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663B1 -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 Google Patents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663B1
KR101877663B1 KR1020170013595A KR20170013595A KR101877663B1 KR 101877663 B1 KR101877663 B1 KR 101877663B1 KR 1020170013595 A KR1020170013595 A KR 1020170013595A KR 20170013595 A KR20170013595 A KR 20170013595A KR 101877663 B1 KR101877663 B1 KR 10187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ater
cover
lid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 호 박
Original Assignee
은 호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호 박 filed Critical 은 호 박
Priority to KR102017001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물걸레 세척 식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루에도 수 없이 다수의 사람들이 번갈아 가면서 앉아 피부를 접속케 하는 공중 화장실 좌변기 시트 에는 대장균 살모렐라균 포도상구균 등이 잠복 되어 있어서 감염될 우려가 항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면역럭이 약한 노약자 또는 환자에게는 요로감염 신우신염 패혈증 등 질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감염은 시트에 특정부위를 직접 접촉하므로 매우 쉽게 감염된다고 2008년 세계 위생의 해로 정한 유엔이 조사한 것을 인용해 볼 때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들이 착좌한 시트를 세척하기 위하여 물통 외측에 모터 컴푸레샤를 설치하고 걸레로 구성시킨 클린개비를 강한 수압의 회전으로 시트를 말끔히 세척케 한 후 재사용 하는 방식으로 질병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위생적 청결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Description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Seat Wet Washing Toilet Seat}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변기를 사용 후 피부에 접촉되었던 시트를 강한 물과 걸레질로 세척시켜 바람으로 건조케 하는 시트 물걸레 세척 식 변기에 관한 것이다
시트를 세척하는 방식의 많은 건이 출원되어 다수가 공개 또는 등록이 되었다 어떤 건은 화장지를 시트에 깔아서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방식, 또 다른 건은 강한 살수로 시트를 세척하는 방식, 또는 살균램프나 초음파로 세척하는 등 다양한 방식들의 정보를 접할 수 있다
특히 살수 방식으로 세척하는 건들을 면밀히 살펴볼 때 실용적이지 못한 점 등을 발견 할 수 있다 강한 물을 쏜다고 청결하게 세척 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을 꼼꼼히 관찰 해 본다면 수십 톤의 강한 물이 동시에 쏟아지는 폭포 밑에도 이끼가 번식하고 소방차의 고압수가 나오는 호스 노즐에도 물때가 낀 다는 점을 지적 해 볼 수가 있다 즉, 물로만 씻을 수 없다 걸레질도 동시 에 해야만 완벽한 세척을 이룰 수 가 있다는 결론이다
