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52A - 위생 좌변기 - Google Patents

위생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52A
KR20150090852A KR1020150013401A KR20150013401A KR20150090852A KR 20150090852 A KR20150090852 A KR 20150090852A KR 1020150013401 A KR1020150013401 A KR 1020150013401A KR 20150013401 A KR20150013401 A KR 20150013401A KR 20150090852 A KR20150090852 A KR 2015009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cover
wip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유진
Original Assignee
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유진 filed Critical 서유진
Publication of KR2015009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좌변기의 시트가 용변 후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됨으로써 청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위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기시트,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공급홀,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배수홀, 변기커버가 닫힘에 따라 세척수 공급홀에서 세척수 배수홀로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시트 세척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위생 좌변기{SANITARY TOILET BOWL}
본 발명은 위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좌변기 시트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좌변기의 변기시트는 용변 시 사람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청결이 요구된다. 특히 공중 화장실용 좌변기의 경우에는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기 때문에 더욱더 청결이 요구되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힘든 점이 있다.
좌변기의 청결 유지를 위해 관리인을 별도로 두어도 사용 후 즉각적인 청결상태를 유지하기는 힘들다. 뿐만 아니라, 용변 후 발생하는 각종 세균들을 살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좌변기의 시트를 세척하거나 살균시켜 좌변기의 청결상태를 유지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05155호 "변기시트가 회전하는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용변 후 변기시트에 세척을 1차로 수행하고, 다음에 소독 및 건조를 수행하여 청결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변기시트를 세척하기 위해 반대편에 별도의 화장실을 설치하여야 하고, 이곳에서 회전된 변기시트의 세척, 소독 및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비교적 큰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부대 설치비용이 고가여서 대중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761501에서는 간단히 안내커버를 더 구비함으로써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시하였으나, 이 또한 별도의 안내커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시스템으로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위생 좌변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위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기시트,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공급홀과,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배수홀과, 변기커버가 닫힘에 따라 세척수 공급홀에서 세척수 배수홀로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시트 세척 기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시트 세척 기구는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와이퍼와, 와이퍼가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일단은 모터에, 타단은 와이퍼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와이퍼에 전달하는 연결부와,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변기커버에는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와이퍼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변기커버를 닫았을 때 변기시트의 외곽 테두리에 맞닿게 되는 변기커버의 저면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기시트,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로 이루어진 위생 좌변기로서, 변기커버에 마련되어, 변기커버가 닫힘에 따라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시트 세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시트 세척 기구는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부와, 세척부가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일단은 모터에, 타단은 세척부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세척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척부는 와이퍼와, 와이퍼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측은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측에는 세척수 투입홀이 구비된 물통과, 물통의 외측에 부착된 실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연결부의 상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변기커버에는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홈의 안내에 따라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변기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변기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는 변기커버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균형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가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척수로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물기를 닦아내므로, 빠르고 간편하게 변기시트를 세척, 건조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변기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좌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과 시트 세척 기구의 작동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별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의 변기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100)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는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변기시트(10)와,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30)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2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실링부재(21), 세척수 공급홀(23), 세척수 배수홀(24) 및 시트 세척 기구(40)를 구비한다.
실링부재(21)는 변기커버(20)를 닫았을 때 변기시트(10)의 외곽 테두리에 맞닿게 되는 변기커버(20)의 저면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실링부재(21)는 고무링 등과 같이 밀폐를 위한 탄성체일 수 있다.
변기시트(10)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홀(23)과 세척수가 배출되는 세척수 배수홀(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세척수 공급홀(23)은 타원형으로, 세척수 배수홀(24)은 격자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시트 세척 기구(25)는 변기커버(20)가 닫힘에 따라, 세척수 공급홀(24)에서 세척수 배수홀(23)로 변기시트(10)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변기시트(10)를 건조시키게 된다. 도 3 및 도 4에는 와이퍼(44), 모터(42), 연결부(43), 제어부(41)로 이루어진 시트 세척 기구(40)가 도시되어 있다.
