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736A - 퍼핑솥 - Google Patents

퍼핑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736A
KR20150091736A KR1020140012336A KR20140012336A KR20150091736A KR 20150091736 A KR20150091736 A KR 20150091736A KR 1020140012336 A KR1020140012336 A KR 1020140012336A KR 20140012336 A KR20140012336 A KR 20140012336A KR 20150091736 A KR20150091736 A KR 2015009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ot
resistant container
lid
puf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낙수
Original Assignee
이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낙수 filed Critical 이낙수
Priority to KR1020140012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1736A/ko
Priority to PCT/KR2015/000777 priority patent/WO2015115758A1/ko
Publication of KR2015009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등을 퍼핑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은 곡물 등을 수용하여, 가열을 하고 압력뚜껑과 결합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력솥과, 압력솥을 커버 하며 전면에 조작패널이 부착되고 부품 등을 장착하는 하우징 이 있다. 압력솥 개구부에는 여닫이 형태로 개구부를 밀착하여 압력의 유출을 차단하는 압력뚜껑이 있고, 압력뚜껑의 중심에는 팽화시 팽화 증기의 배출구가 천공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팽화밸브가 압력뚜껑 과 일체 또는 볼트 결합 되어 있다. 조작패널의 온도나 압력 등의 설정으로, 압력솥 내부에 투입된 곡물 등을 익히며 일정 압력에 팽화밸브 를 급속 개방하여 압력솥에 투입된 곡물 등을 팽화시키며, 다중의 안전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퍼핑솥{Pressure Cooker For Popping}
본 발명은 곡물 팽화(뻥튀기) 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물 또는 농,축,수산물 등(이하 곡물 등)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 후 상기 압력을 급격히 해제하여 곡물 등을 팽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팽화 장치는, 회전하는 압력솥에 곡물 등을 넣고 열을 가하면 곡물 등의 일부 수분 또는 유분 이 기화(氣化)를 하여 밀폐된 압력솥 내부에 압력이 상승한다. 재료에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하는 압력솥을 사용하며, 일정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밀폐를 급격히 해제하면 상기 압력에 의하여 미쳐 기화되지 못한 곡물 등 내부의 수분 및 유분 이 급격히 기화되며 재료를 팽창시키는 식품가공의 한 장치이다.
재료를 가공하는 다양한 방법 중 상기 팽화는, 곡물 등이 주로 사용되며, 팽화 된 상기 곡물 등은 다공질(多孔質)이 되고 녹말은 덱스트린으로 변하므로 소화도 잘된다. 그러나 상기 팽화 된 곡물 등은 전문적인 설비를 갖춘 공장 등에서 대량생산, 대량유통되어 소비자의 기호를 일일이 맞출 수가 없었다.
상기와 같이 필요성은 있으나, 소형화의 문제점 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압력을 견디는 내압 솥이 요구되는데, 공장용 팽화기(뻥튀기 기계) 와는 다르게 팽화시 중압(中壓)을 사용하고, 압력솥과 압력뚜껑의 결합구조를 소형화하여, 발명된 것이다.
상기의 중압은, 본 발명에서의 상대적인 개념으로, 현재 가정용 압력밥솥의 사용압력 0.5~1.5 kgf/평방cm 사이를 "저압", 공장용 팽화기 의 사용압력 10~15 kgf/평방cm 사이를 "고압" 이라고 정의하면,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압력 즉 2~8 kgf/평방cm 사이를 말하며, 상기 중압의 범위 중 안전성, 경제성, 곡물 등의 팽창 된 크기 등을 고려하여 4~7 kgf/평방cm 사이를 실시 팽화 중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제조되며 기존의 가전제품 과 유사한 위치에 조작 패널과 압축핸들 등이 배치되어 친숙하게 사용하려하는 과제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은, 곡물 등을 수용하는 압력솥과 상기 압력솥을 가열하는 가열원 이 상기 압력솥 외주면 에 설치되어있다. 또한 곡물 등에 균일한 열을 가하기 위하여 곡물 등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상기 압력솥 바닥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은, 압력솥.가열원. 교반수단. 조작패널 등과 함께 일정한 하우징 안에 장착되는데 이는 인체로부터의 유격, 부품의 보호와 장착과 그리고 편리성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조작패널은, 곡물 등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퍼핑솥 작동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은 기존의 팽화 장치(뻥튀기 기계)와 는 달리, 1 솥에 2개의 개구부가 존재하는데 상기 1 개구부는 곡물 등의 입.출, 또 상기 1 개구부는 팽창증기의 배출을 각각 전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은 특히 안전성을 중시하여, 압력솥 내부의 이상 압력 상승을 차단 하기위한 다수와 복수의 안전장치가 부착된다.