.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된 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키 위해 안출 한 것으로 변기에 부가적 장치로 물통 외측에 모터 컴푸레사를 설치하고 바람을 공급할 송기관을 만든 뒤 다시 물통 속에 스몰배출구를 설치하고 송수관을 만들어 송기관과 체결케한 다음 덥개 저면측에 노즐과 솔로 구성시킨 클린개비를 위치시켜 송기관과 연결시킨 후 시트를 씻고자 덥개를 닫고 조작 하게 되면 센 바람과 물이 클린개비로 공급 되어져 클린개비가 회전되면서 시트를 세척해주고 물이 끊어질 때 바람만 나와 클린개비의 마찰로 시트를 깨끗이 건조토록 해 주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은 변기의 측면도로서 물통(11)을 장착 시켜 그 외측면에 모터컴푸레샤(13)를 설치하고 물통(11)하단부에는 송수관(15)을 위치시켜 덮개(27)와 연걸 시킨 후 다시 공기압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모터컴푸레샤(13)의 송기관(16)을 송수관(15)과 연결토록 하였다
도24 또는 도25에서 도시한 물통(11)의 구성은 이미 일상에서 그 기술을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본 출원은 본건을 실시키 위해 물통(11)속에 스몰배출구(57)와 스몰튜브밸브(42)와 튜브릴레이(33)를 부가 시켰다
도16과 같이 내림기(14)를 조작 시 내림기(14)내부에 달린 스몰줄(38)과 메인줄(37)이 각각 스몰튜브밸브(42)와 메인튜브밸브(41)를 열어 동시 물을 배출시키는데 메인배출기(43)에 비해 스몰배출구(57)의 입구를 높게 위치시켜 물의 배수량을 짧게 구성 시켰다
도17에 도시한 것은 방수로된 튜브속에 접촉봉(56)과 종스프링(36)으로 구성시킨 튜브릴레이(33)를 성형시켜 부력공(45)위에 배치하여 물이차서 부력공(45)이 뜰 때 부력공(45)으로부터 튜브릴레이(33)가 압박을 받아 전류가 단전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시트(21)를 보건 위생적으로 깨끗이 세척하여 청결하게 사용 하는 것으로 덥개(27)를 닫고 시트(21)를 세척할시 세척한 물을 좌,우밑판(20)(19)으로 받아 외부로 흐르지 않고 변기(10)통속으로 유도케 하는 구조로서 도 3 또는 도 5 또는 도 6과 같이 좌,우밑판(20)(19)을 각각 성형시키되 하나로 연결키 위해 밑판정면부에 판축(26)을 뚫어 서로 연결시킬 때 좌우운동이 가능토록 되게 한 것이다
각 좌,우밑판(20)(19)테두리에 울타리를 두르듯 판벽(59)을 사방으로 세우고 좌,우밑판(20)(19)각 후미는 일측과 타측이 끼임과 빼임이 수월토록 구성시켜 작용시 오므려짐과 벌어짐이 용이케 한 다음 L자형 좌,우판봉(24)(25)을 각각 만들어 각 판봉의 하단부는 좌,우밑판(20)(19)후미 좌우측에 각각 연걸케 하고 각 상단부는 원통형으로 둥글게 성형시킨 후 도 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둥근 바깥 측 표면에 좌,우판홈(49)(50)을 빗금 형으로 대칭이 되게 각각 파서 위치시킨 후 상단부 중심에는 회동봉(17)에 끼울 홈을 위치토록 하였다
도 8에서 도시한 시트(21)역시 후미 좌우측에 L자형 좌,우시트봉(22)(23)을 각각 설치하고 좌,우시트봉(22)(23)각 상측단부에 홈을 종으로 다소 길게 뚫어 좌,우시트홈(53)(54)을 구성케한 뒤 시트(21)저면에는 받침목(55)다수를 설치토록 하였다
도22는 덥개(27)의 저면을 도시한 것으로 덥개(27)를 준비할 때 합성수지의 투명한 재질로 성형시키며 또 덥벽(60)을 넓게 만들고 도23과 같이 물을 공급하는 덥개관(30)을 덮게(27)천정에 위치시키며 또 덥개관(30)저면측에 결합구(35)를 돌출되게 설치토록 한 다음 덥개(27)의 후미외측엔 경첩 역할 기능인 좌,우덥개봉(28)(29)을 도13과 같이 다소 넓고 길게 만들되 각 중간부에는 회동봉(17)에 삽입을 준비키위해 홈을 각각 뚫고 좌,우덥개봉(28)(29)각 단부에는 좌,우시트고리(51)(52)를 돌출되게 각각 위치시킨 다음 좌,우덥개봉(28)(29)좌우측 각 바깥쪽 덥개(27)후미 측에 좌,우돕개턱(47)(48)을 돌출이 되게 각각 설치시킨 후 각 좌,우덥개턱(47)(48)이 각 좌,우판홈(49)(50)속에 각각 물려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좌덥개봉(28)은 도13에서 도시한대로 덥개(27)와 연결된 좌덥개봉(28) 사이 즉,회동봉(17)에 삽입케 하려고 횡으로 뚫은 홈 속에서 다시 덥개(27)쪽의 종 방향으로 홈을 파 회전관(58)을 위치토록 하였다
시트(21)를 물과 함께 걸레질 할 수 있도록 도20 또는 도21과 같이 클린개비(32)를 성형 시키되 클린개비(32)가 회전 될 수 있도록 도15와 같이 수개비(31)를 클린개비(32)내벽에 빗금형으로 부착시켜 마치 바람에 바람개비가 돌아가듯 공기압과 섞인 물살에 수개비(31)가 돌아가면서 몸체인 클린개비(32)전체가 회전이 되게 구성 하였다