와이퍼(44)는 변기시트(10)의 상면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다. 와이퍼(44)는 차량의 와이퍼와 같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퍼(44)의 폭은 변기시트(10)의 세정 부위 폭보다 조금 더 크게 하여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모터(42)는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형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모터(42)는 스텝모터와 같이 회전각도와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모터가 바람직하다.
연결부(43)는 일단은 모터(42)에, 타단은 와이퍼(44)에 연결되어, 모터(42)의 회전력을 와이퍼(44)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부(43)는 신축 가능한 실린더를 포함하여 변기시트(10)의 외경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41)는 모터(42)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제어부(41)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피씨비 앗세이(PCB ASS'Y)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과 같이, 와이퍼(44)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44a)가, 변기커버(20)에는 가이드 돌기(44a)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44b)이 형성되어 와이퍼(44)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하여, 와이퍼(44)가 타원으로 형성된 변기시트(10)를 세척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100)와 달리 연결부(43)에 와이퍼(44)가 직접 결합되어 있다. 또한, 모터(42)의 대부분이 변기커버(20)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모터(42)는 안정적으로 변기커버(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변기시트(10)의 상면에는, 변기커버(20)의 실링부재(21)에 대응되는 부위인 외곽을 따라 테두리(11)가 형성될 수 있고, 변기커버(20) 상부에는 작동확인등(27)이 설치될 수 있다(도 8 참조). 변기커버(20)의 전면에는 손잡이(26)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세척수 공급홀(23)에는 세척수 공급 펌프(51a)가 연결된다. (도 7 및 도 8 참조).
변기커버(20)에 설치된 실링부재(21)와 변기시트(10)와의 밀폐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기커버(20)의 실링부재(21)에 대응하는 변기시트(10) 상면 위치에 별도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테두리에는 약간의 탄성과 큐선을 가진 물질로 함으로써 실링부재(21)와의 압착이 잘되어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세척수 공급 펌프(51a)에 의하여 변기시트의 세척수 공급홀(23)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변기커버(20)의 저면과 변기시트(10)의 상면에 형성된 세척 공간으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렇게 공급된 세척수는 변기시트(10)를 돌아 세척수 배수홀(24)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모터(42)와 연결된 와이퍼가 세척수와 함께 변기시트(10)를 따라 회전하여 사용자와 접촉하는 변기시트(10) 부위가 세척되게 된다. 세척 시 세척수의 흐름은 난류가 발생되면 세척 효과가 더 증대되므로 변기커버(20) 저면의 세척수 흐름이 발생되는 부분에는 난류 발생을 위하여 물결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세척수에 의한 세척이 완료되면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변기시트(10) 상면의 세정부위에 있는 물기를 세척수 배수홀(24)로 쓸어내면서 변기시트(10)를 닦아낸다. 이와 같이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면서, 변기시트(10) 위에 남아있는 세척수의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변기시트(10)는 건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는 빠르고 간편하고 변기시트(10)를 세척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
도 9은 세척수 공급과 시트 세척 기구(40)의 작동 회로도이다.
도 9을 참조하여 세척수 공급과 시트 세척 기구(40)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변기커버(20)가 닫히면 도 9의 메인 전원 스위치(50)가 켜져 메인 전기가 공급되게 되고, 변기커버(20) 상면의 작동 확인등(27)이 점등된다.
또한, 메인 전기가 공급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3)가 동작하여 제1타이머(51)와 제2타이머(5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1타이머(51)에 연결된 세척수 공급 펌프(51a)도 작동하게 됨으로써,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홀(23)을 통하여 변기시트(10) 상면의 세정부위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2타이머(52)와 연결된 스텝모터(52a)가 와이퍼(44)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 상면을 세척하게 한다. 제1타이머(51)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제1타이머(51)에 의한 세척수 공급 펌프(51a)의 전원이 차단되어 세척수의 공급은 중단되게 된다.
