자체(4b6)가 마련되는 테이프(4b2)의 일단 부위를, 하의(2)의 좌우 중심선을 향하여 대각선 하향에 배치하지만, 고정부(4b7)가 마련되는 테이프(4b2)의 타단 부위를 좌우 가로방향(X방향)으로 배치하거나, 1개의 슬라이더(4b1)를 가지는 오픈 파스너 대신에, 2개의 슬라이더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역개방(양측 개방) 오픈 파스너를 이용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a), (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측에 부착되는 일방의 테이프(4b2)를,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단가장자리(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프(4b2)를 개방한 상의(1)와 하의(2)의 분리 상태에 있어서 1개의 슬라이더(4b1)가, 하의(2)의 허리부(2b)에 부착한 테이프(4b2)에 잔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도 1(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이면에 상의(1)측의 테이프(4b2)를 장착하여, 상의(1) 및 하의(2) 허리부(2b)의 연결 상태에서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가 보이지 않게 배치하거나, 상의(1)와 하의(2)의 분리 상태에 있어서 1개의 슬라이더(4b1)가, 상의(1)의 옷단부(1b)에 부착한 테이프(4b2)에 잔류하도록 배치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스포츠웨어(A)에 의하면, 상의(1) 및 하의(2)의 착용 상태에서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폐쇄하기 때문에, 개리감삽부(4b3)의 삽입방향(상자봉(4b4)에 대한 접봉(4b5)의 삽입방향)이, 상의(1)로부터 하의(2)를 향함에 따라 중합부(3)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되기 때문에, 상의(1) 및 하의(2)를 착용한 착용자가 양손의 손가락으로 상자봉(4b4)과 접봉(4b5)을 잡고 삽입 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의 폐쇄 동작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어 상의(1)와 하의(2)의 연결 동작의 속도를 더욱 높힐 수 있다.
그 결과, 사용 편의성의 향상이 더욱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1개의 슬라이더(4b1)를 가지는 오픈 파스너 대신에, 2개의 슬라이더가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역개방(양측 개방) 오픈 파스너를 이용한 경우에는, 테이프(4b2)의 양단에 마련되는 개리감삽부(4b3) 중 어느 쪽도 분리 가능해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오른손잡이·왼손잡이인 것에 관계없이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를 순조롭게 개폐할 수 있어, 편이성이 뛰어나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 5(a), (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측에 장착되는 일방의 테이프(4b2)를,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단가장자리(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노출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도 1~도 4에 나타난 예와 같은, 상의(1) 및 하의(2) 허리부(2b)의 연결 상태에서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가 보이지 않게 배치한 것에 비하여, 상의(1)의 옷단부(1b)를 젖히는 동작을 행하지 않아도, 개리감삽부(4b3)의 상자봉(4b4)에 대한 접봉(4b5)의 삽입 동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상의(1)의 옷단부(1b)가 배낭 등과의 접촉에 의하여 젖혀지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좋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 3은, 도 6(a), (b)~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합부(3)에 대하여 계지구(4)로서, 장척 잠금구(4b)만을 마련한 구성이,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 또는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2와는 다르고,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도 4에 나타낸 실시예 1 또는 도 5에 나타낸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장척 잠금구(4b)로서, 파스너 등의 선 형상 잠금구 또는 면 파스너 등의 띠 형상 잠금구 중 어느 일방이나, 혹은 선 형상 잠금구 및 띠 형상 잠금구 양방이 배치되어 있다.
도 6(a), (b)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의 옷단부(1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단가장자리(하측 가장자리)와, 하의(2)의 허리부(2b)에 걸쳐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를, 중합부(3)의 전체 둘레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하고, 폐쇄 상태의 슬라이더(4b1)를, 중합부(3)에 있어서 착용자의 바로 정면이 되는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시동부(4a)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상의(1)의 옷길이 전체에 걸쳐, 개폐부(1c’)로서 파스너(자크) 등을 마련하고 있다. 그 이외는 도 6(a)에 나타나는 예와 같다.
또, 기타예로서 도시하지 않지만, 하의(2)의 허리부(2b)에 일체 형성되는 중합부(3)의 단가장자리(상측 가장자리)와, 상의(1)의 옷단부(1b)에 걸쳐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4b)를, 중합부(3)의 전체 둘레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하거나, 선 형상의 장척 잠금구(선 형상 잠금구) 대신에 띠 형상 잠금구를, 중합부(3)의 전체 둘레 또는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스포츠웨어(A)에 의하면, 장척 잠금구(4b)만으로 상의(1) 및 하의(2)가 연결되기 때문에, 시동부(4a)가 되는 슬라이더(4b1)로 분리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의(1)로부터 하의(2)가 분리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비하여, 점 형상 잠금구(4c)가 없는 분만큼 전체 구조가 간소화되어, 상의(1) 및 하의(2)의 연결 및 분리 조작이 더욱 간단하고, 비용의 저감화가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의(1)의 옷길이 전체에 걸쳐, 개폐부(1c’)로서 파스너(자크) 등을 마련한 경우에는, 체온 조정을 행하기 쉬워짐과 함께, 상의(1)의 탈의가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앞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스포츠웨어(A)가 빕숏으로 불리는 사이클링팬츠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클링 이외의 스포츠에 이용하거나, 스포츠용 언더웨어로서 이용하거나 하는 것이어도 된다.
1 : 상의 1a : 어깨걸침부
1b : 옷단부 2 : 하의
2a : 가랑이부 2b : 허리부
2c : 신축부 3 : 중합부
3a : 연장 부위 4 : 계지구
4a : 시동부 4b : 장척 잠금구
4b3 : 개리감삽부 4c : 점 형상 잠금구