클린개비(32)를 구성키 위해 앞서 도시한대로 클린개비(32)저면에 물과 공기가 나오는 노즐(40)을 위치시키고 그 주변에 회전 시 마찰로 세척 할 수 있게끔 물이 흡수되지 않는 합성수지재질의 솔(39)을 설치한 다음 완성된 클린개비(32)를 도19에 도시한 덥개관(30)저면 결합구(35)에 연결시켜 회전이 용이토록 하게 하였다
또 덥개(27)와 시트(21)와 좌,우밑판(20)(19)의 상하 또는 좌우 회동이 가능토록 하기위해 도 9 또는 도18과 같이 회동봉(17)을 다소 길게 성형하여 변기(10)후미 측에 종으로 위치케 한 뒤 회동봉(17)의 좌측은 도14와 같이 송수관(15)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 하여 도13 또는 도18에서 도시한 좌덥개봉(28)홈안에 삽입케 하고 덥개(27)를 닫을시 송수관(15)의 송수구(61)와 회전관(58)구멍이 맞닿아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 시켰다
도 4 또는 도 9와 같이 회동봉(17)에 덮개(27)의 상하 회동을 도울 좌,우덮개봉(28)(29)을 끼우고 다시 좌,우덥개봉(28)(29)각 외측에 좌우 유동을 할 좌,우판봉(24)(25)을 각각 끼우도록 하였다
덥개(27)를 덮을시 도 7 또는 도12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회동이 되는 좌,우덥개봉(28)(29)단부에 돌출되게 달린 좌,우시트고리(51)(52)가 각 좌,우시트홈(53)(54)을 끼고 후진을 함과 동시 덮개(27)의 후미 좌우측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킨 각 좌,우덥개턱(47)(48)이 각 좌,우판봉(24)(25)의 둥근 외벽에 파인 각 좌,우판홈(49)(50)속에 이미 끼여져 대기 하고 있으므로 덮개(27)가 회동시 좌,우덮개턱(47)(48)도 상측서 하행하여 빗금형으로 파인 각 좌,우판홈(49)(50)속을 따라 내려오면서 마찰을 일으켜 좌,우판봉(24)(25)을 바깥으로 밀어줄 때 연결된 좌,우밑판(20)(19)이 각각 벌어지면서 시트(21)가 좌,우밑판(20)(19)가운데 머물도록 구성 시켰다
역순으로 덥개(27)를 들어 개방할 시 도10 또는 도11 에서와 같이 좌,우밑판(20)(19)은 오므려지고 시트(21)는 전진하여 시트(21)밑에 좌,우밑판(20)(19)이 은폐가 되도록 구성 시켰다 상기와 같이 구성을 마무리 한 후 작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소변을 보고자 할 때 덥개(27)와 시트(21)와 좌,우밑판(20)(19) 3개를 동시에 열어 물통(11)에 기대어 세우고 볼일 후 내림기(14)를 누를 때 물통(11)속 메인튜브밸브(41)와 스몰튜브밸브(42)가 동시에 열렸으나 메인배출구(43)로만 물이 배출이 되게 하였다 그 이유는 이미 도시한대로 좌덥개봉(28)에 뚫어서 위치시킨 회전관(58)이 덮개(27)가 세워지는 회동으로 송수관(15)에 뚫린 송수구(61)의 구멍과 어긋나도록 구성했기 때문이다
도 1 또는 도11 또는 도12 또는 도26 또는 도27에서 도시한바 형상기억이 잘 발달된 작은 고무통을 준비하여 그 속에 단자를 구성시켜 압박으로 눌릴 때 접촉이 될 수 있도록 고무스윗치(63)를 만든 뒤 변기(10)후미측에 위치시켜서 좌시트봉(22)이 후진시 밀착되게 압박되면 전류가 접촉이 되고 압박에서 풀리면 단전이 되도록 구성케 하였다
이 고무스윗치(63)는 덥개(27)를 열고 물을 내리는 작은 용변을 보고자 한 것에 대비케 한 것이다 반대로 큰 용변을 본 후 덥개(27)를 닫을시 좌,우밑판(20)(19)의 좌,우판벽(59)(62)내측으로 덮개(27)의 덮벽(60)을 꼭 끼이도록 하여 내림기(14)를 조작하면 메인튜브밸브(41)와 스몰튜브밸브(42)가 동시에 열려 메인배출구(43)와 스몰배출구(57)로 물이 흐르고 부력공(45)이 하행 하면서 부력공(45)의 압박으로부터 해제된 튜브릴레이(33)가 전류에 접촉되어 모터컴퓨레샤(13)를 작동토록 하였다 이때 메인배출구(43)의 물은 일반적 변기처럼 배출이 되나 스몰배출구(57)의 물은 송기관(16)의 공기압과 만나 아주 센물로 변해 송수관(15)타고 회전관(58)을 거처 덥개관(30)에 공급되어 수개비(31)를 힘차게 돌려 클린개배(32)를 회전시킬 때 노즐(40)에서 뿜어 나오는 물과 마찰 일으키는 솔(39)로 시트(21)를 말끔히 세척토록 구성 시켰다 덮개(27)를 투명하게 구성 시킨 것은 사용자가 세척과정을 직접 보며 청결케 세척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심리적 정신적 불결한 생각을 잊고 안도감을 가지고 피부에 접촉 하자는 것이다