기타 구체적인 실시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퍼핑솥 에 따르면, 백미,현미 등을 포함한 각종 식 재료를 가전제품 정도 크기의 장치에서 팽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기호나 건강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하여, 맛과 향을 증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퍼핑솥 에 따르면, 다양한 영양의 곡물 등을 혼합 팽화하여, 시리얼을 만들거나, 상기 팽화 곡물 등을 분쇄하여 미숫가루 또는 선식 등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퍼핑솥 에 따르면, 조작패널을 통하여 각종 곡물 등의 최적 팽화 온도.압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퍼핑솥 에 따르면, 다중의 안전장치 장착으로 위험을 근본적으로 회피하거나, 원하지 않는(어린이 등) 자의 조작을 차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압력뚜껑을 개방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압력뚜껑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팽화밸브 일부를 절개하여 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팽화밸브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솥내피 를 위에서 관찰한 것과 아래에서 관찰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도 1의 A에서 A'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팽화밸브의 단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 개구부와 압력뚜껑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안전변 사시도 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부품 사이에 개략적인 상호동작관계를 설명하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의 조작패널과 표시문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퍼핑솥(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7. 은 퍼핑솥(1)의 단면도이다.
퍼핑솥(1)은 재료를 수용하는 압력솥(100). 압력솥(100)을 커버 하고 구성부품들을 내장하는 하우징(120) 그리고 하우징(120) 전면에는 조작패널(500)이 부착된다. 압력솥(100) 솥벽(101)의 외부와 솥저면(112) 에는 가열원(123)이 부착되어있어, 압력솥(100)을 가열한다.
솥바닥(105) 에는 압력솥(100) 내부에 투입된 곡물 등을 교반 하는 교반날개(113)가 회전하여 곡물 등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솥벽(101) 에는 "안전장치"에서 후술하는 복수의 안전변(Safety Vent,600) 이 부착되어 있고, 3개의 홀(Hole 107,108,109) 이 천공되어있어,이중 홀1(107)은 솔레노이드밸브(111)에, 홀2(108)는 릴리프밸브(도시생략)에, 홀3는 조작패널(500)에서 후술하는 압력센서(505)에 각각의 파이프라인(부호생략) 을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압력솥(100) 상단 솥개구부(102,103)는 압력솥(100) 내부의 증기압(110) 유출을 차단하는 장치가 포함되며, 구조로는 솥개구부(102,103) 일 측에는, 압력뚜껑(200)을 여닫을 수 있는 여닫이(208)의 일 측이 부착되고, 여닫이(208) 의 다른 일 측에는 뚜껑홀더(201)가 부착된다.
뚜껑홀더(201)는, 한 면에 팽화밸브(300)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중심홀(207)과 중심홀(207) 외경으로부터 연장하여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증기커버(204)가 일체로 되어있다. 증기커버(204)는 증기압(110) 의 배출을 하향 안내하여 단열커버(321)의 온도상승을 억제한다. 단열커버(321)는 팽화밸브(300) 에서 후술한다.
도 2,도 3 또는 도 7에서 도시한바 와 같이 , 솥개구부(102,103)는 곡물 등의 투입과 꺼내는 문(門)의 역할과 동시에 압력뚜껑(200)과 결합하여 밀폐하는 구조로서, 솥벽(101)을 연장하는 끝단에 다수의 걸림꺽쇠(102)가 일체로 형성되고 걸림꺽쇠(102) 아래 일정간격을 두고 솥패킹(미부호) 을 삽입하는 걸림턱(104) 이 솥벽(101)과 일체로 되어 있어 압력뚜껑(200) 과 밀착된다.