세척수의 공급이 끝난 후에도 제2타이머(52)는 계속 작동하므로, 스텝모터(52a)에 의해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형상을 따라 세척수 공급홀(23)에서 세척수 배수홀(24)까지 이동하면서 세정 부위를 건조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서는 제1타이머(51)와 제2타이머(52)가 별도로 구비되었지만, 타이머가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5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타이머가 필요없다.
제2타이머(52)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어 건조 작업이 완료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53)가 스텝모터(52a)를 제어하여 와이퍼(44)가 원래 위치인 세척수 공급홀(23) 부근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와이퍼(44)를 세정면에서 들리게 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하는 구조를 더 갖출 수도 있다.
한편, 와이퍼(44)가 제자리로 돌아오게 되면, 세척수 공급 및 시트 세척 기구 작동 회로의 전원이 차단되어 작동 확인등(27)도 소등되므로 외부에서 세척과 건조가 모두 끝났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세척이 완료되지 않은 도중에 사용자가 좌변기 사용을 위해 변기커버(20)를 열면 마이크로프로세서(53)가 이를 인식하여 세척수 공급이나 시트 건조 작업을 멈추고 세척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리는 경고음을 내보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변기커버(20)의 개폐를 마이크로프로세서(53)가 인식하게 하는 것은 변기커버(20)와 변기시트(10) 사이에 접촉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세척수 공급 펌프(51a)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세척수 공급홀(23)로 들어가도록 배관 배치를 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세척수 공급시에는 세척 및 살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세척수와 함께 세정제 또는 살균제를 함께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변기커버(20)를 변기시트(10)로부터 열거나 닫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변기커버(20)의 전면에는 손잡이부(26)가 더 구비되며, 좌변기 사용을 위해서 손잡이부(26)의 돌출부(26a)를 잡아 변기커버(20)를 올릴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부(26)에는 도11과 같이 내부에 스프링(26b)이 설치되어 있어, 세척을 위해서 변기커버(20)를 변기시트(10)에 밀착시키고 돌출부(26a)를 밀어 넣으면, 돌출부(26a)가 스프링(26b)에 의해서 서서히 돌출되게 되고 세척이 완전히 끝난 다음에 완전 돌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작동확인등(27)이 전기적으로 세척 중임을 표시하는 것인데 비하여 손잡이부(26)는 돌출의 정도로서 세척이 완료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손잡이부(26)의 돌출시간은 스프링(26b)의 강성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보완적으로 돌출부(26a)의 일단에 나사산(26c)을 만들고 이와 결합되는 손잡이부(26)와 결합하는 하우징에 암나사부(26d) 또는 너트를 설치함으로서 돌출부(26a)의 돌출과 삽입시 나사산과 너트의 상대적 회전에 의한 돌출부(26a)의 직진 속도를 늦추어 돌출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세척이 끝난 세척수는 변기시트(10)에 마련된 세척수 배수홀(24)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변기커버(20)가 무거우면 변기커버(20)를 닫을 때 힌지(30)에 의한 회동 속도가 빨라, 변기커버(20)가 변기시트(10)에 심하게 충돌함으로써 변기커버(20)나 변기커버(20) 내의 시트 세척 기구(40) 등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 10과 같이 회동시 단계적 회전이 되어 회전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힌지축(31)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힌지축(31)보다 튀어나온 돌기(32)를 형성하면 힌지축(31)이 회전할 때 튀어나온 돌기(32)가 하우징 내면(33)과 접촉하게 되어 브레이크 작용을 함으로써 회전속도를 늦추게 된다. 이때 튀어나온 돌기(32)와 하우징 내면(33)과의 간극 차이에 따라 브레이크 작용력이 달라지게 된다.