여기서 스몰배출구(57)의 높은 구조로 인해 물의 흐름이 먼저 중단되나 메인배출구(43)는 물 흐름이 여전히 진행되어 모터컴푸레샤(13)의 작동은 멈추지 않고 공기압만 송수관(15)으로 공급되어 클린개비(32)를 계속 돌려주므로 노즐(40)에서 나오는 바람과 솔(39)의 마찰로 패드(21)를 말끔하게 건조토록 하게 하였다 이러한 작용은 물이 차서 다시 부력공(45)이 튜브릴레이(33)를 떠받쳐 압박이 발생하여 단전될 때 까지 진행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2에서 도시한 스토펴(18)를 덮개(27)전면에 설치하여 시트(21)를 세척 시 강한 수압의 후폭으로 덮개(27)의 열림을 미연에 방지케 하였고 덮개(27)중앙부에는 후폭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키 위해 공기구멍(64)을 위치토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질병 감염으로부터 예방은 물론 언제나 청결하고 보건적으로 쾌적한 화장실 문화를 지속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변기의 측면도
도 2 : 본 발명 덥개 스토퍼를 확대한 측면도
도 3 : 본 발명 밑판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회동봉의 사시도
도 5 : 본 발명 밑판이 벌어진 밑판의 평면도
도 6 : 본 발명 덮개를 개방한 오므려진 밑판의 평면도
도 7 : 본 발명 밑판의 작용으로 시트를 감싼 시트의 평면도
도 8 : 본 발명 시트의 사시도
도 9 : 본 발명 회동봉의 정면도
도10 : 본 발명 시트밑에 밑판이 은폐된 시트의 평면도
도11 : 본 발명 밑판을 덥은 덥개의 측면도
도12 : 본 발명 밑판에서 개방된 덥개의 측면도
도13 : 본 발명 확대한 덮개봉의 사시도
도14 : 본 발명 확대한 송수관의 사시도
도15 : 본 발명 수개비의 평면도
도16 : 본 발명 내림기의 저면도
도17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튜브 릴레이의 단면도
도18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회동봉의 정면도
도19 : 본 발명 일부를 확대한 덥개관의 사시도
도20 : 본 발명 노즐과 솔을 위치시킨 클린봉의 저면도
도21 : 본 발명 덥개관과 연결시켜 투명하게 그린 클린봉의 정면도
도22 : 본 발명 클린개비를 위치시킨 덥개의 저면도
도23 : 본 발명 저면에서 바라본 덥개관의 사시도
도24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물통의 사시도
도25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물통의 정면도
도26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고무 스위치의 사시도
도27 : 본 발명 투명하게 그린 고무 스위치의 눌러진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기 11 . 물통
12 . 전류 13 . 모터 컴푸레샤
14 . 내림기 15 . 송수관
16 . 송기관 17 . 회동봉
18 . 스토퍼 19 . 우밑판
20 . 좌밑판 21 . 시트
22 . 좌시트봉 23 . 우시트봉
24 . 좌판봉 25 . 우판봉
26 . 판축 27 . 덥개
28 . 좌덮개봉 29 . 우덥개봉
30 . 덥개관 31 . 수개비
32 . 클린개비 33 . 튜브릴레이
34 . 횡스프링 35 . 결합구
36 . 종스프링 37 . 메인줄
38 . 스몰줄 39 . 솔
40 . 노즐 41 . 메인튜브밸브
42 . 스몰튜브밸브 43 . 메인배출구
44 . 입수구 45 . 부력공
46 . 입수밸브 47 . 좌덥개턱
48 . 우덥개턱 49 . 좌판홈
50 . 우판홈 51 . 좌시트고리
52 . 우시트고리 53 . 좌시트홈
54 . 우시트홈 55 . 받침목
56 . 접촉봉 57 . 스몰배출구
58 . 회전관 59 . 좌판벽
60 . 덥벽 61 . 송수구
62 . 우판벽 63 . 고무스윗치
64 . 공기구멍
.