팽화밸브(300) 와 압력뚜껑(200)은, 뚜껑홀더(201)의 중심홀(207)에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통과하고, 팽화밸브다리(306) 를 매개로 하여, 증기배출구(205) 상부에 부착된다. 압력뚜껑(200)을 솥개구부(102,103)와 결합시, 중심홀(207)의 안내에 의하여 솥개구부(102,103) 상단 일정위치에 정렬된다. 압력뚜껑(200)은 솥개구부(102,103)를 닫아 대기와 차단하는 구조로, 압력뚜껑(200)에는, 압력뚜껑(200) 외경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걸림돌기(202)가 형성되어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걸림돌기(202)가 압력뚜껑(200) 외경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는 것은 압력솥(100) 내부의 증기압(110)이 압력뚜껑 (200)전체에 균등, 작용하게 함이다.
걸림돌기(202)와 동일한 모양에서 걸림돌기(202)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한 걸림꺽쇠(102)사이 의 꺽쇠요부(凹部,103), 는 걸림돌기(202)와 마주하지 않는 위치의 솥개구부(102,103)에 형성되어, 걸림돌기(202)가 걸림꺽쇠(102) 사이의 꺽쇠요부(103)를 통과할수 있게 한다. 꺽쇠요부(103) 를 통과한 걸림돌기(202)는 솥패킹(미부호) 위에 안착 되고, 밀폐를 위하여 압축핸들 역할을 겸하는 팽화밸브(300) 회전시, 돌기상면(202a)은 꺽쇠하면(102a)과 맞닿으며 회전하여 걸림돌기(202)는 걸림꺽쇠(102)의 직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직 하방의 위치결정은 동 업계 종사자는 누구나 추측할 수 있는 범위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9는 걸림돌기(202) 와 걸림꺽쇠(102) 의 상호관계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돌기상면(202a)과 상대하는 꺾쇠하면(102a) 은 서로 쉽게 슬라이드 진입할 수 있게 맞닿는(125) 위치에서부터 차츰 두꺼워지는 형태로 경사 가공되어있다. 이후 압축핸들 즉 팽화밸브(300)의 회전에 따라 걸림돌기(202)가 걸림꺽쇠(102)의 직 하방에 위치할 때, 압력뚜껑(200) 이 솥패킹(미부호)을 최대 압축하여 밀폐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4, 도 5, 도 8에 따른 팽화밸브(300)는, 압력솥(100)내부의 증기압(110)을 팽화 전까지 대기와 차단하고 최적 압력의 설정 시점에 압력솥(100) 내부의 증기압(110)을 순간 방출하는 구조이다.
가장 이상적인 압력뚜껑은 개방시 상기 증기압(110)에 대하여 직 후방으로 열려야 하는데, 즉 기존의 여닫이(조개형)형태로, 압력뚜껑 한 축이 솥개구부 어디와도 경첩 결합 되면 증기압(110)의 방출부하가 증가하여 바람직한 최선은 아니다. 또한 압력뚜껑의 경첩 결합은, 상기 경첩 대칭 일 측에 1개의 걸림돌기(202) 만 사용해야하므로 상기 압력뚜껑이 증기압(110)에 견디려면 어느 정도의 중량물로 제작되어야하고, 이는 상기 방출부하와 함께 또 다른 방출부하가 추가된다. 또 상기 일 측에 있는 1개의 걸림돌기(202)는 팽화시 상당한 힘을 들여야만 해제할 수 있었다. 또 한, 외부에 노출되어 열림 동작을 하는 압력뚜껑은 인체나, 주변의 다른 물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한 본 발명의 팽화밸브(300)는, 증기압(110)에 대하여 직 후방으로 열리는 압력마개(302)와 압력마개(302)의 외경으로 마개패킹(304)이 부착된다. 압력마개(302) 중심에는 마개피스톤(301)이 부착되고, 상기 중심에서 일정높이의 마개피스톤(301) 외경으로 반달홈(303)이 가공되어있다.