Claims (5)

  1.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어깨걸침부를 가지는 상의와,
    신축 소재로 이루어지고 가랑이부를 가지는 하의와,
    상기 상의의 옷단부 또는 상기 하의의 허리부 중 어느 일방에 타방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되는 중합부와,
    상기 중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상의의 상기 옷단부 및 상기 하의의 상기 허리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계지구를 구비하고,
    상기 계지구는, 상기 중합부에 있어서 착용자의 정면측이 되는 개소에 상기 상의와 상기 하의의 분리 조작을 개시하기 위한 시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구로서, 상기 중합부의 둘레방향으로 뻗는 장척 잠금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시동부로서, 상기 중합부의 둘레방향으로 점 형상으로 배치되는 점 형상 잠금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잠금구가, 상기 중합부의 둘레방향의 일부를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의의 상기 허리부에 있어서 상기 장척 잠금구가 배치되지 않는 개소를, 둘레방향으로 신축 변형 가능한 신축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부에 있어서 둘레방향의 일부에, 상기 상의의 상기 옷단부 또는 상기 하의의 상기 허리부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더욱 돌출되는 연장 부위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 부위의 선단에 상기 시동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 잠금구가, 개리감삽부를 가지는 개리형 슬라이드 파스너이며, 상기 개리감삽부의 삽입방향을, 상기 상의로부터 상기 하의를 향하여 상기 중합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서히 착용자의 정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
KR1020157005759A 2012-12-14 2013-08-09 스포츠웨어 KR20150092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3785 2012-12-14
JPJP-P-2012-273785 2012-12-14
PCT/JP2013/071616 WO2014091793A1 (ja) 2012-12-14 2013-08-09 スポーツウエア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80A true KR20150092080A (ko) 2015-08-12

Family

ID=5093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759A KR20150092080A (ko) 2012-12-14 2013-08-09 스포츠웨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622983B1 (ko)
KR (1) KR20150092080A (ko)
CN (1) CN104684425A (ko)
TW (1) TWI581726B (ko)
WO (1) WO20140917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83A (ko) 2017-08-04 2019-02-13 김천용 스포츠웨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4354A1 (it) * 2016-06-14 2017-12-14 Tasci S R L Tutina da ciclista
CN110352019B (zh) * 2017-07-19 2021-08-20 虎谷株式会社 衣服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42491A (en) * 1948-06-29 1950-09-06 Bernardus Antonius Lamer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ladies' garments
FR2559652B3 (fr) * 1984-02-21 1986-05-16 Enel Confection Dispositif d'assemblage pour vetements comportant une veste ou analogue et un pantalon et vetement en faisant application
JPH07216607A (ja) * 1994-02-08 1995-08-15 Fumio Yokoyama 作業着
CN2248465Y (zh) * 1995-10-21 1997-03-05 尹晓鹏 一种防护服
JP3803703B2 (ja) * 2003-02-18 2006-08-02 フットマーク株式会社 セパレーツ型伸縮性運動着
FR2867356B1 (fr) * 2004-03-12 2006-06-09 Salomon Sa Vetement en deux parties pour les sports aquatiques
JP3111300U (ja) * 2005-04-12 2005-07-14 典子 杉田 スポーツウェア
CN101273800A (zh) * 2008-04-29 2008-10-01 洪振顺 可拆式连衣裤
JP2010001582A (ja) * 2008-06-19 2010-01-07 Keiko Miyake ずれ防止衣類
DE102009020455A1 (de) * 2009-05-08 2010-12-09 W. L. Gore & Associates Gmbh Einteiliges Kleidungsstü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883A (ko) 2017-08-04 2019-02-13 김천용 스포츠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84425A (zh) 2015-06-03
TWI581726B (zh) 2017-05-11
WO2014091793A1 (ja) 2014-06-19
JPWO2014091793A1 (ja) 2017-01-05
JP5622983B1 (ja) 2014-11-12
TW201438613A (zh)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564B1 (ko) 원피스형 의복
RU2700917C2 (ru) Рукав предмета одежды с частично разъемным швом на застежке-молнии
KR20150092080A (ko) 스포츠웨어
KR100938354B1 (ko) 위치조정이 가능한 보호구가 구비된 스포츠 의류
CA2218836C (en) Sportswear
TWI488585B (zh) A cup with a cup of clothing
EP2984954A1 (en) Modular garment harness system
CN212437458U (zh) 一种尺寸可调节型防护服
KR101589032B1 (ko) 탈의와 착의가 간편한 런닝셔츠
JP5683118B2 (ja) 連結具を有する、上衣及び下衣を含む衣服
JP3215271U (ja) 袖の長さを調整可能な上着
CN217429309U (zh) 一种可拆卸披肩的衬衣裙
CN217851481U (zh) 一种防护服
CN219353141U (zh) 一种改良型防护服
CN216821853U (zh) 一种舒适型针织内衣
CN213486943U (zh) 一种贴身女童套头衫
CN216059335U (zh) 一种便于穿脱的多功能病员服
CN216493564U (zh) 自带可拆卸防风手套的羽绒服
CN219537537U (zh) 一种便于穿戴的医用防护服
CN212212817U (zh) 两用简易隔离衣
KR102668635B1 (ko)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멜빵
JP7430775B2 (ja) 運動用トップス及び運動用パンツ
CN214962833U (zh) 一种手术衣
CN213848925U (zh) 一种具有新型拉链结构的全封闭多功能医用防护服
JP2005344228A (ja) 摺動式調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