하우징 내면(33)이 단단한 경우에는 얼마 지나지 않아 돌기(32)가 마모되어 동일한 문제가 재발되거나, 접촉력이 너무 과하여 회전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돌기(32)와 접촉하는 하우징의 내면(33)에 철판과 같은 탄성체(미도시)를 두어 돌기(32)와의 접촉으로 인한 탄성체의 변형이 발생되게 함으로써 변기시트(1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도 회전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A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위생 좌변기(100)는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기시트(110), 변기시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개폐하는 변기커버(12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트 세척 기구(14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시트 세척 기구(140)는 변기시트(110)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부(144)와 세척부(144)가 변기시트(110)의 형상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42)와, 일단은 모터(142)에 타단은 세척부(144)에 연결되어 모터(142)의 회전력을 세척부(144)에 전달하는 연결부(143)와, 모터(14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41)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142), 연결부(143) 그리고 제어부(144)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세척부(144)는 와이퍼(144c)와, 와이퍼(144c)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측은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측에는 세척수 투입홀(144b)이 구비된 물통(144b)과, 물통의 외측에 부착된 실링부재(144a)로 이루어져 있다. 실링부재(144a)는 일반적인 스펀지일 수 있다.
와이퍼(144c)는 실리콘 고무 등으로 제작된 차량의 와이퍼와 같은 것일 수 있다. 또는 극세사를 이용하여 만든 만든 타올 타입일 수도 있다. 와이퍼(44)의 폭은 변기시트(10)의 세정 부위 폭보다 조금 더 크게 하여 와이퍼(44)가 변기시트(10)의 내측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물통(144b)은 도시된 것과 같이 직육면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144b)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물통의 상면에는 개방면을 통해 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세척수 투입홀(144b)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변기커버에는 가림판(122)이 마련되어 평상 시에는 세척부(14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가림판(122)에 의해 세척부(14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으로 좋다. 또한, 사용자가 세척부(144)를 건드리거나 세척부(144)가 다른 물체에 닿는 등 하여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연결부(143)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43)도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연결부(143)의 상측에는 가이드 돌기(143a)가, 변기커버(120)에는 가이드 돌기(143a)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143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43)는 회전하면서 가이드 홈(143b)의 형상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 홈(143b)은 세척부(140)가 변기시트(110)를 잘 세척하도록 변기시트(110)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는 변기커버(12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변기커버(120)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모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커버(120)를 직접 열고 닫을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더 위생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변기커버(120)의 후면에는 후방을 향해 돌출된 균형추(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균형추(160)가 구비됨으로써, 평상 시 변기커버(120)는 균형추(160)의 자중에 의해 변기커버(120)가 열리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더 작은 용량의 자동개폐모터(150)로도 변기커버(120)를 열 수 있다. 그러므로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도 16참조).
위와 같이 구성된 위생 좌변기(100)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좌변기를 사용하고 자리에서 일어나면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는 자동 세척 작업을 실시한다. 사용자가 용무를 다 마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위생 좌변기(100)가 자동 세척 작업을 실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고,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먼저, 위생 좌변기(100)의 변기커버(120)가 자동으로 닫힌다. 위생 좌변기(100)의 변기커버(120)가 닫히면 세척부(144)의 물통(144b)에 물이 채워진다. 세척부(144)의 물통(144b)에 물이 다 채워지면, 제어부(141)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142)를 동작시킨다. 물통(144b)에 물이 다 채워졌는지의 여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감지되게 할 수 있다.