마개피스톤(301)은, 팽화덮게(320)의 중심에 형성된 덮게실린더(323) 내에서 승강하도록 되어있다. 마개피스톤(301)이 증기배출구(205)를 밀폐하는 하강 상사 점에서, 반달홈(303)이 마주하는 덮게실린더(323)벽 에 수개의 통공(317)이 천공되어있다. 통공(317)의 구경은 반달홈(303)의 최대 외경과 일치하며, 철구(鐵球)(316)가 나.들 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철구(316)가 통공(317)를 통과하여 반달홈(303)에 끼워지면, 철구(316)의 외경이 덮게실린더(323)의 외경과 동일한 면을 가진다. 이 위치가 상기 하강의 상사점 인 것이다.
상기 상사점 에서 탄성체(315)의 탄성으로 체결실린더(311)가 하강하여 반달홈(303) 에 끼워진 철구(316)의 이탈을 방해한다. 일단 체결실린더(311)가 하강하여 철구(316)의 이탈을 방해하면 상당한 증기압(110)이 압력마개(302)에 인가되어도 압력마개(302)를 상승시킬 수 없는 구조이다.
체결실린더(311)의 내 구경은 상 하가 동일하지 않아, 팽화덮게(320)와 인접한 상부내구경(314)은 덮게실린더(323) 외경과 동일하고 반대쪽 하부내구경(3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4 팽화밸브(300)의 압력마개(302) 마개피스톤(301)이, 상승하였을 때 반달홈(303) 에 끼워져 있던 철구(316)가 반달홈(303) 에서 이탈된 상태의 철구(316)외경 과 내 접하는 직경 이다.
체결실린더(311)의 상부내구경(314) 과 하부내구경(313) 은 실린더 동공 중간의 일정한 부분에서 테이퍼 가공이 되어 있다. 체결실린더(311) 외경 중간 정도의 위치에 비행접시 모양의 체결날개(미부호)가 형성되고 체결날개(미부호) 외 경에는 패킹(312) 이 부착되어있다.
팽화밸브(3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팽화밸브(300)의 부품들을 결합 수용하는 팽화실린더(310)는 내부에 대기와 차단되는 격막(309)이 형성되고 격막(309) 하부로는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는 팽화밸브다리(306)가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수개의 팽화밸브다리(306)는 팽화밸브(300) 과 동일하거나 큰 직경 을 가지는 원형으로 배열되며, 팽화밸브다리(306)는 증기배출구(205) 중심축과 팽화밸브(300)의 중심축이 수직선상에서 정렬되도록 압력뚜껑(200) 상면에 부착되거나 볼트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증기배출구(205)를 통과한 증기압(110)은, 팽화밸브다리(306)와 팽화밸브다리(306)의 간격으로 대기 중에 배출된다. 따라서 팽화밸브다리(306) 의 길이는 충분히 길게 하여 증기압(110)이 병목현상 없이 팽화밸브다리(306)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다.
팽화실린더(310) 의 격막(309) 중심에는 격막공(미부호)이 천공되고, 격막공(미부호) 내구경 에는 오링(308)이 부착된다.
격막공의 내 구경은, 체결실린더(311)의 하부외경(미부호)이 통과되는 정도에서 오링(308) 의 삽입으로 밀착되는 정도의 지름이다.
이상 팽화밸브(300)의 구조를 동작상황으로 간략히 설명하면,
압축공(322) 을 하강시켜 압축마개(302)로 증기배출구(205)를 밀폐한다. 이때 마개피스톤(301)의 반달홈(303)과 덮게실린더(323) 의 통공(317)이 정렬되고, 다음 탄성체(315)의 탄성으로 체결실린더(311) 가 하강하여, 상기 정렬된 반달홈(303) 안으로 철구(316) 를 밀어넣어 압력마개(302)의 자력상승을 막는다.