Claims (7)

  1. 덮개(27)를 준비하여 테두리를 넓게 덮벽(60)으로 위치시키고 덮개(27)후미 좌우측에 좌,우덮개봉(28)(29)을 넓고 길게 각각 위치시킴과 회둥봉(17)에 끼우기 위해 좌,우덮개봉(28)(29)중간부에 홈을 구성하고 좌,우판봉(24)(25)을 끼우기 위해 좌,우덮개봉(28)(29)각 단부에 돌출되게 좌,우시트고리(51)(52)를 각각 위치시키고 덮개(27)후미 좌우측에 좌,우판홈(49)(50)을 마찰시킬 돌출된 좌,우덮개턱(47)(48)을 각각 위치시킴과
    상기 덮개로 부터의 세척작용을 위해
    시트(21)를 성형하되 시트(21)후미 좌우측에 L자형 좌,우시트봉(22)(23)을 각각 위치시키고 회동봉(17)에 끼우기 위해 좌,우시트봉(22)(23)각 단부에 좌,우시트홈(53)(54)을 종으로 길게 각각 위치시킴과 시트(21)저면에 받침목(55)다수를 위치시키고
    상기 세척한 물을 변기 속으로 바르게 유도키 위해
    좌,우밑핀(20)(19)을 각각 성형하여 좌,우밑핀(20)(19) 테두리에 좌,우판벽(59)(62)을 각각 위치시키고 좌,우밑판(20)(19)전면에 좌우유동을 도울 판축(26)을 위치시킴과 좌,우밑판(20)(19)후미측은 일측과 타측이 끼임과 빼임이 용이하게 구성시킨 후 L자형 좌,우판봉)(24)(25)을 준비하되 각 판봉 하단부는 일,타측과 각각 연결시키고 각 판봉 상단부는 둥글게 구성시켜 표면에 빗금형의 좌,우판홈(49)(50)을 각각 위치시킴과
    상기 덮개 와 시트 와 좌,우밑판 을 결합키 위해
    회동봉(17)을 길게 성형하여 변기(10)후미측에 종으로 위치시키되 좌측은 송수관(15)과 연결 할 수 있게 구성시키고 덮개(27)와 시트(21)가 연결된 좌,우덮개봉(28)(29)을 삽입시킴과 좌,우밑판(20)(19)이 연결된 좌,우판봉(24)(25)을 각각 삽입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 식 변기
  2.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세척 장치를 위해
    덥개(27)저면에 덥개관(30)을 위치시키고 덥개관(30)저면에 결합구(35)를 구성시킨 다음 공기와 수압에 회전이 되는 클린개비(32)를 결합구(35)에 위치시킨 후 덮개(27)후미 좌측에 결합된 좌덮개봉(28)의 종으로 뚫은 홈 속에서 다시 덮개(27)측 종 방향으로 홈을 뚫고 회전관(58)을 위치시켜 송수관(15)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3. 1 항에 있어서
    물통의 장치를 위해
    물통(11)외측에 내측과 연결되도록 내림기(14)를 위치시키며 내측에 스몰배출구(57)를 높게 위치시키고 그 위에 스몰튜브밸브(42)와 스몰줄(38)을 구성하여 내림기(14)와 연결시키며 다시 메인배출구(43)를 낮게 위치시키고 그 위에 메인튜브밸브(41)와 메인줄(37)을 구성하여 내림기(14)와 연결시킨 다음 주변에 입수구(44)와 입수밸브(46)와 부력공(45)을 위치시킨 후 물통(11)외측에 모터컴푸레샤(13)를 설치하여 송기관(16)을 위치시키고 송수관(15)을 설치하여 스몰배출구(57)와 연결시킨 뒤 다시 송기관(16)과 송수관(15)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4.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개비의 장치를 위해
    클린개비(32)를 성형하되 바람개비와 동일한 방식인 수개비(31)를 클린개비(32)내벽에 빗금형으로 부착시켜 공기압과 물살에 회전이 발생되게 구성시킴과 클린개비(32)저면에 물과 공기가 나오는 노즐(40)과 마찰을 일으킬 솔(39)을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5. 1 항에 있어서
    튜브릴레이 장치를 위해
    방수로된 튜브속에 접촉봉(56)과 종스프링(36)을 위치시켜 튜브릴레이(33)를 구성시킨 후 부력공(45)위에 배치하여 부력공(45)의 압박 유무에 따라서 전류가 단전 또는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6. 1 항에 있어서
    고무스윗치 장치를 위해