모터(142)가 회전하면 연결부(143)를 통해 세척부(144)도 회전된다. 이 때, 연결부(143)의 상측에는 가이드 돌기(143a)가 구비되어 있고, 변기커버(120)에는 가이드 돌기(143a)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14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홈(143b)의 형상에 따라 연결부(143)의 길이가 조절된다. 가이드 홈(143b)을 변기시트(110)의 외곽 테두리에 맞추어 형성하면, 세척부(144)도 변기시트(11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세척부(144)가 변기시트(110)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회전할 때, 물통(144b)의 물이 세척수 투입홀(144b)을 통해 변기시트(110)로 배출된다. 그러면 물통(144b)의 측면에 부착된 와이퍼(144c)가 그 물을 닦으면서 변기시트(110)를 세척한다. 이 때 물통(144b)의 외측에는 실링부재(144a)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원심력에 의해 물이 변기 바깥으로 세어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세척부(144)는 물을 이용하여 변기시트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부(144)가 변기시트(110)를 세척할 때 모아진 물은 가림판(122)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홀(미도시)을 통해 변기로 빠지게 된다. 도 1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판(122)의 안쪽면은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세척부(144)와 함께 변기시트(110)를 회전하면서 가림판(122)까지 몰려온 물은 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세척부(144)만이 계속 회전을 하게 된다. 걸림턱에 걸린 물은 가림판(122)의 경사면을 따라 흐른 후 중앙에 형성된 배출홀을 통해 변기(1)로 들어가게 된다.
물통(144b)의 물이 다 배출된 이후에도 세척부(144)가 몇 회 더 회전하게 함으로써 변기시트(110)가 완전히 건조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 변기시트(110)의 세척 및 건조가 완료되고 세척부(144)가 원래 위치인 가림판(122) 뒤로 오면, 자동개폐모터(150)는 변기커버(120)를 회전시켜 변기커버(120)를 연다. 따라서 다음 사용자는 변기가 사용 가능한 상태라는 것을 인식하고 변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위생 좌변기는 사용자가 커버를 직접 열고 닫을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고 위생적이다. 또한 계속하여 변기시트를 세척 및 건조하므로, 사용자들은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이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변기 10, 110: 변기시트
11: 테두리 20, 120: 변기커버
21 실링부재 23: 세척수 공급홀
24: 세척수 배수홀 26: 손잡이부
26a: 돌출부 26b: 스프링
26c: 나사산 26d: 암나사부
30: 힌지 31: 힌지축
32: 돌기 40, 140: 시트 세척 기구
41: 제어부 42: 모터
43: 연결부 44: 와이퍼
44a: 가이드 돌기 44b: 가이드 홈
50: 메인 전원 스위치 51: 제1타이머
51a: 세척수 공급 펌프 52: 제2타이머
52a: 스텝모터 53: 마이크로프로세서
111: 시트홈 112: 결합홈
121: 결합돌기 122: 가림판
141: 제어부 142: 모터
143: 연결부 143a: 가이드 돌기
143b: 가이드 홈 144: 세척부
144a: 실링부재 144b: 물통
144c: 와이퍼 144d: 세척수 투입홀
150: 자동개폐모터 160: 균형추

Claims (12)

  1.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로 이루어진 위생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공급홀;
    상기 변기시트의 상면 소정 부위에 마련된 세척수 배수홀;
    상기 변기커버가 닫히면 상기 세척수 공급홀에서 상기 세척수 배수홀로 상기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시트 세척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세척 기구는,
    상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와이퍼;
    상기 와이퍼가 상기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에, 타단은 상기 와이퍼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와이퍼에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변기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퍼의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를 닫았을 때 상기 변기시트의 외곽 테두리에 맞닿게 되는 상기 변기커버의 저면 부위에는 실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6. 변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변기시트, 상기 변기시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변기를 개방 내지 폐쇄하는 변기커버로 이루어진 위생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변기커버를 닫았을 때 상기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시트 세척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세척 기구는,
    상기 변기시트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가 상기 변기시트의 형상을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일단은 상기 모터에, 타단은 상기 세척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세척부에 전달하는 연결부;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와이퍼와, 상기 와이퍼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면은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측에는 세척수 투입홀이 구비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외측에 부착된 실링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상기 변기커버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의 안내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변기커버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커버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된 균형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좌변기.