후술하는 조작패널(500)에서 설정한 팽화 압력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밸브(111) 가 오픈 되고 압력솥(100) 내부의 증기압(110)이, 파이프라인(107a)을 통하여 팽화실린더(330) 내의 A공간(326)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A공간(326)의 압력이 상승하고, 상승 된 상기 압력에 의하여 체결실린더(311)를 탄성체(315)에 대항하여 상승시킨다. 동시에 B공간(미부호)의 대기는 배출구(319) 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동시에 체결실린더(311)의 상승으로 철구(316) 가 반달홈(303) 에 서 이탈하고, 상기 이탈함으로, 증기압(110)에 의하여 압력마개(302)가 급격히 상승하여 증기압(110) 을 대기중에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압력마개(302)와 격막(309) 사이에 상기 급격한 상승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재(305)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5는 팽화밸브(300) 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1 압력솥 1 개구부로 구성되는 기존의 뻥튀기(800) 장치에서 팽화밸브다리(306) 를 2개 정도로 하고, 팽화밸브다리(306) 의 길이는 길게 연장한다. 상기 길게 연장된 팽화밸브다리(306) 사이가 곡물 등의 입구 또는 팽화 곡물 등의 출구로 사용될 수 있다.
팽화밸브(300) 압축공(322) 의 위치는 팽화 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역할도 포함되며, 팽화실린더(310) 외피를 감싸고 있는 단열커버(321)는, 팽화밸브(300) 를 압축핸들로 사용시 압력뚜껑을 여닫고 회전시, 사용자의 손에 열전달을 감소하고 탄성을 주는 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6에서, 솥내피(400) 는 곡물 등을 편리하게 압력솥(100) 내부에서 인출 또는 투입하기 위한 용기로서, 압력솥(100) 내부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가열원(123) 의 열전달을 원할 하게 하기 위하여 압력솥(100) 내부에 밀착되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솥내피(400) 인출을 위한 손잡이(401)가 유동할 수 있도록 솥내피(400) 상부에 연결되고, 내피바닥(미부호) 중앙에는 교반날개(113) 를 회전하게 하는 회전뿌리(114)가 부착되어있다.
회전뿌리(114)는 내피바닥 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내피바닥 안 일 단에는 교반날개(113) 에, 반대 일 단에는 커플러a(157)와 각각 연결되어있다. 상기 관통수단 등에는 패킹(미도시)도 포함되는데 솥내피(400) 에 채워진 수분(죽 만들기)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커플러a(157)는,내피바닥 중앙의 오목부분(402)에 위치하여 커플러a(157) 하면이, 내피저면(403) 아래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솥내피(400) 가 압력솥(100) 외부의 어떤 위치에 놓여 지더라도 안정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2,도 또는 도 7에서, 압력뚜껑(200)의 내측 증기배출구(205)를 중심으로하여 삽 탈 가능하게 뚜껑저면(미부호) 상에 결합한 거름망(250) 은 타공 으로 이루어져서, 팽화시 압력솥(100) 내부에서 발생한 증기압(110)은 타공을 통해 증기배출구(205)로 배출되고, 팽화 곡물 등은 거름망(250) 에 저지되어 압력솥(100) 내부 솥내피(400) 에 머무른다. 곡물 등에 따라 팽화 정도가 다르지만 백미의 예를 들면, 쌀알의 크기에서 약 7~8 배의 팽창을 한다. 따라서 백미는 솥내피(400) 부피의 1/8 정도 부피의 량을, 백미 정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7에서, 압력솥(100)의 바닥 중앙에는 샤프트(119)가 회전가능 하게 솥바닥(105) 에 관통하여 부착되고, 샤프트(119)의 압력솥(100) 안, 일 측에는 커플러B(157b)가, 솥저면(112)의 아래 일 측에는 교반기어(115)가 부착되어있다. 샤프트(119)가 솥바닥(105) 에 상기 관통부착에는, 패킹(미도시)이 포함되어 압력솥(100) 내부와 대기 사이는 차단된다.