    형상기억의 고무통을 준비시켜 내부에 단자를 구성하여 압박으로 눌릴 때 접촉을 이루는 고무스윗치(63)로 형성시킨 후 변기(10)후미 좌측에 위치시켜 좌시트봉(22)의 전,후진 압박 유무에 따라 접촉과 단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7.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7)를 투명하게 성형하는 것과 덮개(27)전면에 스토퍼(18)를 위치시키는 것과 덮개(27)위에 공기구명(64)구멍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의 물걸레 세척식 변기
KR1020170013595A 2017-01-25 2017-01-25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KR10187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95A KR101877663B1 (ko) 2017-01-25 2017-01-25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595A KR101877663B1 (ko) 2017-01-25 2017-01-25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663B1 true KR101877663B1 (ko) 2018-08-09

Family

ID=6325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3595A KR101877663B1 (ko) 2017-01-25 2017-01-25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6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493A (ko) * 2010-04-27 2011-11-02 은 호 박 좌대 물세척식 좌변기장치
KR20150090852A (ko) * 2014-01-29 2015-08-06 서유진 위생 좌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9493A (ko) * 2010-04-27 2011-11-02 은 호 박 좌대 물세척식 좌변기장치
KR20150090852A (ko) * 2014-01-29 2015-08-06 서유진 위생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446425U (zh) 一种人体排泄物自动清理机
CN204282488U (zh) 一种智能马桶
CN207863095U (zh) 自清洗不堵无味便器
US7269863B1 (en) Automatic self-cleaning toilet
CN204112445U (zh) 带冲洗垫圈功能的马桶盖
KR101877663B1 (ko)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JP3140480U (ja) 便座自動洗浄装置
CN206354970U (zh) 一种带座圈消毒的马桶
CN110446446A (zh) 用于马桶的冲洗清洁系统和冲洗方法
CN204246052U (zh) 一种多用途可移动便携式马桶
CN204662609U (zh) 一种具有消毒除菌功能的冲洗装置
CN106388684A (zh) 一种带座圈消毒的马桶
CN110939297A (zh) 一种智能卫生间
CN206385617U (zh) 马桶清洗装置
CN210784139U (zh) 一种幼儿与成人皆可用的马桶
CN205585969U (zh) 一种洗碗机
CN203677425U (zh) 一种智能护理床垫
JPH10195960A (ja) 吸込装置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US6944894B1 (en) Self-cleaning toilet
CN207436163U (zh) 一种封堵节水型座便器
CN107700623A (zh) 一种隐形的智能机械马桶
CN205421467U (zh) 一种公厕马桶清洗机
JP2558873B2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CN107518817A (zh) 一种马桶刷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