KR1020150013401A 2014-01-29 2015-01-28 위생 좌변기 KR201500908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460 2014-01-29
KR1020140011460 2014-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52A true KR20150090852A (ko) 2015-08-06

Family

ID=537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401A KR20150090852A (ko) 2014-01-29 2015-01-28 위생 좌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90852A (ko)
WO (1) WO201511578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63B1 (ko) * 2017-01-25 2018-08-09 은 호 박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KR20180109557A (ko) * 2017-03-28 2018-10-0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덮개
CN109594631A (zh) * 2018-12-05 2019-04-09 杭州西屋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上冲式陶瓷智能马桶
KR20210025908A (ko) * 2019-08-28 2021-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 시트 자동 클리너
KR20210056854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KR20210056856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CN114635482A (zh) * 2022-04-27 2022-06-17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可自动升降、冲洗消毒、调节温度的病患用马桶
WO2022197142A1 (ko) * 2021-03-18 2022-09-22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3889A (zh) * 2017-11-14 2018-02-23 嘉善申信塑料制品厂 具有清洗功能的马桶盖以及带有该马桶盖的马桶
CN113786119B (zh) * 2021-09-23 2022-08-16 江西理工大学 一种便于清洁的预涂覆式防粘坐便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584B1 (ko) * 2002-05-10 2004-06-09 (주)코리아카라반 좌변기 세척장치
KR100773599B1 (ko) * 2007-04-04 2007-11-08 김한준 살균 및 세척 기능을 가진 좌변기
JP4249245B1 (ja) * 2008-04-05 2009-04-02 郁夫 押山 便座洗浄装置及び便器
US8136171B2 (en) * 2009-04-14 2012-03-20 Hai-Sheng Huang Automatic toilet cleaning device
KR20130139024A (ko) * 2012-06-12 2013-12-20 유병준 변기 커버 세척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663B1 (ko) * 2017-01-25 2018-08-09 은 호 박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KR20180109557A (ko) * 2017-03-28 2018-10-08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덮개
CN109594631A (zh) * 2018-12-05 2019-04-09 杭州西屋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上冲式陶瓷智能马桶
KR20210025908A (ko) * 2019-08-28 2021-03-1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 시트 자동 클리너
KR20210056854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KR20210056856A (ko) * 2019-11-11 2021-05-20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클리닝 장치
WO2022197142A1 (ko) * 2021-03-18 2022-09-22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KR20220130499A (ko) * 2021-03-18 2022-09-27 투두글로벌 주식회사 좌변기용 시트 세척장치
CN114635482A (zh) * 2022-04-27 2022-06-17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可自动升降、冲洗消毒、调节温度的病患用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5788A1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0852A (ko) 위생 좌변기
JP7096552B2 (ja) 自動床清掃機及び自動床清掃方法
KR102025342B1 (ko)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US8382012B2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102381406B1 (ko)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CN204379207U (zh) 水槽式清洗机的箱体结构
KR20170119375A (ko) 다기능 자동 보틀 세척장치
KR101315294B1 (ko) 변기의 시트커버 작동식 수세장치
KR20100137906A (ko) 휴대용 물청소기
US10639391B2 (en) Re-phresh system
KR100951962B1 (ko) 좌변기의 시트 세척장치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KR20180053847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102484050B1 (ko) 위생커버의 개폐구조를 갖는 비데 콘트롤부 구조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60001264A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JP2017029421A (ja) 携帯型洗浄器
US6662381B1 (en) Automated toilet plunging apparatus
KR102082930B1 (ko) 자동 세발장치
KR20120006391U (ko) 자외선 살균 장치가 구비된 싱크볼
KR20220021508A (ko) 양변기의 커버 자동 닫힘 장치
KR101675060B1 (ko) 세척장치를 구비한 변기시트
CN110714514A (zh) 卫生清洗装置
KR20160080129A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1515027B1 (ko) 때밀이 겸용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