이하 교반날개(113)와 교반원(125)의 동력전달 관계는 동 업계 종사자에게, 도시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예측 가능하여 추가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1, 도 7, 도 11, 또는 도 12에 서의 조작패널(500)은,
본체 하우징(120) 전면에 표시장치(501)와 입력버튼(502)으로 이루어져, 하우징(120) 내에 내장된 PCB보드(510)에 장착된 MCU(Micro Controller Unit, 미도시)와 사용자 간의 소통을 담당한다. MCU 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퍼핑솥(1) 의 온도(515). 압력(514). 교반속도(516). 시간과 예약(517) 기능 등을 설정 가능한 F/W(Firm Ware)가 입력되어있다. 또한 상기의 설정을 생략하고 예를 들어 퍼핑(11)의 하위 메뉴에서 백미 혹은 현미 등을 선택하거나, 볶음(512)의 하위 메뉴에서 커피콩 또는 보리(보리차용)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볶음(512)기능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대기압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압축공(322)을 하강시켜 증기배출구(205)를 밀폐하고 볶음(512)기능과 함께 압력(514)을 설정한다. 다음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F/W의 수행에 의하여 릴리프밸브(미도시)가 상기 설정 초과 압력 분을 대기 중에 방출하여 압력솥(100) 내에 상기의 설정된 압력이 유지되며 볶음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 3, 도 7에 따른 가열원(123) 과 뚜껑가열원(206)은, 압력솥(100) 내부의 증기압(110)이 미치는 모든 지점은 곡물 등의 투입시점에 팽화 압력하에서 물이 끓는 온도 이상으로 예열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5기압의 팽화 압력을 설정하면, 물이 끓는 온도는 150도C 이상 이어야한다. 만일 상기 어느 지점도 상기 150도C 에 미달하면 그 지점에 이슬이 형성된다. 상기 이슬의 출처는 압력솥(100) 내부에 투입 곡물 등의 내부에서 일부 수분 등이 기화(氣化)하여 발생 된 것으로 상기 이슬은 팽화압력 형성을 방해하여 불충분한 팽화를 하게 한다.
특히 압력솥(100)과 압력뚜껑(200)은 각각의 독립구조로, 각각의 가열원(123,206)을 적절히 설계한다 하여도 압력솥(100) 내부 전체, 즉 증기압(110) 이 미치는 모든 지점에 동일한 온도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수의 온도 감지센서(미도시)와 복수의 온도조절 회로(MCU에서)가 복수의 가열원(123,206) 을 조절해야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도 7, 도 10, 도 11 그리고 도 12에 따른 다중의 안전장치는,
첫째; 예약, 죽, 볶음(압력없이) 기능에서는 패스워드(P/W)를 요구하지 않으나 곡물 등을 팽화하거나, 일정한 압력 하에 곡물 등을 볶음 가공하려면 패스워드(521)를 요구(520)할 수 있다. 패스워드(521)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설정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퍼핑솥(1)에 전원을 넣으면, 죽과 볶음(압력없는)기능 선택에서는 편의상 패스워드(521)를 요구(520) 하지 않으나 퍼핑(511)과 볶음(압력을 사용한,512) 기능은 패스워드(521)를 통과한 후 모든 입력버튼(502)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볶음기능 중 압력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음은, 압축공(322) 의 하강으로 부착된 압축공(322) 위치감지센서(미도시) 등으로 상기 MCU에서 인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패스워드(521) 설정을 하지 않으면 그대로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린이 등 원치 않는 자의 사용에 의한 문제발생은 일정부분 패스워드(521)설정을 하지 않은 사용자의 책임 일 것이다.
패스워드(521)설정과 입력에서, 표시장치(501)에는 패스워드(521) 요구(520) 문자와 함께 직관적 사용자 편의를 위해 0~9 사이의 아라비아숫자 중 가운데 있는 숫자 "4"를 복수로 표시장치(501)에 나열한다. 만일 사용자가 패스워드(521)를 설정하지않으면, 상기 숫자 "4"의 배열이 그냥 패스워드(521)가 된다. 패스워드 설정은 다수의 입력버튼(502)을 조작하여 입력한다. 즉, 직관적으로 입력버튼(502) 의 좌,우로 향한 화살표시는 아라비아숫자 자리바꿈을 의미하며, 입력버튼(502)의 상,하로 향한 화살표시는 아라비아숫자의 증,감, 을 의미할 것이다. 패스워드의 갱신은 현재의 패스워드(521)를 확인한 후 재설정을 할 수 있다.
만일 입력한 숫자열이, 설정된 패스워드와 불일치하게 입력하면 "불일치” 에 해당하는 문자(522)가 표시되며 일정횟수 이상 불일치한 숫자열을 입력한 경우 일정한 안내문자(523)가 표시된다.
둘째; 복수의 압력 감지 센서(505)가 PCB보드(510)에 장착되어 서로 간섭하지 않는 각각의 독립된 회로구성으로, 1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111)를 담당하고 다른 1장치는 릴리프밸브(도시생략)를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2장치는 동시에 운영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각각의 장치에 이상 압력이 한번이라도 감지되면, 퍼핑솥(1)의 모든 기능은 정지되고 표시장치(501)에 일정 알림 메시지(523)가 표시된다.
정상적인 팽화에서 압력 설정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예열 후 곡물 등을 투입하면 팽화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약 3~4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 되고 따라서 표시장치(501)의 압력표시 숫자도 급상승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팽화 개시 후 시간 경과와 압력상승 이 서로 상관관계로 MCU의 F/W 에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상관관계와 상이한 상관관계가 발생하면 즉, 압력마개(302) 밀폐불량, 패킹누설, 안전변(600) 의 파손 등이 예상되며, 퍼핑솥(1) 의 모든 기능은 정지되고 표시장치(501)에 일정 알림 메시지가 (523)표시된다.
셋째; 복수의 안전변(Safety Vent,600) 이 솥벽(101) 에 부착된다. 안전변(600) 은 탈,착이 용이하게 볼트 외형에 나사선 내부(604)는 공간을 형성하고, 안전변머리(605)의 일 부분만 일정압력에 견딜 정도의 두께만큼 만 막혀있다. 안전변(600)의 재질은 연질의 금속(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 압력이상이 안전변(600)에 작용 시 파손을 돕기 위한 V커팅홈(603)이 안전변머리(605)에 새겨져 있다.
솥벽(101)에 부착된 안전변(600)은 너트(601)로 체결되며, 한번 파손되면 재사용할 수 없다. 또한 복수의 안전변(600)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면 상기의 상이한 상관관계가 발생 되어, 표시장치(501)에 안내문자(523)가 표시되며, 퍼핑솥(1)의 모든 기능은 정지한다.
안전변(600) 은 공신력 있는 시험기관에서 수많은 시험을 거쳐서 사용될 것이며, 안전변(600)의 파손압력은 압력솥(100)의 내압과 상당한 차이를 두고 정해져 있어 본 발명의 퍼핑솥(1)에 서만 전용된다.
넷째; 솔레노이드밸브(111)와 릴리프밸브(미도시)는 작동전류가 없을 때 오픈 되는 형(B Type) 이여서, 구성회로의 문제, 또는 정전시에 압력솥(100) 내의 이상 압력상승을 막는다.
본 발명의 압력솥(100)은, 내부에서 증기압(110)이 가해지는 모든 면에 내압에 유리한 곡선 또는 굴곡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보다 더 유리한 내압구조의 압력솥(100)은, 솥개구부(102,103) 의 구경은 축소하고 그에 따른 부피의 보상으로 압력솥(101)의 솥 깊이는 깊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퍼핑솥 100: 압력솥
110: 증기압 120: 하우징
102: 솥개구부 400: 솥내피
200: 압력뚜껑 201: 뚜껑홀더
205: 증기배출구 300: 팽화밸브
302: 압축마개 320: 팽화덮게
322: 압축공 310: 팽화실린더
306: 팽화다리 321: 단열커버
125: 모터 500: 조작패널
600: 안전변(Safety Vent)

Claims (10)

  1. 열원에 의하여 내압용기에 수용된 곡물 등을 가압하고, 순간 상기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곡물 등을 팽화시키는 팽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압용기 개구부를 대기로부터 차단 가능하게 압력뚜껑이 있고, 상기 압력뚜껑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증기를 순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2. 제 1항에 있어서, 내압용기 개구부와 압력뚜껑에는 각각 다수의 걸림 턱과 걸림 꺽쇠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 턱과 걸림 꺽쇠가 상호 교차 통과한 후 상기 압력뚜껑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밀폐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3. 제 1항에 있어서, 증기배출구에는 퍼핑된 곡물 등의 방출을 차단하는 거름망 부착이 가능한 치구가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4. 제 1항에 있어서, 내압용기에는 곡물 등을 교반하게 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를 회전하게 하는 동력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5. 제 1항에 있어서, 내압용기에는 대기와 관통하는 수개의 천공이 있고, 상기 천공을 통하여 수개의 안전장치가 체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6. 제 5항에 있어서, 수개의 천공 중에는 파이프라인을 매개로 솔레노이드밸브, 릴리프밸브,센서, 중 최소 1개 이상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7. 제 1항에 있어서, 내압용기 열원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외 측면에 유저인터페이스(UI)가 설치 또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8. 제 7항에 있어서, 유저인터페이스에는 디스플레이와 복수의 버튼 등으로 구성된 MCU(Micro Control Uniit)및, 팽화 압력, 온도, 시간, 압력유지시간, 교반속도,비밀번호 중 최소 1개 이상의 명령을 수행할 수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핑솥.
  9. 열원에 의하여 내압용기에 수용된 곡물 등을 가압하고, 순간 상기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곡물 등을 팽화시키는 곡물 팽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압용기 내부에서 팽화된 곡물 등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내압용기 내피.
  10. 제 9항에 있어서, 내압용기 내피에는 중앙부분이 내압용기 내피 저면 보다 내부로 함몰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용기 내피.
KR1020140012336A 2014-02-03 2014-02-03 퍼핑솥 KR20150091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36A KR20150091736A (ko) 2014-02-03 2014-02-03 퍼핑솥
PCT/KR2015/000777 WO2015115758A1 (ko) 2014-02-03 2015-01-26 퍼핑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36A KR20150091736A (ko) 2014-02-03 2014-02-03 퍼핑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36A true KR20150091736A (ko) 2015-08-12

Family

ID=5405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36A KR20150091736A (ko) 2014-02-03 2014-02-03 퍼핑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17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4385A4 (en) * 2019-11-08 2023-12-20 Conair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4385A4 (en) * 2019-11-08 2023-12-20 Conair Corporation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3233B (zh) 电饭煲及其控制方法
JP6795625B2 (ja) 温度センサー及び自動開閉装置が配備された電気調理器具
CN101779917B (zh) 连续烹饪器具、相应系统以及相应方法
JP4009651B2 (ja) 液状食品の調理方法および液状食品調理器
US7322280B2 (en) Appliance for cooking food under pressure
EP1159904A2 (en) Automatic high energy saving cooker
KR20170054313A (ko) 음식물 찜기
CN109674362A (zh) 搅拌机
KR20150091739A (ko) 퍼핑솥의 안전장치
KR101599621B1 (ko) 조리용 스팀찜기
KR20150091736A (ko) 퍼핑솥
CN109965682A (zh) 烹饪装置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烹饪装置
WO2015115758A1 (ko) 퍼핑솥
EP1905332A1 (en) A multi-use machine for foodstuffs, in particular for domestic use
US4238996A (en) Two-staged pressure cooker
KR20150091738A (ko) 팽화밸브
JP2019154665A (ja) スチーム調理器、スチーム調理用容器、スチーム食品及び液状食品調理器
KR200464703Y1 (ko) 가정용 멀티 중탕기
US11478102B2 (en) Self-contained electronic boiling and straining system
CN209203015U (zh) 搅拌机
CN209202965U (zh) 搅拌机
KR20210019946A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CN209883917U (zh) 搅拌机
JP2017166763A (ja) 加熱調理器
CN112190155B (zh) 一种多功能食物烹调机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